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3 03:44:47

굴곡 노선/버스/서울특별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굴곡 노선/버스

1. 간선버스(심야버스 포함)

<rowcolor=#fff> 노선 굴곡도 설명
100 1.79 차고지 앞이 바로 하계역인데 이 노선은 하계역으로 바로 가지 않고 중.하계동을 모두 경유하고 가므로 도심으로 갈 때는 차고지가 아니고 반드시 하계역 정류장에서 승차해야 한다. 그리고 종점 근처인 서빙고동에서도 U자 굴곡이 있으며, 한 정류장에 양 방향 버스가 모두 정차하기도 한다. 이 버스가 안 올 때면 차라리 장위동으로 돌아가더라도 172번을 타는 게 낫다. 을지로입구역-한강대로-이촌동-서빙고역-용산구청 구간도 굴곡이 있어서 143번을 타는 것이 더 빠르다.
110A,B 1.98 서울 강북지역을 순환하는 노선이다. 순환노선임을 감안하면 굴곡이 거의 없는 편이다.
120 1.53 청량리에서 바로 미아사거리 이북으로 가고 싶다면 차라리 121번이나 1213번을 타고 숭례초등학교~종암사거리 사이에서 101, 130, 141, 144(덕성여대/우이동으로 갈 때), 148번으로 갈아타는 게 낫다. 반대 경우는 미아사거리에서 상기 버스를 타고 같은 구간에서 121번이나 1213번으로 갈아타는 게 낫다. 이 버스는 6호선 라인을 타다가 중간에 1호선 라인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한 번 굴곡이 있는데 그 굴곡도가 심한 편이며, 중간에 동대문구청을 경유하면서 회차지 근처에서 8자 루프를 돈다. 태생이 지선버스(舊 1217)였던 것을 중앙차로를 경유한다는 이유로 굴곡노선인 121(舊 1216)번과 동시에 간선버스로 승격시키면서 생긴 문제이다.
121 1.51 화계사에서 삼양로를 휘저은 다음 길음역으로 들어간다. 여기서 한 번 회전한 후 다시 미아사거리에서 종암동 방면으로 회전한다. 종암로 - 고산자로 구간은 평범하게 가다가 갑자기 청량리역 방향으로 확 꺾어서 청량리역을 경유하고 시립대랑 전농동을 투어한 다음에 신답역, 마장역, 한양대, 서울숲 순으로 경유한다. 따라서, 마장동, 서울숲 방면으로 빨리 가고 싶다면 141번, 148번 버스를 타면 된다. 태생이 지선버스였던 것을 중앙차로를 경유한다는 이유로 굴곡노선인 120번과 동시에 간선버스로 승격시키면서 생긴 문제이다. 예전에는 압구정동까지 갔던 것을 성수대교 구간을 잘라버리면서 그나마 운행구간이 줄어든 것이다.
143 1.94 서울시 시내버스 중에서 전체 수요 1위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굴곡이 심하다. 크게는 강북에서는 길음역 쪽이 V자를 반시계 방향으로 돌린 것처럼 동쪽으로 푹 파여 있고[1], 강남에서는 북부지역(압구정, 신사)에서 굴곡이 크게 생겨있으며, 작게는 잠원동 구간에서 굴곡이 있다. 고속터미널에서 청담역 갈때 돌아간다.
241 1.57 차고지에서 가까운 길을 냅두고 신내1동 아파트단지로 돌아간 다음 서울의료원으로 가는 것은 물론, 상왕십리역 - 옥수동 구간을 ㄹ자로 휘젓고 다닌다.
261 1.52 석계역에서 돌곶이역까지 지하철로 2~3분이면 되는 거리를 이 노선은 광운대역 장위동쪽으로 빙 돌아서 간다. 그리고 여의도에서도 여의도환승센터에서 마포대교까지도 빙 돌아가는 선형이다. 여의도에서 한강 이북으로 바로 가고 싶다면 차라리 5호선이나 160번, 260번을 타자.
333 3.71 서울시 간선버스 굴곡 끝판왕. 기점을 출발해 위례신도시를 한바퀴 돌고, 가락시장에서 좌회전해서 수서, 일원, 개포동, 대치동 투어를 하더니 다시 선릉역부터 잠실새내역까지 잘 가다가 잠실역이 아닌 석촌호수 남쪽 길로 들어가서 방이동을 돈다. 가락시장 이남에서 무턱대고 방이동 간다고 333번을 타기 보다는 차라리 8호선을 타자. 올림픽공원은 몽촌토성역 하차, 방이동은 천호역에서 5호선 환승 또는 석촌역에서 9호선 환승. 노선의 개통 이유가 위례신도시와 대치동 학원가, 그리고 3422번의 2012년 변경으로 이를 대체하는 잠실과 대치동 학원가를 잇는 구간수요이기 때문이다.
400 1.74 보통 강남대로를 경유하는 간선버스들이 남산1호터널을 타고 도심으로 진입하는 것과는 달리, 뜬금없이 이태원으로 빠지더니, 다시 동빙고, 서빙고, 이촌동을 다 경유하고 숙명대학교로 갔다가, 다시 후암동을 경유하고 서울역, 서울특별시청으로 간다. 이 노선은 지선버스 노선들을 통합하면서 생긴 노선이다보니, 이런 경이로운 노선이 나온 것이다.
405 1.59 보통 반포대교를 경유하는 간선버스들이 남산3호터널을 타고 도심으로 진입하는 것과는 달리, 뜬금없이 서빙고으로 빠지더니, 다시 보광동, 이태원, 남산소월길을 다 경유하고 시청으로 갔다가, 다시 숭례문을 경유하고 되돌아 간다. 양재역에서 소월길 이동 시에도 강남대로로 바로 가지 않고 서초역, 서울성모병원, 서빙고동으로 돌아간다. 이러한 굴곡노선 탄생 배경은 위 400번과 같다.
420 1.92 강남~답십리를 돌아서 간다. 145번은 압구정동을 지나 성수대교 한번 건너고 답십리에 금방 도착하지만[2], 420번은 동대문~한티역 및 강남대로~청량리까지는 굴곡이 없는데, 청량리 경유하고 내려가다 보니 굴곡이 생긴다. ㄷ자 형태 노선이다.
421 2.69 보통 강남대로를 경유하는 간선버스들이 남산1호터널을 타고 도심으로 진입하는 것과는 달리, 뜬금없이 한남동으로 빠지더니, 보광동, 이태원을 경유하고 서울역으로 간다. 그나마 위의 두 노선보다는 무난해보이지만, 얘는 명동부터 퇴계로를 완주하고 뜬금없이 신설동과 제기동으로 올라갔다가, 다시 왕십리, 금호동을 경유하고 옥수동 으로 간다. 순천향대병원입구에서 금옥초등학교까지 직선 거리로 불과 1.5km로 오히려 걸어가는게 (비록 오르막길이지만) 버스를 타는 것보다 훨씬 빠르다. 이러한 굴곡노선 탄생 배경은 위의 400번을 참조.
