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대한민국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5em); min-height: 2em" {{{#!folding [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0 -5px" | <colbgcolor=#cd313a><colcolor=#fff>일반 | 한국의 역사(단군 이래) · 역대 국호 · 역대 지도자 · 역대 국가 깃발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민국의 역사 |
기타 | 통일 한국 · 간도 · 녹둔도 · 대마주 · 역사왜곡 |
- [ 지리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cd313a><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지명 · 수도 지리적 구분 한반도 · 수도권 · 충청 (대전·세종·충남 · 충북) · 호남 (광주·전남 · 전북) · 영남 (부울경 · 대구·경북) · 강원 (영서 · 영동) · 해서 · 관북 · 관서 · 제주 · 남한 · 북한 자연지리 산/고개 · 섬 · 강/하천 · 내륙 지역 · 동해 · 서해(황해) · 남해 · 동중국해 · 100대 명산 도시권 · 생활권 수도권 · 부산·울산권 · 대구권 · 광주권 · 대전권 · 생활권 행정구역 지방자치단체 · 광역자치단체 (특별시 · 광역시 · 도 · 특별자치시 · 특별자치도) · 기초자치단체 (인구 순위 · 인구 밀도 순위 · 면적 순위) · 행정구역 개편 · 도로명주소 · 팔도 · 이북 5도 교통 교통 · 공항 · 철도 · 고속도로 생물 생물자원 · 포유류(견종) · 파충류 · 어류(담수어류) · 양서류 · 조류 · 피낭동물 · 두족류 · 선류 · 태류 · 각류 · 양치식물 · 나자식물 · 현화식물 과학기지 세종 과학기지 · 장보고 과학기지 · 다산 과학기지 · 옹진소청초 해양과학기지 영토분쟁 독도 · NLL · 백두산 · 7광구 · 녹둔도 · 이어도 · 가거초 · 격렬비열도
- [ 군사 ]
- [ 정치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cd313a><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정치 · 대한민국 훈장 · 법정 공휴일 국가 상징 국명 · 국기 · 국가 · 국화 · 국장 · 홍익인간 · 국새 정당 정당 · 보수정당 · 민주당계 정당 · 진보정당 · 극우정당 · 기독교정당 · 종교정당 · 제3지대 정당 · 단일쟁점정당 · 극좌정당 정부조직 국회 (국회의장 · 국회부의장 · 국회의원 · 국회의사당) · 행정부 (대통령 · 국무총리 · 국무회의 · 행정각부 · 감사원) · 법원 (대법원 · 대법원장 · 대법관 · 각급법원) ·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소장 · 헌법재판소 재판관) 제도 헌법 · 10차 개헌 · 국민의 4대 의무 선거 대통령 선거 · 국회의원 선거 · 전국동시지방선거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이념 대한민국의 사회주의 · 대한민국의 진보주의 · 대한민국의 자유주의 · 대한민국의 자유지상주의 ·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 한국 내셔널리즘 · 틀:대한민국의 이념 기타 정부24 · 대한민국 정부상징 · 공공누리 · 대한민국 대통령실(대한민국 대통령 관저) · 청와대
