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30 10:07:19

서울 버스 5530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5bb02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5권역 지선버스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5012 5413 5511 5513 5515[a]
5516 5517 5519[a] 5522 5523
5524 5525 5528 5530 5531
5535 5536 5537 5611[a] 5615
5616 5617 5618 5619 5620
5621[a] 5623 5625 5626 5627
5630 5633 5634 5712 5713
5714
[a] 차등요금 적용 노선
[[틀:서울 0권역 지선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12px"
}}}}}}}}} ||
파일:DSC04008.png 파일:서울5530나무.pn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노선4.2.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개요

우신버스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8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553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5530 노선도.png
기점 경기도 군포시 부곡동(군포공영차고지) 종점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동(사당역4번출구)
종점
첫차 04:40 기점
첫차 06:00
막차 22:30 막차 23:55
평일배차 8~15분 주말배차 9~15분
운수사명 우신버스 인가대수 29대(예비 2대)[1]
노선 군포공영차고지 - 도장터널 - 수리산역 - 산본주공3단지 - 시민체육광장 - 군포시청.산본역 - 산본래미안아파트 - 금정역 - 성결대학.안양아트센터.명학역 - 안양1번가.안양역 - 안양여중고 - 안양예술공원 - 관악역 - 석수역 - 시흥사거리 - 금천우체국 - KT구로지사 - 난곡입구 - 신림사거리.신림역 - 봉천역.관악초등학교 - 봉천사거리.서울대입구역 - 낙성대입구 - 사당역

3. 역사

  • 구 104-1번 도시형버스(산본동 - 서울대학교) 노선이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서울대학교에서 봉천사거리로 단축되었고, 번호도 5530번으로 바뀌었다.
  • 산본4단지 주민들의 민원에 따라 2005년 2월 1일에 본사를 산본4단지 차고지에서 군포공영차고지로 이전하였고, 이에 따라 기점이 군포공영차고지로 연장되었다.
  • 시흥대로 버스중앙차로가 완공되면서 2005년 12월 18일부터 중앙차로로 운행하게 되었다.
  • 군포공영차고지 내 충전소 용량 문제가 생겼고, 가스충전 해결을 위해 2011년 8월 25일에 방배동 우신운수 차고지까지 연장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덕분에 점심시간에는 우신운수 차고지에서 가스충전을 하는 모습이 자주 목격된다.
  • 하지만 남태령로는 자주 막히는 구간이었기 때문에 2011년 9월 9일에 사당역 회차로 단축되었다.
  • 2018년 6월 15일부터 산본 방향은 독산고개 가변 정류장 대신 문성초등학교 중앙차로 정류장에 정차한다. 관련 공문
  • 2018년 8월 16일부로 회차구간이 변경, 사당자동차학원 정류장과 사당역9번출구 정류장에 정차하게 되었다. 동시에 기점 막차시각이 22:30으로 20분 앞당겨지고, 운행횟수도 평일 기준 10회 감회되어 배차간격이 8~15분으로 약간 늘어났다. 관련 보고서 관련 공지사항
  • 2018년 9월 7일 과천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 개통으로 사당자동차학원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게 되었다.
  • 사당역 공차회송거리가 길어 연료낭비가 심한 것, 그리고 동작대로 및 남부순환로 정체로 인한 운행시간 증가를 막기 위해 2019년 3월에 서울대입구역에서 유턴회차하거나 낙성대입구교차로에서 봉천로 경유 P턴 회차하는 안건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단축되는 구간인 '서울대입구역 - 사당역'에 수요가 많고, 중간에 우신운수 차고지에서 연료 충전이나 운행사원의 용변 해결이 가능한데 이것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제기되어 무산되었다. 관련 보고서
  • 2019년 3월 23일을 기해 대당 일 운행횟수 감축이 실행되면서 일 총 운행횟수가 평일/공휴일의 경우엔 각각 3회씩, 토요일의 경우엔 5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화 폭은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관련 공문