440 1.91 위례신도시에 굴곡이 심한 것도 있고, 송파구에서 압구정으로 갈 때도 세곡동과 강남대로를 경유하고 간다.
452 1.77 성남시 구간에 굴곡이 있는데, 송파공영차고지에서 출발해 성남구간을 한바퀴 돌고 복정역으로 온다. 노선 전체적으로는 선형이 곧으나, 차고지 때문에 성남구간에 굴곡이 생겨서 굴곡도가 높다. 송파공영차고지 입주 때문에 노선을 늘리면서 이 사태가 일어난 것.
506 1.66 원래 난곡로의 차고지가 기종점이었는데, 동쪽의 고시촌으로 연장한 결과가 오늘의 노선이다. 그래서 신림동 남쪽 구간에 큰 굴곡이 져 있고[3], 신림역, 봉천사거리(서울대입구역), 서울대학교 등의 행선지만 보고 선형을 제대로 보지 않은 채 냅다 타면 수십분을 까먹게 된다.
652 2.49 화곡역 이북의 화곡동, 등촌동, 강서구청 일대의 굴곡이 심하다. 이로 인해 화곡역~까치산역 사이 구간을 화곡터널로 통과해서 바로 화곡역으로 가는 것으로 직선화하고, 발산역 이후 구간을 목동역, 구로역, 대림역, 구로디지털단지역을 경유하도록 노선을 비교적 직선화된 방식으로 대폭 변경하고 동시에 석수역까지 재연장해달라는 민원이 지속되고 있다. 화곡역 이남의 기종점 부근도 간선버스치고는 이례적으로 골목길에 들어가면서까지 ㄹ자로 돌기 때문에, 출발한 후 화곡역 이전까지의 구간이나, 화곡역 이후 운행을 마치기까지의 구간에서 매우 주의가 필요하다. 까치산역이나 우장산역에서 구로구나 금천구로 이동할때 굉장히 오래 걸린다. 차라리 아예 노선을 까치산역에서 화곡역으로 갈 때 화곡터널 직통으로 변경하고, 발산역~양천향교역~가양역~강서구청~화곡역~남부순환로~개봉역~가산디지털단지역~가산로/두산로 경유를 발산역~공항대로~목동역~구로역~거리공원~대림역~대림사거리~구로디지털단지역~시흥대로~석수역으로 직선화해달라는 상습적 민원이 폭주했다.
654 1.54 송정역에서 노량진역/노들역을 오갈 때, 목동-구로역-대림동을 거쳐간다. 단 선형만 놓고 보면 대놓고 꺾는 부위 수 자체는 적은 편.
660 1.7 항동을 크게 돈다. 온수동에서 가양역으로 갈 때 구로역, 영등포, 당산역, 염창동으로 크게 돌아서 간다.
661 1.7 부천역에서 영등포역까지 경인로로 바로 가지 않고 중간에 굴곡 구간이 있더라도 옥길지구, 항동지구 투어를 하지 않고 춘의역, 원종동, 화곡역, 발산역, 염창역으로 크게 돌아간다.[4] 게다가 같은 부천 착발 노선인 606번, 673번과 달리 성산동, 연대 방향은 물론 한강 이북 구간 자체를 아예 가지도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굴곡이 더 심한 편이다.[5] 정류장간 무정차 구간[6]이 상당히 길어서 그런 것이다. 부천시 중.상동 일대에서 영등포역으로 바로 가고 싶다면 부천 83번이나 1호선을 타자. 그게 훨씬 빠르다.
662 1.55 외발산동/서울금융고에서 개봉역/영등포역/여의도로 간다고 이 노선을 타면 신정이펜하우스, 대일관광고등학교를 경유해서 가기 때문에 소요시간이 크게 늘어나는 편이다. 게다가 양방향 같은 정류장 정차여서 선형상 매우 복잡하다. 그만큼 신정이펜하우스 일대에서 경인로(신도림역, 영등포역, 여의도) 연선으로 나가는 수요가 상당하고 260번의 여의도 이남 구간을 그대로 계승했기 때문에 참작의 여지가 있다.
701 1.5 개형이 은평뉴타운 - 통일로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남대문로 - 을지로 1,2가로서 서울역 쪽이 남쪽으로 V자로 푹 내려가 있는 굴곡 노선이다. 또한 북한산로연서로를 통해 은평뉴타운을 동쪽과 북쪽으로 크게 감싸면서 통일로 축선의 동쪽으로 크게 돈다.
742 1.7 구산동에서 서울 도심으로 갈 때 통일로로 직통하지 않고 연세대 쪽으로 돌아가고, 서울역/삼각지역에서 서초동으로 갈 때 용산구청, 반포대교, 서울성모병원을 거치지 않고 동작구를 거쳐 간다.
752 1.5 보통 노량진에서 강북으로 가는 간선버스들이 직진해서 한강대교를 타고 강북으로 진입하는 것과는 달리, 뜬금없이 상도동으로 빠지더니, 숭실대, 총신대, 이수역, 동작역, 흑석동을 다 경유하고 드디어 한강대교를 탄다. 버스 앞에 있는 행선판에서 노량진 말고 아예 총신대라고 썼을 정도. 노들역을 두 번 경유하는 노선이다. 즉, 구산동→노들역→사당동→상도동→노들역→사당동→흑석동→구산동이다. 이것이 이유가 있는게 과거 범진여객이 인수 업체를 찾지 못한 채 폐업하면서 노선까지 공중분해 됐는데 89, 89-1번 모두 대체하려다 보니 생긴 굴곡이다. 89-1을 대체하던 143-2번과 통합하면서 생긴 일이다. 그래도 구산동에서 한강대교까지는 선형이 일직선으로 뻗어있다.
753 1.5 기/종점 근처에서 선형이 북쪽의 갈현중앙시장, 연신내역 방향으로 역V자의 굴곡이 있다. 기/종점인 선진운수 차고지는 동서방향의 서오릉로를 두고 구산역과 불과 700m 정도의 한 블럭 거리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원래 갈현동성당 인근이 종점이었을 시절에는 굴곡노선은 아니었으나, 차고지 변경 때문에 굴곡노선이 된 케이스.
771 1.51 고양시청 - 신원당마을 구간, 원릉역을 돌아서 가기 때문에, 최단거리로 가면 약 300m 정도의 거리가 약 3km까지 늘어나는 비범한 구간이다.
773 1.55 일산신도시 구간에서 크고 작은 굴곡이 있으며, 일산신도시~불광역 사이에는 화정지구와 원흥지구를 경유해서 아주 큰 N자 굴곡이 있다. 3호선을 거의 그대로 쫓아간다.
N13 1.6 송파구-강남-도심-노원구를 연결하는 거대한 경로 자체가 굴곡이다.
N31 1.58 강동구-강남-이태원-도심-성북구를 연결하는 거대한 경로 자체가 굴곡이다.
N75 1.83 구간 수요를 확보하기 위해 굴곡이 생겼다.

