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08:47:27

서울 버스 5633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5bb02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5권역 지선버스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5012 5413 5511 5513 5515[a]
5516 5517 5519[a] 5522 5523
5524 5525 5528 5530 5531
5535 5536 5537 5611[a] 5615
5616 5617 5618 5619 5620
5621[a] 5623 5625 5626 5627
5630 5633 5634 5712 5713
5714
[a] 차등요금 적용 노선
[[틀:서울 0권역 지선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12px"
}}}}}}}}} ||
파일:서울 5633번 대우차량.jpg 파일:5633_1487.pn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노선4.2.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개요

범일운수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6km다.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563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5633 노선도.png
기점 경기도 광명시 노온사동(노온사동차고지) 종점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여의도순복음교회)
종점
첫차 04:20 기점
첫차 05:50
막차 22:50 막차 00:20
평일배차 11~15분 주말배차 토요일 14~18분 / 공휴일 15~20분
운수사명 범일운수 인가대수 21대(예비 1대)[1]
노선 노온사동차고지 - 온신초등학교 - 원가학 - 서독터널 - 광명역 - (→ 광명역데시앙 → 호봉골 →/← 코스트코광명점 ← 이케아.롯데아울렛광명점 ←) - 기형도문학관.황용사 - 소하2동행정복지센터.광명동굴길입구 - 광명역세권1단지후문 - 신촌마을아파트 - 시흥대교 - 문일고입구 - 백산초등학교 - 동산교회앞 - 독산동남문시장 - 구로디지털단지역 - 보라매경남아너스빌.신대방현대아파트 - 보라매역.동작세무서 - 서울지방병무청 - 샛강역 - 63빌딩.여의도성모병원 - 여의나루역 → 여의도순복음교회 → 여의도공원 → 여의나루역 → 이후 역순

3. 역사

  • 구 124번 도시형버스(노온사동 - 신세계) 노선이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공군회관 - 신세계' 구간을 '공군회관 - 본동가칠목'으로 변경했고, 5533번으로 번호도 변경했다.
  • 2005년 3월 3일에 '공군회관 - 본동가칠목' 구간을 '공군회관 - 63빌딩 - 순복음교회'로 노선 변경을 했고, 권역에 맞춰 5633번으로 번호도 변경했다. 관련 공지사항.
  • 2015년 4월 3일부터 8월 24일까지 4개월 동안은 광명 17번의 차고지 문제로 인해 '원가학 - 뒷골' 구간을 서독로 대신 가학로로 잠시 임시 우회 운행하였다. 관련 공문 1 관련 공문 2
  • 2017년 2월 1일부터 시흥동 구간 굴곡 노선 정리와 505번의 소하동/시흥동 구간 대체를 위해 '광명시여성비전센터 - 가리대사거리 - 신촌마을' 구간이 '광명시여성비전센터 - 기아사거리 - 신촌마을'로, '시흥대교 - 문일고입구 - 박미삼거리 - 은행나무입구사거리' 구간이 '시흥대교 - 금빛공원 - 은행나무사거리'로 직선화될 예정이었으나, 시흥동 구간 단축과 5627번의 폐선으로 인한 금천구민들의 민원 문제로 인해 보류되었다.
  • 결국 안건이 일부 수정되어 2017년 4월 1일에 소하동 구간만 기존 안대로 변경됐다. 금빛공원 구간은 5627번이 폐선되지 않고 대체한다. 이에 따라 노온사동 첫차가 4시 반에서 4시 20분으로 앞당겨지고 5627번에서 차출된 3대를 5633번에 3대 증차되었다. 그리고 기존에 예정되어 있었던 문일고등학교 구간은 현행 유지로 변경됐다. 금천구 공지사항.
  • 2018년 2월 21일에 광명역 환승체계 개편에 따라 서울 방향은 서편에 정차하며 호반베르디움을 추가로 경유한다. 노온사동 방향은 현행 유지. 관련 공지사항
  • 2019년 8월 21일에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늘어나고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의 경우 각각 6회씩, 공휴일의 경우 5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10분/13분/14분인 최소 배차간격이 11분/12분/15분으로 조정되었다.관련 공문
  • 2020년 2월 21일 토요일 최소 배차간격은 12분에서 14분으로, 공휴일 최대 배차간격은 17분에서 18분으로 늘어났다. 단, 운행 횟수는 변동 없음. 관련 공문
  • 2023년 6월 1일 부로 운행 중 가스 충전에 따른 불편 민원으로 인해 기존에 소하동에서 충전했던 것이 운행 종료 후 광명공영차고지로 공차회송하여 충전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이에 따른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는 평일 4회, 토요일/공휴일은 각각 3회 감회되었으며, 상세 배차 조정으로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배차간격이 11~14분/14~17분/15~18분에서 11~15분/14~18분/15~20분으로 늘었다. 관련 공문
  • 2025년 2월 1일을 현금없는 버스로 전환될 예정이다.
  • 2025년 2월 1일부터 현금없는 버스로 운행할 예정이다.

