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6 10:42:20

주한미군/부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주한미군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주한미군/구성
,
,
,
,
,

파일:주한미군 마크.svg 주한미군군사기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ext-align: center; word-break: keep-all;"
용산기지■ROK
USAG YONGSAN
캠프 험프리스■ROK
CAMP HUMPHREYS
오산공군기지■ROK
OSAN AIR BASE
군산공군기지■ROK
KUNSAN AIR BASE
캠프 캐롤
CAMP CARROLL
캠프 워커&헨리
CAMP WALKER
캠프 케이시
CAMP CASEY
캠프 호비
CAMP HOVEY
캠프 무적
CAMP MUJUK
K-16■ROK
K-16 AIR BASE
부산 해군기지■ROK
BUSAN NAVAL BASE
진해 해군기지■ROK
CFA CHINHAE1
대구 공군기지■ROK
DAEGU AIR BASE
수원 공군기지■ROK
SUWON AIR BASE
광주 공군기지■ROK
GWANGJU AIR BASE
청주 공군기지■ROK
CHUNGJU AIR BAS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폐쇄 / 반환된 기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폐쇄된 기지[1]캠프 레드 클라우드 | 캠프 스탠리 | 캠프 그리브스 | 캠프 잭슨 | 캠프 마켓 | 캠프 모스 | 캠프 킴 | 캠프 님블 | 캠프 하텔하우스 | 캠프 에드워드 | 캠프 이글
반환된 기지서빙고 기지 | 캠프 롱 | 캠프 하야리야 | 캠프 페이지 | 캠프 캐슬 | 캠프 라과디아 | 캠프 시어스 | 캠프 카일 | 캠프 폴링 워터 | 캠프 머서 | 캠프 게리오웬 | 캠프 에세이욘 | 캠프 자이언트 | 찰리블럭 | 캠프 키티호크 | 캠프 스텐튼 | 캠프 펠햄 | 캠프 하워즈 | 캠프 카이저 | 캠프 콜번 | 캠프 싯먼 | 캠프 그레이 | 캠프 에임스 | 파평산 관제소 | 캠프 브루클린 힐 | 캠프 이즈벨 | 캠프 살렘 | 수영 비행장 | 캠프 하우스 | 캠프 맥냅
[ 각주 펼치기 · 접기 ]

[1] 언론에 공개되지 않은 기지 및 벙커, 관제소 등은 군사보안상 제외함.
}}}}}}}}} ||
대한민국 국군과 공동주둔: ■ ROK
1: COMMANDER FLEET ACTIVITIES CHINHAE
}}}}}}}}}
파일:USFK Area.png
주요 기지 위치

주한미군 지역별 관할 구역(AREA) 지도

1. 개요2. 치외법권3. 지하벙커 (지휘소)4. 전투 기지5. 비전투 시설6. Area I
6.1. Camp Casey6.2. Camp Hovey
7. Area II
7.1. Yongsan Garrison7.2. K-16 Seoul Air Base7.3. 2501 Digital Liaison Detachment
8. Area III9. Area IV
9.1. Camp Walker9.2. Camp Henry9.3. Camp George9.4. Camp Carroll9.5. Camp Mujuk9.6. CNFK Pohang9.7. CFA Chinhae9.8. Busan Naval Base
9.8.1. Pier 89.8.2. 55 Supply Depot
10. Area V11. Area VI12. 폐쇄 및 반환된 기지
12.1. Area I
12.1.1. Camp Mobile12.1.2. Camp Red Cloud12.1.3. Camp Jackson12.1.4. Camp Falling Water12.1.5. Camp Stanley
12.2. Area II
12.2.1. Camp Colbern12.2.2. Camp Market12.2.3. Camp Mercer12.2.4. Far East District (FED)
13. Area IV
13.1. Camp Hialeah
14. 관련 문서

1. 개요

이 문서는 대한민국에 주둔하는 주한미군 기지에 대하여 서술한다. 부대명은 대부분의 미군기지 작명법이 그러하듯 전사자의 이름을 기려서 따다 붙인다. 해외파병 부대는 부대명 앞에 캠프(Camp)를, 용산기지, 평택기지와 같은 대규모 미국 육군 본부시설은 USAG[1]를 붙인다.

2. 치외법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미행정협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미군부대는 대사관 이상의 주재권(jurisdiction)이 인정되는 장소이다. 따라서 현재로서 한국에서 가장 치외법권 지역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미군부대 내에서 미국이 가지는 권리 및 한계는 다음과 같다.
  • 사법
    미군기지는 대한민국 영토의 일부를 공여받아 사용하며, 대한민국법률과 사법 영향력이 일부 미치지 않는 지역이다. 미국인한국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이상 미국인에게는 미국 연방법과 미군 군법이 적용된다.

    이러한 특수성 때문에 한국 공무원, 심지어 한국군 인원들도 주한미군 또는 한미연합군사령부의 허가 없이는 미군기지 내에 못 들어간다. 이론적으로 따지면, 대한민국 대통령도 함부로 못 들어가는 게 주한미군 기지이다. 물론 한국 대통령이 미군기지에 방문하게 된다면 미군이 환영을 안 할 리가 없을 것이고 VIP 대접 받겠지만, 마음만 먹으면 대통령을 포함하여 어느 한국인도 못 들어오게 할 수 있다.