4. 특징

  • 같은 회사 노선인 441번이랑 만나지 않는다.
  • 우신버스의 대부분의 간선 노선들이 과천시를 경유하여 서울시내로 진입하는데 반해, 이 노선은 석수역시흥대로를 거쳐서 남부순환로를 타고 사당역으로 향한다. 안양시를 거쳐 남부순환로를 거쳐가는 노선 구조상 9/9-3번과는 석수역 ~ 사당역 구간이 100% 중복된다. 한때 1번과는 '성결대 - 봉천사거리' 구간이 100% 겹쳤으나 이로 인해 심각한 타격을 입고 폐선 직전까지 간 1번이 2018년 12월부터 회차지를 구로디지털단지역으로 변경되면서 금천우체국까지만 겹친다. 이 때문에 개편 전부터 삼영운수의 1번, 9번, 9-3번 등과 라이벌 구도를 형성하며 수요를 나눠 가지고 있다. 거기에 안양중앙시장부터 오금동주민센터까지 15-2번의 수요를 나눠 먹고 있다.[2]
  • 5528번과는 사당역 쪽의 회차구간 및 정류장이 완전히 일치한다. 낙성대 방향 - (우회전) → 사당역4번출구(21161) - (유턴) → 이수방향의 사당역 중앙버스전용차로(22028) - (직진 및 또 다른 유턴) → 사당역9번출구(20253) - (우회전) → 낙성대 방향.
  • 사당역에서 봉천동, 신림동 방향 탑승시 "곧도착"이라고 떠도 안 오면 남태령 차고지 주변에서 회차 대기중, 혹은 가스 충전중일수 있다.
  • 기점인 군포공영차고지에 충전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버스 회사 사장의 오빠가 운영하는 서초구 방배2동 남태령역 인근의 우신운수 충전소를 이용하기 위해 2km를 더 공차회송하고 있다는 것이 MBC의 취재로 밝혀졌다. 관련 기사 이에 대한 후속조치로 위에 언급되어 있듯이 서울시가 서울대입구역으로 단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나, 이용객들의 민원과 자치구, 운수업체, 시내버스 조합 전부 반대 의견을 내며 무산되었다.

4.1. 노선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5530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사당역
22028
사당역9번출구앞
20253
사당역4번출구
21161
사당1동상점가
20141
남서울농협남현동지점
21126
엔지니어링회관
20142
예술인마을.사당초등학교
21125
서울미술고.인헌중고
21101
인헌중고.서울미술고
21124
낙성대입구
21102
낙성대입구
21123
행운동주민센터
21103
낙성대동
21122
서울대입구역5번출구
21104
봉천사거리
21121
KT관악지점
21105
KT관악지점
21120
봉천역.관악초등학교
21106
봉천역.관악초등학교
21119
KT&G관악지점
21107
KT&G관악지점
21118
관악우체국.에이치플러스양지병원
21261
관악우체국.에이치플러스양지병원
21262
신림사거리.신림역
21350
신림사거리.신림역
21117
남부초등학교
21109
남서울중학교.성보중고등학교
21116
호림박물관
21110
호림박물관
21361
난곡입구
21111
난곡입구
21115
관악구보훈회관.신림푸르지오
21112
관악구보훈회관.신림푸르지오
18198
천주교성령봉사회관.등불교회
21113
-
KT구로지사
21114
모두의학교.금천문화예술정보학교
18197
- 독산고개
18147
문성초등학교
18002
남문시장.청춘빌딩
18149
금천우체국
18004
금천우체국
18003
말미고개.금천소방서
18006
말미고개.금천소방서
18005
금천구청.금천경찰서
18008
금천구청.금천경찰서
18007
시흥사거리
18010
시흥사거리
18009
박미삼거리.국립전통예술중고
18012
박미삼거리.국립전통예술중고
18011
시흥유통센터
18014
시흥유통센터
18013
석수역
18776
석수역
18777
대림.LG.힐스테이트아파트
57604
대림.LG.힐스테이트아파트
57605
- 한마음선원.관악역이안아파트
57050
관악역
57055
관악역
57048
안양예술공원
57051
안양예술공원
57005
삼성아파트
57015
삼성.세림아파트
57019
안양예술공원지하도
57014
안양예술공원지하도
57006
신협
57010
만안초교
57017
안양여중고
57008
안양여중고
57009
안양시외버스정류소.교보생명.댕리단길
57023
대동문고.댕리단길
57001
(임시)포스빌.안양고용센터
09237
안양1번가.안양고용센터
09146
- 남부시장
57003
서안양우체국.국제나은병원
57030
서안양우체국.국제나은병원
57029
안양센트럴헤센.KCC스위첸
57033
안양센트럴헤센.KCC스위첸
57035
만안구청
57034
만안구청
57037
성결대학.안양아트센터.명학역
57045
성결대학.안양아트센터.명학역
57047
명학초교
57046
명학초교
57039
미도아파트.메트로병원
56062
미도아파트.메트로병원
40061
산본고가도로
40058
산본고가도로
40062
산본1동
40065
산본1동
40064
금정역
40070
금정역
40060
산본1동입구
40069
삼성아파트입구
40067
산본래미안아파트
40080
산본래미안아파트
40081
늘푸른노인복지관
40106
11단지주공아파트
40098
군포시청.산본역
40139
군포시청.산본역
40100
충무주공아파트
40101
주공1단지.무궁화아파트
40102
시민체육광장
40104
시민체육광장
40099
3단지.율곡아파트
40121
3단지.소월아파트.다산아파트
40122
흥진고등학교
40108
오금동행정복지센터
40117
5단지아파트입구
40110
군포소방서
40111
수리산역.5단지
40119
수리산역
40609
군포보건소
40028
군포보건소
40023
군포공영차고지
40615 · 40619
}}}}}}}}} ||

