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09:27:35

서울 버스 9408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f72f08>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광역버스 노선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colbgcolor=#f72f08><colcolor=#fff> 4권역 9401 9401-1 9404
9408 9409
7권역 9707 9711
동행버스 서울01 서울03 서울06
}}}}}}}}} ||
파일:9408_8992.jpg 파일:9408_7280.pn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노선4.2.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개요

남성버스에서 운행하는 광역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66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광역버스 9408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9408 노선도(2023).png
기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구미동차고지) 종점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구반포역.세화고등학교)
종점
첫차 04:00 기점
첫차 05:20
막차 22:40 막차 23:55
평일배차 10~18분 주말배차 토요일 12~16분 / 공휴일 15~18분
운수사명 남성버스 인가대수 18대(예비 1대)[1]
노선 구미동차고지 - 무지개마을 - 대우.미금아파트상가 - 정든마을.우성아파트 - 푸른마을 - 효자촌 - 서현중학교 - 새마을연수원입구 - 이매역 - 야탑역.종합버스터미널 - 성남시청 - 여수대교 - 시흥동행정복지센터 - 고등동우체국 - 효성고등학교 - 세곡푸르지오 - 헌인릉 - 안골마을 - 염곡마을 - 매현시민의숲 - 양재역 - 강남역 - 신논현역 - 논현역 - 고속터미널 - 신반포역구반포역 → 고속터미널 → 이후 역순

3. 역사

  • 구 736-1번 일반좌석버스(구미동 - 영등포역) 노선이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만 9408번으로 바뀌었다.
  • 구반포역 - 영등포 구간 중복 노선 정리와 구반포역 - 영등포 구간 수요 저조, 영등포로터리의 상습 정체로 인한 운행시간 증가, 영등포로터리의 교통사고 위험으로 인한 배차간격 비효율성을 개선하고자 2022년 12월에 고속터미널로 단축하는 안건이 나왔다.
  • 광역버스 입석금지에 따른 이용시민의 안전확보와 구반포역 - 영등포 구간 수요 저조로 2023년 2월 13일에 '구반포역 - 흑석동 - 노량진 - 신길역 - 영등포 신세계백화점'이 단축되고, 345번, 3420번과 동일한 방식으로 회차하게 되었다. '구반포역 - 고속터미널'은 무정차로 운행한다. 기점 막차시각이 22:30에서 22:40으로 10분 늦춰졌으며 5대가 감차되어 5대 모두 신설 노선인 9401-1번에 투입됐다. 구반포역 - 흑석동 - 노량진 - 신길역까지 가려면 대체노선인 360번이나 640번 또는 641번으로 갈아타야 한다.관련 공지사항
    {{{#!folding [ 단축 전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9408 노선도.png
}}}
  • 2023년 11월 6일을 기해 서울06번 개통을 위해 예비차 1대가 감차됐다. 이 예비차량이 평일 한정 단축운행차량과 동일한 형태로 운행하고 있었고, 동시에 나머지 예비차 1대도 평일 단축운행차량으로 투입되지 않음에 따라 평일 운행댓수가 2대 감축됐다. 이번 운행계통 변경으로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76회에서 71회로 5회 감회되었으나, 최소/최대 배차간격에 대한 변동은 없다. #
  • 2025년 1월 11일부터 헌릉로 중앙버스전용차로 개통과 함께 매헌시민의숲.양재꽃시장 가변 정류소에서 중앙차로의 매헌시민의숲 정류소로 이전 정차한다. 관련 게시물