    일례로, 한국의 코로나 19 방역 지침과 감염병 예방법은 주한미군 기지 구역 내에서는 적용이 불가하다. 따라서 한국 정부 및 지자체는 미군부대 내부를 직접적으로 단속할 수 없다. 이로 인해 질병관리청평택시는 주한미군 측과 방역 "협의"에 의존하고 있다. 주한미군 측에서도 다행히 협조적[2]으로 대응해, 자체 방역 규칙을 제정하고 위반행위 단속에 나서는 등 코로나19 관련 협의가 잘 되고 있는 편이지만 부대 내 클럽 춤판이나 영외 마스크 미착용 행위 등 일부 미군의 방역수칙 위반 일탈사례가 나와 문제가 되고 있다.#
  • 치안 및 소방
    미군이 요청하지 않는 한 경찰공무원소방공무원이 진입하거나 미군기지 내 사건에 개입하는 것[3]은 불가능하며, 사건 사고 발생시 미군 군사경찰대와 영내 소방대가 먼저 대응한다.[4]
  • 출입국 심사
    미군부대는 물론 대한민국 영토일 뿐더러 주변지역도 모두 대한민국 영토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미군 본토 인력이 주한미군 기지로 파견될 때 대한민국 출입국 심사가 면제되지 않는다.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소속 출입국심사관오산 공군기지[5] 출장소[6]에 파견되어 사전 출입국 심사를 하며, 민간공항을 통해 출입국 시엔 일반 외국인 방문객과 똑같이 출입국심사를 받는다. 또한 한국에 파견된 미군 인력은 한미협정에 의거, 주한미군 특별비자를 통해 한국에 입국하게 되며, 파견기간 동안은 별도의 체류제한이 없다.
  • 세관 심사
    세관 심사도 마찬가지다. 협정에 따라 대한민국 관세청은 미군 군사 세관(U.S. Military Customs)과 협력하여 미군기지에 수입하는 모든 물품을 검사할 수 있으며, 군용 물품에 대해 선택적으로 관세를 면제하는 통관 혜택을 부여한다.[7]
  • 주소
    주소는 APO(Army Post Office)라는 가상 주소를 생성하여 사용한다. 등기부상으로 대한민국이 부여한 주소가 있기는 하나 실질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 결제
    미군기지 내 매장에서는 미국 달러 혹은 해외사용이 가능한 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대한민국 원과 대한민국에서 발급받은 신용카드도 사용할 수 있다. 카드결제 시 미국에서 결제된 것으로 처리되어 부정사용탐지 시스템(FDS)에 의해 카드사에서 연락이 올 수 있다. 미군기지내 스타벅스에서는 국내에서 발급받은 스타벅스 카드 사용이 제한된다.[8]
  • 미군 기지 방문
    미군부대는 미국의 행정력이 미칠 뿐 주권을 행사하는 지역은 아니기 때문에 한국인이 방문 시 여권이나 비자가 필요하지는 않다. 다만 군 기지이니만큼 방문시 미군 구성원 중 최소 한 명 이상이 에스코트를 해주어야 하며, 유효한 출입증과 신분증이 필요하다. 여기서 신분증은 주민등록증이나 여권을 말하며, 운전면허증은 외국인도 같은 양식으로 발급받을 수 있으므로 국적을 증명할 수 있는 신분증으로 인정해주지 않기 때문에 주민등록증/여권을 꼭 챙겨가서 낭패보는 일이 없도록. 일반적으로 미군기지 출입시에는 한국인의 경우 주민등록증과 운전면허증 2개를 모두 소지하고 하나를 게이트에 맡기도록 권하는 편이다. 미성년자의 경우 주민등록증을 발급받기 어렵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여권[9] 및 학생증 등을 발급받아 신분증으로 이용하여야 한다. 외국인도 스폰서가 있으면 원칙적으로 출입이 가능하나, 북한[10], 러시아, 중국, 이란을 비롯한 미국이 지정한 적성국(DCL, Designated Country List) 국민(DCP, Designated Country Personnel)들은 사전(최소 45일 이전)에 Background Check와 사령부급 예외 허가를 받지 않는 이상 방문이 제한된다. 이 DCL은 주한미군에서 정하는 개념이기에, 타국에 설치된 미군 기지와 반드시 동일하진 않다. 하지만 흔히 생각하는 미국의 적성국 개념과 달리 상당히 광범위하게 제한하는 경우가 많다. 일례로, 사우디아라비아이스라엘등도 통제 대상이며, 대만, 홍콩 등도 제한된다.
에스코트의 권한은 사람과 차량에 별도로 적용된다. 카투사미군 병사들은 대부분 사람 4명, 차량 1대 까지 에스코트를 할 권한을 가진다. 사람이 출입할 시의 규정은 위에 설명했고, 차량의 경우는 본인 명의의 등록증 및 보험 증서를 가지고 와야 한다. 등록증의 명의나 차량검사 기간, 보험에서의 보장범위 명의가 다를 시 차량 출입이 제한될 수 있으며, 차량 검사 기간도 증서에 적힌 대로 따르기 때문에 한국 법률에서의 31일 이내 유예 기간은 적용되지 못한다. 차량 임시 출입증을 부여받으면 차량 대시보드 쪽 밖에서 잘 보이는 위치에 상시 비치해야 한다. 한국/미국인 군무원이나 미군 장병들의 개인,업무용 차량 등은 Decal이라 불리는 스티커 형태의 출입증을 받으며, Decal이 없는 차량은 출입이 제한된다.
그 외에도, 영업용 택시(On-Post 영업이 허가되지 않은 외부 택시)나 언론사 마킹이 붙은 취재용 차량 등 출입에 제한사항이 있는 차량들이 다수 있으므로, 출입시 주의를 요한다.
자세한 사항은 부대방문 절차 참조.
  • 미군기지 외부
    미군 기지 외부 모든 지역은 미국이 아닌 대한민국의 행정력에 의해 통제되며, 당연히 대한민국 국민에 대한 미국의 행정권, 구속권이 인정되지 않는다. 미군 관계자 중 누구도 대한민국 국민에 대해 단속, 시위진압, 체포 등을 할 수 없으며, 기지 밖에서는 미군 구성원에 대한 사법행위를 제외하고는 어떠한 사법행위도 할수 없다. 다만 미군 군사경찰은 기지 밖 미군 장병에 한해서 단속, 체포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
  • 망명?
    미군기지 내부는 미군 관할지이기 때문에 일단 미군 기지 내부에 진입하면 한국 사법기관은 더 이상 잡을 수 없는 것은 맞다. 하지만, 대사관이 아닌, 군기지이기에 미군 측에서 망명을 받아줄 가능성이 거의 없으니, 차라리 미국 대사관으로 망명하지, 미군 기지로 망명할 생각은 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이다. 실제로 미국으로의 망명을 위해 군산미군기지에 침입한 한국 민간인이 있었는데, 미군 군사경찰대에 체포되어, 망명은커녕, 한국 경찰에 곧바로 넘겨졌다. 해당 민간인은 군사시설 침입죄로 구속되었다. #

3. 지하벙커 (지휘소)

