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23:26:15

프랑스군

<colbgcolor=#aaaaac><colcolor=#fff> 파일:프랑스국방참모부.png
Forces armées françaises
프랑스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aaaac, #aaaaac 20%, #aaaaac 80%, #aaaaac); color:#1E1E1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프랑스 육군 로고.svg 파일:프랑스 해군 로고.svg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로고.svg 파일:프랑스 헌병대 로고.svg
지상군
Armée de terre
국가 해군
Marine nationale
항공우주군
Armée de l'air et de l'espace
국가 헌병대
Gendarmerie nationale
}}}}}}}}}}}}
프랑스군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프랑스군
Forces armées françaises
French Armed Forces
파일:프랑스국방참모부.png
<colbgcolor=#aaaaac> 국가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소속 프랑스 군무부
구성 프랑스 육군
프랑스 해군
프랑스 항공우주군
프랑스 헌병대
통수권자
(군무총감)[1]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지휘·감독권자 세바스티앵 르코르뉘 (군무장관)
군인 최선임자 티에리 부르크하르 (국방참모총장)
병력 현역 205,000명 (2023년)[2]
예비역 35,000명 (2023년)
병역제도 모병제
육군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aaaaac><colcolor=#000> 전차 222대
장갑차
(APCs/IFVs)
3,671대
자주포 90문
다연장로켓 13문
수송 차량 13,748대 }}}}}}}}}
해군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aaaaac><colcolor=#000> 해군 전투함 총합 86척
주력 수상함
1급 호위함[3] 10척(+5척)
2급 호위함 5척
감시호위함 6척(+6척)
원양초계함 10척(+16척)
모함, 상륙함, 수송함
항공모함 1척(+1척)
강습상륙함 3척
상륙정 4척
잠수함
SSBN 4척
SSN 5척(+4척) }}}}}}}}}
공군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aaaaac><colcolor=#000> 4.5세대 전투기 150기
4세대 전투기 137기[4]
조기경보관제기
(AWACS)
4기
조기경보기
(AEW)
3기[5]
전자전기 2기
공중급유기 25기(+3기)
공군기 총합 약 790기
헬리콥터 810기
항공기 총합 1,757기 }}}}}}}}}
예산
국방비 총합 566억 달러 (2023년 기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수뇌부3. 예산과 경제규모4. 역사5. 편제6. 계급7. 프랑스군의 무기개발사8. 장비
8.1. 대전기8.2. 현대
8.2.1. 육군8.2.2. 해군8.2.3. 공군
9. 대중매체10. 관련 인물11.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프랑스군프랑스국군으로, 육군, 해군, 공군과 핵전력 모두 균형잡힌 전력을 보유하여 강대국이라는 평판에 걸맞은 강력한 군사력을 가진 군대[6]이며, 역사적으로는 프랑스를 유럽 역사상 가장 군사적으로 성공적인 국가[7]로 자리매김하게 한 군대로서 통산 약 1115회의 전투 승전을 기록하고 있다.[8] 냉전 시기에는 나토 통합군에서 탈퇴한 상태에서도 서유럽 방위에 한 몫을 했으며 냉전 시대와 현 시점에 이르기까지의 여러 국제 군사개입에서 좋은 활약과 전과를 세우고 있다.

군대의 허리를 책임지는 장교들에 대한 대우가 전세계 모든 국가들 중 가장 좋다. 어지간한 나라들은 자국 군대의 장교에 대한 대우가 좋은 편인데 프랑스의 경우는 그중에서도 최고 수준이다. 이유인 즉 프랑스의 사관학교그랑제콜 수준의 두뇌와 매우 뛰어난 체력을 동시에 요구하기 때문이며 외인부대에서 병부터 올라간 장교들의 경우 정말 극단적으로 엄선하여 선발된 인원이기 때문이다.

군 내에 소방부대가 정식으로 편제되어 있다. 그것도 군부대 내의 재난 뿐만 아니라 민간 소방 업무까지 맡고 있다. 파리와 마르세유 소방대가 여기에 해당된다. 파리의 소방 업무는 프랑스 육군의 파리소방여단(Brigade des sapeurs-pompiers de Paris)이, 마르세유는 마르세유 해군 소방대대(Bataillon de marins-pompiers de Marseille)에서 맡는다. 다른 지역은 민간 정부의 소방대가 맡고 있다. 이렇게 된 이유는 1810년 오스트리아 대사관 화재로 많은 병사들을 포함한 희생이 발생하자 나폴레옹 1세의 지시로 프랑스 제국 근위대공병을 중추로 하여 최초의 소방대를 편성하였기 때문이다. 파리소방여단은 이 때문에 매년 7월 14일 프랑스 혁명 기념일과 같은 국경일의 군사 열병식 행사에도 참여한다.

