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392년 8월 20일 태조에 의해 책록 | |||||||
좌명개국공신 (1등) | ||||||||
김사형 | 남은 | 남재 | 배극렴 | |||||
| 이제 | 이지란 | 이화 | |||||
장사길 | 정도전 | 정총 | 정탁 | |||||
정희계 | | 조인옥 | 조준 | |||||
김인찬 | | 이방원 | 이방의 |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 협찬개국공신 (2등) | |||
정지 | 유창 | 윤호 | 이민도 | |||||
황희석 | 정용수 | 조기 | 조반 | |||||
조영규 | 조온 | 홍길민 | 조견 | |||||
| | |||||||
익대개국공신 (3등) | ||||||||
고여 | 김균 | 김로 | | |||||
| 안경공 | 오사충 | 유원정 | |||||
| 이백유 | 이부 | 이서 | |||||
이직 | | 함부림 | | |||||
민여익 | 임언충 | | 조영무 | |||||
한상경 | 한충 | }}}}}}}}} |
| ||||||||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398년 9월 17일 태조에 의해 책록 | |||||||
정사일등공신 (1등) | ||||||||
김사형 | | 이무 | | |||||
이방원 | 이방의 | 이애 | 이화 | |||||
| 조영무 | 조준 | 하륜 |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 정사이등공신 (2등) | |||
김로 | | | | |||||
신극례 | 심종 | 이복근 | | |||||
이양우 | 이지란 | 이천우 | | |||||
장사길 | | 장철 | 정탁 | |||||
조온 | }}}}}}}}} |
<colbgcolor=#c00d45><colcolor=#f0ad73> | |
출생 | 1355년 (고려 공민왕 4) |
사망 | 1416년 (조선 태종 16) |
본관 | 연안(延安) |
공신호 | 개국공신 3등 (1392) 정사공신 2등 (1398) |
시호 | 공경(恭頃) |
1. 개요
여말선초의 무신. 본관은 연안(延安). 봉호는 연성군(延城君), 시호는 공경공(恭頃公). 아버지는 김을진(金乙珍)이며, 동생은 공조판서 김남수(金南秀), 아들은 김영철(金永轍), 김영륜(金永輪), 조카는 연산군 김효성이다.2. 생애
고려조에서 생원(生員)으로 호군(護軍)이 되고, 조금 뒤에 첨설 삼사 우윤(添設三司右尹)이 되었다.조선 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상장군(上將軍)으로 있으면서 양광도에 파견되어 유배된 고려 유신(遺臣)들에게 장형을 집행하였고, 동년 8월 개국공신(開國功臣) 3등 추충익대개국공신(推忠翊戴開國功臣)으로 대호군을 제수받았다. 1396년(태조 5) 중추원사로 있으면서 서북면의 이성(泥城) 수령을 겸직하였고, 1397년(태조 6)에는사농 경(司農卿)을 지냈다. 1398년(태조 7) 8월 무인정사에 가담하여, 동년 9월 1일 동지중추원사 의흥 삼군부 우군 동지절제사(同知中樞院事義興三軍府右軍同知節制使)가 되었다가 곧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로 승진했고, 동월 17일 정사공신(定社功臣) 2등 추충협찬정난정사공신(推忠協贊靖難定社功臣)에 책록되었다. 1402년(태종 2) 중군 도총제(中軍都摠制), 1406년(태종 6) 서북면 도순문찰리사(西北面都巡問察理使) 겸 평양 윤(平壤尹)을 지냈다. 이후 연성군(延城君)에 봉해졌고, 1408년(태종 8) 하정사(賀正使)로서 부사 서령군(瑞寧君) 류기(柳沂)와 함께 명나라 경사(京師)[1]에 파견되었다. 1409년(태종 9) 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가 되었다. 1416년(태종 16) 10월 졸하니 3일간 철조(輟朝)[2]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