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8 22:43:43

광명 버스 17

{{{#!wiki style="margin: -10px 0"<tablebordercolor=#f08300>
파일:광명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 직행좌석
좌석
일반

시내버스
맞춤형버스
공공버스(시군간)
마을
}}}}}}}}} ||

파일:광명17이스타.jpg
파일:화영17_1199.jp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노선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개요

화영운수에서 운행하는 일반형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33.8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광명시 CI_White.svg 광명시 일반형버스 17번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광명 17 배경.png
파일:광명 17 노선도.svg
}}}}}}}}} ||
기점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광명동굴) 종점 서울특별시 구로구 개봉동(개봉역)
종점
첫차 05:05 기점
첫차 05:45
막차 23:10 막차 00:00
평일배차 8~12분 주말배차 토요일 10~15분 / 공휴일 13~18분
운수사명 화영운수 인가대수 13대[1]
노선 광명동굴 - 학온동행정복지센터 - 뒷골사거리 - 광명역 - 이케아·롯데아울렛광명점 - 소하2동행정복지센터·광명동굴길입구 - 소하성당 - 구름산·광명시보건소 - 광명시민체육관 - 철산역·광명경찰서 - 광명시청 - 광명북중고등학교 - 철산현대아파트 - 철산교 - 개봉역

3. 역사

  • 당초 광복로 일대에는 개봉역과 광명사거리로 나가는 2-2번이 있었으나, 1990년대 중반 2-2번 폐선 이후 광복로 일대 주민들은 30번 도시형버스와 60번 시내좌석버스만 있었고, 광명시내로 나가는 노선을 이용하려면 철산2동사무소까지 약 10분 가량을 걸어나가야 했고 개봉역까지는 그냥 걸어다녔다.
  • 2002년경 광복단지 일대와 북철산-소하권을 한번에 이어주는 새로운 노선을 기획하였고, 이것이 17번 노선이 되었다. 초기 17번은 충현고등학교까지 운행하였고 광명역 개통 이후에도 한동안 광명역에 진입하지 않았으나, 2005년 광명역을 경유해 학온동 주민센터까지 연장되었다. 이로써 학온동 일대에서 철산동으로 바로 나가는 노선이 생겼다.
  • 2015년 4월 3일에 학온동주민센터에서 7-1번과 합쳐 광명동굴까지 연장되었다. 동시에 광명역 구간이 앞서 변경된 12번처럼 호봉골 대신 이케아와 코스트코를 거쳐 광명역을 경유하게 되었다. 이로써 자경마을에서 광명으로 가는 수요와 광명에서 코스트코로 가는 수요를 얻게 되었다. 광명시 공고 제2015-504호
  • 2020년 7월 1일부터 학온동주민센터까지 가지 않고 바로 뒷골로 갈 예정이었으나, 민원이 많아 없던 일이 되었다. 광명시 공고
  • 2020년 8월 15일부터 한동안은 광복로 구간의 일부 구간에 한해서 자사 101번과 같이 운행하게 되었다. 광명뉴타운 2구역 건물철거에 따라 사성로 일부도로가 폐쇄되었다보니 그 여파로 101번의 노선이 변경되었기 때문이다. 광복로 구간 진입부터 철산교[2]까지는 101번과 겹치지만 광명북고의 경우는 101번은 가지 않는다. 이용 시 참고바람.[3]
  • 2021년 2월 11일부터 광명동굴의 휴업으로 인한 적자로 '광명동굴 - 광명종합터미널(광명역)' 구간이 단축되었고 막차시간이 기존 23:10분에서 23:20분으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광명역써밋플레이스, 광명역데시앙을 경유하게 되었다.
  • 2021년 6월 26일에 다시 '광명동굴 - 광명역' 구간이 연장되었고 막차시간도 다시 종전 23:20분에서 23:10분으로 변경되었다. 단, 학온동주민센터까지는 들어가지 않으며, 이로써 사실상 2020년 7월 1일 변경안대로 노선이 변경된 셈이 되었다. 그냥 77번과 맞바꿨다고 보면된다. 관련 게시물 광명동굴로 재연장되어 광명역써밋플레이스와 광명역데시앙 정류장은 다시 경유하지 않는다.
  • 2021년 9월 4일부터 다시 학온동주민센터까지 들어가게 되었다. 관련 게시물 다만 77번이 다시 원래대로 변경되지는 않고 둘다 학온동을 경유하게 되었다.