- [ 경제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경제 · 한강의 기적 · 3저 호황 · 경제개발 5개년 계획 · 소득 · 자원 · 예산 · 긍정적 전망 · 부정적 전망 산업 한국의 산업 · 농축산업 · 수산업 · 공업 · IT · 과학기술력 · 우주개발 · 메이드 인 코리아 기업 한국의 기업 · 재벌 · 대기업 · 준대기업 · 중견기업 · 중소기업 · 자영업 무역 무역 지표 GDP · 경제성장률 · 환율 · 물가 · 물가지수 · 소비자 물가상승률 · 부채 · 가계부채 경제난 부정적 전망 · 실업 · 청년실업 · N포 세대 · 88만원 세대 · 수저계급론 · 86세대 책임론 기타 넥스트 일레븐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기초과학
- [ 사회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사회 · 인구 · 세대 · 북한이탈주민(한국 외부의 탈북자, 탈북자 소재 매체 및 탈북민 인물) · 실향민 · 이산가족 · 이민 · 재외동포 · 검은 머리 외국인 · 재한 외국인 · 다문화가정 · TCK · 출산율 · 생애미혼율 · 혼인율 · 사망률 · 자살률 민족 한국인 · 한민족 · 중국계 한국인 · 일본계 한국인 · 한국계 중국인 · 한국계 일본인 · 한국계 미국인 · 고려인 · 화교 · 조선적 교육 한국의 교육 · 틀:교육 관련 문서 · 교육열 · 입시 위주 교육 종교 한국의 종교 · 개신교 · 불교 · 천주교 · 원불교 · 유교 · 천도교 · 증산도 · 대순진리회 · 대종교 · 무속 사건 · 사고 한국의 사건 및 사고 · 범죄 통계 사회 문제 · 갈등 한국 사회의 문제점 · 헬조선 · 국뽕 · 자국 혐오 ·니트족 · 열정페이 · 저출산 · 고령화 · 인종차별 · 난민 수용 논란 · 외국인 노동자 문제 · 지역 갈등 · 젠더 분쟁 · 성소수자 · 세대 갈등 · 강한 자만이 살아남는 90년대 · 인터넷 검열 · 권위주의· 황금 티켓 증후군
- [ 외교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 [ 문화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문화 · 한류 · 콘텐츠 · 전통문화 · 민속놀이 · 신화 · 요괴 · 명절 (설날 · 추석 · 민족 최대의 명절 논쟁) · 성씨 · 대한민국 표준시 · 세는나이 · 예절 · 문화 검열 · 성문화 관광 한국의 관광 · 축제 · 국립공원 국가유산 국가유산 · 국보 · 보물 · 무형문화재 · 사적 · 명승 · 천연기념물 · 민속문화재 · 등록문화재 · 세계유산 · 세계기록유산 · 인류무형문화유산 · 세계유산 잠정목록 언어 · 문자 한국어 (표준어 · 방언) · 한국어의 높임법 · 한글 · 한글만능론 · 한자 (정체자 · 약자 · 한국의 한자 사용) 건축 건축 · 한옥 · 궁궐 · 성 · 무덤 · 사당 · 서원 · 향교 · 사찰 · 마천루 · 서낭당 · 신사 · 온돌 · 홍살문 의복 · 무기 한복 · 백의민족 · 갑옷 · 무기 · 한선 음식 음식 · 한정식 · 한과 · 전통음료 · 전통주 · 지리적 표시제 · 한민족의 식사량 스포츠 스포츠 · 태권도 · 씨름 · 택견 · 수박 · 활쏘기 · 족구 · e스포츠 문예 · 출판 문학 · 베스트셀러 · 웹소설 · 판타지 소설 미술 · 만화 현대미술 · 한국화 · 고화 · 만화 · 웹툰 · 애니메이션 · 만화 검열 게임 비디오 게임 · 온라인 게임 (MMORPG) · 게임 업계 현황 · 게임규제 음악 음악 · K-POP · 힙합 · 트로트 · 국악 · 판소리 · 사물놀이 · 아리랑 · 한국 대중음악 명반 100 ('98, '07, '18) 영화 · 연극 영화 · 천만 관객 돌파 영화 · 뮤지컬 방송 방송 · 드라마 · 예능 프로그램 · 웹드라마 · 웹예능 · 인터넷 방송 기타 한국형 · 한국적 · K- · 고요한 아침의 나라 · 변질된 유교적 전통 · 명절증후군 · 한국 기원설
1. 개요
사망자 통계에 관한 문서.2. 사망 통계의 종류
- 조사망률(crude death rate): 연간 총 사망자 수를 그 해의 연앙인구[1]로 나눈 값. 인구 구조에 따른 차이가 보정되지 않았으므로, 서로 다른 지역이나 서로 다른 시기의 보건 수준을 비교하는데 사용하기는 부적합하다.
