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3d5bab><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b4513; font-size: 14px"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4권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3d5bab> 1권역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9 | 110 | ||
111 | 120 | 121 | 130 | 140 | ||
141 | 142 | 143 | 144 | 145 | ||
146 | 147 | 148 | 150 | 151 | ||
152 | 160 | 162 | 163 | 171 | ||
172 | 173 | |||||
2권역 | 201 | 202 | 240 | 241 | 242 | |
260 | 261 | 262 | 270 | 271 | ||
272 | 273 | |||||
3권역 | 301 | 302 | 303 | 320 | 333 | |
340 | 341 | 342 | 343 | 345 | ||
350 | 360 | 361 | 370 | |||
4권역 | 400 | 401 | 402 | 405 | 406 | |
420 | 421 | 440 | 441 | 452 | ||
461 | 463 | 470 | 472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5~7권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3d5bab> 5권역 | 500 | 501 | 502 | 503 | 504 |
505 | 506 | 507 | 540 | 541 | ||
542 | 571 | |||||
6권역 | 600 | 601 | 602 | 603 | 604 | |
605 | 606 | 640 | 641 | 643 | ||
650 | 651 | 652 | 653 | 654 | ||
660 | 661 | 662 | 672 | 673 | ||
674 | ||||||
7권역 | 700 | 701 | 702 | 704 | 705 | |
708 | 710 | 720 | 721 | 740 | ||
741 | 742 | 750 | 752 | 753 | ||
760 | 761 | 771 | 773 | 774 |
|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의왕시 월암동(월암공영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3가(한국은행.신세계앞) | ||
종점 행 | 첫차 | 04:10 | 기점 행 | 첫차 | 05:45 |
막차 | 22:50 | 막차 | 00:30 | ||
평일배차 | 10~12분 | 주말배차 | 토요일 10~13분 / 공휴일 10~15분 | ||
운수사명 | 우신버스 | 인가대수 | 25대(예비 1대)[1] | ||
노선 | 월암공영차고지 - 의왕고등학교 - 컨테이너기지 - 의왕보건소 - 고천.의왕시청 - 호계3동행정복지센터 - 호계소방파출소 - 안양농수산물시장.포일단지입구 - 평촌동행정복지센터.인덕원대우아파트 - 인덕원역 - 정부과천청사역 - 관문체육공원.과천성당 - 남태령역 - 사당역 - 이수역 - 정금마을 - 동작대교 - (→ 서빙고역 →) - 국립중앙박물관.용산가족공원 - 이촌역 - 용산역사박물관.용산철도고등학교 - (→ 신용산역 →/← 용산푸르지오써밋 ← 용산역 ←) - 삼각지역 - 숙대입구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시청앞 → 한국은행.신세계 → 숭례문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이후 역순 |
2. 개요
우신버스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70.46km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구 797번 좌석버스(의왕시 고천동 - 신세계)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만 9502번으로 변경되었다.
- 2006년 12월 2일에 한강대로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완공되어 중앙차로로 운행하게 되었다.
- 서울역 고가차도에 노선버스 진입이 금지되면서, 2008년 8월 1일부터 시청까지 올라가게 되었다.관련 공지사항
- 2008년 9월 6일에 광화문.광화문빌딩 정류소에 추가로 정차하게 되었다. 이렇게 숭례문만 3번 경유하게 되었으나, 도심방향 승객이 늘어났다.
- 2009년 6월 24일에 간선버스로 전환되면서 502번이 되었다. 이로 인해 고천동부터 사당역까지 노선이 겹치는 수원 777번과 경쟁하게 되었지만, 광역버스 시절에는 거의 없다시피했던 구간수요가 늘었다.
- 2010년 1월 8일에 '시청 - 세종대로사거리' 구간이 단축되고 서울광장에서 소공로를 이용해 숭례문 - 서울역버스환승센터로 회차하는 것으로 변경, 신세계본점 - 회현역 루트가 사라졌다.
- 래미안용산더센트럴 건설로 한강대로35길이 폐쇄되어 2012년 9월 14일에 한강대로29길 경유로 바뀌었다.
- 기존 고천동차고지가 행복뉴타운 개발에 포함되면서 2015년 7월 1일에 441번과 함께 월암공영차고지로 연장되었다. 이후 폐지된 부곡체육공원과 장안마을 정류장이 몇 년만에 부활했다.
