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일 한자 | ||||||
月 월요일 | 火 화요일 | 水 수요일 | 木 목요일 | 金 금요일 | 土 토요일 | 日 일요일 |
木 나무 목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木, 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4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ボク, モク | ||||||
일본어 훈독 | き, (こ) | ||||||
- | |||||||
표준 중국어 | mù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획순 |
[clearfix]
1. 개요
木은 '나무 목'이라는 한자로, '나무'를 뜻한다.2. 특징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나무 |
음 | 목 | |
중국어 | 표준어 | mù |
광동어 | muk6 | |
감어 | muh6 | |
객가어 | muk | |
진어 | meh4 | |
민북어 | mù | |
민동어 | mŭk | |
민남어 | bo̍k[文] / ba̍k[白] | |
오어 | moq (T5) | |
상어 | ienn2 | |
일본어 | 음독 | ボク, モク |
훈독 | き, (こ) | |
베트남어 | mộc |
유니코드에서는 U+6728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에서는 木(D)으로 입력한다.
갑골 | 금문 | 소전 |
木 자가 부수로 쓰이는 한자는 대부분 나무에 관련된 뜻이다. 삼수변과 초두머리와 더불어서 쓰임새가 상당히 많다.
뜻은 다음과 같다.
1. 나무
비슷한 뜻의 樹(나무 수) 자가 있다. 樹는 주로 살아 있는 상태의 나무 개체(tree. 예: 가로수), 큰 분류로서의 나무(예: 활엽수, 침엽수)를 가리키고, 木은 생물학적 종류로서의 나무(예: 회양목, 행운목), 죽은 나무(예: 고목), 재료로 쓰이는 나무(wood. 예: 목재, 목조, 목관악기)를 가리킨다.
2. 오행(五行) 중 하나
여기에 해당하는 예로 목성(木星), 목요일(木曜日)이 있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한국어 나무의 어원일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 순우리말 가운데 상고한어로부터의 차용어가 상당수 있다고 보는 의견의 연장선상이다.
2.1. 木 자가 변형되어 만들어지는 한자
木의 아래, 즉 뿌리에 가로줄을 그으면 本(근본 본)이 된다. 나무의 근본이 뿌리라는 뜻에서 나온 지사자로, 나라 이름 일본(日本)을 풀이하면 해가 뜨는 근본을 뜻한다.木의 위, 즉 가지에 가로줄을 짧게 그으면 未(아닐 미), 길게 그으면 末(끝 말)이 된다. 未(미)는 갑골문에서 木의 상부에 잔가지를 덧붙인 형태로 '여름철 과수의 가지와 잎이 무성하여, 아직 열매를 맺지 않은 것'을 뜻한다.# 不(아니 불), 非(아닐 비)가 단순 부정을 나타낸다면 未는 아직 ~하지 못하다라는 뉘앙스가 강하다.
末(말)의 경우는 갑골문에는 없고 금문(金文)에 처음 나타나는데 木의 맨 위에 획을 더하여 나무꼭대기(맨 끝)을 가리키는 지사자다.#
재미있는 변형자들로는 수풀 림(林), 나무 빽빽할 삼(森)자 등이 있다. 보다시피 나무 목 자 두 개, 세 개로 나무가 많은 곳(숲)을 나타내는 한자인 게 바로 와닿는다. 이런 식으로 만들어진 한자 중엔 무려 용 룡(龍)자 네 개를 쓰는 𪚥자도 있는데, 오히려 획수가 적은 木자는 상용한자에서는 3개까지 밖에 없다만 이체자로는 森의 동자인 𱤏[⿰⿱木木⿱木木](U+3190F)과, 쯔놈인 𣛧가 있다.
중국 간화자 기준으로 오른쪽에 점을 추가하면 术(術)가 된다.