벙커는 유사시 군사 지휘소로 쓰이는 방공정보시설로, 중요한 정보시설인만큼 24시간 불이 꺼지지 않는다. 주요 한미연합훈련 가운데 하나인 UFG(을지프리덤가디언) 훈련은 이 벙커들의 유기적 연결로 진행된다.
  • CP TANGO[11]
    CP 탱고는 한미연합사의 지휘통제소로, 미국이 1970년대에 핵공격에도 견딜 수 있도록 청계산 화강암층을 깊이 파서 만든 극비 군사시설이다. 당연히 민간의 출입이 통제되어 있으며, 화강암 터널 속에 몇 개 층이 있어 외부와 단절된 채 2개월 이상 생활할 수 있다. 이곳에 위치한 최첨단 정보시설 스키프(SCIF)[12]에서는 첩보위성과 주한미군 U-2 정찰기의 대북감시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미국 중앙정보국(CIA) 및 미국 국방정보국(DIA)과 핫라인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존재 자체가 비밀에 싸였다가 2005년 3월 콘돌리자 라이스 당시 미국 국무장관 방문 당시 외부에 이름이 알려졌다. 전투특기 카투사들 중 일부가 용산으로 갔는데 바로 탱고경비 병력들이다.[13]
  • CC(Command Center) SEOUL
    흔히 미8군 벙커라고도 불리는 CC서울은 용산 기지 내 위치하고 있으며, 한미연합사에서 평상시 지휘소로 사용되다가 전쟁이 발발하면 상기한 CP 탱고로 지휘부가 이동하여 작전을 수립한다. 한미 양국은 한강 이북의 미군기지를 모두 철수시키기로 결정하였다가 이 벙커만은 존치시키기로 협의했다. 1979년 12.12 사태 당시 노재현 국방부 장관이 피신했던 곳으로도 유명하다.
  • CP OSCAR
    오스카 벙커는 유사시 하와이, 오키나와 기지와 직송수신하는 아시아 최대 정보기지로, USAG 대구 내에 위치하고 있다.
  • CP KORCOM
    한미 양국군은 평택에 위치한 캠프 험프리스 내에 '한국전투사령부(KORCOM)' 지휘소를 설치하기로 합의하였다.

4. 전투 기지

  • 2009년 2월 미국 극동공병대 회의록 원문에는 '12~17+' 로 표기하였다.
Area Installation
Area I USAG Yongsan-Casey
Camp Casey
Camp Hovey
Area II Yongsan Garrison
K-16 AB
CP Tango
Area III USAG Humphreys
Area IV USAG Daegu
Camp Walker
Camp Henry
Camp Carroll
Camp George
CFA Chinhae[14]
CNFK-Pohang
Area V[15] Osan AB (K-55)[16]
Suwon AB (K-13)
Cheongju AB (K-59)
Kwangju AB (K-57)
Daegu AB (K-2)
Area VI Kunsan AB (K-8)
더 자세한 내용은 미8군, 제2보병사단(미국), 제7공군, 제7함대 문서 참조.

5. 비전투 시설

  • 전투시설과 마찬가지로 2009년 2월 미국 극동공병대 회의록 원문에는 '12~17+' 로 표기하였다.
  • 모두 대한민국의 영토이며, 미군이나 미 군무원이 주둔하지 않는다.
  • Northern Presence
    • 한·미 합동 훈련장[17]
    • Warrior Base
    • Bull's Eye Traing Area
    • Gun Training Area[18]
    • Watkins Range
    • Alamo ASA (Det L)
    • Kamaksan(감악산) ASA (Det M)
    • Papyungsan ATC(파평산 항공 훈련단)
    • Shinbuk(신북) Relay
    • Concord
    • Hwaaksan(화악산) Evenreach
    • Dagmar North
  • South West Hub
    • Koryosan(고려산) ASA
    • Daegu Storage Area(대구저장고)
    • Masan Ammunition Depot(마산탄약고)
  • South East Hub
    • Yechon AB [19]
    • Richmond
    • Dart Board
    • Brooklyn
    • Chang San(창산)
    • Beason
    • High Point
    • Madison

6. Area I

동두천시, 의정부시 일대의 경기도 북부와 원주시를 제외한 강원도 전체. 아직까지는 주한미군의 핵심전력인 2사단과 포병여단의 주요 주둔지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6.1. Camp Casey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캠프 케이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Camp Hovey

경기도 동두천시에 위치한 주한미군 기지. 위의 캠프 케이시와 이어져 있고 이동도 자유롭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같은 기지라고 봐도 무방하다.

제7보병사단 17보병연대의 알파 중대원으로서 1953년 7월 6일 폭찹 힐 전투에 참전했다가 전사한 하워드 C. 호비(Howard C. Hovey) 상사를 기려 그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순환여단의 본부로 기능하는 중이다. 순환여단인 2-4 스트라이커전투여단이 캠프 호비에 주둔한 바 있으며, 순환여단 휘하의 공병대대도 이곳에 주둔하고 있다.

7. Area II

서울특별시 근교(경기 중부권·서부권). 대표적인 부대는 용산 개리슨이었으나, 현재는 Area 1과 통합되어 Area North 라고 불린다.

7.1. Yongsan Garrison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용산기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external/www.jennyhouse.info/555050163_b20451be_Main_Post_2.jpg
용산기지의 전경[20]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주한미군 용산기지.

개리슨급 부대이니만큼 미군기지에 있는 웬만한 편의시설은 다 갖춰져 있고, 드래곤 힐 랏지(Dragon Hill Lodge)라는 호텔이 있어 숙박 및 식사가 가능하여 주로 골프장 이용객이나 에스코트를 받은 사람들이 이용한다.

AFN 라디오 서울 주파수인 1530kHz를 송출하던 송신기는 기지가 평택으로 이전하면서 같이 옮겨져 1440kHz를 송출하는 데 쓰이고 있다고 한다. FM 주파수인 102.7MHz는 Camp Morse에서 계속 송출 중. AFN 용산 스튜디오도 폐쇄되어 평택 험프리스 스튜디오에 통폐합된 상태.

7.2. K-16 Seoul Air Base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주한미군 기지. 대한민국 공군 제15특수임무비행단제35비행전대가 함께 주둔하고 있다.

외부 파견을 제외한 주둔 부대는 사실상 2ID 예하의 항공대대 및 탱고 경비중대와 몇몇 파견대가 주축을 이루고 있다. 전자의 경우 훈련 시기를 제외하면 K-16에 머무르는 경우가 많으나, 탱고경비중대에 배치되면 주로 벙커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막상 이곳에 머무르는 시간은 많지 않다. 반면 2ID 소속의 부대에 배치될 경우, 별도의 교육을 받으러 다른 부대에 파견되거나 훈련을 받는 경우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시간을 K-16 내에서 보내게 된다.