2. 지선버스(순환버스 포함)

2.1. 0~2권역

<rowcolor=#fff> 노선 굴곡도 설명
01A/B 3.8 순환형 노선의 특성상 이 노선도 굴곡 노선을 벗어날 수 없었다.
1111 1.61 번동에서 한성대입구역 이동 시 월곡동, 고려대역으로 돌아간다. 따라서 102번을 타거나 148번을 타고 수유역에서 4호선으로 갈아타는 것이 더 빠르다.
1112 ? 정릉이나 삼양동에서 한성대입구역 이동 시 월곡동, 고려대역으로 돌아간다. 따라서 삼양동에서는 104번, 109번을 타거나 지하철을 이용하는 것이 더 빠르다.
1115 1.54 삼각산고등학교에서 삼양동사거리로 갈 때, 길음역, 미아사거리역으로 우회한다. 삼각산동 - 길음역 - 삼양동사거리 구간은 후술할 5618번 처럼 편도순환 방식으로 운행되기 때문.
1119 1.85 수유역에서 창동, 녹천역으로 바로 갈 목적이라면 4호선이나 102번을 타고 가도록 하자. 이 버스는 쌍문동, 방학동 일대로 크게 돌아나가는 노선이다. 선형은 전체적으로 매끄러운 편이지만, 창동역 동측과 수유역을 찍는 루프 구간이 있다.
1120 2.84 상계동 일대의 굴곡이 매우 심한데, 중계역에서 쌍문동으로 갈 때, 통일로, 노해로, 해동로를 통해 바로가는 것이 아닌, 노원세무서, 노원구청, 상계주공을 모두 거쳐서 가는 레전드급 굴곡을 보여주고 있다.
1122 3.08 석관동에서 원자력병원까지는 약 4km이지만, 이 노선은 신이문역, 중랑구청, 봉화산역 등을 거치기 때문에 U자로 빙 돌아간다. 신이문역 도로구조 때문에 루프 구간이 있으며, 봉화산역에서도 화랑대역으로 바로 가지 않고 신내5단지를 둘러간다.
1124 1.5 수유역에서 출발해서 미아사거리역으로 바로 갈 목적이면, 이 버스를 타면 안 된다. 이 버스는 상대적으로 지하철 음영지대인 번동 일대를 미아사거리역으로 연계시키는 노선이기 때문이다. 밑에 서술된 1127번의 번동주공 하위호환 버전이라고 보면 된다. 그러나 마을버스인 강북05번과 거의 겹쳐서 압도적으로 밀리고 있으며, 번동주공 일대도 동사 1111번 때문에 4호선보다 6호선 이용이 더 편한 실정이다.
1126 1.95 원래 굴곡이 심한 노선은 아니었지만, 2013년 연장 때 회차 구간이 양방향 모두 정차하는 편도 루프 구간이 되었고 전체 선형도 '그' 자 모양으로 변하면서 굴곡도가 상당히 높아졌다. 루프 구간의 경우 도봉로로 잘 가다가 우이1교사거리에서 꺾어 창2, 3동 일대를 찍고 다시 우이1교사거리로 나와 도봉로로 나오는데, 이게 20분 정도 소요된다. 쌍문역 이북에서 광산사거리 방향으로 가고자 한다면 간선버스를 타고 수유역으로 가서 120번 등의 노선으로 갈아타야 한다. 하지만 이 구간에서 엄청난 수요가 나오기 때문에 이 굴곡의 경우 참작의 여지가 있다.
1127 1.54 이 노선은 도봉산과 수유역을 오갈 때, 도봉2동, 방학1동, 창5동, 창2동 등의 도봉로 동쪽지역을 거쳐 간다. 따라서 간선버스를 타자.
1129 1.69 사실상의 기점인 상계현대2차아파트에서 창동역 동측까지의 직선거리는 불과 2km에 불과하나, 노원역 4호선 하부를 지나가기 위해 동일로에서 노원로로 빠지면서 편도 거리는 4.4km에 달하게 됐다.
1132 2.31 기점인 월계동 차고지에서 노원역까지의 거리가 가까운데도, 이 노선은 석계역태릉입구역을 경유하여 화랑대역까지 내려왔다가 올라가기 때문에 J자에 가까운 선형을 띄고 있다. 화랑대역에서 공릉2동, 대진고, 하계1동, 서라벌고, 상명중고 등을 경유해 노원역으로 향하기 때문에 동일로를 쭉 타고 가는 것보다 소요시간이 긴 편이나, 월계동 - 석계역이나 공릉동 - 노원역 같은 구간 수요가 많고, 대진고 구간은 아예 단독구간이라서 노선 자체의 수익성은 상당하다. 또한 공릉2동이나 서라벌고, 롯데마트 중계점 등지에서 노원역을 가려면 이 버스밖에 선택지가 없다. 롯데마트 중계점에는 1167번도 있지만 배차간격이 길다.
1135 2.05 월계미륭아파트 정류장과 공릉대아2차아파트 정류장이 직선거리로 300m밖에 안 된다. 그런데 이 노선은 위의 1132번처럼 기점인 월계동 차고지에서 석계역으로 내려왔다가 다시 공릉동으로 올라가고, 공릉동 일대를 쑤시고 다니기에 굴곡이 크다. 은행사거리 방향은 그리 심하지 않지만, 월계동 방향으로 갈 때는 과기대 앞 사거리에서 노선이 한 바퀴 뱅글 돌아가니, 공릉동이 목적지가 아닌 이상 이거 타고 하계역에서 석계역을 간다거나 할 경우 태릉입구역까지 동일로 버스를 타고 환승하거나 1131번을 타자.
1136 2.51 노선 선형은 평범하지만, 석계역 - 월계미륭아파트 루프 구간이 노선에서 큰 비중을 차지해 굴곡 노선이 되었다. 원래 노선 개편 전에는 평범하게 석계역 - 서울여대 후문을 다녔지만, 가스충전 문제가 걸리면서 이마트로 연장된 것이다. 이러한 노선의 특성상 석계역 - 월계동 - 공릉동의 구간수요가 전부인 노선이고, 이마트가 영업하지 않는 시간대인 월요일 ~ 토요일 출근시간대에는 아예 미륭아파트 - 이마트 월계점 구간은 운행을 하지 않고 기점을 석계역으로 변경, 석계역 - 원자력병원 노선으로 운행하여 사실상 월계동 - 공릉역 - 공릉동 셔틀 노선으로 운행하는 중이다. 사실 노선 길이가 왕복 10km밖에 안될 정도로 짧아서 이 굴곡도 큰 의미는 없다. 월계동 이용자들 입장에서는 그냥 방향별로 골라 타면 되기 때문이다.
1137 1.57 7단지영업소에서 바로 동일로로 나가지 않고 한글비석로로 뱅뱅 돌아가며, 월계로 대신 광운대역과 장위동고개를 찍어 가기 때문에 하계역에서 미아사거리역으로 갈 때 타면 소요시간이 폭증할 수 있다.
1139 1.87 상계4동에서 노원역까지를 1138처럼 한방에 이어주지 않고 중계역을 거쳐가는데다, 노원역에서 방학동까지의 구간도 수락산역, 도봉역을 거쳐 북쪽으로 빙 돌아나가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N' 자 선형이다. 대개편 이전에는 방학동과 신창동 두 곳에서 굴곡이 있었는데, 대개편 때 도봉산까지 잘렸다가 방학동 구간을 다시 연장하면서 이렇게 됐다.