3. 용례
3.1. 부수
| ||||
{{{#!wiki style="margin:3px -10px -3px; min-height:1.5em;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14 부수 ] | 1획 |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 ||
2획 |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 |||
3획 |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 |||
4획 |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 |||
5획 |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 |||
6획 |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 |||
7획 |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 |||
8획 |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 |||
9획 |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 |||
10획 |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 |||
11획 |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 |||
12획 |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 15획 | <colbgcolor=#fff,#1f2023>211 齒 | |
13획 |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 16획 | 212 龍 213 龜 | |
14획 | 209 鼻 210 齊 | 17획 | 214 龠 | |
참고문서 : 부수 · 한자/목록/부수별 · 강희자전 |
- [ 위치별 주요 부수 ]
- ||<:><table align=center>변
<colbgcolor=#fff,#1f2023>氵 · 亻 · 木 · 糹 · 訁 · 口 · 扌 · 忄 · 女 · 山 · 虫 · 火 · 釒 · 日 · 月/⺼ · 禾 · 土 · ⻖ · 犭 · 馬 · ⻞/飠 · 目 · 王 · 石 · 米 · 衤 · ⻊ · ⺬/礻 · 彳 · 車 · 魚 · 冫 · 貝 · 酉 · 耳 · 弓 · 牜 · 舟 · 立 · 方 · 歹 · 止 · 音 방 攵 · 頁 · 隹 · 鳥 · ⻏ · 刀 · 欠 · 又 · 見 · 力 · 殳 · 寸 · 戈 · 斤 · 卩 · 瓦 · 乚 · 彡 머리 ⺿/艹 · ⺮ · 宀 · 亠 · 冖 · 𠆢 · 爫/⺥ · ⻗ · 穴 · 覀 · 罒 · 止 발 木 · 心 · 灬 · 夊 · 女 · 大 · 示 · 土 · 子 · 見 · 貝 · ⺝ · 皿 · 止 받침 ⻍/⻌ · 廴 · 走 · 鬼 · 麥 엄 广 · 厂 · 尸 · 戶 · 疒 · 耂 · 虍 <colbgcolor=#fff,#1f2023>勹 · 气 몸 囗 門 · 鬥 凵 匚 그외 {{{#!wiki style="margin:-16px -11px" 心 衣 }}} 行
- [ 수록자 보기 ]
- ||1획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2획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3획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4획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5획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6획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7획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8획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9획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10획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11획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12획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15획 <colbgcolor=#fff,#1f2023>211 齒 13획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16획 212 龍 213 龜 14획 209 鼻 210 齊 17획 214 龠 참고문서 : 부수 · 한자/색인/부수별 · 강희자전
木은 214 부수 중에서 75번째 부수로 적혀있다. 木을 부수로 삼는 한자는 약 620개이다.
