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5bb025> | }}} |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투어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 6211 | 6411 | 6511 | 6512 | 6514 |
6515 | 6516 | 6613 | 6614 | 6615 | |
6616 | 6617 | 6620 | 6623 | 6624 | |
6625 | 6627 | 6628 | 6629 | 6630 | |
6631 | 6632 | 6633 | 6637 | 6638 | |
6640 | 6642 | 6645 | 6647 | 6648 | |
6657 | 6712 | 6713 | 6714 | 6715 | |
6716 | |||||
[[틀:서울 0권역 지선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12px" |
| |
1. 개요
공항버스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38.2km다.전체 정류소 목록2. 노선 정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기점 |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개화역광역환승센터) | 종점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3가(영등포로터리) | ||||
종점 행 | 첫차 | 04:20 | 기점 행 | 첫차 | 05:20 | ||
막차 | 22:50 | 막차 | 23:45 | ||||
평일배차 | 6~10분 | 주말배차 | 토요일 7~13분 / 공휴일 8~14분 | ||||
운수사명 | 공항버스 | 인가대수 | 26대(예비 1대)[1] | ||||
노선 | 개화역광역환승센터 - 개화산역 - 마곡우촌아파트 - 공항시장역 - 송정역 - 공항중학교 - 신방화역 - 서남환경공원 - 마곡실내배드민턴장 - 양천향교역 - 가양2단지 - 허준박물관 - 가양9단지.세현고등학교 - 염창동새마을금고 - 양평한신아파트.선유도공원입구 - 당산역 - 영등포구청 - 김안과병원 → 영등포시장 → 경방타임스퀘어.신세계백화점 → 김안과병원 → 이후 역순 |
3. 역사
- 구 125번 도시형버스(방화동 - 영등포역) 노선이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공항시장, 개화산역 경유에서 송정역, 공항시장 경유로 변경했고, 번호도 6631번으로 변경했다.
- 2007년 8월 1일에 '방화동 - 송정역 - 공항시장' 구간을 단축했다. 관련 공지사항
- 2007년 9월 15일에 기존 노선으로 환원했다.
- 2009년 4월 27일에 '방화동 - 강서공영차고지' 구간을 연장했다. 관련 공지사항
- 2019년 7월 1일을 기해 토요일/공휴일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4회/3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같은 날부터 이와 동시에 본래 각각 7~8분/7~10분이던 평일/토요일의 배차간격도 6~8분/8~9분으로 조정되었다.관련 공문
- 2021년 1월 18일을 기해 평일/공휴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4회/7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평일 최소 배차간격도 6분에서 7분으로 늘었다.관련 공문
- 2021년 11월 15일을 기해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55/155/150분에서 160/160/155분으로 늘었고,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도 전일에 걸쳐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8/6/6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동으로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배차간격이 7~8분/8~9분/8~10분에서 7~10분/8~10분/9~11분으로 변동되었다.관련 공문
4. 특징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125번 시절부터 과거 9호선이 없던 시절 방화, 가양, 염창 등 강서구 주거지역과 당산, 영등포를 연계하는 강서구의 대표적인 노선이기에, 9호선 개통 후에도 가양동, 염창동 아파트단지 등 9호선이 가지 않는 곳들의 수요로 출퇴근시간에는 붐비며, 출근시간에 송정역에서 기점 방향으로 타는 승객들은 대부분 항공비즈니스고, 강서공고 경유이며 배차도 좋은 편이다.
- 개화동, 방화동에서 당산이나 영등포를 가기 위해 탈 거라면 공항로에서 605번을 타는 게 훨씬 빠르다. 구간 수요가 대부분이라, 송정역, 가양동 등을 거쳐서 돌아가기 때문.
- 배차간격은 짧은 반면, 경로상에 신호등이 많아서 염창동에서 양천향교까지 똑같은 경로를 운행하는 1002번과 비교하면 10분 이상 늦게 도달하기도 한다.
