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4 16:08:50

서울 버스 242

{{{#!wiki style="margin:-10px 0"<tablebordercolor=#3d5bab>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노선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0~3권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colbgcolor=#3d5bab><colcolor=#fff> 0권역 040
1권역 100 101 102 103 104
105 107 109 110 111
120 121 130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50 151 152
160 162 163 171 172
173
2권역 201 202 240 241 242
260 261 262 270 271
272 273
3권역 301 302 303 320 333
340 341 342 343 345
350 360 361 370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4~7권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colbgcolor=#3d5bab><colcolor=#fff> 4권역 400 401 402 405 406
420 421 422 440 441
452 461 463 470 472
5권역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40 541
571
6권역 600 601 602 603 604
605 606 640 641 643
650 651 652 653 654
660 661 662 672 673
674
7권역 700 701 702 703 704
705 706 707 708 709
710 720 721 740 741
742 750 752 753 760
761 771 774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서울동행버스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colbgcolor=#3d5bab> 서울02 서울04 서울05 서울07
서울08 서울09 서울10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자율주행버스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colbgcolor=#3d5bab>
자율주행
상암A21 새벽A160
}}}}}}}}} ||
파일:242 개선형 저상.jpg 파일:242_1598.jp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노선4.2.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개요

대원교통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7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242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242 노선도.png
기점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동(중랑공영차고지.신내역) 종점 서울특별시 강남구 개포동(개포래미안포레스트)
종점
첫차 04:00 기점
첫차 05:28
막차 22:30 막차 23:51
평일배차 10~18분 주말배차 토요일 11~19분 / 공휴일 13~21분
운수사명 대원교통 인가대수 19대[1]
노선 중랑공영차고지.신내역 - 능산지하차도 - 혜원여중고후문 - 면목역 - 면목신우아파트 - 면곡시장 - 군자교 - 화양사거리 - 영동대교 - 청담동주민센터 - 강남구청역 - 논현아이파크 - KT강남지사 - 영동중앙교회 - 역삼이편한세상아파트 - 한티역 - 중대부고 - 현대1차우성3차아파트 → 개포래미안포레스트 → 국악중고교 → 국민은행.근린공원 → 현대1차우성아파트 → 이후 역순

3. 역사

※ 통합 이전 두 노선에 대한 연혁은 서울 버스 41, 서울 버스 4434 문서를 참조.
  • 2015년 2월 27일 41번4434번을 통합하면서 신설되었다.
  • 2015년 8월 3일 1152번 폐선분 1대가 증차되었다.
  • 2019년 7월 13일을 기해, 타 노선 첫차의 혼잡완화 효과를 유도해보는 목적으로 본래 04:30/23:00였던 기점 첫·막차시각이 04:20/22:50으로 10분씩 앞당겨졌다. 또한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토요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1회씩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하다.관련 공문
  • 2023년 4월 10일을 기해 기점 첫·막차시각이 04:00/22:30으로 다시 한번 20분씩 앞당겨졌다. 그리고 같은 날을 기해 평일에 한해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83회로 기존 대비 2회 감회되었다. 토요일/공휴일의 총 운행횟수는 변동 없이 유지되었으나, 운행계통 변경과 동시에 상세배차 조정이 이루어진 결과 평일/토요일의 최소·최대 배차간격은 유지된 대신 공휴일 최대 배차간격만 18분에서 19분으로 늘어났다. 관련 공문
  • 2023년 6월 26일자로 대원교통이 262번의 공동배차에서 철수하는 메트로버스를 대신해 새로 공동배차를 하게 된 여파로, 1대 있던 본 노선의 전용 예비차량이 예비투입차량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감차되어 262번에 차출되면서 전용 예비차가 없는 노선이 되었다. 비투입 예비차량으로 있었던 차량이 감차된 것이라서 각 요일별 1일 총 운행횟수와 최소·최대 배차간격은 전부 변동 없이 유지되었다. 관련 공문