- 연령표준화사망률(age-adjusted death rate): 인구 구조에 따른 사망률의 차이를 보정한 사망률. 연령 표준화의 방법은 역학(의학)/질병과 사망의 측정 문서의 연령표준화 문단 참고.
- 비례사망(proportional mortality, PM): 특정 원인으로 사망한 사람들의 비율.
- 비례사망비(proportional mortality raio, PMR): 서로 다른 인구 집단에서 PM 값의 비, 또는 특정 집단과 표준 인구 집단에서 PM값의 비. 예를 들어, 어떤 집단에서 암 사망자의 비율이 45%이고, 표준 인구에서 암 사망자의 비율이 30%라면, PMR은 45/30=1.5(150%)이다. 이는 직업 역학의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 비례사망지수(proportional mortality indicator): 50세 이상 사망자의 비율. 이 값이 높은 경우 조기 사망의 비율이 낮은 것임으로, 보건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2019년 기준으로, 총 사망자 수는 295,110명, 50세 이상 사망자 수는 273,626명으로, 비례사망지수는 92.7%이다.
2.1. 영아사망
- 영아 사망률(infant mortality rate, IMR): (1년 이내에 사망한 인구 수)/(전체 출생아 수)로 구한다. 2020년 기준으로 세계의 영아 사망률은 1000명당 29.3명, 대한민국의 경우 1000명당 2.1명이다.
- 신생아 사망률(neonatal mortality rate, NMR): (28일 이내에 사망한 인구 수)/(전체 출생아 수)로 구한다. 2019년 기준으로 대한민국의 신생아 사망률은 1000명당 1.5명이다.
- 조기신생아 사망률(Early neonatal mortality rate): (7일 이내에 사망한 인구 수)/(전체 출생아 수)
- Late neonatal mortality rate: (8일~28일에 사망한 인구 수)/(전체 출생아 수)
- 후기신생아 사망률(Postneonatal mortality rate): (29~365일에 사망한 인구 수)/(전체 출생아 수)
- 주산기 사망률(Perinatal mortality rate, PMR): (7일 이내 사망한 인구 수 + 28주[A] 이후 사산 수)/(전체 출생아 수 + 28주[A] 이후 사산 수)로 구한다. 임신 후기 태아 사망과 조기 신생아 사망을 더한 통계이다.
- 알파 인덱스(α-index): (영아 사망률)/(신생아 사망률)로 구해진다. 신생아 사망은 예방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으므로, 일반적으로 이 값이 1에 가까울수록, 즉 값이 작을수록 보건 수준이 더 높다.
2.2. 산모사망
- 모성사망비(Maternal mortality ratio): (임신 중 또는 분만 후 42일 이내에 사망자 수)/(전체 출생아 수)로 구한다. 2019년 기준으로 대한민국의 모성사망비는 10만명당 9.9명이다.
- 모성사망률(Maternal mortality rate): (임신 중 또는 분만 후 42일 이내에 사망자 수)/(15~49세 여성 인구의 수)로 구한다. 2019년 기준으로 대한민국의 모성사망률은 10만명당 0.25명이다.
3. 대한민국의 사망자 추이
대한민국 기준으로, 일제강점기~해방 초기까지는 사망자수는 연간 35~45만명 사이. 조사망률은 대체적으로 일제강점기에는 인구 1천명당 25명 전후, 해방 초기에는 처음으로 16~18명으로 하락한다.(사망자수 변화는 거의 없어 해방 후 해외 인구 귀환 급증으로 총인구수가 급증해 분모 대 분자 비율이 낮아져서이다.)한국 전쟁 시기에는 사망자수가 연간 60만명(!)까지 급증하다 연도별로 조금씩 감소하는데 이는 전면전에서 전쟁 후기로 갈수록 국지전으로 변화한 탓이 크다.
이후로 1954년에 마지막으로 30만명대 사망자수를 기록한 이후로는 영아사망률 감소 등으로 사망자수와 사망률이 하향안정화된다.