4. 특징

  • 507번, 6516번과 함께 독산로를 완주한다. 또한 서울지방병무청(강남중학교) - 여의도 구간은 순복음교회 근처 회차구간에서의 약간의 차이를 제외하면 5634번과 100% 겹치며 구로디지털단지역 ~ 대림사거리 구간에서도 잠깐 겹친다.
  • 그래서 소하동 단지 일대의 수요보다 시흥동 일대의 수요가 더 많은 편이다. 하교 시간대에는 여의도중학교 정류장~서울지방병무청 구간은 그야말로 헬게이트다. 특히 출퇴근 시간대에 시흥동 - 구로디지털단지역 구간은 가축수송이다. 물론 여의도성모병원 수요도 많으며, 여의나루역 수요도 많다.
  • 노온사동 방면은 광명역에 도착하기 전에 소하동 CNG충전소에서 운행 중에 자주 충전했었다. 그러나 운행 도중 충전소 경유로 인한 민원으로 현재는 노온사동에서 운행 종료 후 광명공영차고지까지 공차회송하여 충전을 하고 있다.
  • 파일:20170702_214629.gif
    주말에는 여의나루역 2번 출구 앞이 배달을 시킨 사람들과 배달부들이 뒤엉켜 버스들이 정차하기 어려워 부득이하게 도로 한가운데에 정차하는데, 이렇게 되면서 주변 교통이 더 혼잡해지는 경우가 잦았다. 때문에 2017년 7월 1일부터 주말에는 한전 건너편에서 승객을 받는 걸로 바뀌었다. 관련 기사 (관련 사진)봄이 시작되는 3월부터 가을이 끝나는 11월까지는 여의나루역에서 평일과 주말 정류장이 서로 다르니 주의. 평일엔 여의나루역 2번 출구 앞에 정차하며, 주말에는 한전 건너편에 정차한다. 해당 정류장 사진
  • 버스 내부 노선도에서는 광명역세권1단지후문 정류소에 1호선과 환승이 가능하다고 잘못 표시되어 있는데, 광명역세권개발사업에 의해 건설된 아파트 주거단지일 뿐 절대로 광명역을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민원을 제기하여 수정할 사항이며, 참고로 1호선을 이용하려면 광명 마을버스 1이나 광명 버스 1-3을 이용하여 석수역으로 가서 1호선으로 환승하면 된다.
  • 막차가 늦기 때문에 구로디지털단지역과 시흥사거리에서 소하동으로 심야에 편의를 제공한다.
  • 과거에는 5537,5627번과 더불어서 중형버스가 다녔으나 전기버스로 대차되어 지금은 대형버스로 운행하고 있다.