- 2019년 3월 4일부터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운행횟수가 평일에는 5회, 토요일/공휴일에는 각각 4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 계통 변경에 따라 전일에 걸쳐 최소 배차간격이 현재보다 2분씩 늘어나게 되었다.관련 공문
- 2020년 11월 16일을 기해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전일에 걸쳐 2회씩 감회되고 평일/토요일의 최소 배차간격도 9분에서 10분으로 늘어났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본래 05:10/00:10이던 기점 첫막차시각이 04:40/23:40으로 각각 30분씩 앞당겨졌다. 첫막차시각 변경 직전을 기준으로 볼 때, 첫차 시간대에는 각 구간별로 대체재가 다수 있었던 반면[2] 막차 시간대에는 대체제가 없는 구간이 여러 곳 존재했음에도 불구하고 첫막차시각을 앞당긴 것으로, 대중교통 이용 가능 시간대 범위의 영역에 있어서는 시민에게 직접적 불이익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관련 공문
- 2022년 1월 1일을 기해 2대가 감차되어 540번 증차분으로 투입되었다. 이에 따라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운행 댓수도 2대씩 감축되었으며, 이와 함께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 횟수도 전일에 걸쳐 감축되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1일 총 운행횟수가 112회/100회/89회에서 102회/90회/79회로 각각 10회씩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감차 및 운행계통 변경 조치에도 불구하고,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최소, 최대 배차간격은 변동 없이 유지되었다.관련 공문
- 2022년 2월 21일을 기해 첫/막차시간이 또 30분씩 앞당겨져 04:10/23:10으로 조정되었다.관련 공문
- 2022년 10월 17일을 기해 기점 막차시각이 23:10에서 22:50으로 또 20분 앞당겨졌다. 2년도 안 되는 기간 사이에 막차가 1시간 20분이나 앞당겨지게 되는 것으로, 원래 이 노선은 심야전용 노선(올빼미버스)와 같이 심야시간 내내 다니는 수준은 아닐지언정 다른 지/간선노선에 비하면 비교적 늦은 시간까지 이용 가능한 준심야버스 성격을 오랫동안 가지고 있었는데 그 특징이 아주 빠른 속도로 완전히 사라진 것. 그리고 같은 날을 기해 평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한 차례 더 감축되면서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102회에서 101회로 감회되었으며, 운행계통 변경과 동시에 상세 배차 조정도 병행되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최대 배차간격은 15분/15분/16분에서 12분/13분/15분으로 축소 조정되었다.관련 공문
4. 특징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에서 가장 북쪽까지 올라가는 노선은 774번이라면, 이 노선은 441번과 함께 서울시 노선 중 가장 남쪽으로 내려가는 노선이자, 수원시 코앞으로 가는 노선이다.
- 수도권 전철 4호선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의왕시 및 안양시 일부 지역 주민들과 앉아서 갈 수 없는 과천 시민들이 주로 이용하는데 선바위역, 경마공원역, 대공원역 구간을 스킵하기 때문에 정체가 없다면 4호선보다도 더 빠르다. 물론 '정체가 없다면'이라는 상황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이 한동안 문제였다. 남태령 넘어 북쪽으로 가는 건 툭하면 막히는 데다가 주말에는 가로변버스전용차로도 운영을 안 해서 오후 시간대부터는 헬게이트가 일상이었다. 심지어 토요일 23시가 넘은 시각에도 정체를 경험했다는 증언도 있을 정도이다. 그래도 남쪽 방향은 그나마 사정이 낫고, 주말 아침엔 의외로 도로 소통상황이 괜찮긴 하다. 그리고 남태령 서울 관내 구간에 중앙버스전용차로가 개설되면서 정체 문제에서 상당히 자유로워졌다.
- 무엇보다 의왕시 지역 이용률이 상당히 높다. 또한 안양 시내버스와 전철 막차가 끊긴 시간대에는 540번과 함께, 사당역 이북 지역과 사당역 이남 시계외 구간의 심야 수요를 책임지는 노선이기도 하다.
- 참고로 이따금씩 4호선에 고장/탈선 등에 의한 불통이 발생하면, 이 노선에 엄청난 가축수송이 발생하면서 말 그대로 진가를 발휘하는 모습이 연출된다. 특히 2022년 들어 지하철 시위가 4호선에서 주로 발생하면서, 해당 시간대에는 사당역 이북 구간에서도 가축수송이 매우 잦아졌다.