사망자수는 2010년까지 25만명 전후에서 등락하였다. 2010년부터는 고령화의 영향으로 인해 점차 다시 사망자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2020년에는 사망자수가 다시 30만명을 넘어섰다.
조사망률은 1950~1960년대 중반까지 인구 1천명당 10명 초반 수준으로 하락하고, 1970~80년대 초반 7~8명, 8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꾸준히 하락하여 2006년 5.0명까지 하락한 후 2000년대 후반부터 노인 비율이 10%를 넘는 인구 고령화등으로 다시 소폭 증가해 2020년 기준으로 5.9명 수준이다.
베이비붐 세대의 출발년도인 1955년 생이 80대가 되는 2030년대 중후반~2040년대 이후로는 사망자가 크게 증가할 전망이다. 태어날 때 많이 태어났기 때문에 죽을 때도 많이 죽는 것이 그 원인이다.
보통 영아기때는 사망률이 높으며[4][5] 조산아, 염색체 이상, 감염 취약 등 탓도 있고, 영아돌연사증후군과 영아살해 등이 있다. 1세 이후 사망률은 급격히 줄어들지만 유치원생~초등학교 저학년(초1~초2)까지는 부주의, 약한 면역력, 사고로 인한 사망 등으로 사망률이 약간 있으며 초등학교 3~6학년 정도가 사망률이 가장 낮다. 그리고 중학생~고등학생때는 사춘기 시기를 보내면서 자살자가 생겨나서 사망률이 약간씩 높아지며, 고등학생부터는 차츰 성인병이 드물게 생기기 시작해 초등학생~중학생에 비해 사망률이 유의미하게 높아지기 시작한다. 그리고 성인이 되어서도 조금씩 상승하지만 20~30대는 젊은 나이인지라 대부분이 건강하고 성인병이 적은 편이라 암[6], 심장병, 폐렴, 고혈압 등 병으로 사망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사고로 죽을 확률도 적은 편이며 사망자중 대부분 자살이다. 즉 30대까지는 자살이 아니라면 사망할 확률은 매우 드물다.[7]
그러나 불혹, 즉 40살이 넘어가면서부터는 이야기가 달라진다. 신체가 본격적으로 노화하기 시작하면서 성인병이 본격적으로 드러나며 스트레스 및 비만 등으로 심근경색과 같은 심혈관질환이 나서 사망하기도 하고 (주로 남성들에게) 위암[8], 대장암, 간암 등 암 발생도 본격적으로 보이기 시작한다. 하지만 40대가 30대 이하와 다르게 질병 사망이 드러나기 시작할 뿐, 아직은 비교적 젊은 탓에 사망률이 꽤 낮다. 50대가 되면 갱년기에 접어들게 되어 질병 사망률이 증가하기 시작하며, 환갑(60대)가 되면 면역력이 하락하며 심장병, 뇌출혈, 암은 물론이고 폐렴 사망자도 때때로 보인다. 그래도 60대까지는 어느정도 건강하고 신체가 버틸 수 있지만, 70대가 되면 지병이 악화되어 이전까지 버텨왔던 사람이건, 건강한 사람이건 주변에서 사망 소식이 적지 않게 들려오며 노환으로 사망하는 사람도 간간히 보인다. 게다가 그 탓에 자살률도 급증한다. 80대는, 현재 기준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망하는 시기라, 80대 초중반을 중심으로 많이 돌아가신다. 그래서 80대 후반 이상 노인(주로 할아버지)들은 장수 취급을 받기 시작하며, 90대에도 살아있는 경우가 다소 있지만 90~100세 이상에는 대부분 돌아가시거나 설령 생존하더라도 기력이 거의 없어진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매일 평균 16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사망하고 있다. 낙태나 유산을 포함시킨다면 매일 30만명 가량이 사망하고 있을 것이다.