행정구역상으로는 경기도에 위치해 있으나 강남구와 인접해있어 시내버스로도 서울에 갈 수 있다.[21] 부대 규모가 작아서 용산처럼 부대 내부에 편의 시설이 많이 갖춰지지 않았지만 한 건물에 1층은 푸드코트, 2층은 CAC, 3층은 도서관과 채플과 같은 식으로 모두 모여 있어 쓸만한 시설은 다 갖춰져 있다고 보면 된다.

7.3. 2501 Digital Liaison Detachment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주한미군 기지. 구 캠프 용인.

캠프 용인은 2004년 공식적으로 폐쇄돼 제3야전군사령부에 이양된 후 현재는 2501디지털연락파견대가 주둔해 있고, 현재 지상작전사령부 옆에 위치해 있다. Digital Liaison Detachment라는 이름의 미8군 연락시설이 존재하며, 어학병 외에 다른 병과도 소수 존재한다. 기지가 축소되면서 편의시설이 많이 줄어 지금은 배럭 하나[22]와 간이 GYM만이 남아있다.

8. Area III

경기도 남부, 대전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충청북도·충청남도, 그리고 강원도 원주시. 평택의 캠프 험프리스 등의 기지가 소속되어 있다.

과거 원주와 횡성의 캠프 롱과 캠프 이글, 춘천의 캠프 페이지도 여기에 소속되어 있었으나 두 기지가 철수하고 오산 공군 기지는 Area V로 독립함에 따라 현재는 캠프 험프리스가 유일하다.

8.1. Camp Humphreys

주한미군 최대의 기지이자 단일 기지로는 세계 최대의 해외 미군 기지, 이후 에어리어 원, 투의 모든 부대를 이곳으로 이전할 예정이다.[23] 현재 총 여덟 라인(blue/ black / green / orange / purple / gold / brown / pink )의 버스가 다니고 배차간격이랑 노선 관리에 시간을 맞추려고 노력한다.

기지의 1/7 정도가 대한민국 공군 기지인데[24] 흔히 알려져있다시피 공군은 6주에 2박 3일씩 외박이 주어진다. 한국군 기준에선 나름 땡보지만 KATUSA(카투사)들은 이 앞을 지나갈 때마다 측은지심을 느낀다. 물론 서로의 생활상을 알 길이 없다보니 (피차)일방적인 편견.

18-07기수부터 험프리스 내의 NCOA KTA에서 훈련을 받기 시작했다. 체력측정시 달리기 코스는 1마일 다운 1마일 업으로 바뀌어 직선코스가 되었다. 19-08기 기준으로 개인 손목시계 소지가 가능하다. 23-08기 기준으로는 인근 강변 2.5바퀴로 변경되었다. 손목시계는 여전히 쓸수 있다. 에어리어 3 부대 중 유일하게 카투사를 대상으로 한 육군 간이 PX[25] 가 존재한다.

9. Area IV

대한민국 육군제2작전사령부 관할지역에서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북도, 충청남도를 제외한 지역이며, 서술된 캠프 외에도 부산항 8부두 소재 수송대대, BSC 등 소규모 부대들이 있다.

9.1. Camp Walker

대구광역시 남구에 위치한 주한미군 기지. 기지 명칭은 1950년 12월 23일 당시 교통사고로 순직한 미8군유엔군 지상군사령관이었던 월튼 워커 중장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골프장과 헬기장이 있어서 캠프 워커하면 몰라도 미군 골프장, 미군 헬기장 하면 대구 주민들도 얼추 안다. 크기는 캠프 헨리보다 큰데 골프장, 차고, 편의시설 등이 들어서 있어서 근무인원은 헨리나 워커나 비슷하다.

헌병만 아니면 제법 편하게 놀고 먹을 수 있는 곳이다. 캠프가 대구 시내 한복판에 위치해 있어서 편의시설 면에선 캠프 캐롤보다 한참 우위에 있다. 특히 6번 게이트로 나와 좌측으로 조금만 걸어가면 현충로역 3번 출구와 PC방이 있다.

2030년까지 타 지역으로 이전 예정이다.

9.2. Camp Henry

대구광역시 남구에 위치한 주한미군 기지.

주조선일본군 20사단 80연대가 주둔하던 곳이었으나 1921년 이곳에 일본 제국 육군의 대구지역 식민지 사령부가 건설되었고, 1936년부터 1942년까지 미나미 지로의 지휘를 받았다. 광복 이후에는 대한민국 국군이 쓰다가 휴전 이후로 주한미군이 주둔하고 있다. 기지 명칭은 한국 전쟁 초기 1950년 9월 1일, 경상북도 안동시에서 전사한 제2보병사단 제38보병연대 F 중대의 명예훈장 수여자 프레더릭 F. 헨리 중위의 이름을 따서 1960년 기념관화되면서 붙여졌다.

부대 크기는 작지만 한지단 내 에어리어 IV를 총괄하는 대구지역대와 USAG대구 사령부, 19지원사령부 등 상급 부대가 위치해 있으며 제403야전지원여단, 제6지역사이버센터, 제837수송대대도 이곳에 주둔해 있다.

캠프 워커나 캐롤에 비해서 면적이 상당히 좁은 편이나, 국군PX가 있고 배럭도 신설 메가배럭이라 복지 수준은 나쁘지 않다. 다만 운동장과 짐 등 체육시설이 캠프 워커에 비해 작은 편이라 아침 PT나 개인정비를 캠프 워커로 오는 경우도 꽤 있다. 메인 게이트를 통해 조금만 걸으면 대구 지하철 1호선 교대역이 나오고, 1호선을 통해 대구 시내 동성로동대구역까지 손쉽게 갈 수 있으므로 교통은 양호한 편이다.

2030년까지 타 지역으로 이전 예정이다.

9.3. Camp George

대구광역시 남구에 위치한 주한미군 기지.

캠프 헨리와 도보로 5분 간격으로 떨어져 있으며, 미군가족이 사는 아파트와 초등학교 등이 위치해 있어 대외적으로는 외인아파트라고도 불린다. 캠프 워커에 미군가족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면서 철거가 예정되어 있다.

2030년까지 타 지역으로 이전 예정이다.