- 서울 도심에서 용산, 사당을 경유해서 과천시, 안양시 일부, 의왕시까지 이어주는 노선이라 사람이 매우 많다. 회차지점인 한국은행 앞에서도 입석이 생기는 모양. 우연히 앉아가더라도 서울역 부터는 터져 나간다. 주 수요처인 용산을 지나고, 주말에도 엄청난 수요를 보이는 사당역을 거쳐가니 과천시 진입 이후에도 앉기 힘든 경우도 간혹 생긴다. 그래도 정부과천청사쯤 오면 앉을 수 있다. 문제는 의왕 쪽까지 가는 사람이 아니라면, 거의 목적지에 다 온 시점이라는 것.
- 간선버스로 전환되면서 운행 중 가스가 떨어지면 신세계백화점과 남대문시장, 회현역에서 승차한 승객들은 일단 무임으로 승차하고 세종대로네거리에서 하차한 후 먼저 서울특별시청 서소문 별관에서 충전을 완료한 차량에서 운임을 지불해야 하는, 승객 인계상의 문제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각종 민원으로 인한 불만이 많아졌고, 의왕시 관내에 천연가스 충전소가 단 한 곳도 없었던 마당에 어거지로 전환한 거라 일은 더 커져만 갔다. 세종대로네거리에서 U턴한 후 서소문로로 들어가 서울특별시청 서소문별관 2동과 5동 사이 및 서울시립미술관 앞에 있는 CNG충전소로 가서 충전했다. 다만 이것은 정식 인가된 코스가 아니었으며, 충전소로 간다고 안내판을 바꾸고 이동했다. 사실 옛 고천동차고지에서 지지대고개 쪽으로 2km 정도만 더 내려가면 수원북부공영차고지에 가스 충전소가 있었으나, 441번과 달리 502번은 사용 허가를 못 받아서 이렇게 회차지 인근 충전을 하게 된 것이다. 이로 인해 회차 경로가 변경되어 한국은행 바로 앞에 이 노선의 전용 정류소가 생기면서, 충전하러 갈 때는 여기서 승객들을 모두 하차시키고 충전을 마친 뒤 그 정류소로 되돌아와서 운행을 재개했다. 사실상 운행 도중 충전하는 노선 중 하나였다.
- 월암공영차고지로 연장되면서 사당역~인덕원역 - 고천동/부곡동 직통 경로에서의 1-1번의 메리트가 많이 반감되었다. 1-1번은 내손동과 오전동으로 빙빙 돌아가는 굴곡 노선을 보여 주지만 이 노선은 큰 도로(47번 국도와 1번 국도)만 이용하기 때문에 최소 10분 이상의 속도 격차를 보여주기 때문. 더군다나 막차도 이 노선이 좀 더 늦게 끊긴다.
- 운행 거리가 거의 150번과 맞먹는 장거리 노선이다. 그렇지만 앞서 말했듯 선형이 좋다보니 노선 길이 대비 운행 소요시간은 길지 않은 편이기도 하고 4호선과 중복도가 높은 것과는 별개로 서빙고로와 같이 지상에서 이용할 수 있는 다른 버스 노선이 많지 않은 구간이 포함되어 있는데다 한국은행 정류소에서 충분한 휴식이 부여되는 운행 형태가 정착되어 있으며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경쟁 노선인 777번의 배차 간격이 극도로 벌어진 상태라 150번과 달리 공개적으로 단축 시도가 일어난다거나 하는 일이 발생하지는 않고 있다. 다만, 막차가 계속 앞당겨지면서 심야 운행이 사실상 폐지되었다. 이 노선이 단독으로 심야 대중교통 역할을 행해오던 구간이 경기도 구간과 서울 관내 구간 모두에서 짧지 않게 존재하여 상당히 의미있는 심야 운행이었는데, 그게 없어진 것이다.