4.1. 노선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5633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여의도순복음교회
19136
여의도공원9번출입구
19138
여의도순복음교회
19303
여의나루역1번출구
19139
여의나루역2번출구
19140
여의도중학교
19141
여의도중학교
19142
63빌딩.가톨릭대학교여의도성모병원
19143
63빌딩.가톨릭대학교여의도성모병원
19144
여의동주민센터
19147
여의동주민센터
19148
KBS별관
19150
진주아파트
19149
- 샛강역.앙카라공원
19151
공군호텔
19255
공군호텔
20107
- 서울지방병무청앞
20106
서울지방병무청
19014
강남중학교
20006
보라매역.동작세무서
19013
보라매역.동작세무서
20005
보라매공원
19012
보라매공원
20004
경남아너스빌아파트
19011
신대방현대아파트
20003
강남성심병원.대림성모병원
19010
신대방경남아파트
20002
서울영림초등학교
19009
동작상떼빌아파트
20001
구로디지털단지역
17013
구로디지털단지역
21001
모두의학교.금천문화예술정보학교
18195
모두의학교.금천문화예술정보학교
18196
독산3동주민센터
18193
독산3동주민센터
18194
독산동남문시장
18228
독산동남문시장
18229
독산동쌈지공원
18191
독산동쌈지공원
18192
독산동성당앞
18189
독산동성당앞
18190
- 독산4동주민센터
18188
독산동정훈단지
18184
독산동정훈단지
18185
남부여성발전센터
18182
남부여성발전센터
18183
현대시장.시흥4동주민센터
18180
현대시장.시흥4동주민센터
18181
동산교회앞
18178
동산교회앞
18179
시흥초등학교.금천구보훈회관
18176
시흥초등학교.금천구보훈회관
18177
- 경남아파트
18175
은행나무입구사거리
18173
은행나무입구사거리
18174
백산초.금천청소년문화의집
18171
백산초.금천청소년문화의집
18172
문일고입구
18163
문일고입구
18162
- 시흥사거리
18160
시흥사거리.시흥대교
18134
시흥사거리.금천파출소
18135
- 시흥대교
18239
신촌마을
38173
신촌마을
38697
소하단독필지
38677
신촌마을아파트
38696
소하6단지.광명노인회관
38678
신촌마을아파트2단지.광명노인회관
38695
소하7단지
38650
광명테크노파크
38649
기아자동차
38648
기아교차로
38647
기아자동차출하사무소
38188
기아사거리
38182
기아자동차남문.광명역세권1단지
38514
광명역세권1단지후문
38518
기아자동차후문.한소망교회
38203
기아자동차후문.한소망교회
38217
창의경영고
38198
창의경영고
38202
광명시여성비전센터
38222
광명시여성비전센터
38207
소하2동행정복지센터.광명동굴길입구
38221
소하2동행정복지센터.광명동굴길입구
38218
오리서원.충현중학교.광휘고등학교
38220
충현중학교.광휘고등학교.오리서원
38219
기형도문학관.황용사
38621
기형도문학관.황용사
38620
이케아.롯데아울렛광명점
38227
무의공이순신장군묘
38213
코스트코광명점
38200
호봉골
38211
- 광명역써밋플레이스정문
38216
- 광명역데시앙.일직동행정복지센터
38215
KTX광명역8번출구
38628
KTX광명역3번출구
38209
양지사거리.체육공원
14442
-
뒷골
38252
뒷골사거리
38245
원가학.학온동행정복지센터
38236
원가학.학온동행정복지센터
38246
장절리
38237
장절리
38238
동창골
38239
동창골
38240
사들
38241
사들
38242
온신초등학교앞
38231
온신초등학교
38622
노온사동차고지
38249 · 38254
}}}}}}}}} ||

4.2.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5633번
<rowcolor=#fff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9,904명 -
2014년 9,353명 ▽ 551
2015년 9,069명 ▽ 284
2016년 8,803명 ▽ 266
2017년 9,658명 △ 855
2018년 9,767명 △ 109
2019년 9,820명 △ 53
2020년 7,461명 ▽ 2,359
2021년 7,664명 △ 203
2022년 8,798명 △ 1,134
2023년 9,171명 △ 373
2024년 9,412명 △ 241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0px"<tablebordercolor=#0054a6>
파일:광명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서편 <colbgcolor=#0054a6><colcolor=#fff> (서울역 방향) 동편
1번
|
5번
8507[A]
3[A]
2번
|
6번
1-1[A]
1-3[A]
5627[A]
5633[A]
8507[A]
3번
|
7번
1-1[A]
1-3[A]
3[A]
4번
|
8번
5627[A]
5633[A]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8px"
}}}}}}}}}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경기도 진입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 2권역 | 의정부, 구리, 남양주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의정부시
1143
8112
구리시
202
1155
2212
남양주시
수: 수락리버시티아파트 지역만 정차 / 담: 담터고개만 정차.(남양주 방면 한정, 서울 방향은 서울시 소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3, 4권역 | 성남, 하남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성남시
333
343
345
440
3420
4432
하남시
341
370
3217
3316
초: 초이동 / 위:위례신도시 / 도:하남시위례도서관만 정차 / 청: 청계산옛골 / 효: 효죽동입구(천호역 방면 한정, 마천 방향은 서울시 소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4, 5권역 | 안양, 군포, 의왕, 과천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안양시
152
500
5618
6515
군포시
441
502
의왕시
과천시
교: 경인교육대후문만 정차 / 잔: 잔디마을만 정차 / 한: 한솔테크노타운만 정차 / 석: 석수역만 정차 / 밑줄 : 해당 시 경유 후 타 시 진입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5, 6권역 | 광명, 부천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광명시
643
651
652
653
N61
5012
부천시
철: 철산리버빌아파트 정류장만 정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7권역 | 고양, 파주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고양시
171
271
571
701
706
708
720
740
741
750A
761
N37
7211
7711
7722
7723
8772
파주시
동: 동산동능모퉁이.한국지역난방공사 정류장만 정차 / 덕: 덕은동종점 정류장만 정차 / 대: 대덕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만 정차
}}}}}}}}} ||
서울동행버스에 대한 내용은 틀:서울동행버스 참조.



[1] 토요일 16대 / 공휴일 15대 운행[A] 공군호텔 하차[A] [4] 보라매공원(중) 하차후 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