9.4. Camp Carroll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 위치한 주한미군 기지.

1959년 5월 경부선과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보급창고를 신설하기 위해 제44공병대대에 의해 건설되었다. 기지 명칭은 이듬해인 1960년 한국 전쟁에서 수훈 십자 훈장을 수여받은 제5보병연대 72전투공병중대 소속의 찰리 F. 캐롤 중사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낯선 지명과 위치의 특성상 부대에 아무것도 없는 것으로 느껴지기도 하고 동시에 카투사에게는 가장 기피되는 부대이기도 하다. 그러나 에어리어 IV에 있는 캠프 중에서 면적이 압도적으로 넓다. 2-1 방공포대대(2-1 ADA BN), 498전투지원근무대대(498th CSSB), 주한물자지원단(MSC-K), 6병기대대(6th Ord BN) 등이 이곳에 본부를 두고 있다. 근처에 있는 작오산(303고지, Hill 303)은 종종 아침 PT 때 미군과 카투사들이 올라가기도 한다.

부대가 넓고 사람이 많은만큼 바버샵, CAC, 볼링장, 커미서리, 푸드코트, 극장, 카투사 스낵바 등 미군기지라면 있는 웬만한 편의시설은 다 갖추고 있다. 위치가 위치이니만큼 부대 밖에서 여가를 보내기가 쉽지 않은데, 내부에서 여가를 보내기에 큰 손색은 없는 편이다. 디팩에 대한 평가는 보편적으로 캠프 헨리의 디팩보다 좋지 못하나, 카투사 스낵바가 유명하여 미군들도 즐겨 찾는다. 국군PX는 2013년 8월에 개점했다.

부대 내 교통편은 그리 나쁘지 않은 편이다. 캠프 워커로 운행하는 부대 버스가 있어 대구 지역으로의 이동이 비교적 손쉬운 편이다. 배차는 1시간에 1대 꼴로 이루어져있다. 헨리까지는 워커에서 버스 또는 택시를 이용하면 된다.

외부로의 이동은 4번 게이트에서 왜관역까지 택시로 10분 내외, 왜관역에서 동대구역까지는 무궁화호로 17분, 서울역까지는 무궁화호로 약 3시간 30분 정도가 소요된다. 왜관역에 KTX는 정차하지 않는다. 2024년 말부터 대경선이 들어설 예정이며, 따라서 외출할 때 대구 시내로 나가는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26]

부대 내 고엽제 및 독극물 매립에 관련해 논란이 있다. 캠프 캐롤에서 근무했던 스티브 하우스 등 3명이 미국 애리조나주 지역방송 KPHO-TV에서 1978년 "베트남 전쟁에서 사용하고 남은 다량의 고엽제를 캠프 캐롤에 매립하였다"고 증언하였으며, 이에 5월 23일 제8군 사령관 존 D. 존슨 중장은 "1978년 캠프 캐롤 내에 많은 양의 고엽제가 매몰되었다는 주장에 대한 조사에 약간의 진전이 있었고 1978년에 특정 물질이 매몰되었다는 기록을 찾아냈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1960년대 후반에 제초제인 파라콰트가 매립되었다는 증언도 있으며 1972~75년에는 해골마크 및 독극물이 새겨진 드럼통을 부산항에 있는 주한 미군 전용 8번 부두에서 하역해 캠프 캐롤, 동두천 미 2사단, 성환 탄약창 등에 공급했던 적이 있다는 것을 전직 카투사가 증언하였고, 1975~76년에 공병대 헬기장을 건설하면서 폐 페인트가 대량으로 매립되었다는 사실도 확인되었다.

9.5. Camp Mujuk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에 위치한 미 해병대 기지. 현재 대한민국에 있는 유일한 미 해병대 기지로 '캠프 무적'이라 불린다.

현재 대한민국 해병대 및 포항시와 정기적으로 교류하고 있다.

9.6. CNFK Poha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포항경주공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7. CFA Chinhae

Commander Fleet Activities Chinhae
대한민국 해군진해기지사령부 영내에 있는 진해미해군함대지원단으로, 미합중국 해군제7함대 제78기동부대의 일원이며, 기지사령관은 준장 또는 준장(진)이 보임한다.

실질적인 미 해군 제7함대 전력은 일본요코스카 기지사세보 기지에 있기 때문에 사실은 연락장교단 정도의 시설이다. 이 때문인지 다른 주한미군 기지들은 모두 에스코트를 받을 경우 임시 출입증에 USFK라 쓰여 있지만, 이 곳만은 특이하게도 USFJ[27]로 표시된다.[28]

진해 군항제가 열릴 때 여기도 시민들이 기지 안에서 벚꽃구경을 할 수 있도록 기지를 개방한다. 고문단 부대 게이트 주변에는 촌스러운 호랑이 그림이 그려진 털담요 같은 기념품을 파는 가게들이 몇 군데 있다. 여담으로 보통 주한미군 기지들의 지붕은 갈색이나 이 곳은 해군이라 그런지 지붕이 파란색이다.

9.8. Busan Naval Base

진해 해군기지와 같이 주한미군 해군 양대 기지이며 대한민국 해군과 같이 사용하며, 같은 사령부에 배속된다. 주로 미군 함정의 입항을 담당하며, 주일미군 요코스카 기지사세보 기지, 싱가포르 셈바왕 기지, 창이 기지, 영국령 인도양 지역 디에고 가르시아 기지와의 연락 및 합동 훈련을 담당한다. 진해 해군기지와의 역할 분담과 물류 수송이 메인이다.

9.8.1. Pier 8

통칭 부산항 제8부두부산광역시 남구 감만동에 있는 군용 및 일반 공용 부두이다.

6·25 전쟁 당시부터 미군 군수 물자 수송지로 이용되던 항만으로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으로 제8부두를 통해 들어온 물건들은 부산의 서면 공구 상가와 국제시장으로 흘러들며 부산 경제의 한 축을 구성하기도 하였다.

준공 이후 주한 미 해군과, 2006년 캠프 하야리아 부지가 부산광역시로 반환되며 물자 수송을 담당하던 미 육군 837수송대대가 대구로 옮겨간 이후 몇몇 수송중대들이 파견을 나와있으며, 국가 시설로는 국군수송사령부 항만운영단,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등이 나눠 사용하고 있다.