1140 1.87 중계동에서 불암고등학교로 갈 때, 덕릉로와 중계로로 바로 가지 않고 상계중학교, 상계역, 중계주공까지 경유해서 간다.
1143 1.88[7] 2004년까지만 해도 상계역 - 중계본동을 다니던 지역순환버스이던 게, 대개편 이후 위로 늘어나고 아래로도 늘어나 지하철로 20분 거리를 50분이나 걸려 다니는 굴곡 노선이 되었다. 그러나 이 노선의 굴곡도는 노선 한가운데에 기종점이 있는 특성 때문에 비정상적으로 높은 것이며, 수락리버시티와 신내동을 각각 기종점으로 삼고 굴곡도를 측정하면 1.3 정도로 그리 높지는 않다. 1133번 하위호환.
1165 2.7 인수동에서 수유역을 바로 가거나, 혹은 수유에서 미아사거리까지 직선으로 갈 목적이라면 이 버스를 타면 안된다. 이 버스는 인수동에서 국립재활원, 4.19국립묘지를 찍고 광산사거리를 거쳐 수유역으로 도착하며, 거기서 도봉로를 계속 타고 오는 것이 아니라 다시 삼양로로 빠져서 수유1동과 미아뉴타운, 솔샘터널을 차례로 찍고 솔샘로 투어를 하고 미아사거리역으로 간다. 수유역에서 미아사거리역으로 바로 가려면 오는 간선버스 아무거나 타면 되고, 반대의 경우는 102번, 144번, 151번 빼고 아무거나 타면 된다. 아니면 4호선을 타거나. 바로 오는 간선버스 아무거나 타면 된다. 또 인수동에서 바로 수유역으로 가려면 강북01번 타는 게 좋다. 지선버스의 목적을 충실히 이행하는 노선인 셈.
1218 1.68 수유역 근처에서 빙빙 돌아간다. 특히 수유역에서는 차고지 방향과 답십리 방향이 같이 서기 때문에 행선판을 잘 보고 타야 한다. 우이동까지 가던 것을 번동 기점으로 자르면서 이렇게 되었다.
1221 1.52 중계본동에서 신내동으로 가는 노선이지만 공릉터널을 경유하여 바로 가는 1143번과 달리 하계역과 태릉입구역을 경유하기 때문에 시간이 조금 더 걸린다.
1222 1.59[8] 석계역/돌곶이역에서 고려대로 갈 때 화랑로를 통해 바로 가지 않고 이문동과 청량리를 거쳐 돌아서 간다.
1227 1.55 2020년 2월 개편을 거치면서 굴곡이 생긴 케이스. 원래 회차구간이 청량리동을 돌고 시립대, 신답역, 용두역을 돌고서 청량리를 찍고 하계동으로 되돌아가는 노선이었는데 청량리동을 도는 과정에서 고려대를 찍고 가게 연장되면서 회차구간 굴곡이 심해졌다.
2012 1.68 전체적으로 ㄴ자 선형을 가진 노선으로, 신내역에서 동대문역사문화공원으로 갈 때, 망우로와 왕산로가 아닌, 용마산역, 성수동으로 우회해서 간다.
2112 1.76 장안동과 휘경동을 양방향으로 헤집고 다닌다(이점 때문에 청량리역과 고려대, 경희대, 이문동 구간을 빼면 사실상 동대문구 시티투어버스라 할 수 있다). 272번으로 한번에 갈 것을 돌아간다. 북부운수 지선노선 중 인가대수가 15대로 가장 적은 노선인데도.
2113 2.42 신내역 - 중랑소방서 간 거리는 550m이지만, 이 노선은 송곡고등학교, 망우역[9], 중랑구청사거리까지 크게 돌아가기 때문에 5km 넘게 타야된다.[D]
2114 3.64 신내역-중랑역 간의 거리는 제법 가깝지만, 신내동을 세세히 돌고, 석계역-태릉역 양방향 정차가 있어 꽤 복잡한 편이다.[D]
2115 1.7 신내차고지로 들어갈 때 바로 들어갈 것을 신내3지구를 찍고 나서 간다.
2211 1.95 장안동 일대에 큰 "み"자 굴곡이 있다. 그 구간에서는 양방향 편도운행 방식으로 운행하므로 운전석 앞 행선판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2212 2.13 봉화산역에서 서일대로 갈 때 양원리와 중랑역을 찍고 나서 간다.
2224 2.06 "강변역 - 이마트 성수점" 구간의 선형은 좋은 편이나, 그 이후 구간의 굴곡은 매우 심하다. 이게 어느 정도라면, 이마트 성수점에서 이 버스를 놓쳤을 때, 이마트 성수점에서 간단히 장 본 다음 걸어가서 서울숲지구대앞 정류장에서 놓친 버스를 잡을 수 있을 정도.
2227 2.14 용마산역에서 북부병원으로 갈 때 서일대학교를 경유하고 바로 가는 것이 아닌, 사가정역, 장안시장, 면목역으로 돌아가서 간다. 또한 신내동 구간도 굴곡이 심한 편.
2230 2.58 2013년 9월 26일 이후로 경유지가 사가정역에서 상봉역, 중랑구청, 상봉터미널, 서일대, 사가정역 순으로 변경되어 사실상 준 굴곡 노선이 되었다. 2311번과 기점교체를 한 결과 둘 다 굴곡노선이 되었다.
2233 2.44 2112번보다 장안동 구간의 굴곡이 더 심하다.
2236 3.31 본격 중랑구 마을버스. 애초에 통합 이전 두 노선(2234번, 2235번)의 태생이 중랑구 마을버스이긴 했지만, 신내역에서 망우역까지 경춘선 전철로 4분 거리를 빙빙 돌고 봉화산역, 신내동, 양원역을 찍고 망우역으로 들어간다. 그마저도 많이 줄어든 것으로, 2023년 6월 29일까지는 신내3지구 구간 굴곡도 있었다.
2312 1.88 중랑구청사거리에서 사가정역 구간을 돌아서 간다. 게다가 상봉역에서 사가정역 돌아가는 것도 포함한다. 강동구 구간인 명일역에서 강동공영차고지 갈때 중앙보훈병원역 찍고 간다. 대신 사가정역~명일역 구간은 구리암사대교 덕분에 그 구간은 빠르다!
2412 1.5 성수동 구간의 굴곡은 2224번, 2413번보다는 낫지만 그래도 조금 심하다.
2413 1.61 기종점인 성수동 일대에서 우회가 심하다. 차고지에서 바로 강남으로 가지 않고, 북서쪽으로 서울숲역과 뚝섬역을 찍고서, 한강을 넘기 위해서 동남쪽으로 향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굴곡이 발생한다. 2224번, 2413번과 마찬가지로 이마트 성수점에서 이 노선의 버스를 놓쳤을 때 이마트 성수점에서 간단히 장 본 다음 걸어가서 서울숲지구대앞 정류장에서 놓친 버스를 잡을 수 있다.
2415 1.76 "삼성역 - 포스코센터" 구간을 테헤란로로 바로 가지 않고, 봉은사역, 청담역, 삼성중앙역으로 크게 우회한다.