2. 수뇌부

통수권자 군무장관[9] 국방참모총장
파일:마크롱 대통령 공식사진 크롭.jpg
파일:Portrait_Sébastien_Lecornu.jpg
파일:Thierry Burkhard.jpg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 세바스티앵 르코르뉘 육군 대장 티에리 부르크하르
육군참모총장 해군참모총장 항공우주군참모총장 헌병사령관
파일:Le_général_Pierre_Schill.jpg 파일:Nicolas-Vaujour.jpg 파일:Stephane_Mille_(7134468)_(cropped).jpg 파일:Le_général_de_corps_d'armée_Christian_Rodriguez_en_2016.jpg
육군 대장 피에르 쉴 해군 대장 니콜라 바우지 공군 대장 스테판 미유 헌병 대장 크리스티앙 로드리게스

3. 예산과 경제규모

프랑스 역대 국방 예산비용 #
{{{#!folding [ 펼치기 · 닫기 ] 년도 전체 명목 GDP
(10억달러; 약 1조원)
경제성장률 영어위키 국방비 자료
SIPRI(10억달러; 약 1조원)
2000년 1,496 4.3% 33.8
2001년 1,485 2.1% 33.2
2002년 1,623 2.2% 36.4
2003년 1,877 3.9% 45.9
2004년 2,221 3.1% 53.0
2005년 2,324 3.2% 52.9
2006년 2,486 2.7% 54.5
2007년 2,858 3.4% 60.5
2008년 2,709 -0.7% 66.0
2009년 2,217 -5.1% 66.8
2010년 2,296 1.6% 61.7
2011년 2,464 1.1% 62.7
2012년 2,470 0.2% 58.9
2013년 2,523 1.7% 61.2
2014년 2,847 3.2% -
2015년 - - -
2016년 - - -
2017년 - - -
2018년 - - -
}}} ||

프랑스의 국방예산은 2009년에 정점을 찍은 후 경제위기(유로화 사태) 등의 영향으로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2009년 당시 역사상 최고점 수준이던 유로 대비 달러 교환비의 원인이며, 유로화 기준 국방비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현재 프랑스군은 파리 테러 등의 안보적 위협이 증가하자 GDP 대비 국방비를 2.3%로 늘린 상태며 또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징병제 도입을 재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마크롱의 국방정책으로 인해 프랑스군 예산이 세계 5위라고 한다. #

4.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랑스군/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편제

5.1. 육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랑스 육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해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랑스 해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 항공우주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랑스 항공우주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4. 헌병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랑스 헌병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5. 타격군

Force de dissuasion nucléaire française. 미국 전략사령부처럼 핵무기 등 핵전력들을 관리하는 통합사령부이다. 단, 전략로켓군 같은 독립 군종은 아니며, 각군 자산인 핵병기들의 발사 등을 지휘하는 역할이다. 육해공군이 모두 근무한다.

6. 계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랑스군/계급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프랑스군의 무기개발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랑스군/무기개발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장비

8.1. 대전기

8.2. 현대

8.2.1. 육군

차륜보병전투차

8.2.2. 해군

8.2.3. 공군

9. 대중매체

  • 블랙 팬서: 와칸다 포에버에서 프랑스 정부가 비브라늄이 대량 살상 무기 제조에 사용될 위험이 있다는 명분으로 프랑스 특수부대를 파견하여 말리에 있는 와칸다 구호 시설을 습격하여 비브라늄을 훔치려다가 도라 밀라제에게 진압되고 생포된 프랑스 특수부대원들은 UN 회의장에 송환된다.
  • 하이브 시리즈에서 하운드 자매가 프랑스군 출신 용병으로 밝혀졌다 대사에서 프랑스군에 입대해 해외파병을 다니다 전역했다고 나온다.

10. 관련 인물

11. 관련 문서


[1] Chef des armées[2] 출처 육해공군 및 헌병대 총원[3] 타국의 구축함이나 방공 호위함 수준의 군함에 해당하는 분류.[4] 4세대 전투기인 미라지 2000을 9대 추가로 보유하고 있으나 훈련기이다.[5] 프랑스 해군 소속[6] 사실 이건 프랑스의 주변국들이 냉전시대, 초강대국 미국의 시대와 같은, 이전에 비해 훨씬 평화로워진 시대상에 발 맞춰 군축을 했기에 군축을 덜한 프랑스가 유독 강해보이는 측면도 있다. 프랑스가 군축에 상대적으로 소극적이었던 이유로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의 굴욕 이후 일종의 자존심 문제 및 국가안보에 대한 강박증 비슷한 문제로써 군비를 항상 일정 수준 이상 무장시키려고 했던 사회적 정서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나마도 90년대 이후의 프랑스군 역시 국방비로 돈이 너무 많이 든다고 여겨 군축을 엄청나게 했고 군축을 그리 하고도 여전히 서유럽에서 제일 강력한 군사력을 자랑하고 있으며 일단 핵무기 전력만 따져도 세계 3~4위권 수준이다.[7] 참고[8] 참고영상[9] 2017년까지 국방부(Ministère de la Défense)로 불렸던 부처명이 군무부(Ministère des Armées)로 변경되면서 국방장관 또한 군무장관으로 변경되었다.[10] 르클레르, 레오파르트 2 및 기타 IFVAPC 대체를 목표로 하는 차세대 기갑 플랫폼이다. 독일연방군과의 공동 도입을 목표로 독불 합작 방산 기업 KNDS가 개발 중이다.[11] 구식화한 AMX-10P를세대교체를 하기 위해 후속모델인 "VBCI"에게 바톤 터치하고 2008년 이후 퇴역하기 시작하였다.[12] 출처(프랑스어 위키)[13] 군용 벤츠 G클래스의 라이선스 생산판[A] 전략 수송기[B] 대통령 전용기[A] 전략 수송기[C] 정부소속 비지니스제트[C] 정부소속 비지니스제트[19] 해당 기체는 대한민국 공군이 신형 백두 정찰기로 해당 기체를 도입 중인 상태이다.[C] 정부 소속 비지니스제트[21] 프랑스 다쏘와 독일 도르니에가 1970년대 공동개발한 제트훈련기 겸 경공격기.[22] 부대 목록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