4. 특징

  • 개통 당시의 우려와는 다르게 현재는 나름 유용한 노선으로 각인되었다. 우선 면목동 - 영동대교북단 구간에서 예상대로 146번의 과부하를 덜어주고 있다. 출퇴근 시간대에는 적어도 자리는 다 깔고 운행한다.[2] 영동대교 남단에서 우회전하여 청담사거리나 강남구청 방면으로 가는 수요도 꽤 있다. 거기서부터 포이동까지의 구간은 구 41번과 구 4434번의 꾸준한 수요로 잘 운행중이다.
  • 사실 146번의 백업 역할일 수 있으나 사실 강남권에서도 언주로와 연계된 교통편이라는 숨은 역할이 존재한다. 강남구 내 남북연결도로 중 유일하게 전철역이 없는 도로인 언주로변에서 역삼역 또는 강남구청역으로 갈 때 유용하다. 또한 단독 외에 환승연계로선 청담동주민센터에서 갤러리아 명품관이나 압구정, 고속터미널 등으로 경유하는 노선과도 연계가 가능하다.
  • 영동대교북단 ↔ 청담치안센터 ↔ 강남구청 구간을 경유하므로 3219번이 단축되었다.
  • 운행 첫날에 강남구청역에서 개포동으로 가는 이 노선이 강남구청역 사거리에서 좌회전하고 다시 강남구청역으로 나왔었는데 알고보니 한 블럭 더 가서(서울세관 사거리)에서 좌회전해야 할 것을 미리 좌회전해 버려서 그렇게 했다고 한다.
  • 중랑구, 광진구, 성동구에서는 굴곡이 없는 직선 형태이지만, 강남구 내에서는 굴곡이 많다.
  • 용마산로 능산지하차도 구간에서 삼용사 및 망우3동 구간을 직통으로 경유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또한 중랑차고지에서 면목역 구간을 잇는 노선 중 유일하게 망우로 혹은 봉화산로를 경유하지 않는 노선이다.
  • 주말과 공휴일, 평일 낮에는 배차가 많이 깨져 간혹 30분까지 벌어지기도 한다.

===# 저속운행 문제 (해결) #===
결론부터 얘기하면 어느 정도는 개선됐다.

한때 KD의 안전운전 고집과 연비를 위해 특유의 저속운전을 참지 못한 한 승객이 241번과 이 노선의 상습적인 과도한 저속운행으로 차량운전에 방해가 되고 도로정체의 주범이 된다며 서울시 버스정책과에 민원을 제기했다. 즉, 길은 뻥 뚫린 상태인데 10~20km/h의 거북이 속도로 빌빌 기어가니 뒤 따라오는 운전자나 다른 노선의 기사들은 불편하고 짜증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관련 게시물 1, 관련 게시물 2

이에 대해 서울시는, 저속운행에 대해 규정속도에 맞게 운행하라고 경고를 해서 탕수조절을 좀 타이트하게 한다는데... 관련 게시물 3 이 때 당시까지도 242번의 운행 속도가 개선되지 않았던 걸 보면, 회사에서 서울시 권고를 무시했거나, 서울시에서 저속에 대한 컨트롤을 할 수 없거나 둘 중 하나인 듯 하다.

그러던 와중 서울시가 드디어 나섰다. 241번과 함께 엄청난 민원이 들어왔는지 대원교통에 운행계획서를 다시 제출하라는 지시를 했다. 사실 느리게 운행한 이유는 단순한 저속질이 아니라, 노선 길이에 비하여 인가상 운행시간이 과도해서였다. 당장 자사의 240번은 42km를 160분에 운행하는데 241번은 51km를 220분에, 242번은 47km를 220분에 운행하는 것으로 인가되어 있었다. 즉, 5km와 9km를 더 운행하는데 무려 1시간이나 더 줬으니 시간이 남아돌아서 저속운행을 할 수밖에 없던 것이며 이게 모든 구간에서 일관된 것을 보면 정체구간임을 감안해도 비정상인 셈.

