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6 23:48:21

서울 버스 6629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5bb02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6권역 지선버스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6211 6411 6511 6512 6514
6515 6516 6613 6614 6615
6616 6617 6620 6623 6624
6625 6627 6628 6629 6630
6631 6632 6633 6637 6638
6640 6642 6645 6647 6648
6657 6712 6713 6714 6715
6716
[[틀:서울 0권역 지선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12px"
}}}}}}}}} ||
파일:서울6629AJS.jpg 파일:SU6629.ED.jp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노선4.2.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개요

김포교통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4.4km다.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629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6629 노선도.png
기점 [출발]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동(방화7단지.국립국어원)
[도착]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동(방화3동주민센터.국립국어원)
종점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1가(영등포역)
종점
첫차 04:30 기점
첫차 06:00
막차 22:40 막차 00:10
평일배차 8~13분 주말배차 토요일 9~14분 / 공휴일 10~15분
운수사명 김포교통 인가대수 24대(예비 1대)[1]
노선 국립국어원 - 방화역 - 공항시장역 - 김포공항 - 송정역 - 마곡역 - 발산역(이대서울병원) - 우장산역 - 화곡역 - 우장초등학교 - 강서구청.한국건강관리협회 - 등촌중학교 - 목동역.홍익병원 - 오목교역.동신한방병원 - 김안과병원 → 영등포역 → 영등포로터리 → 영등포시장 → 김안과병원 → 이후 역순
*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정차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 해야한다.

3. 역사

  • 구 22번 도시형버스(방화동 - 영등포역) 노선이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만 6629번으로 변경되었다.
  • 2019년 7월 1일을 기해 본래 22:50이던 기점 막차시각이 22:40으로 10분 앞당겨졌으며, 토요일/공휴일의 대당 일 운행횟수도 감축되면서 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각각 4회씩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폭은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관련 공문
  • 2020년 3월 20일을 기해 영등포로터리 방향 운행 시 '마곡동로사거리(중)(ID 16-022)' 정류소에 정차하지 않고 '이대서울병원(ID 16-388)' 정류소에 정차하게 되었다.관련 공문
  • 영등포로터리 구조개선사업 및 신안산선 복선전철 민간투자사업 건설공사로 인하여 2021년 6월부터 신길역 앞에서 U턴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단 신길역은 정차하지 않는다
  • 2021년 12월 1일부터 평일/토요일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각각 190분/185분에서 195분으로 늘었다. 모든 요일의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 횟수도 감축되었고,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1일 총 운행 횟수도 113/103/95회에서 109/99/91회로 감회되었다. 이번 운행 계통 변경에 의해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배차간격도 7~15분/8~15분/8~15분에서 8~13분/9~14분/10~15분으로 조정되었다.관련 공문
  • 2022년 3월 18일 강서세무서 중앙차로 정류장에 추가로 정차한다.

4. 특징

  • 김포국제공항은 양방향 모두 '롯데몰 - 국제선 - 한국공항공사 - 국내선' 순으로 운행하기 때문에 전면의 방향판이나 전광판을 잘 보고 타면 된다.
    저상버스 기준

    방화3동주민센터.국립국어원 방향 영등포역 방향

    6629 방화동방향 6629 영등포역방향

    고상버스 기준

    방화3동주민센터.국립국어원 방향 영등포역 방향

    방화역 영등포역
    (목동오거리)
  • 발산역사거리-명덕고-우장산역-화곡역-강서구청-강서구청입구교차로로 다니는 굴곡 노선이다. 발산역에서 영일고까지만 해도 1시간 가까이 걸리고, 막히면 1시간 반은 찍는다. 화곡역~김안과병원( ← 영등포로터리)구간은 650번과 겹치며, 목동역~강서구청사거리까지 654번과 겹치고 654번은 공항대로를 쭉 직진하므로 공항시장-영일고를 25분 내외로 주파하는 반면 이 노선은 40분~1시간이 소요된다.
  • 주 수요구간은 '화곡역 - 명덕고등학교'으로 등하교시간에는 미어터진다. 화곡역 - 송정역을 거의 그대로 따라가며 단거리 수요도 많다. 개편 전에는 '등촌역 - 발산역'까지 단독 구간이었기에 통학생과 강서구청 방문인 등 수요를 자랑했다. 이 노선의 장거리 수요는 저녁/막차시간대 양천구 구간과 영등포역에서 나온다.
  • 기점이 변경된 것을 제외하면, 노선 변경이 한 번도 없었다.
  • 선형에 굴곡이 있다보니 목동에서 김포공항으로 가려면 한 번 갈아타거나 목동역에서 지하철을 이용해야 했다. 5호선이 없던 1995년까지는 더 불편했다. 공항로를 따라 직선화 해달라는 민원이 예전부터 있었지만, 그러면 굴곡 구간인 우장산동 주민들이 직격탄을 맞는다. 이런 민원들은 환승할인 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사라졌다.