9.8.2. 55 Supply Depot

육군 제55보급창은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있는 미군 장비를 보관 및 보급하는 창고다. 북항 5부두에 위치해있다. 미 육군 제837수송대대가 주둔하고 있다.

원래는 일제강점기 시절 태평양 전쟁 때 구 일본군 군수 물자를 보관하기 위해 건설되었는데, 광복 이후 미군이 접수해 관리한 것이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제 8부두의 파견부대와 함께 부산으로 들어오는 미군 물자의 수송과 보급을 담당하며, 면적이 22만3천 제곱미터에 달한다. 부산 북항에 붙어있는 요충지이다보니, 파견 형식의 8부두와 달리 미군에서는 현재도 관리부대를 직접 운용하고 있다.

원래 55보급창 인근에는 매축지마을이라는 일제강점기부터 있었던 낙후된 마을이 존재했는데, 현재는 재개발이 진행되어 두산위브 포세이돈, 오션브릿지, 두산위브 더제니스 하버시티, 블랑 써밋 74 등 초고층 아파트들에 둘러쌓여 있으며, 고층 세대에서 보급창의 내부가 훤히 보인다. 또한 북항재개발 2단계 구역과 닿아있는 부산 동구 재개발의 핵심 시설 중 하나이다보니, 2030년까지 부산 내 신설 부지에 부대를 이전하고 기존 55보급창 부지는 공원화 시키는 계획을 진행중이다.

2024년 10월 24일 18시 30분경 대형화재가 발생하였으나 현재는 진화가 완료된 상태이다. 자세한 내용은 주한미군 55보급창 화재 문서를 참고할 것.

10. Area V

주한미군 공군의 에어리어. 오산 AB와 그 외의 미공군 공동운영기지인 수원AB, 대구AB 등이 소속되어 있다.

10.1. Osan AB

경기도 평택시 서탄면에 위치한 주한미군 오산 공군기지. 이름이 평택도 송탄도 아닌 오산AB인 이유는 철자 수가 훨씬 적고[29] 미군이 발음하기에 훨씬 쉽기 때문.

기지는 6.25 전쟁중인 1951년에 육군 기지로 지어졌다가 1952년에 2,700여 m의 활주로가 정비되며 공군기지로 탈바꿈하였고, 같은 해 12월에 전투기가 배치되었다.[30] 1991년에 필리핀 클라크 공군 기지가 폐쇄된 이후 미합중국 공군의 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큰 공군기지이며, 미합중국 태평양공군 예하 제7공군의 본부이기도 하다. 2015년 말에 기존 활주로에서 북쪽으로 210 m를 이격해 제2활주로가 설치되었다.

주한미군 군인 및 그 가족들이 출입국할 때 많이 이용하고 있고, 미국 대통령 같은 주요 인물들이 대한민국을 방문할 때도 이용하고 있어 미군 입장에서는 한반도 수도권의 항공 관문 역할을 하는 곳이다.

주둔하고 있는 주요 부대로는 미국의 제7공군과 제51전투비행전대 및 여타 대대, 미합중국 육군제8군의 제35방공포병여단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군의 공군작전사령부와 제1중앙방공통제소 등이 주둔하고 있다.

미군 내에서 대체로 공군 예산이 육군보다 많기 때문에 시설이 비교적 크고 양호한 편이다. 반면 이곳에 주둔하는 미 육군은 공군이 예전에 쓰던 배럭을 받아 사는 경우가 많으며, KATUSA(카투사)도 미 육군에 배속되므로 대부분 이곳에서 생활하게 된다. 또한 특징이라면 기본적으로 대한민국 공군부대 안에 부대가 위치하기 때문에 육군PX가 아닌 공군BX를 이용하게 된다는 점.

여담으로 2000년부터 해마다 대한민국 내에서 개최되는 대규모 항공축제 중 하나인 오산 에어파워데이가 개최되는 장소이기도 하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오산 공군기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2. Suwon AB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주한미군 수원 공군기지. 제10전투비행단과 함께 주둔하고 있다.

수원AB는 제2차 세계 대전일본군이 건설하여 8.15 광복6.25 전쟁 이후인 1954년에 대한민국 공군에 관할권이 이양되었다.

게이트 바로 앞에 수도권 전철 1호선 세류역이 있고, 세류역에서 수원역까지 10분이면 도착하는 관계로 교통은 상당히 양호한 편이다. 여타 주한미군 공군기지와 마찬가지로 KATUSA(카투사)들은 육군PX가 아닌 공군BX를 사용한다.

10.3. 기타

이외의 에어베이스 현황은 다음과 같다.

11. Area VI

11.1. Kunsan AB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옥서면에 위치한 주한미군 공군기지로 군산공항이다.

군산AB는 한미 양국군이 공공 점유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군제38전투비행전대미합중국 공군제8전투비행단이 주둔해 있다. 1934년 일본 제국 육군 항공대에 의해 처음 활주로 공사가 이루어졌고 광복 후 미합중국 공군이 점거해 사용하던 것이 오늘날까지 온 것이다.

전투기 소음 때문에 공군기지 근처 주민들의 반발도 적지 않은데, 이와 더불어 군산공항 국제선 취항이 논의될 당시 전투기 소음도 모자라 주민들의 피해를 가중시킨다고 비판하였다. 민항기 착륙료 인상문제 또한 논란이 있다. 군산공항의 민항기는 미합중국 공군 소유의 활주로를 임대해 사용하는 형식인데 미군의 지속적인 착륙료를 인상해온 결과 타 공항의 2~3배가 넘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에 주민들은 환경 및 소음문제에는 소홀하면서 폭리를 취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리고 장기적으로 4,000m의 제2활주로를 신설할 계획도 있다.

여담으로 KATUSA(카투사)가 3명밖에 근무하지 않는 부대로써, 주한미군 부대들 중 카투사 배속이 가장 적다.

12. 폐쇄 및 반환된 기지

아래 기지들은 현재 이미 한측에 반환됐거나 반환 절차에 들어간 기지이다. 전례로 볼때, 주한미군 기지의 반환은 단시간에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때문에 여전히 드물게나마 사용중인 기지도 적지 않다.

12.1. Area I

12.1.1. Camp Mobile

경기도 동두천시에 위치한 주한미군 기지.

캠프 케이시 인근에 있으며, 훈련 때 가끔 쓰기는 하나 그 외에는 DPW나 다른 미군이 아닌 군무원들과 민간군기업들이 사용한다.