4. 특징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서울특별시 광역버스 중 유일하게 고속도로나 고속화도로를 경유하지 않는다. 똑같이 고속(화)도로를 경유하지 않던 9714번이 2024년 8월 30일부로 폐선되면서 서울특별시 광역버스 노선들 중에서 유일하게 고속(화)도로 미경유 노선이 되었다. 때문에 노선상에 거의 모든 정류소에 정차하여 운행 소요시간이 꽤 긴 편에 속한다. 또한 서울 광역버스 노선들 중 유일하게 입석승차가 가능하다.
  • 분당 남부권에서 운행하는 다른 강남역 방면 광역버스(9404번, 1151번, 1101번, 1241번등)와는 달리 야탑역을 경유하다 보니 소요시간이 더 걸린다. 야탑 이북에서는 서울시내 구간을 편히 이용하기 위해 탑승하는 승객도 적잖은 비중을 차지한다. [3]
  • 세곡동사거리-시흥동에서는 타겠다는 의사를 미리 밝히지 않으면 그냥 지나가거나 한참 앞에 세우므로 확실히 의사 표시를 하는 것이 좋다. 최근들어 승객이 없어도 정류장에 정차하는 경우가 있다.
  • 반포동 방면 운행 시 교육개발원입구 정류장에서 강남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에 진입하면 논현역까지 앞에서 다른 시내버스가 길막해서 빨리 가고 싶어도 빨리 갈 수가 없다. 논현역 정류소를 지나 좌회전해도 한 정류장만 더 가면 또 신반포로 중앙버스전용차로다. 그래서 강남대로와 신반포로에서는 제속도를 발휘하지 못한다.
  • 9401번, 9404번과 함께 구미동의 정류장 간격이 매우 촘촘하다. '대우.롯데아파트/신원아파트 - 미금초등학교'의 정류장 간격이 약 120m로 가장 촘촘하다.
  • 5권역을 운행하는 마지막 광역버스 노선이었으며, 2018년 3월 462번이 단축된 후 심야버스를 제외하고 유일하게 강남역~영등포역을 연결했다. 현재 가장 비슷하게 운행하는 대체 노선은 360번640번이지만, 360번이 신길역에서 여의도로 빠지고, 640번은 영등포시장, 영등포로터리만 경유하는데다 강남에서도 강남대로를 편방향으로만 운행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 이매촌한신아파트는 경유하지 않으니 유의해야 한다.

4.1. 노선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광역버스 9408번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구반포역.세화고등학교
22023
신반포역.세화여중고
22021
이상 회차 구간
고속터미널
22020
고속터미널
22019
반포역
22018
반포역
22017
논현역6번출구
22190
논현역7번출구
22183
논현역
22013
논현역
22014
지하철2호선강남역
22011
지하철2호선강남역
22012
신분당선강남역
22009
신분당선강남역
22010
래미안아파트.파이낸셜뉴스
22007
래미안아파트.파이낸셜뉴스
22008
뱅뱅사거리
22005
뱅뱅사거리
22006
양재역.서초문화예술회관
22003
양재역.서초문화예술회관
22004
말죽거리공원사거리
22001
말죽거리공원사거리
22002
영동1교교차로
22044
영동1교교차로
22043
매헌시민의숲
22046
매헌시민의숲
22045
염곡마을.서초50플러스센터
22036
염곡마을.서초50플러스센터
22035
탑성마을.서초포레스타입구
22038
탑성마을.서초포레스타입구
22037
안골마을.서울언남초등학교
22040
안골마을.서울언남초등학교
22039
서울특별시어린이병원.강동송파과학화예비군훈련장
22331
서울특별시어린이병원.강동송파과학화예비군훈련장
22332
헌인농장
22335
-
헌인마을.서울농업기술센터
22336
헌인마을.서울농업기술센터
22337
세곡푸르지오.은곡삼거리
23439
세곡푸르지오.은곡삼거리
23437
- 은곡마을진입로
23434
은곡마을.강남신동아파밀리에
23537
은곡마을.LH이편한세상
23412
대왕초등학교
23414
-
신촌동앞
48079
신촌동앞
48078
오야동.신촌동행정복지센터
48082
오야동.신촌동행정복지센터
48076
효성고등학교
48081
효성고등학교
48080
공군아파트
48077
공군아파트
48083
공군부대제2정문.면회실
48637
공군부대제2정문.면회실
48092
등자리
48088
등자리
48085
고등동행정복지센터.판교밸리자이아파트
48089
고등동행정복지센터.판교밸리자이아파트
48087
고등119안전센터
48606
고등119안전센터
48091
시흥동농협창고
48609
시흥동농협창고
48607
시흥동행정복지센터
48612
시흥동행정복지센터
48613
여수대교
48605
여수대교
48608
모란차량기지앞
49606
모란차량기지앞
49605
성남시청후문앞
06168
성남시청후문
49607
성남시청전면
06229
성남시청후면
06225
동부.코오롱아파트
49604
-
야탑역.종합버스터미널(전면)
47115
야탑역.종합버스터미널(광역버스)
47116
쌍용아파트
47131
경남아너스빌
47132
성남아트센터.태원고교
47077
성남아트센터.태원고교
47073
이매역
47083
이매역.농업기술센터.진흥아파트.동신아파트
47087
송림고교.이매촌성지아파트.청구아파트
47084
돌마고교
47080
- 송림고등학교.이매촌청구아파트.동신아파트
47081
양현보도육교
47055
양현보도육교
47059
서현중학교
47063
서현중학교
47065
동아우성아파트.효자촌.시범단지
47064
효자촌
47054
중앙공원.샛별마을라이프아파트
47023
중앙공원.샛별마을.라이프아파트
47022
중앙공원.샛별마을우방아파트
47018
샛별마을.우방아파트
47024
푸른마을
47021
푸른마을
47017
한솔마을.LG아파트
47025
한솔마을.LG아파트
47029
정든마을.우성아파트
47037
정든마을.우성아파트
47043
정자3동행정복지센터
47035
정자3동행정복지센터
47041
더샵분당파크리버.헬스케어혁신파크
47044
더샵분당파크리버.헬스케어혁신파크
47036
청솔마을
07410
대원사거리.까치마을
47154
신원아파트
47160
대우.롯데아파트상가
47157
미금초등학교
47149
미금초등학교
47150
오리초등학교
47159
오리초등학교
47155
하얀마을.그랜드빌.벽산빌라
47156
하얀마을.그랜드빌.벽산빌라
47148
무지개마을.건영아파트
47166
주공4단지
47170
신한아파트
47168
LG아파트.무지개마을사거리.신한아파트
47163
낙생농협
47162
성우스타우스
47167
구미동차고지 · 구미동차고지앞
47172 · 07476
}}}}}} ||

