石 돌 석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石, 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5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セキ, (シャク, コク), ジャク | ||||||
일본어 훈독 | いし | ||||||
- | |||||||
표준 중국어 | dàn, shí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한자를 배우지 않아도 알 수 있는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한자 중 하나로 '돌'을 의미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돌 |
음 | 석 | |
중국어 | 표준어 | shí |
광동어 | sek6 | |
감어 | sah7 / siit6 | |
객가어 | sa̍k | |
진어 | seh5 | |
민북어 | ciō̤ | |
민동어 | sĭk[文] / siŏh[白] | |
민남어 | se̍k[文] / chio̍h, sia̍h[白] | |
오어 | zaq (T5) | |
상어 | shr6 | |
일본어 | 음독 | セキ, シャク, コク[5], ジャク |
훈독 | いし | |
베트남어 | thạch, đán |
유니코드에는 U+77F3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一口(MR)로, 주음부호로는 ㄕˊ로 입력한다.
절벽에서 돌이 떨어지는 모습을 본뜬 상형자이다. 대략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다.
고자로는 𥐘이 있다.
席, 度, 庶 등에 쓰이는 广+廿 형태도 石의 변형이다.
2.1. 부수
| ||||
{{{#!wiki style="margin:3px -10px -3px; min-height:1.5em;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14 부수 ] | 1획 |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 ||
2획 |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 |||
3획 |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 |||
4획 |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 |||
5획 |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 |||
6획 |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 |||
7획 |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 |||
8획 |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 |||
9획 |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 |||
10획 |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 |||
11획 |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 |||
12획 |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 15획 | <colbgcolor=#fff,#1f2023>211 齒 | |
13획 |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 16획 | 212 龍 213 龜 | |
14획 | 209 鼻 210 齊 | 17획 | 214 龠 | |
참고문서 : 부수 · 한자/목록/부수별 · 강희자전 |
- [ 위치별 주요 부수 ]
- ||<:><table align=center>변
<colbgcolor=#fff,#1f2023>氵 · 亻 · 木 · 糹 · 訁 · 口 · 扌 · 忄 · 女 · 山 · 虫 · 火 · 釒 · 日 · 月/⺼ · 禾 · 土 · ⻖ · 犭 · 馬 · ⻞/飠 · 目 · 王 · 石 · 米 · 衤 · ⻊ · ⺬/礻 · 彳 · 車 · 魚 · 冫 · 貝 · 酉 · 耳 · 弓 · 牜 · 舟 · 立 · 方 · 歹 · 止 · 音 방 攵 · 頁 · 隹 · 鳥 · ⻏ · 刀 · 欠 · 又 · 見 · 力 · 殳 · 寸 · 戈 · 斤 · 卩 · 瓦 · 乚 · 彡 머리 ⺿/艹 · ⺮ · 宀 · 亠 · 冖 · 𠆢 · 爫/⺥ · ⻗ · 穴 · 覀 · 罒 · 止 발 木 · 心 · 灬 · 夊 · 女 · 大 · 示 · 土 · 子 · 見 · 貝 · ⺝ · 皿 · 止 받침 ⻍/⻌ · 廴 · 走 · 鬼 · 麥 엄 广 · 厂 · 尸 · 戶 · 疒 · 耂 · 虍 <colbgcolor=#fff,#1f2023>勹 · 气 몸 囗 門 · 鬥 凵 匚 그외 {{{#!wiki style="margin:-16px -11px" 心 衣 }}} 行
- [ 수록자 보기 ]
- ||1획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2획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3획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4획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5획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6획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7획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8획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9획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10획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11획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12획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15획 <colbgcolor=#fff,#1f2023>211 齒 13획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16획 212 龍 213 龜 14획 209 鼻 210 齊 17획 214 龠 참고문서 : 부수 · 한자/색인/부수별 · 강희자전
石의 부수형태는 변[6]이나 발[7] 등이 있다. 돌석부는 강희자전에서 112번째 부수로 분류되며, 이것을 부수로 삼는 한자는 500개가 있다.