예전에는 이곳에 제2보병사단 CIF[31]가 있었으나, 2000년대 후반에 CIF도 스탠리로 이전하며 용도가 없어진 것으로 보인다. 2019년 5월 기준으로 일부 부대의 시가지 전투훈련으로만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12.1.2. Camp Red Cloud

경기도 의정부시에 위치했던 주한미군 기지.

6.25 전쟁 당시 캠프 잭슨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으나, 6.25 전쟁에서 전사한 명예 훈장 수여자 미쳴 레드클라우드 주니어의 이름을 따 1957년 5월 18일 캠프 레드클라우드로 개명되었다. 줄여서 CRC라고도 부른다. 1972년까지 제1군단이 주둔하였으며, 제2보병사단한미연합사단은 폐쇄가 확정될 때까지 존속했다.

폐쇄가 논의되던 시점부터 지자체에서는 반환되는 20만평 부지에 관광단지를 조성할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2018년 6월 21일 캠프 레드 클라우드 사령부가 해산하였고, 이후 10월 18일 본부 건물인 프리맨 홀 앞에서 예포와 함께 폐쇄식을 마무리하였다. 폐쇄식과 함께 제2보병사단 본부는 평택시캠프 험프리스로 이전하였고, 이후 각종 편의시설들은 차례로 문을 닫았다. 하지만 부지반환을 위한 협상만을 남겨놓고 있는 상황에서 스탠리의 헬기 급유 시설을 이전할 부지를 찾아야 한다는 난관에 봉착했고, 스탠리 헬기장이 철수되지 못한 상황이라 반환되는 데에는 시간이 좀 더 필요할 듯하다.

기지 자체가 오래된만큼 본부 프리맨 홀을 제외한 대부분 시설은 상당히 노후한 편이나, 전 미군 기지 중 조경이 가장 잘 되어 있는 곳이란 평가를 받았다. 실제로 크기는 조금 작지만 들어가 보면 이래저래 신경을 많이 쓴 흔적을 볼 수 있다. 나무는 예쁘게 심어놨고 잔디도 항상 깔끔하게 깎는다.

부대 정문 인근은 황량한 편이나 후문으로 나가면 아파트 지역이 형성되어 있어 작은 번화가가 있고 좀 오래 걸으면 의정부역이 나오며, 부대 인근에 의정부종합운동장이 있다.

12.1.3. Camp Jackson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캠프 잭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카투사 훈련시설이 위치한 곳으로 한때 카투사의 요람이었던 곳.

12.1.4. Camp Falling Water

의정부역 앞에 있던 주한미군 기지. 2007년에 폐쇄되어 지금은 의정부역앞에 있는 공원이 되어있다.

12.1.5. Camp Stanley

경기도 의정부시에 위치한 주한미군 부대.

1955년 미군의 텐트 기지로 시작하여 1969년부터 건물이 들어서기 시작했다. 제2보병사단 지원부대가 위치한 곳으로, 크기는 크지만 면적의 반 이상이 차고지로 구성되어 있다. 전투부대가 주둔하고 있었지만 이라크 전쟁 이후 스탠리에 주둔하던 야전부대는 모두 동두천시캠프 케이시로 이전하였고, 이후 남아있던 제2보병사단도 2012년 동두천시의 캠프 호비로 이전하면서 2013년 제2보병사단 소속 제23화학대대가 이전하기 전까지 지원부대의 성격이 강했다.

의외로 훈련 회수 자체는 많은 부대이다. 캠프 레드 클라우드는 훈련이 잦아도 사령부가 있는 곳이기 때문에 자주 움직이지 않지만 스탠리는 꽤나 자주 훈련에 동원된다. 또 같은 의정부시에 위치한 캠프 레드 클라우드와 달리 도심에서 먼 곳에 자리 잡고 있기 때문에 시내에 나가는데 시간이 좀 걸리는 편. 의정부 시내로 갈 때는 1번버스를 타면 15분 정도 걸린다.

근처에 의정부교도소가 있으며, 1-1버스를 타면 남양주 별내면이나 퇴계원읍까지 금방간다.

부대 규모가 작기 때문에 CAC나 푸드코트, PX는 소규모이지만 카투사 스낵바가 값이 싸고 맛이 좋은 것으로 유명하다. 헬기장을 제외한 부대 대부분이 2017년도를 기점으로 폐쇄되었고, 인근 대학교로 부지를 이전하기로 예정되어 있다.

12.2. Area II

12.2.1. Camp Colbern

경기도 하남시에 위치했던 주한미군 부대. 하산곡동에 위치하고 있었다. 1964년에 처음 주둔했는데, 부대 규모가 계속 줄면서 말년에는 304통신대대가 주둔하고 있었다. 2005년에 304통신대대가 의정부의 캠프 스탠리로 이전했고, 주둔지는 대한민국 국군에 반환되었다. 하남시는 이 부지를 개발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번번히 무산되어 2022년 현재까지 빈 부지로 남아 있다.

12.2.2. Camp Market

인천광역시 부평구 산곡동에 주둔했었던 부대로 부평구/역사에 나오듯 일제 조병창을 접수해 세웠다. 현재는 일부 부지가 공원으로 조성되었지만 주둔지 전부가 반환이 되지 않은 관계로 2028년에 완전 반환되는 대로 공원을 확장할 계획이다. 현황은 산곡4동 문서 참조.

12.2.3. Camp Mercer

경기도 부천시 오정동에 주둔했던 주한미군 부대. 수도군단 직할 1175공병단이 현재 주둔 중이며 부대 이전 계획 중으로 이전이 완료되면 녹지화 및 주거지역으로 개발할 예정이다.

12.2.4. Far East District (FED)

서울 중구 방산동, 경성사범학교 부지에 있던 주한미군부대. 1957년 6월10일 개소하여 2018년11월 3일까지 소재하였다. 군인들보다는 군속과 주한미군 관련 설계 업체들인 AMKOR, MMI, TJD가 부대 안에 있었으며 2001년부터 주한미군부대 이전 관련 업무를 하고 있었고, 평소에도 계약관련으로 회사원들의 출입이 잦았다. 2025년에 국립중앙의료원이 이전, 확장할 예정이나 경성사범학교 본관건물인 P46은 등록문화재로 지정이 되어있다.