한국인 출생아 사망자수 비교, 혼인건수 이혼건수 (1970-2019) | 통계데이터시각화
4. 대한민국의 사망자 수 통계
조사망률(Crude Death Rates)은 인구 1,000명 당 사망자 수를 의미한다.||<rowbgcolor=#ccc><rowcolor=#000><colbgcolor=#ccc><colcolor=#000> 연도 || 사망자 수
(명) || 조사망률
(명) ||
(명) || 조사망률
(명) ||
1970 | 258,589 | 8.0 |
1971 | 237,528 | 7.2 |
1972 | 210,071 | 6.3 |
1973 | 267,460 | 7.8 |
1974 | 248,807 | 7.2 |
1975 | 270,657 | 7.7 |
1976 | 266,857 | 7.4 |
1977 | 249,254 | 6.8 |
1978 | 252,298 | 6.8 |
1979 | 239,986 | 6.4 |
1980 | 277,284 | 7.3 |
1981 | 237,481 | 6.1 |
1982 | 245,767 | 6.2 |
1983 | 254,563 | 6.4 |
1984 | 236,445 | 5.9 |
1985 | 240,418 | 5.9 |
1986 | 239,256 | 5.8 |
1987 | 243,504 | 5.9 |
1988 | 235,779 | 5.6 |
1989 | 236,818 | 5.6 |
1990 | 241,616 | 5.6 |
1991 | 242,270 | 5.6 |
1992 | 236,162 | 5.4 |
1993 | 234,257 | 5.2 |
1994 | 242,439 | 5.4 |
1995 | 242,838 | 5.3 |
1996 | 241,149 | 5.2 |
1997 | 244,693 | 5.3 |
1998 | 245,825 | 5.2 |
1999 | 247,734 | 5.3 |
2000 | 248,740 | 5.2 |
2001 | 243,813 | 5.1 |
2002 | 247,524 | 5.1 |
2003 | 246,463 | 5.1 |
2004 | 246,220 | 5.1 |
2005 | 245,874 | 5.1 |
2006 | 244,162 | 5.0 |
2007 | 246,482 | 5.0 |
2008 | 246,113 | 5.0 |
2009 | 246,942 | 5.0 |
2010 | 255,405 | 5.1 |
2011 | 257,396 | 5.1 |
2012 | 267,221 | 5.3 |
2013 | 266,257 | 5.3 |
2014 | 267,692 | 5.3 |
2015 | 275,895 | 5.4 |
2016 | 280,827 | 5.5 |
2017 | 285,534 | 5.6 |
2018 | 298,820 | 5.8 |
2019 | 295,110 | 5.7 |
2020 | 304,948 | 5.9 |
2021 | 317,680 | 6.2 |
2022 | 372,939 | 7.3 |
2023 | 352,511 | 6.9 |
2024 |
5. 관련 문서
- 출생 인구
- 출생률
- 인구 증감
- 인구 증감률
- 기대 수명
- 영아 사망률
- 고령화
- 고령화사회
- 고령사회
- 초고령사회
- 대한민국/고령화
- 대한민국/고령복지
- 대한민국/고령화/문제점
- 선진국/고령화사회
- 선진국/고령사회
- 실업
- 양극화
- 우울장애/통계
- 자살
- 저소득층
- 출산율
[1] 그 해 중간 시점의 인구[A] 22주를 기준으로 하기도 한다.[A] [4] 특히 1970년대 초반까지는 가정 출산이 흔해 영아기때 사망하는 경우가 최소 3%에 최대 15% 이상이었다.[5] 2020년대 대한민국 기준 1년 이내 사망률은 남자는 50대 무렵, 여자는 60대 무렵에 영아 사망률을 초월한다.[6] 젊은 층에서도 최근 들어 암환자가 보이긴 하고(주로 여성층) 신진대사가 빠르지만, 갑상선암 등 예후가 비교적 좋은 편이고, 중노년에 비하면 확실히 적다.[7] 과거(1990년대 중반까지)에는 20대 초반에 남자 한정 군대 탓에 사망이 어느정도 있었다.[8] 조기발견으로 최근 들어 발병률과 사망률이 감소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