이후 운행계획서를 다시 제출하라는 초강수가 먹혔는지 2018년 이후로는 속도를 제법 내는 경우가 많아졌다.

4.1. 노선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242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풍양빌딩
23519
국민은행그린공원
23524
국악중고교
23518
광수빌딩
23377
포이초교
23517
개포지구대
23378
우성6차아파트
23516
구룡초등학교
23379
개포래미안포레스트
23364
이상 회차 구간
- 현대1차아파트
23505
현대1차.우성3차아파트
23341
우성3차아파트
23515
개일초등학교앞
23342
구룡중학교앞
23334
대청중학교
23232
도곡역4번출구
23456
중대부고
23220
중대부고앞
23333
단대부고.대치아이파크아파트
23221
도곡렉슬아파트정문
23332
한티역
23252
한티역
23309
- 역삼e-편한세상아파트
23308
역삼동개나리아파트
23301
역삼동개나리아파트
23300
신한은행데이터센터
23513
예림당아트홀.신한은행전산센터
23510
총지사
23303
총지사
23302
영동중앙교회
23304
영동중앙교회
23289
대한사회복지회
23305
아가방빌딩.하나은행
23280
KT강남지사
23278
KT강남지사
23279
라움아트센터.시티프라디움더강남
23272
시티프라디움더강남.라움아트센터
23271
논현아이파크
23139
논현아이파크
23142
임피리얼팰리스호텔.펜트힐루논현
23140
펜트힐루논현.임피리얼팰리스호텔
23141
세관앞
23134
-
강남구청역
23135
강남구청역
23128
삼성동서광아파트
23205
청담동래미안아파트
23177
강남구청.강남세무서
23206
강남구청.강남세무서
23176
청담동성당
23174
청담동성당
23184
청담2치안센터
23175
청담2치안센터
23183
청담동주민센터
23167
청담동주민센터
23166
영동대교북단
05220
영동대교북단
04189
영동교골목시장
05216
경수중학교
04190
- 서울효사랑병원
04209
성수사거리
05224
성수사거리.성수초등학교
04208
화양사거리
05225
화양사거리
04207
송정동서울숲아이파크
05235
송정동서울숲아이파크
04214
송정동건영아파트
05236
송정동건영아파트
04215
- 군자교남단
04216
군자교
05101
군자교
05102
중곡아파트
05122
중곡아파트
05123
면곡시장
05120
면곡시장
05121
늘푸른동아아파트
07123
-
경남아너스빌아파트앞
07122
면목119안전센터
07121
면목신우아파트
07120
면목신우아파트
07119
늘푸른근린공원
07466
늘푸른근린공원
07465
장안시장
07118
면목5동주민센터
07117
하나은행면목지점
07224
하나은행면목지점
07225
면목복개천
07226
면목복개천
07227
면목역2번출구
07228
면목역2번출구
07229
농협앞
07230
농협앞
07231
혜원여중고후문
07232
혜원여중고후문
07233
면일초등학교
07191
우리은행망우동지점
07192
용마공원입구
07189
용마공원입구
07190
삼용사입구
07188
삼용사입구
07187
능산지하차도
07306
능산지하차도
07307
신내새한아파트앞
07305
신내초등학교
07304
신내교회.신내데시앙아파트
07302
신내교회.신내데시앙아파트
07303
중랑공영차고지
07337
-
중랑공영차고지.신내역
07550 · 07418
}}}}}}}}} ||

4.2.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242번
<rowcolor=#fff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5년 6,712명 -
2016년 7,936명 △ 1,224
2017년 8,368명 △ 432
2018년 8,249명 ▽ 119
2019년 8,473명 △ 224
2020년 7,093명 ▽ 1,380
2021년 7,504명 △ 411
2022년 8,408명 △ 904
2023년 9,217명 △ 809
2024년 9,976명 △ 759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



[1] 토요일 17대 / 공휴일 15대 운행[2] 146의 배차가 벌어질 경우에는 이따금 입석도 발생한다.[3] 개일초교 하차 후 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