4.1. 노선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629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영등포로터리
19106
<colcolor=#fff> <colcolor=#fff> 영등포역
19114
영등포시장
19105
경방타임스퀘어.신세계백화점
19117
이상 회차 구간
김안과병원
19119
김안과병원
19118
당산동진로아파트
19162
당산동진로아파트
19163
양남사거리
19165
영등포교보생명
19166
양평1동주민센터
19202
양평신동아아파트
19203
관악고등학교
19205
관악고등학교
19204
오목교역.동신한방병원
15168
오목교역.동신한방병원
15173
오목교역1번출구.대학빌딩
15167
오목교역8번출구.대학빌딩
15264
목동7단지.종로학원
15166
목동7단지
15265
목동역3번출구.홍익병원
15160
목동역.홍익병원
15284
홍익병원목동관
15101
목동사거리
16179
목동사거리
15111
-
영도중.강서고입구.기아양서대리점
15112
용문사.시립화곡청소년센터
16177
목동시장.대일고교.배광교회
15113
대일고교.임광아파트.배광교회
16176
목동성원아파트
15126
등촌2동주민센터.등촌동대림아파트
16175
목3동주민센터.현대아이파크.실로암안과
15127
아이파크아파트.백석중학교.실로암안과
16174
등촌역6번출구.목동깨비시장
15128
영일고등학교.강서도서관
16173
등촌중학교.백석초등학교
16005
등촌중학교.한국임업진흥원
16104
강서구청사거리.서울디지털대학교
16007
하이웨이주유소.강서대학교
16106
강서구청.한국건강관리협회
16140
강서구청.한국건강관리협회
16139
우장초등학교
16141
우장초등학교
16142
한국폴리텍1.서울강서대학교
16144
한국폴리텍1.서울강서대학교
16143
화곡본동시장
16145
화곡본동시장
16146
화곡역1번출구
16207
화곡역8번출구
16208
대원시장
16209
대원시장
16210
화곡중고등학교
16212
화곡중고등학교
16211
우장산역1번출구
16213
우장산역4번출구
16214
명덕고등학교.서울스타병원
16215
명덕고등학교.서울스타병원
16216
발산역.우장산힐스테이트
16217
발산역.우장산힐스테이트
16218
마곡동로사거리
16021
이대서울병원
16388
마곡역
16018
마곡역
16019
강서세무서
16024
강서세무서
16023
공항중학교.마곡엠밸리9.10단지
16020
공항중학교.마곡엠밸리9.10단지
16016
송정역
16015
송정역
16014
롯데몰.김포공항역
16451
-
김포공항국제선
16391
김포공항국내선(6번)
16389
한국공항공사
16411
한국공항공사
16410
김포공항국내선(2번)
16390
김포공항국제선
16391
- 롯데몰.김포공항역
16451
공항시장
16118
공항시장
16119
공항시장역3번출구
16120
공항시장역.공항성산교회
16121
방화주유소
16122
방화2동청성아파트앞
16123
방신전통시장입구
16124
마곡우촌아파트
16125
방신전통시장정문.방화사거리
16126
방신전통시장정문.방화사거리
16127
방화동동부센트레빌
16283
방화동동부센트레빌
16284
방화1.2단지아파트
16304
강서공업고등학교
16303
방화역2번출구
16130
방화역3번출구
16131
방화3동주민센터.국립국어원 · 방화7단지.국립국어원
16132 · 16133
}}}}}}}}} ||

4.2.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629번
<rowcolor=#fff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14,877명 -
2014년 14,540명 ▽ 337
2015년 13,836명 ▽ 704
2016년 13,329명 ▽ 507
2017년 12,746명 ▽ 583
2018년 11,917명 ▽ 829
2019년 11,506명 ▽ 411
2020년 8,841명 ▽ 2,665
2021년 8,779명 ▽ 62
2022년 9,416명 △ 637
2023년 9,881명 △ 465
2024년 10,139명 △ 258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한국공항공사 세로형 로고.svg 김포국제공항 경유 시내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lcolor=#fff> 공항버스
서울시내
인천광역시
<colbgcolor=#802224> 부천시
기타 경기도
}}}}}} ||
인천 · 김포 · 제주 · 김해 · 대구 · 청주 · 무안 · 광주 · 양양 · 울산 · 여수 · 포항경주 · 군산 · 원주




[1] 토요일 21대 / 공휴일 19대 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