- 기점에서 1km 정도만 걸어도 25-2번, 11-1번, 112번과 환승이 가능하다. 수도권 통합 요금의 30분 환승 규정을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거리이지만 112번을 제외한 노선들은 배차간격이 상당히 긴 노선이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502번 | ||
<rowcolor=#ffffff>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3년 | 13,947명 | - |
2014년 | 13,148명 | ▽ 799 |
2015년 | 12,251명 | ▽ 897 |
2016년 | 12,039명 | ▽ 212 |
2017년 | 11,548명 | ▽ 491 |
2018년 | 11,146명 | ▽ 402 |
2019년 | 11,619명 | △ 473 |
2020년 | 9,261명 | ▽ 2,358 |
2021년 | 9,302명 | △ 41 |
2022년 | 10,388명 | △ 1,086 |
※ 하차 인원 미포함 |
5. 노선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한국은행.신세계앞 02278 | |||||
숭례문 02008 | 시청앞 02128 | |||||
이상 회차 구간 |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02004 | ↓ | ↑ | 서울역버스환승센터.강우규의거터 02007 | |||
갈월동 03012 | 갈월동 03011 | |||||
숙대입구역 03010 | ↓ | ↑ | 숙대입구역 03009 | |||
삼각지역 03008 | 삼각지역 03007 | |||||
용산우체국 03006 | ↓ | ↑ | 용산우체국 03005 | |||
용산역 03255 | - | |||||
용산푸르지오써밋 03256 | ↓ | ↑ | 신용산역 03003 | |||
용산역사박물관.용산철도고등학교 03259 | 용산역사박물관.용산철도고등학교 03260 | |||||
용산세무서 03261 | ↓ | ↑ | 용산세무서 03262 | |||
이촌역 03264 | 이촌역 03263 | |||||
국립중앙박물관용산가족공원 03265 | ↓ | ↑ | 국립중앙박물관용산가족공원 03266 | |||
- | 서빙고역교차로 03267 | |||||
- | ↓ | ↑ | 서빙고역1번출구 03157 | |||
동작대교전망카페 22396 | 동작대교전망카페 22397 | |||||
갯마을앞 20015 | ↓ | ↑ | 이수교(방배본동) 22225 | |||
정금마을.방배경찰서 20016 | 정금마을 22033 | |||||
경문고교.배나무골앞 20017 | ↓ | ↑ | 경문고등학교 22031 | |||
총신대입구역.남성시장입구앞 20018 | 총신대입구역.남성시장입구앞 22029 | |||||
사당동우체국앞 20019 | ↓ | ↑ | 이수역 22027 | |||
방배노인종합복지관 20020 | - | |||||
사당역 21028 | ↓ | ↑ | 사당역 22028 | |||
사당자동차학원 21027 | - | |||||
남태령역 21163 | ↓ | ↑ | 남태령역 22026 | |||
남태령고개 21005 | 남태령고개 21008 | |||||
과천동주민센터 21014 | ↓ | ↑ | 과천동주민센터 21013 | |||
관문체육공원.과천성당 21016 | 관문체육공원.과천성당 21015 | |||||
10단지 21019 | ↓ | ↑ | 8.9단지 21020 | |||
경기과천교육도서관.과천역7출구 21018 | 경기과천교육도서관.과천역6출구 21017 | |||||
정부과천청사역11번출구.KT과천지사 21011 | ↓ | ↑ | 과천중앙공원.KT과천지사 21012 | |||
정부과천청사역3번출구 21010 | 정부과천청사역2번출구 21009 | |||||
수자원공사.센트레빌아스테리움 21006 | ↓ | ↑ | 과천위버필드.래미안슈르 21007 | |||
- | 정보과학도서관 21031 | |||||
찬우물 21003 | ↓ | ↑ | 찬우물 21004 | |||
과천지식정보타운 21001 | 과천푸르지오라비엔오 21002 | |||||
린파밀리에 21072 | 린파밀리에 21082 | |||||
인덕원사거리.인덕원역 10175 | ↓ | ↑ | 인덕원역4호선 10177 | |||
- | 인덕원초교.삼성아파트 10179 | |||||
평촌동행정복지센터.KT동안양지점.인덕원대우아파트 10170 | ↓ | ↑ | 평촌동행정복지센터.인덕원대우아파트 10174 | |||
오뚜기식품.두산벤쳐다임 10164 | 나눔초등학교.오뚜기식품.두산벤쳐다임 10168 | |||||
민백마을 10161 | ↓ | ↑ | 민백마을 10163 | |||
농수산물시장.포일단지입구 10159 | 농수산물시장.포일단지입구 27067 | |||||
안양남초등학교 10157 | ↓ | ↑ | 안양남초등학교 27057 | |||
샘마을.대안중학교 10200 | 샘마을.대안중학교 27050 | |||||
덕고개사거리 10128 | ↓ | ↑ | 덕고개사거리 10199 | |||
호계소방파출소 10118 | 호계소방파출소 10120 | |||||
- | ↓ | ↑ | 호계사거리 10105 | |||
한성병원.호계3동행정복지센터 10098 | 호계3동행정복지센터 10100 | |||||
호계삼거리.디오슈페리움 10210 | ↓ | ↑ | - | |||
한솔테크노타운 26163 | 현대.대림아파트 10111 | |||||
가구단지입구 27156 | ↓ | ↑ | 가구단지입구 27134 | |||
신안아파트.글로벌도서관 27139 | 의왕지구대.글로벌도서관 27135 | |||||
오전동주민센터 27133 | ↓ | ↑ | 오전동주민센터 27138 | |||
- | 서해그랑블 27382 | |||||