4. 특징

  • 애초에 북철산권과 소하권을 이어주는 노선이 생긴 이유가 이유인 만큼, 현재의 17번 역시 12번, 22번과 함께 광명시 대부분의 중고등학교를 경유하며 고등학교는 진성고등학교와 명문고등학교, 광문고등학교를 제외한 광명시내 모든 고등학교를 경유한다.
  • 통학시간대는 물론 평상시에도 나름 수요가 많다. 철산1,2동 지역에서 교통 허브인 개봉역이나 철산역까지 최단거리로 나갈 수 있는 데다가[4] 광명보건소 앞을 지나는 5개 노선 중 하나이기도 하며, 철산역에서 소하동 구시가지나 광명역까지 가장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노선이기도 하다.[5]
  • 광명시의 모든 행정동을 지나는 노선이다.[6]

4.1. 노선

파일:광명시 CI_White.svg 광명시 일반형버스 17번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개봉역
17243
파일:Seoulmetro1_icon.svg
개봉역(경유)
미정차
현대아파트.개봉중앙시장
17210
현대아파트.개봉중앙시장
17209
경북슈퍼마켓
17552
경북슈퍼마켓
17515
철산교
14073
철산교
14260
철산두산위브아파트
14099
철산두산위브아파트
14100
철산현대아파트
14113
철산현대아파트
14114
철산우성아파트정문
14124
철산우성아파트정문
14246
광명북중고등학교
14127
광명북중고등학교
14122
현충근린공원
14112
현충근린공원
14115
연서도서관.철산종합사회복지관
14111
연서도서관.철산종합사회복지관
14110
모세로삼거리.광명시보훈회관
14095
모세로삼거리.광명시보훈회관
14096
광명시청.한국폴리텍대학
14088
광명시청.한국폴리텍대학
14086
광명시청.광명시민회관
14239
광명시민회관
14105 파일:Seoulmetro7_icon.svg
철산역.광명경찰서
14117 파일:Seoulmetro7_icon.svg
철산역.광명경찰서
14238 파일:Seoulmetro7_icon.svg
철산센트럴푸르지오
14126
철산푸르지오하늘채아파트
14125
광명이편한세상센트레빌아파트
14130
복지관운동장
14132
하안1동행정복지센터
14304
광명시평생학습원.이편한세상센트레빌
14305
광명시민체육관
14141
광명시민체육관
14142
광명우체국
14154
광명우체국
14155
자동차경매장.가림초등학교
14161
가림초등학교.자동차경매장
14160
구름산.광명시보건소
14181
구름산.광명시보건소
14167
소하2단지
14198
소하2단지
14282
소하3단지
14352
소하3단지
14281
가리대사거리.소하상업지구
14197
수자원공사광명가압장
14189
수자원공사광명가압장
14191
도도리주유소
14183
갑종주유소
14184
소하성당
14170
소하성당
14176
설월리마을.금강정사
14165
설월리마을.금강정사
14166
서면초.안서중.창의경영고
14168
서면초.안서중.창의경영고
14178
광명시여성비전센터
14173
광명시여성비전센터
14237
소하2동행정복지센터.광명동굴길입구
14169
소하2동행정복지센터.광명동굴길입구
14171
오리서원.충현중학교.광휘고등학교
14188
충현중학교.광휘고등학교.오리서원
14193
기형도문학관.황용사
14190
기형도문학관.황용사
14195
이케아.롯데아울렛광명점
14213
이케아.롯데아울렛광명점
14378
GIDC지식산업센터
14448
코스트코광명점
14226
코스트코광명점.자경마을
14384
광명역자이타워
14209
광명종합터미널
14377
광명역센트럴자이
14366
KTX광명역8번출구
14467 파일:Seoulmetro1_icon.svg
광명역파크자이
14383 파일:Seoulmetro1_icon.svg
양지마을
14385
양지사거리.체육공원
14442
뒷골
14250
뒷골사거리
14074
학온동행정복지센터
14046
학온동행정복지센터
14048
도고천
14064
도고천
14062
뒷골안길
14386
뒷골안길
14387
광명동굴
14317
광명동굴
14388
}}}}}}}}} ||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0px"<tablebordercolor=#0054a6>
파일:광명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서편 <colbgcolor=#0054a6><colcolor=#fff> (서울역 방향) 동편
1번
|
5번
8507[A]
3[A]
2번
|
6번
1-1[A]
1-3[A]
5627[A]
5633[A]
8507[A]
3번
|
7번
1-1[A]
1-3[A]
3[A]
4번
|
8번
5627[A]
5633[A]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8px"
}}}}}}}}} ||



[1] 토요일 10대 / 공휴일 9대 운행[2] 101번은 철산교를 건너지 않고 목감천 옆길로 향해서 광명동으로 향한다.[3] 다만 아침 출근시간대에 철산우성아파트를 경유해 광명북고 정문으로 가는 17번이 광명북고 사거리에서 안양천로로 좌회전하는 교통량이 많아 지체되기 때문에 북중 학생 경우엔 보통 101번을 타고 광명국민체육센터에서 내려 후문을 이용하거나, 북고 학생들은 아예 광복시장에서 내려 두산위브 아파트 단지 내를 가로질러 등교한다.[4] 11-1번도 배차간격이 짧고 신도림역까지 빠르게 수송해주기는 하지만 출근시간대에는 고척교까지 워낙 정체가 심해서 호불호가 갈린다.[5]3번은 철산역에서 한바퀴 루프를 돌아서 나간다.[6] 광명동, 철산동, 소하동, 일직동, 하안동, 학온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