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0" | <tablebordercolor=#f0830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color=#fff> 직행좌석 | ||
좌석 | |||
일반 | 시내버스 맞춤형버스 공공버스(시군간) | ||
마을 | |||
1. 개요
화영운수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5.4km다.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광명시 일반형버스 21번 | |||||
| |||||
기점 | 경기도 광명시 광명동(광명돔경륜장) | 종점 |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동(가산디지털단지역) | ||
종점행 | 첫차 | 05:05 | 기점행 | 첫차 | 05:30 |
막차 | 23:25 | 막차 | 00:00 | ||
평일배차 | 12~20분 | 주말배차 | 토요일 18~25분, 공휴일 20~30분 | ||
운수사명 | 화영운수 | 인가대수 | 5대[1] | ||
노선 | 광명돔경륜장 - 광명6동삼거리 - 현진월드아파트 - 헵시바LPG충전소 - 광명사거리역.광명전통시장 - 광명시청.광명시민회관 - 광덕초등학교 - 도덕파크타운 - 광명경찰서 - 디지털3단지사거리 → 가산디지털단지역 → 디지털운동장 → 디지털3단지사거리 → 이후 역순 |
3. 역사
- 2-1번(광명7동 - 광명사거리 - 구도로 - 광명병원[현재] - 가리봉역)과 2-3번(개봉역 - 광명사거리 - 철산역(광명사회체육센터) - 철산주공13단지 - 모세로삼거리 - 광명북고 - 철산대교 - 가리봉역)이 합쳐지면서 번호가 21번으로 변경되었다. 당시 노선은 '개봉역 - 광명사거리 - 시청사거리 - 철산주공13단지 - 철산주공8단지 - 현충탑 - 광명북고 - 철산대교 - 가리봉역(회차) - 철산대교 - 성애병원 - 구도로 - 광명사거리 - 화영운수'였다. 즉 광명 북부지역을 순환하는 노선. 그래도 철산1~2동에서 개봉역과 가리봉역(현 가산디지털단지역)으로 들어가는 유일한 노선이었다 보니[3] 이 쪽 수요가 많았다.
- 1999년 '광명사거리 - 시청사거리 - 철산주공13단지 - 철산주공8단지 - 현충탑 - 광명북고 - 철산대교' 구간이 폐지되어 '화영운수차고지 - 광명사거리 - 광명병원[현재] - 가리봉역'으로 단축하였다. 이 때는 철산역이 개업하지 않았던 시기라 철산1~2동 주민들의 반발이 컸다. 어찌보면 개봉역 수요가 많은 철산1~2동에는 철산13단지와 광명사거리로 빙 돌아가는 노선밖에 없었던 것이 광명시의 실책이라 할 수 있겠다. 그런데 사실 시청으로서도 어쩔 수 없었던 게 과거 이 구간을 운행했던 2-2번의 처참한 실적 때문에 화영운수를 설득하는 게 쉽지 않았다.[5]
- 2010년 10월 1일에 광명5동 주민들의 교통편의를 위해 '화영운수 - 광남사거리 - 광명사거리' 구간을 '화영운수 - 광남사거리 - 광명6동삼거리 - 장애인종합복지관 - 광명사거리' 구간으로 변경하였다.광명시 보도자료 이로써 2006년 11월 30일에 6639번이 폐선된 이후 시내버스가 전혀 들어가지 않던 광명사거리 서쪽에 약 4년 만에 다시 시내버스가 들어가게 되었다.
- 가산동 구간 공사로 인해 2013년 5월 8일부터 6월 1일까지 우회했다.관련 공지사항
- 2018년 2월 21일에 화영운수차고지로 가지 않고, '옥길동차고지 - 원광명 - 광남사거리'로 연장되었다.화영운수 공지사항
- 2024년 12월 11일부터 재개발로 도덕공원로 일부가 폐쇄되면서 '경기항공고 ~ 광덕초등학교' 구간이 철산역앞삼거리를 통과하는 경로로 변경되었다.
4. 특징
- 광명시 노선 중 유일하게 철산교를 지나가는 버스다. 나머지 노선들은 모두 서울 버스이기 때문. 출퇴근시간의 철산교가 헬게이트이기는 하지만, 7호선 타려고 철산역까지 가기는 귀찮은 곳도 많고, 또 환승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곧바로 가산디지털단지역으로 가려는 사람들이 주로 애용한다. 더불어 가산디지털단지역 주위에 사무실이 많기도 해서 이용객은 꽤 많다.
- 또한 유일하게 도덕공원로(구도로) 구간을 지나가는 버스이기도 하다. 이쪽 구간만 해도 철산4동행정복지센터, 광덕초등학교, 브라운스톤아파트, 도덕파크타운아파트(27번 제외)등에 정차 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보니 이쪽 수요도 많은 듯 하다.
- 광명사거리와 철산대교라는 양대 헬게이트를 통과하니 자연스럽게 벌어질 수밖에 없다. 정말 심각한 경우에는 모든 배차가 죄다 가산동과 그 일대의 가산역 근처와 하행 방면에 몰려버려서 상행 이용 승객이 마냥 기다려야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 광명돔경륜장.목감문 방면으로 운행할 때에는 너부대교 이북 목감로가 일방통행인 관계로 광명교를 넘어 광남로를 이용하는데, 이 때문에 경기도 경계를 두 번 넘는다.
- 오전, 오후 시간 운행 횟수가 다르다. 보통 출근시간대 집중배차 후 빠지는 다른 노선과는 다르게 오전 시간 동안 6대를 운행하다가 12~13시 이후 5대로 운행한다.
- 기본요금제 노선이다.
5. 연계 철도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가산디지털단지역
- 서울 지하철 7호선: 광명사거리역, 가산디지털단지역
[1] 실제 운행차량은 평일 5+1대 / 토요일 4대 / 공휴일 3대 운행, +는 오전시간 추가투입 차량[현재] 광명성애병원[3] 30번이나 121번이 개봉역에서 가까운 원풍아파트 앞에 정차하긴 했지만 여기서 역까지는 5분 정도 걸어야 하는데다가 예나 지금이나 여기서 개봉역 들어가는 보도는 상태가 그닥 좋지 않다. 그렇다고 신도림역까지 버스를 타고 가자니 개봉고가서부터 정체가 심했다.[현재] [5] 과거 2-2번은 그야말로 광복아파트 수요 하나 보고 거의 벽지노선 느낌으로 굴리던 노선이었고, 그 광복아파트가 헐리자마자 폐선되었다. 물론 광복아파트는 저층아파트에 고령자 중심이던 과거와 다른 841세대 고층아파트 단지로 재건축되었지만 이것만 가지고 설득하기에는 부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