木을 부수로 삼는 한자는 나무와 관련된 단어 혹은 나무로 만든 것을 뜻하는 한자가 많다. 대표적으로 校(학교 교), 植(심을 식), 樹(나무 수), 林(수풀 림), 本(근본 본), 根(뿌리 근), 案(책상 안), 板(널빤지 판), 橋(다리 교), 村(마을 촌) 등이 있다.[3]
3.2. 단어
- 각목(刻木/角木)
- 고목(古木/枯木/苦木/高木) - 古木은 오래된 나무를, 枯木은 말라죽은 나무를, 高木은 높이 자란 나무를 뜻하며, 苦木은 소태나무를 달리 이르는 말이다.
- 공목(拱木)
- 관목(灌木)
- 광목(廣木)
- 교목(喬木)
- 교목(校木)
- 규화목(硅化木)
- 늑목(肋木)
- 당목(唐木)
- 마가목(馬牙木)[4]
- 말목(抹木)
- 모과(木瓜)[5]
- 목간(木幹/木竿/木簡)
- 목검(木劍)
- 목공(木公/木工)
- 목관(木棺/木管)
- 목멱산(木覓山)
- 목근화(木槿花)
- 목기(木器/木氣/木記)
- 목노(木奴)
- 목도(木刀)
- 목련(木蓮)
- 목마(木馬)
- 목석(木石)
- 목성(木星)
- 목수(木手)
- 목안(木雁)
- 목안마(木鞍馬)
- 목어(木魚)
- 목요일(木曜日)
- 목장갑(木掌匣)
- 목재(木材)
- 목적(木賊)
- 목제(木製)
- 목조(木彫/木造)
- 목직성(木直星)
- 목초(木醋)
- 목초(木草)
- 목층교(木層橋)
- 목침(木枕)
- 목탁(木鐸)
- 목탄(木炭)
- 목탑(木塔)
- 목판(木板, 木版)
- 목향(木香)
- 목혼식(木婚式)
- 목화(木花)
- 묘목(苗木)
- 벌거목(伐去木)
- 벌목(伐木)
- 부목(負木)
- 비목(碑木/飛木)
- 삽목(揷木)
- 수목(樹木)
- 식목(植木)
- 신목(新木/神木/薪木)
- 원목(原木)
- 재목(材木)
- 전목(錢木)
- 접목(接木)
- 주목(朱木)
- 중방목(中枋木)
- 초목(草木)
- 취목(取木)
- 침목(枕木)
- 토목(土木)
- 토목건축(土木建築)
- 토목공사(土木工事)
- 토목공학(土木工學)
- 토목국(土木局)
- 토목기계(土木機械)
- 토목기사(土木技士/土木技師)
- 토목비(土木費)
- 토목사업(土木事業)
- 토목업(土木業)
- 토목지역(土木之役)
- 토목지질학(土木地質學)
- 토목직 공무원(土木職 公務員)
- 토목학(土木學)
- 토목행정(土木行政)
- 토목향(土木香)
- 토목형해(土木形骸)
- 토목(吐木)
3.3. 고사성어/숙어
3.4. 인명
일본에서는 성씨와 이름 모두에 빈번하게 등장한다. 한국에서는 '목'이라는 음절의 어색한 어감 때문에 잘 쓰이지 않는다.- 목라근자(木羅斤資)
- 모쿠교 다루마(木魚 達磨)
- 무슈(木須): 뮬란의 등장인물
- 미키 신이치로(三木 眞一郎)
- 센본기 사야카(千本木 彩花)
- 스즈키 미노리(鈴木 みのり)
- 스즈키 아이나(鈴木 愛奈)
- 스즈키 에리(鈴木 絵理)
- 스즈키 코노미(鈴木 このみ)
- 아시키바 타쿠토(葦木場 拓斗)
- 유우키 아오이(悠木 碧)
- 유우키 카나(優木かな)
- 이시목(李施木)
- 잇키 치히로(一木 千洋)
- 차일목(車一木)
- 카미키 류노스케(神木 隆之介)
- 카시키 유노(樫木 優乃)
- 쿠라키 마이(倉木麻衣)
- 쿠스노키 토모리(楠木ともり)
- 키도 이부키(木戸 衣吹)
- 키도 츠보미(木戸 つぼみ)
- 키무라 료헤이(木村 良平)
- 키무라 스바루(木村 昴)
- 키무라 쥬리(木村 珠莉)
- 키무라 케이토(木村 慧人)
- 키지마 유우키(木島 友規)
- 키하라 히토시(木原 均)
- 타마키 유이치로(玉木 雄一郎)
- 황목치승(荒木治丞)
3.5. 지명
- 한국
- 전라남도 목포시(木浦市)
- 충청남도 청양군 목면(木面)
- 충청남도 천안시 목천읍(木川邑)
- 전라남도 곡성군 목사동면(木寺洞面)
- 강원도 평강군 목전면(木田面)
- 황해도 서흥군 목감면(木甘面)
-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당목리(唐木里)
- 일본
3.6. 창작물
3.7. 기타
- 植木日, 植木日 2, 植木日 ON: 남우현의 콘서트
- 乃木坂46
- 乃木坂工事中
- 柚木N'(유즈키N')
- 기노시타(木下)
- 나목(裸木)
- 롯폰기(六本木) - 도쿄 미나토구의 번화가이자 부자동네. 직역하면 나무 6그루라는 뜻이라 일본식 한자 말장난의 클리셰로 쓰인다. 나무 한 그루는 木, 두 그루면 林, 세 그루면 森, 그리고 여섯 그루면...
- 목포시(木浦市)
- 묘목산(妙木山)
- 박목월(朴木月)
- 스즈키(鈴木)
- 어목조동
- 월화수목금금금(月火水木金金金)
- 키무라(기무라, 木村)
- 카네키(金木)
- 타카키(高木)
- 목동역
- 오목교역
- 신목동역
- 도치기현(栃木県)/도치기시
- 納木維基(나무위키 공식 한문 표기)
4. 유의자
- 樹(나무 수)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東(동녘 동)
- 來(올 래)
- 末(끝 말)
- 米(쌀 미)
- 未(아닐 미)
- 本(근본 본)
- 不(아닐 불)
- 朩(삼줄기껍질 빈)
- 束(묶을 속)
- 水(물 수)
- 术(재주 술)[6]
- 朿(가시 자, 묶을 속)
- 朮(차조 출)
- 太(클 태)
- 禾(벼 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