고천.의왕시청 27140 | ↓ | ↑ | 고천.의왕시청 27136 | |||
- | 고천동주민센터 27137 | |||||
의왕보건소.의왕경찰서 27158 | ↓ | ↑ | 의왕보건소.노인복지관.청소년수련관 27066 | |||
중앙도서관 27059 | 중앙도서관 27055 | |||||
재활용센타 27048 | ↓ | ↑ | 재활용센타 27046 | |||
교동 27041 | 교동 27042 | |||||
컨테이너기지 27036 | ↓ | ↑ | 컨테이너기지 27035 | |||
의왕테크노파크 27071 | 창말.의왕테크노파크 27027 | |||||
부곡복지회관 27077 | ↓ | ↑ | 부곡복지회관 27118 | |||
의왕고등학교 27024 | 의왕고등학교 27191 | |||||
장안마을.부곡동주민센터 27026 | ↓ | ↑ | 장안마을.부곡동주민센터 27225 | |||
부곡체육공원 27028 | 부곡체육공원 27226 | |||||
도룡마을 27029 | ↓ | ↑ | 도룡마을 27030 | |||
월암ic.월암동 27031 | 월암ic.월암동 27032 | |||||
월암교 27025 | ↓ | ↑ | 월암교 27023 | |||
잿말.레솔레파크 27022 | 잿말.레솔레파크 27021 | |||||
월암종점 27015 · 27016 |
6. 연계 철도역
수도권 전철 1호선: 용산역[B], 남영역[4], 서울역[5], 시청역
서울 지하철 2호선: 사당역, 시청역
수도권 전철 4호선: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역, 과천역, 남태령역, 사당역, 이수역, 동작역, 이촌역, 신용산역[6], 삼각지역, 숙대입구역, 서울역
서울 지하철 6호선: 삼각지역
서울 지하철 7호선: 이수역
서울 지하철 9호선: 동작역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서빙고역[7], 이촌역, 용산역[B], 서울역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
- 일반 철도역: 용산역(KTX, ITX-청춘,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B],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7. 둘러보기
| |||
일반시내 | 1-1 | 103 | 11-2 |
11-5 | 9(-3) | 777 | |
간선 | 502 | 540 | |
지선 | 5530과천시 미경유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1, 2권역 | 의정부, 구리, 남양주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의정부시 | |
수락리버 | ||
구리/남양주 | 201구리 202담터 1155담터 | |
수락리버: 수락리버시티아파트 지역만 정차, 담터: 남양주방면 담터고개(구리시 소재)만 정차, 서울방면 담터고개는 서울시 소재.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3, 4권역 | 하남, 성남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성남시 | 4432청계산 |
하남시 | 341초이 370초이 3217위례 | |
초이: 초이동 / 위례: 하남시위례도서관 / 청계산: 청계산옛골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4, 5권역 | 안양, 군포, 의왕, 과천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안양시 | 152교대 500석수 5618석수 6515교대 |
군포시 | 441한솔 502한솔 | |
의왕시 | ||
과천시 | 서초08잔디 서초20잔디 | |
교대: 경인교육대후문만 정차 / 잔디: 잔디마을만 정차 / 한솔: 한솔테크노타운만 정차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5, 6권역 | 광명, 부천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광명시 | |
철산리버 | ||
부천시 | ||
철산리버: 철산리버빌아파트 정류장만 정차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7권역 | 고양, 양주, 파주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고양시 | |
동산동 | ||
덕은동 | ||
대덕동 | ||
파주/양주 | 704송추 773운정 774파주읍 9714교하 | |
동산동: 한국지역난방공사(舊 동산동) 정류장만 정차 / 덕은동: 덕은동종점 정류장만 정차 / 대덕동: 대덕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만 정차 |
[1] 토요일 21대 / 공휴일 18대 운행[2] 경기도 구간에서는 04:20에 첫차가 나가는 441번이 월암공영차고지~관문사거리 구간에서 이 노선과 중첩되고, 사당/이수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한다면 과천에서 9번, 11-2번, 11-5번 등의 노선으로 환승하면 되며 서울 시내 구간의 경우도 이 노선의 첫차가 도달하기 이전 시간대에 전철과 400번, 3012번, 4212번, 4318번, 그리고 한강대로의 수많은 간선 노선들을 이용할 수 있다.[B] 신세계 방면 신용산역 하차[4] 숙대입구역 하차 도보[5] 서울역버스환승센터 4/7번 승강장 정차[6] 월암 방면은 용산역 하차.[7] 한국은행 방면 한정[B]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