13. Area IV

13.1. Camp Hialeah

원래 주소는 경상남도 부산시 범전동, 연지동으로 일대는 비옥한 농지였다. 그러나 1910년 일제강점기 당시 조선총독부 임시토지조사국에서 토지 조사 사업이라는 명분으로 일제에 땅을 강제로 빼앗기고 1920년대에 부산진과 서면이 공업지구로 지정되면서 마구잡이로 공장이 건설되었다.

이후 1930년에는 그 부지에 부산 서면 경마장이 생겼으며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일제는 서면경마장을 군사기지로 이용했다. 게다가 제2차 세계 대전 때는 포로수용소로 이용했다. 독립 이후에도 UN기구, 주한미군 부산사령부, 하야리야 미군기지로 이용되었다.[32]

부산광역시와 부산 시민들은 1995년부터 부산지역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하야리아 기지 반환 운동을 벌였으며 2002년 주한미군과의 LPP 수정 협상 이후 2006년에 미군기지 반환 결정이 나자마자 부산시청 측은 미군이 철수하지도 않았는데 부대 토지를 공원구역으로 행정처리해 버리는 위엄을 보였다. 그래도 미군 측은 군사기지로서 부산 캠프가 크게 필요[33]가 없고, 반환 협상이 잘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14. 관련 문서



[1] United States Army Garrison[2] 협조적일 수밖에 없는 게 코로나 19는 전세계적으로 유례없는 대유행을 보여준 심각한 감염병이고, 방역 조치에 협조하지 않으면 한국 내 반미 여론 확산은 불 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최근 주한미군 수뇌부가 한국 내 이미지 관리를 하는 사례 중 하나이다.[3] '대한민국 당국은 합중국 군대가 사용하는 시설과 구역 안에서 사람이나 재산에 관하여 또는 소재 여하를 불문하고 합중국의 재산에 관하여 수삭, 압수 또는 검증할 권리를 통상 행사하지 아니한다. 다만, 합중국의 관계 군 당국이 대한민국 당국의 이러한 사람이나 재산에 대한 수사, 압수 또는 검증에 동의한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4] 주한 미 해병대 기지인 캠프 무적은 영내에 자체 소방대가 없어, 포항남부소방서에 소방업무를 맡기고 있다.[5] 미군 인력이 군 비행기를 이용하여 입국할 경우 오산기지로 입국하게 된다.[6] 수원 출입국·외국인청 평택출장소[7] 「합중국 군대의 구성원, 군속 및 그들의 가족은 본 협정에서 규정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한민국 세관당국이 집행하고 있는 법령에 따라야 한다.」[8] 스타벅스에 한해서는, 원화 결제가 가능하며 영수증에는 '스타벅스 코리아'가 찍혀 나온다. 따라서 미국 스타벅스 카드는 주한미군기지 내 스타벅스에서 사용이 불가능하다. 메뉴도 미국에 있는 메뉴도 없고 한국에 있는 메뉴도 없는 경우도 많이 있다.[9] 신분 확인용으로는 사용할 수 있으나, 카드 형태의 사진이 담긴 신분증이 아니면 게이트에서 맡을 수 없는 원칙이 존재한다.[10] 단 북한이탈주민은 허용된다. 한국 국적자에게 부여되는 주민등록번호가 있다면 출입이 제한되지 않는다.[11] Command Post Tango. T의 포네틱 코드로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전구공중해상지상작전센터(Theater Air Naval Ground Operations Center)의 약자이다.[12] Sensitive Compartmented Information Facility[13] 2022년 기준 K-16으로 부대가 이전한지 꽤 됐으며 매일 탱고까지 관용차 타고 출퇴근한다.[14] 미 해군 부대[15] 에어리어 V에 소속된 부대는 모두 공군부대이다.[16] 소재지는 평택이지만 발음 문제로 기지 이름은 OSAN AB가 되었다.[17] Joint Training Area.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연천군 소재[18] 여기서 Gun이라 함은 기갑을 제외한 자주포 포함 모든 야포 종류를 뜻한다.[19] 항공기지[20] 사진 중앙에 멀리 보이는 높은 건물은 대한민국 국방부 구 청사다.[21] 강남으로는 서울 버스 9408, 수서와 잠실로는 화성 버스 1007, 수원 버스 1007-1, 용인 버스 5600, 용인 버스 5700. 성남 버스 57이나 성남 버스 357을 타고 세곡동사거리로 가면 서울 시내버스로 갈아탈 수도 있다.[22] 배럭 안에 디팩과 바버샵이 위치하고 있다.[23] 이 확장 과정에서 일어난 사건이 대추리 사태다.[24] 제7항공통신전대와 자세한 이야기는 안 하는 것이 좋은 국방부 직할부대 하나 과거에는 7전대와 미군 시설이 분리되지 않았으나 2023년 현재는 분리되어 있다.[25] Gut Truck이라고 불리는 트럭 형태이며 보통 사격장, 각종 사령부 본부 주차장 등에서 음료수, 치킨샌드위치, 담배(뉴포트말보로같은 피는 담배들부터 같은 씹는 담배도 판다) 등을 판다. 어떻게 보면 황금마차 카투사 버전이다.[26] 단일요금 1,500원으로 대구 번화가 동성로의 끝자락 대구역까지 25분 내외로 닿는다.[27] United States Forces Japan[28] 물론 당연히 대한민국 내 법적 지위는 한미행정협정의 적용을 받는 주한미군이다.[29] '평택(Pyeongtaek)'은 10자, '송탄(Songtan)'은 7자로 대체 지명으로 쓰이는 '오산(Osan)'보다 철자가 훨씬 더 많은 건 물론 원어와 상당히 동떨어진 발음인 '폐옹타액' 혹은 '송탠'으로 읽힐 가능성이 있다.[30] 이전에 미군은 오산시의 오산천 둔치(현재의 오산종합운동장 일대)를 임시 비행장으로 잠시 사용하다가 현재 위치로 비행장을 옮겼다.[31] Central Issue Facility, 중앙장비지급소[32] 어찌 보면 서울의 용산구 일대와 비슷한 점이 많은 곳이다. 실제 부전역의 역할도 용산역과 비슷하고, 용산 군부대 부지에 용산공원이 추진 중이라는 사실도 그렇다.[33] 미군 측에서 부산에서 중요하게 느끼는 것은 하야리아보다는 8부두와 55보급창이다. 그리고 대구, 칠곡과 달리 부산은 주한미군 해군 중심지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3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3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