2.2. 3~5권역

<rowcolor=#fff> 노선 굴곡도 설명
3217 2.01 건대입구역 - 가락시장역까지 잘 가다가 "가락시장역 - 복정역" 구간을 송파대로가 아닌 위례신도시 뿐만 아니라 마천동, 거여동을 경유하면서 생긴 굴곡이 상당하다. 이는 원래 기점이 거여동이였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 이 외에도 잠실역~어린이대공원역을 삼성동을 경유하는 약간의 굴곡도 있다.
3314 1.9 잠실119안전센터 - 삼전사거리 구간에서 갑자기 잠실동을 크게 돌고 간다. 또한 위례신도시의 굴곡도 있다. 오금역, 방이동에서 종합운동장으로 가려면 3417번 버스를 타자.
3315 2.63 "거여역 - 개롱역" 구간은 5호선이나 3217번, 3313번으로 빠르게 갈 수 있으나, 이 노선은 마천동 일대를 들쑤시고 간다. 이는 원래 기점이 마천동이였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 또한 "송파나루역 - 삼전역" 구간에도 굴곡이 있다. 장지공영차고지 연장 전에는 굴곡이 적었는데, 장지공영차고지 연장 이후로 커졌다.
3318 2.49 미사지구 - 파크데일아파트를 잇는 노선이지만 선형이 U자로 굽어있어서 굴곡도가 꽤 크다. 잠실역 기준으로 2개의 노선이 한번에 운행한다고 보면 될 듯.
3319 2.02 문정동에서 가락시장을 찍고 잠실을 가는 노선이지만, 가락시장에서 페이크다 이 병신들아를 외치며, 우회전을 하더니, 방이동, 한체대, 강동구청을 찍고 잠실로 내려온다. 5정거장, 10분 내외로 걸리는 거리를 30분 이상 걸려서 이동하는 일이 생길 수 있다.
3321 1.63 "한영외고 - 고덕리엔파크 1단지" 구간에 ㄹ자 굴곡이 있다.
3322 1.66 문정역에서 송파역 갈때 오금동 찍고 돌아간다. 송파역에서 잠실새내역 구간에서는 삼전동 투어를 한다.
3323 1.57 상일동, 미사지구 아파트단지를 커버하기 위해 길쭉한 P자 굴곡이 있다.
3412 1.51 상일동역에서 잠실역으로 갈 때 고덕아이파크와 잠실역을 거쳐서 돌아서 가며, 삼성역에서 신논현역으로 갈 때 선정릉역과 강남역을 지그재그로 돌아서[12] 간다.
3413 1.61 "올림픽공원역 - 가락시장역" 구간의 굴곡이 심하다. 양재대로로 한 번에 갈 것을 송파역, 잠실역, 한성백제역으로 돌아서 간다.
3414 2.56 작게는 송파레미니스 - 방이동고분군 구간. 오금공원, 방이역, 방이초등학교로 돌아가는 것 부터 시작해 크게는 오금동에서 수서역을 거쳐 개포동으로 가야하는 것을 잠실역, 강남구청을 거쳐서 가서 생긴 굴곡이 크다.
3416 1.67 다른 버스들이 지나가지 않는 골목길 수요를 커버하기 위해 나름 굴곡이 있는 편.
3422 2.07 위례신도시 구간을 2번 왕복하느라 굴곡도가 크게 나왔다. 그래도 "위례포레샤인 - 한티역" 구간의 굴곡도는 1.43으로 그렇게 심하지는 않다.
3426 1.79 401번 타면 20분 걸리는 일원동 - 청담역을 50분이나 걸려서 간다. 애초에 지선버스니 그렇다 쳐도, 수도공고, 경기여고 연계라던가 대치동 연계를 위해서 ㄹ자로 돌고서 청담동으로 간다.
4312 4.21 개포동 - 가락동(헬리오시티) 간 노선으로 기종점만 보면 가까워보이나 실제로는 강남역, 압구정동, 선릉역 등을 경유하기 위해 크게 n자 굴곡이 형성되어 있는 강남구 시티투어 노선이다. 지하철역 두정거장 갈 곳을 압구정 찍고 돌아간다.
4318 1.5 삼성역-대치동-아시아선수촌아파트-잠실새내역-새마을시장앞-잠실역-잠실나루역-서울아산병원을 돌아서 간다. 서울아산병원 골목길 구간이 너무 심하므로 저상버스 투입 불가능이었으나, 방배동 차량만 저상이 들어왔다. 풍납동차고지 소속 차량들은 풍납동차고지 방지턱 문제 때문에 저상투입이 불가능이다.
4425 1.54 성남시에서 삼성역 갈려고 이 노선 타다가는 세곡동 투어를 경험할 수 있다. "복정역 - 일원역" 구간을 ㄹ자로 휩쓸고 다니기 때문.
4432 1.68 코트라 - 래미안 블레스티지 구간을 양재대로로 바로 가는 것이 아닌, 양재역, 한티역으로 돌아서 간다. 노선 선형이 7자를 뒤집힌 형태이기도 하다.
4433 2.07 대치역 - 매봉역 구간은 지하철 3호선으로 두 정거장 만에 갈 수 있지만, 이 노선은 경기여고, 개포 래미안 포레스트, 삼호물산빌딩, 카이스트 도곡캠퍼스로 돌아간다.
4435 2.14 우면동의 아파트단지를 커버하기 위해 남부순환로를 안 타고 아래쪽인 우면동으로 돌아서 간다.
5012 2.04 가산동에서 남부순환로를 따라 서북쪽으로 가다가 신월동에서 90도에 가깝게 드리프트해서 동쪽을 향한다. 5호선과 거의 비슷한 노선과 선형으로 여의도까지 간다. 여의도에서 또 ㄹ자를 그리고 나서 원효대교를 건너서 용산전자상가 주변을 거쳐서 용산역에서 회차한다. 복편도 왕편과 동일.
5511 1.92 원래 굴곡이 심한 노선은 아니었지만, 차고지 연장으로 인해 굴곡도가 꽤 올라갔다.
5517 2.74 중앙대에서 회차하지만, 중문과 후문은 거치지 않는데다가, 노량진까지 경유하면서 꽤 돌기 때문에, 상도역 및 그 이남에서는 5511번, 동작01번, 동작21번을 타는 것이 낫다. 심지어 서울대에서 상도동으로 갈 때도 시흥2동 벽산아파트까지 찍고 나서야 간다.
5524 1.9 은천삼거리/서울대입구역 - 중앙대학교병원 구간. 동쪽의 동작대로(사당역-이수역-동작역) 라인으로 크게 돌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저 코스는 5511이 봉천고개, 숭실대, 상도래미안아파트 등을 관통해서 직선에 가깝게 가기 때문에 훨씬 빠르다.
5528 1.75 관악구 구간의 굴곡도 만만치 않지만, 기점부의 굴곡이 노선도를 자세히 봐도 헷갈릴 정도로 너무 복잡하다. 이는 남부순환로의 구로IC, 가산디지털단지 내부 도로, 구일섬 문제가 좁은 곳에 한꺼번에 얽혀있기 때문이다. 물론 그만큼 해당지역 직장인들에겐 편해서, 도림천 안쪽 직장인들은 이 노선을 꽤 애용하는 편.
5530 1.51 군포에서 사당역으로 갈 때, 540번과 달리 금천구, 관악구로 돌아서 간다.
5611 2.22 가산디지털단지역에서 대림동우성아파트로 갈 때 구로역과 신도림역으로 돌아서 간다.
5615 1.54 난곡에서 여의도로 갈 때 가리봉동, 구로동을 거쳐 크게 C자를 그리면서 간다.
5616 3.36 서울시내버스의 레전드급 굴곡 노선. 여러 곳에 굴곡이 존재하는데다가 회차반경, 상하행 문제까지 겹쳐 있다. 이 버스를 탈 때는 정말 주의해야 한다. 이런 괴이한 노선 덕분에 서울시 시민제안란에 5616 노선을 분리해달라는 청원까지 올라왔다.
5627 2.05 이곳저곳에서 확실한 굴곡이 있고 소하동에서 구로디지털단지역으로 갈 때 독산로 투어를 하고 간다. 따라서 간선버스[13]를 타자.
5630 1.52 광명시 하안동 일대 하안동 아파트단지를 남쪽으로 ㄷ자를 훑고 나서 금천교를 통해 서울로 나간다.
5633 1.87 시흥사거리-박미삼거리-독산로-모두의학교(KT구로지사)-시흥IC-시흥대로 구간에 굴곡이 있다. 이 외에도 광명시금천구 일대에서 굴곡 구간이 있다.[14]
5712 2.01 남구로역에서 합정역, 홍대입구역으로 갈때 신도림역과 당산역을 거치지 않고 양천구, 강서구로 돌아서 간다. 그리고 까치산역에서 화곡역 갈때 화곡터널로 바로 가지 않고 화곡대림아파트로 돌아서 간다.