돌이라는 의미를 담고있는 한자답게, 돌이나 돌로 하는 행위, 돌처럼 단단한 성질과 관련된 한자에 부수로 자주 등장한다.[8] 예를 들어 돌쇠뇌 포(砲), 바위 암(岩)[9], 규소 규(硅), 깨뜨릴 파(破), 비석 비(碑), 갈 마(磨), 갈 연(硏), 초석 초(硝), 유황 류(硫), 자석 자(磁), 푸를 벽(碧), 주춧돌 초(礎), 굳을 경(硬), 굳을 확(確), 부술 쇄(碎) 등 헤아릴 수 없이 많다.
3. 용례
돌 석은 일반적인 단어에서도 많이 쓰이지만 지명이나 성씨에도 굉장히 많이 쓰인다. 예를 들어 한국과 중국에는 석(石)씨가 있으며, 일본의 성씨 이시카와(石川)는 일본에서 27번째로 흔한 성씨이다. 또한 지명에 있어서 石자는 한중일 가릴 것 없이 절찬리에 쓰이는 단골한자이다.인명에도 의외로 꽤 쓰인다. 돌 자체가 단단하고 강한 이미지이다보니 석자 중에서도 남성적 성향이 가장 강하다.[10] 여성 이름에 쓰이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이외에도 척관법에서 부피 단위로 쓰이기도 한다.
3.1. 단어
대부분 돌이나 단단한 물질과 관련된 단어들이다.- 석(石)
- 광석(鑛石)
- 낙석(落石)
- 비석(碑石)
- 비석(沸石)
- 비석(砒石)
- 초석(硝石)
- 초석(礎石)
- 방해석(方解石)
- 석정(石鼎)
- 암석(巖石)
- 옥석(玉石)
- 운석(隕石)
- 자석(磁石)
- 화석(化石)
- 활석(滑石)
- 보석(寶石)
- 석경당(石敬塘)
- 석고(石膏)
- 석기(石器)
- 석류(石榴)
- 석보(石堡)
- 석유(石油)
- 석회(石灰)
- 석청(石淸)
- 석탄(石炭)
- 석화(石化)
- 석화(石花)
- 석주(石柱)
- 흑요석(黑曜石)
- 포석(布石)
- 정석(定石)
- 투석(投石)
- 규회석(硅灰石)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입니다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 |
- 백석(白石)
- 센고쿠(千石, 仙石)
- 센고쿠 히데히사(仙石秀久)
- 센고쿠 나데코(千石撫子)
- 센고쿠 치히로(千石千尋)
- 센고쿠 카무리(千石冠)
- 센고쿠 카케루(仙石翔)
- 센고쿠 카오루(仙石薫)
- 센고쿠 코즈에
- 센고쿠 타케루
- 센고쿠 시노부(仙石忍)
- 이시모리(石森)
- 시라이시(白石)
- 시라이시 노리아(白石紀亜)
- 시라이시 료코(白石涼子)
- 시라이시 마리나(白石茉莉奈)
- 시라이시 마이(白石麻衣)
- 시라이시 미노루(白石稔)
- 시라이시 슌야(白石隼也)
- 시라이시 하루카(白石晴香)
- 시라이시 나고미(白石なごみ)
- 시라이시 마도카(白石まどか)
- 시라이시 마코(白石茉子)
- 시라이시 모모코(白石桃子)
- 시라이시 우라라(白石うらら)
- 시라이시 유토리(白石ゆとり)
- 시라이시 츠무기(白石紬)
- 시라이시 치요코(白石知世子)
- 시라이시 쿠라노스케(白石蔵ノ介)
- 왕안석(王安石)
- 이시나기 모에타(石凪萌太)[11]
- 이시다(石田)
- 이시다 미츠나리(石田三成)
- 이시다 미나미(石田みなみ)
- 이시다 스이(石田スイ)
- 이시다 스테오(石田捨雄)
- 이시다 아유미(石田亜佑美)
- 이시다 아츠코(石田敦子)
- 이시다 아키라(石田彰)
- 이시다 아키라(石田あきら)
- 이시다 아키라(石田明)
- 이시다 안나(石田安奈)
- 이시다 요시오(石田芳夫)
- 이시다 요코(石田燿子)
- 이시다 유미(石田優美)
- 이시다 이라(石田衣良)