4.2.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광역버스 9408번
<rowcolor=#fff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5,215명 -
2014년 4,749명 ▽ 466
2015년 3,692명 ▽ 1,057
2016년 3,215명 ▽ 477
2017년 3,157명 ▽ 58
2018년 3,047명 ▽ 110
2019년 3,121명 △ 74
2020년 2,276명 ▽ 845
2021년 2,103명 ▽ 173
2022년 2,282명 △ 179
2023년 1,653명 ▽ 629
2024년 1,499명 ▽ 154
※ 하차 인원 미포함
  • 출처: 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2014년 광역버스 입석금지 조항으로 인해 분당내곡간도시고속화도로 경유에서 23번 지방도(고등동, 신촌동, 오야동)와 세곡동사거리 경유로 변경하면서 배차가 늘고, 성남~서울 간 이동 메리트가 감소하면서 승객이 1000명이나 줄었다.
  • 2023년 2월부로 노선이 단축되어 이용객이 크게 줄어들었다. 심지어 이용객이 저점인 일요일에는 3자리수도 찍을 정도다.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경기도 진입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 2권역 | 의정부, 구리, 남양주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의정부시
1143
8112
구리시
202
1155
2212
남양주시
수: 수락리버시티아파트 지역만 정차 / 담: 담터고개만 정차.(남양주 방면 한정, 서울 방향은 서울시 소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3, 4권역 | 성남, 하남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성남시
333
343
345
440
3420
4432
하남시
341
370
3217
3316
초: 초이동 / 위:위례신도시 / 도:하남시위례도서관만 정차 / 청: 청계산옛골 / 효: 효죽동입구(천호역 방면 한정, 마천 방향은 서울시 소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4, 5권역 | 안양, 군포, 의왕, 과천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안양시
152
500
5618
6515
군포시
441
502
의왕시
과천시
교: 경인교육대후문만 정차 / 잔: 잔디마을만 정차 / 한: 한솔테크노타운만 정차 / 석: 석수역만 정차 / 밑줄 : 해당 시 경유 후 타 시 진입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5, 6권역 | 광명, 부천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광명시
643
651
652
653
N61
5012
부천시
철: 철산리버빌아파트 정류장만 정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7권역 | 고양, 파주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고양시
171
271
571
701
706
708
720
740
741
750A
761
N37
7211
7711
7722
7723
8772
파주시
동: 동산동능모퉁이.한국지역난방공사 정류장만 정차 / 덕: 덕은동종점 정류장만 정차 / 대: 대덕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만 정차
}}}}}}}}} ||
서울동행버스에 대한 내용은 틀:서울동행버스 참조.

[1] 토요일 16대 / 공휴일 15대 운행[2] 고등동, 신촌동, 오야동[3] 퇴근시간 강남 -> 분당 방향 이용 시, 야탑역에서 탑승객 절반 이상이 내린다고 보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