2.3. 6~7권역

<rowcolor=#fff> 노선 굴곡도 설명
6512 2.34 구로동(남구로역, 고대구로병원)에서 난곡입구, 신림동, 서울대 갈때 경인로와 신길로를 찍고 돌아간다. 심지어 지하철역 한 정거장 되는 거리인 보성운수차고지(대림역 근처)~신풍역/구로디지털단지역을 영등포 찍고 돌아간다.
6514 2.33 영등포시장역/영등포로터리와 신정네거리역을 오갈 때, 양평동, 당산역, 염창동, 등촌동, 화곡역으로 꽤 돌아간다. 종점부에도 약간의 굴곡이 있다.
6515 1.93 양천차고지부터 영등포까지는 잘 가다가 대방역에서 신대방삼거리역으로 바로 가지 않고 노량진수산시장, 장승배기를 거쳐서 돌아가고, 신림역에서 호암로로 바로 가지 않고 서울대입구역과 서울대학교를 거쳐서 돌아간다. 서울대입구역에서 좌회전이 안 돼 낙성대까지 갔다가 유턴해서 돌아오는 건 덤이다. 5520번과 5614번을 통합하여 이 노선을 만들다보니, 이런 선형이 나온 것이다.
6516 2.44 문래동에서의 P턴 굴곡은 물론이요, 당곡사거리에서 은천동 현대시장 일대를 들어갔다가 거기로 돌아온다. 이 외에도 노선이 크게 굴곡져 있고, 같은 정류장에 서는데 다른 방향으로 가는 경우도 여러 곳 있어서 매우 주의가 필요하다. 5526번, 5612번, 6618번을 통합하여 이 노선을 만들다보니, 이런 선형이 나온 것이다.
6613 2.27 차고지 인근 지역에서 고척동으로 바로 가지 않고 온수동 일대에서만 유턴을 2번이나 한다.
6614 2.14 양천공영차고지에서 부천시 옥길동으로 갈 때, 신정이펜하우스-신정동-목동-양천구청역으로 빙 돈다.
6615 2.02 "수궁동 - 천왕역" 구간에서 오리로로 바로 가지 않고 온수역, 항동지구로 돌아간다.
6616 2.54 유턴만 세 번 하는 기이한 노선. 본선 - 오류고 - 정진학교 - 온수역 - 정진학교 - 오류고 - 본선으로 다니는데, 종점부의 운행루트가 복잡하다. 2004년 개편 전 철산동-온수동 구간을 운행하는 121-1번과 철산동-수궁동 구간을 운행하던 121-3번과 통합으로 인한 굴곡이다.
6617 2.44 신정동 전 지역을 모두 휩쓸고 간다.
6620 1.59 목동신시가지 일대에서 굴곡이 심하다.
6623 1.64 목동신시가지에서 여의도로 이동 시 오목로, 영등포로 또는 경인로로 빠르게 갈 수 있으나 이 노선은 목동시장, 등촌역, 선유도역으로 우회해서 간다. 여의도로 빠르게 가고 싶다면 5012번, 6628번, 5호선을 타거나 571번, 5630번을 타고 구로역에서 환승하거나 6640A번을 타고 영등포역에서 환승하자.[15]
6624 1.72 양천구 시티투어 버스. 굴곡도는 생각보다 크지 않으나, 골목길을 많이 경유하고 편도구간이 많아서 노선이 복잡하다. [D]
6625 2.23 목동 아랫단지와 양천구청, 양천공원, 양천세무서 일대의 U자 구간에 굴곡이 심하고, 문래역 구간에도 굴곡이 조금 있다. 단 문래역 구간은 기종점 근처라 큰 의미는 없다.
6627 2.15 C자 노선으로, 신정동 - 목동 구간은 국회대로 또는 신정로로 빠르게 갈 수 있으나, 이 노선은 양서중학교, 화곡역, 강서구청역, 가양역, 신목동역으로 크게 돌아서 간다.
6629 1.91 발산역 - 목동역 구간에 S자 굴곡이 존재한다. 그렇다고 해서 굴곡 구간이 사실상 이 노선의 밥줄이기 때문에 섣불리 건드릴 수도 없다. 발산역~목동역 구간은 654번이나 5호선이 더 빠르다.
6630 1.81 강서구 구간에 P자 굴곡이 있고, 그 과정에서 발산역을 두번 찍는다. 또 화곡역에서 까치산역 갈때 화곡터널로 바로 가지 않고 백구사 찍고 돌아간다.
6632 1.5 김포공항에서 공항대로를 통해 발산역으로 바로 가는 것이 아닌 마곡수명산파크를 거쳐서 가고, 발산동 - 강서구청 구간에서 등촌주공 일대를 훍고 간다. 이 구간은 공항대로 전 구간을 경유하는 601번, 605번, 60번, 60-3번, 88번이 더 빠르다.
6633 ? 개화역에서 여의도를 가는데 목동, 신길동을 경유한다. 게다가 굉장히 기이한 형태로 구석구석을 거치기 때문에 굴곡이 다소 존재한다. 신풍역 방향은 영등포역으로 들어갔다가 나온다. [D]
6637 1.57 노온사동에서 영등포까지 잘 가다가 뜬금없이 영등포구청, 목동신시가지로 돌아간다.
6638 2.39 작게는 철산역 이북의 주공아파트 구간에서 굴곡이 다소 있고, 크게는 개형이 철산동 북부와 목동을 잇는 형태인데도, 기종점 격인 세풍운수 차고지 바로 옆의 안양천로의 광명고가와 고척지하터널로 광명과 오갈 법 한데 그러지 않고 철산역-광명사거리역-개봉역을 통해 뺑 돈다. 애초에 오금교 기준 목동 쪽 교차로 이남의 안양천로 구간을 지나는 버스가 아직 전혀 없다.