4.1. 사건·사고
2023년 10월 18일 오후 10시 40분경 당산역 2번출구 앞 정류장에서 (운전자는 급발진을 주장하며, 주변 CCTV 분석 결과 해당 차량의 브레이크등이 들어와있는 등 급발진 가능성도 있었지만 경찰조사결과 운전자의 안전운전 주의 의무 위반으로 결론내림) 택시와 마을버스(양천01번)를 들이받아 버스 기사/승객, 택시 승객, 보행자 등 21명이 다쳤다. #1#2#3#4
4.2. 시간표
4.3.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631번 | ||
<rowcolor=#ffffff>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3년 | 13,138명 | - |
2014년 | 12,465명 | ▽ 673 |
2015년 | 12,343명 | ▽ 122 |
2016년 | 11,982명 | ▽ 361 |
2017년 | 11,728명 | ▽ 254 |
2018년 | 11,592명 | ▽ 136 |
2019년 | 11,338명 | ▽ 254 |
2020년 | 8,862명 | ▽ 2,476 |
2021년 | 8,733명 | ▽ 129 |
2022년 | 8,972명 | △ 239 |
2023년 | 9,175명 | △ 203 |
2024년 | 9,355명 | △ 180 |
※ 하차 인원 미포함 |
5. 노선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경방타임스퀘어.신세계백화점 19112 | ↓ | ← | ↑ | 영등포로터리 19107 | |
이상 회차 구간 | ||||||
김안과병원 19119 | 김안과병원 19118 | |||||
당산동진로아파트 19162 | ↓ | ↑ | 당산동진로아파트 19163 | |||
현대아파트 19167 | - | |||||
영등포구청 19168 | ↓ | ↑ | 영등포구청 19169 | |||
당산삼성아파트 19181 | 당산유원제일1차아파트 19182 | |||||
당산역 19178 | ↓ | ↑ | 당산역 19177 | |||
당산역 19172 | 당산역2번출구 19176 | |||||
양평한신아파트.선유도공원입구 19216 | ↓ | ↑ | 양평한신아파트.선유도공원입구 19214 | |||
양평동한솔아파트 19134 | 양평동한솔아파트 19218 | |||||
영등포아리수정수센터 19215 | ↓ | ↑ | 안양천입구 19217 | |||
염창동아3차아파트.나이아가라호텔 16245 | 염창동아3차아파트 16246 | |||||
염창동새마을금고 16247 | ↓ | ↑ | 염창동새마을금고 16248 | |||
염창동한마음.관음삼성아파트 16249 | 염창동관음삼성아파트 16250 | |||||
금호.한솔아파트 16252 | ↓ | ↑ | 태영송화아파트 16855 | |||
- | 태영.삼성한사랑아파트 16251 | |||||
블루나인비지니스센터 16254 | ↓ | ↑ | 블루나인비지니스센터 16253 | |||
가양9단지아파트.세현고등학교 16244 | 가양9단지아파트 16243 | |||||
가양3동주민센터 16242 | ↓ | ↑ | 가양초등학교 16240 | |||
가양6단지아파트 16239 | 가양5단지아파트 16237 | |||||
가양2동강변아파트 16238 | ↓ | ↑ | 가양4단지아파트 16235 | |||
대림경동아파트 16236 | - | |||||
탑산초등학교.허준박물관 16234 | ↓ | ↑ | 서울서진학교.우체국앞.허준박물관 16233 | |||
가양동천주교영등포공업고등학교 16232 | 한보구암마을아파트 16231 | |||||
가양2단지성지아파트.동양고등학교 16230 | ↓ | ↑ | 가양2단지성지아파트.동양고등학교 16229 | |||
가양한강타운아파트 16228 | 가양한강타운아파트 16227 | |||||
양천향교입구 16226 | ↓ | ↑ | 양천향교역.휴먼빌아파트 16225 | |||
양천향교역1번출구.양천초교 16269 | - | |||||
겸재정선미술관.서울식물원 16272 | ↓ | ↑ | 겸재정선미술관.서울식물원 16271 | |||
마곡실내배드민턴장 16274 | 마곡실내배드민턴장 16273 | |||||
서남물재생센터 16275 | ↓ | ↑ | 서남물재생센터 16276 | |||
서남환경공원.마곡청구아파트 16277 | 서남환경공원.마곡청구아파트 16278 | |||||
방화2단지아파트 16280 | ↓ | ↑ | 방화2단지아파트 16279 | |||
신방화사거리 16432 | 신방화사거리 16431 | |||||
서울항공비즈니스고등학교 16306 | ↓ | ↑ | 서울항공비즈니스고등학교 16305 | |||
신방화역7번출구 16704 | 마곡엠밸리5단지 16706 | |||||
공항중학교 16307 | ↓ | ↑ | 공항중학교.마곡엠밸리9단지 16308 | |||
공항중학교 16115 | - | |||||
송정역 16117 | ↓ | ↑ | 송정역 16014 | |||
공항시장 16118 | 공항시장 16119 | |||||
공항시장역3번출구 16120 | ↓ | ↑ | 공항시장역.공항성산교회 16121 | |||
방화2동청성아파트 16436 | 방화2동청성아파트앞 16123 | |||||
마곡우촌아파트 16433 | ↓ | ↑ | 마곡우촌아파트 16125 | |||
방신전통시장정문.방화사거리 16126 | 방신전통시장정문.방화사거리 16127 | |||||
한서고등학교.방화사거리 16286 | ↓ | ↑ | 한서고등학교.방화사거리 16285 | |||
개화초교.개화산역2번출구 16288 | 개화산역2번출구 16287 | |||||
개화119안전센터 16167 | ↓ | ↑ | 개화역1번출구.개화검문소 16170 | |||
개화역광역환승센터 16434 · 16435 |
6. 연계 철도역
수도권 전철 1호선: 영등포역[A]
서울 지하철 2호선: 당산역, 영등포구청역
수도권 전철 5호선: 개화산역, 송정역, 영등포구청역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화역, 공항시장역, 신방화역, 양천향교역, 증미역, 당산역
일반 철도역: 영등포역(KTX, 새마을, ITX-새마을, 무궁화, 누리로)[A]
7.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출발/도착 | |
왕복 경유 | ||
편도 경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