4.2.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5530번
<rowcolor=#fff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14,881명 -
2014년 14,937명 △ 56
2015년 15,084명 △ 147
2016년 15,088명 △ 4
2017년 15,067명 ▽ 21
2018년 14,613명 ▽ 454
2019년 14,113명 ▽ 500
2020년 12,035명 ▽ 2,078
2021년 12,226명 △ 191
2022년 13,814명 △ 1,588
2023년 14,188명 △ 374
2024년 14,237명 △ 49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안양시 CI.svg 안양 - 사당역간 버스
일반시내 1-1 103 11-2
11-5 9(-3) 777
간선 502 540
지선 5530과천시 미경유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경기도 진입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 2권역 | 의정부, 구리, 남양주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의정부시
1143
8112
구리시
202
1155
2212
남양주시
수: 수락리버시티아파트 지역만 정차 / 담: 담터고개만 정차.(남양주 방면 한정, 서울 방향은 서울시 소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3, 4권역 | 성남, 하남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성남시
333
343
345
440
3420
4432
하남시
341
370
3217
3316
초: 초이동 / 위:위례신도시 / 도:하남시위례도서관만 정차 / 청: 청계산옛골 / 효: 효죽동입구(천호역 방면 한정, 마천 방향은 서울시 소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4, 5권역 | 안양, 군포, 의왕, 과천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안양시
152
500
5618
6515
군포시
441
502
의왕시
과천시
교: 경인교육대후문만 정차 / 잔: 잔디마을만 정차 / 한: 한솔테크노타운만 정차 / 석: 석수역만 정차 / 밑줄 : 해당 시 경유 후 타 시 진입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5, 6권역 | 광명, 부천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광명시
643
651
652
653
N61
5012
부천시
철: 철산리버빌아파트 정류장만 정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7권역 | 고양, 파주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고양시
171
271
571
701
706
708
720
740
741
750A
761
N37
7211
7711
7722
7723
8772
파주시
동: 동산동능모퉁이.한국지역난방공사 정류장만 정차 / 덕: 덕은동종점 정류장만 정차 / 대: 대덕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만 정차
}}}}}}}}} ||
서울동행버스에 대한 내용은 틀:서울동행버스 참조.



[1] 토요일 24대 / 공휴일 22대 운행[2] 차이가 있다면 15-2는 산본역을 직접 경유하지만 5530은 충무주공. 무궁화아파트를 통해 산본역을 간접 경유한다.[3] 안양1번가.안양고용센터 안양중앙시장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