6640A,B 2.00 서울 양천/구로/영등포를 순환하는 노선이다. 순환노선임을 감안하면 굴곡이 없는 편이다.
6642 2.15 가양동, 우장산동, 화곡동, 마곡동, 방화동 등 강서구 전역을 경유하는 강서구 시티투어 버스. 특히 가양동 구간은 선형이 꽤 난해하다.[D]
6645 1.9 6642번과 같이 가양동, 우장산동, 화곡동, 마곡동, 방화동 등 강서구 전역을 경유하는 강서구 시티투어 버스. 그나마 마곡동 구간의 굴곡은 6642번보다는 적은 편. [D]
6647 2.86 방화동 구간. 잘 가는 듯 하다가 갑자기 마곡동으로 가버린다.[D]
6713 1.88 신도림역에서 여의도로 갈 때 경인로로 바로 가지 않고 신풍역, 공군회관으로 크게 돌아간다. 또한 기점 부분에서도 약간의 굴곡이 존재한다.
6715 1.84 신월동-신정역-목동역-등촌역-강서구청사거리 구간 굴곡 존재
6716 1.86 노선 선형은 분명히 직선이나, 온수동 구간을 두 번 지나는 바람에 굴곡도가 높게 나왔다.
7013 1.74 가좌역 - 충정로역 구간에서 성산로 - 신촌로로 바로 가지 않고 합정역, 마포역으로 돌아서 간다.
7016 2.83 상암동, 홍대에서 광화문, 상명대 간다고 이 노선을 타면 용산구로 돌아가서 오래 걸린다. 은평차고지에서 상명대까지 1시간 40분정도 걸린다.
7017 1.61 이 노선도 은근 굴곡이 있다. 은평차고지에서 이대역 갈때 새절역, 명지대, 서대문구청 찍고간다.
7018 1.58 "서대문구 보건소 - 경복궁역" 구간. 모래내로, 통일로로 거쳐 가지 않고 상명대, 경기상고로 돌아서 간다.
7019 1.86 대림시장에서 은가어린이공원을 거쳐 다시 대림시장으로 나오는 응암3동과 북가좌동의 골목길 투어 구간. 명지대에서 녹번역 갈때 구. 150번 종점을 기본으로 찍고 간다.
7022 1.68 은평구의 기/종점(선진운수 차고지) 근처에서 남쪽의 응암역으로 V자 굴곡이 있다.
7024 1.64 왕편이 봉원사 -> 서울역으로 단순한 데 반해 복편이 서울역 -> 봉원사 -> 신촌 -> 봉원사 코스로 훨씬 길고, 시종점을 세 번 찍는 등 상당히 복잡한 노선이다. 따라서 인가상 기종점으로 굴곡도 측정 시 굴곡 노선 조건에 적합하다.
7212 1.85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이북5도청, 금호동 구간. 본래 DMC 셔틀버스인 구 7740과 구 0212번을 차고지 문제로 통합해서 생긴 노선. 이북5도청은 원래 자르려다가 유지된 것이다.
7611 1.76 디지털미디어시티역에서 가좌역, 신촌역 이동 시에 수색로로 바로 가지 않고, 새절역, 명지대 찍고 돌아간다. 버스로 수색에서 가좌역, 신촌으로 빨리 가려면 75번, 82번, 270번, 470번[A], 700번[A], 740번, 750번[A], 7727번을 타는 것이 더 빠르다.[24]
7613 1.5 기/종점 근처에서 선형이 북쪽의 갈현중앙시장, 연신내역 방향으로 역V자의 굴곡이 있다. 기/종점인 선진운수 차고지는 동서방향의 서오릉로를 두고 구산역과 불과 700m 정도의 한 블럭 거리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753번과 같은 사유로, 원래 갈현동성당 인근이 종점이었을 시절에는 굴곡노선은 아니었으나, 차고지 변경 때문에 굴곡노선이 된 케이스.
7713 3.06 서대문구청에서 신촌역 사이의 거리는 그리 긴 편이 아니지만, 이 노선은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북가좌초등학교, 가좌역, 연세대까지 거쳐서야 간다.
7715 1.9 덕은교 - 수색역 간 거리는 1.5km도 안되지만, 이 노선을 타면 수색로로 바로 가지 않고 상암동 투어를 하기 때문에 6km나 넘게 타야 된다.
7719 1.68 녹번동에서 응암역까지 잘 가다가, 갑자기 150번 종점 찍고 나서 북가좌2동 주민센터로 간다.
7720 1.64 구산역 - 불광역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데도 연신내역, 은평뉴타운, 독바위역으로 돌아간다.
7723 3.6 기종점에서 나온 지 얼마 안 된 은평뉴타운 북쪽의 북한산로 구간에서 불과 200m 상림마을 안쪽으로 들어간 진관4로 구간이 회차지점이다.
7726 2.74 덕은동 신촌교통 차고지에서 모래내 수색, 디지털미디어시티역, 가좌역 간다면 740번이나 750A번을 타는 것이 낫다. 이 노선 또한 7725와 통합으로 현천동, 항공대학교 교내까지 돌아가는 굴곡노선으로 되었다.

3. 마을버스

<rowcolor=#fff> 노선 굴곡도 설명
종로01 2.33 정독도서관에서 가회동주민센터 사이의 거리가 매우 가까운데도 인사미술공간, 중앙고등학교로 우회한다.
성동02 2.08 응봉동, 행당2동, 금호1가동 일대의 골목길이란 골목길은 다 들쑤시고 간다.
성동05 2.26 응봉근린공원에서 약수역으로 가는 가까운 최적 루트를 버리고
금호아파트, 금호역으로 돌아간다. 그러나 이 노선의 상당부분이 단독구간이기 때문에 참작의 여지가 있다.
광진01 {{{#ff0000 11.4 광장동에서 출발해 광장동에서 회차하는 노선(...) 그냥 조금 더 연장시켜서 순환노선으로... 기종점간 거리가 고작 500m인데 강변역 찍고 다른 선형으로 가는 방식이다.
광진05 2.05 제일은행사거리에서 오히려 꺾어서 건국대학교입구 찍고 간다.
동대문02 2.26 회기역으로 가는 도중 시조사삼거리를 거치거나 이문삼성래미안을 양방향 경유하는 등 동사동대문01번과 비해 확연하게 굴곡이 심하다.
성북10-1 2.18 장위중학교에서 미아사거리 사이의 거리는 비교적 가까운 편이지만 이 노선을 타면 월곡1동까지 내려오고 다시 올라가서 가게 된다.
노원15 2.18 서울시 마을버스 노선 길이 1위. 길이도 길이지만 기종점 거리가 6km밖에 안된다.
서대문02(대) 2.43 경기대학교에서 독립문극동아파트로 갈려고 이 노선 탔다가는... 충현동 투어를 경험할 수 있다.
마포01 3.39 마포역-공덕역 동쪽의 도화동을 옆으로 기울어진 U자처럼 감싸는 선형의 노선으로서, U자의 양 끝인 기종점과 회차점은 800여m 정도밖에 떨어져있지 않다. 재밌게도 이 양 끝은 둘 다 용산구다.(...) 용산구 전체로는 서쪽 끝이기는 하지만.
강서01 2.58 노선 자체에는 굴곡이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화곡초교-화곡유치원 구간을 오갈때 화곡본동시장, 화곡역을 거쳐서 돌아간다. 이 구간에서 약수터/등촌역 양 방향 같은 정류장에 정차한다.
강서03 5.00 상술한 01번처럼 순환 노선이라고 해서 굴곡의 마수를 피해 갈 수는 없다. 실질적인 기종점은 까치산역으로, 엄청난 굴곡도를 자랑한다.
강서05 3.07 발산역에서 명덕고등학교까지의 거리가 700m밖에 안됨에도, 이 노선은 등촌주공, 경복비즈니스고등학교, 우장산역까지 다 돌고 나서야 간다. 차라리 걸어가거나 06번, 6630번을 타자.
강서07 2.32 방화동 구간에 굴곡이 다소 있다. 05-1번을 제외한 강서구 마을버스 홀수노선들은 모두 순위에 등재되었다. 이 중 강서07번이 가장 덜한 편.
구로08 2.39 오류동역에서 개봉역으로 갈 때 경인로로 바로 가지 않고 개봉1동, 오류1동을 거쳐서 간다. 다만 경인로 경유로 바뀌면 쓸모 없는 노선이 되기 때문에[25] 바꿀 수 없는 굴곡이다.
영등포05 2.28 당산역 - 영등포역 구간을 양평역, 문래힐스테이트로 돌아서 간다.
동작10 2.07 상도, 흑석동에서의 굴곡이 마을버스라는 점을 감안해도 심하다.
동작17 2.9 사당 우성아파트 - 이수힐스테이트 간 직선거리는 얼마 안되지만 이수역, 경문고등학교를 돌아서 간다.
서초13 3.11 기종점간 거리는 2km 정도 밖에 안되지만, 이 노선을 타면 이 거리의 4배인 8km를 가야된다.

4. 투어버스

<rowcolor=#fff> 노선 굴곡도 설명
TOUR01 96.9 절대 오타가 아니다. 기종점간 거리는 300m정도다. 그러나 이 노선이 이동 목적이 아닌 관광 목적이기 때문에 엄청난 굴곡도는 큰 의미가 없다. 어차피 다른 교통수단과 환승할인도 불가능하며 일반 승객이 이 노선을 이용할 일이 없다.


[1] 그나마 강북 구간은 선형이 나은 편이다.[2] 다만 성수대교가 막히면 420번과 소요시간이 비슷해지거나 오히려 420번이 더 빠를 수도 있다.[3] 해당 지역에서 금천구, 경기도 안양시와 거리가 상당히 가깝다.[4] 그래서 신길교통 부천영업소 노선 중 부천시에서 구로구로 서울에 진입하는 노선은 단 하나도 없다.[5] 그래서 이대부고까지 가는 673번보다 인가된 왕복 운행거리가 2km 더 긴데다가 전체 정류장 개수가 62km 장거리 노선인 606번과 동일한 125개다.[6] 왕복으로 무정차 구간이 무려 15km나 된다.[7] 중계본동종점 - 수락리버시티 기준[8] 월계동차고지 - 고려대 기준[9] 석계역 방향[D] 얘는 애초에 태생이 마을버스여서 어쩔 수 없긴 했다.[D] [12] 역방향의 경우 학동역을 거쳐 돌아서[13] 150, 505[14] 그래서 505번과 왕복 운행거리가 1.4km 짧음에도 불구하고 전 구간 운행소요시간이 505번보다 더 많이 걸린다.[15] 차고지 인근인 서부트럭터미널 사거리에서는 662번을 타는 것이 훨씬 빠르다.[D] [D] [D] [D] [D] [A] 연세대앞 정류장 정차[A] [A] [24] 단 75번과 82번은 배차간격이 긴 편이니 주의.[25] 지하철 1개 역간 거리이다. 또한 오류동으로 갈 수 있는 버스도 많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7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7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