- 이시다 치호(石田千穂)
- 이시다 카요(石田嘉代)
- 이시다 하루카(石田晴香)
- 이시다 사라(石田咲良)
- 이시다 이스키(石田いすき)
- 이시다 코지(石田光司)
- 이시다 히로미츠(石田広光)
- 이시다 야마토(石田ヤマト)
- 이시다 리에(石田梨恵)
- 이시다 쇼야(石田将也)
- 이시다 류켄(石田竜弦)
- 이시다 소켄
- 이시다 우류(石田雨竜)
- 이시다 카나에(石田鼎)
- 이시다 마사무네 키리코(石田正宗きりこ)
- 이시다 고로(石田五郎)
- 이시다 긴(石田銀)
- 이시다 테츠(石田鐵)
- 이시다 유키(石田由紀)
- 이시카와(石川)
- 이시카와 고에몬(石川五右衛門)
- 이시카와 마사유키(石川雅之)
- 이시카와 다쿠보쿠(石川啄木)
- 이시카와 가즈마사(石川数正)
- 이시카와 다쓰조(石川達三)
- 이시카와 야스나가(石川康長)
- 이시카와 마사노리(石川雅規)
- 이시카와 마유(石川真佑)
- 이시카와 리카(石川梨華)
- 이시카와 아유무(石川歩)
- 이시카와 유키(石川祐希)
- 이시카와 유이(石川由依)
- 이시카와 치아키(石川智晶)
- 이시카와 카이토(石川界人)
- 이시카와 켄(石川賢)
- 이시카와 타카유키(石川貴之)
- 이시카와 히데오(石川英郎)
- 이시카와 히로미(石川寛美)
- 이시카와 아야노(石川綾乃)
- 이시카와 사유리(石川さゆり)
- 이시카와 미노리(石川実)
- 이시카와 토오루(石川透)
- 이시구로(石黒)
- 오오이시(大石)
- 이스루기(石動, 岩動)
- 이스루기 레이(石働零)
- 이스루기 간(石動岩)
- 이스루기 겐(石動厳)
- 이스루기 진(石動迅)
- 이스루기 후타바(石動双葉)
- 이스루기 치에(石動千絵)
- 이스루기 미오(石動美緒)
- 이스루기 소이치(石動惣一)
- 이스루기 미소라(石動美空)
- 이시가키(石垣)
- 이시마루(石丸)
- 이시이(石井)
- 이시이 마코토(石井真)
- 이시이 마크(石井マーク)
- 이시이 미사(石井未紗)
- 이시이 유카리(石井ゆかり)
- 이시이 카즈타카(石井一貴)
- 이시이 코지(石井康嗣, 石井浩司)
- 이시이 소라(石井青)
- 이시이 안나(石井杏奈)
- 이시이 데루오(石井輝男)
- 이시이 시로(石井四郎)
- 이시이 게이이치(石井啓一)
- 이시이 마이(石井舞)
- 이시이 토모히로(石井智宏)
- 이시하라(石原)
- 이시하라 신이치(石原慎一)
- 이시하라 신타로(石原慎太郎)
- 이시하라 노부테루(石原伸晃)
- 이시하라 히로타카(石原宏高)
- 이시하라 에리코(石原絵理子)
- 이시하라 유지로(石原裕次郎)
- 이시하라 카오리(石原夏織)
- 이시하라 사토미(石原さとみ)
- 이시하라 리나(石原莉奈)
- 이시하라 아키히로(石原章弘)
- 이시하라 군페이(石原軍平)
- 이시하라 유카리(石原紫)
- 장제스(蔣介石)
- 김광석(金光石)
- 본명은 아니지만 이세돌(李世乭)의 한자 乭이 한국에만 있는 한자여서 중국 등지에서는 그의 이름을 표기할 때 乭을 石으로 대체하기도 한다.
- 마석희(馬石希)
- 이석기(李石基)
- 황석정(黃石正)
- 성이 석씨인 사람 상당.[12]
3.4. 지명
- 간석동(間石洞)
- 마석우리(磨石隅里)
- 반석동(盤石洞)
- 백석동(白石洞)
- 백석읍(白石邑)
- 서석면(瑞石面)
- 석관동(石串洞)
- 석교리(石橋里)
- 석남동(石南洞)
- 석대동(石坮洞)
- 석수동(石水洞)
- 석정리(石亭里)
- 석촌동(石村洞)
- 석포면(石浦面)
- 석포리(石浦里)
- 석항리(石項里)
- 석현리(石峴里)
- 입석동(立石洞)
- 입석리(立石里)
- 현석동(玄石洞)
- 흑석동(黑石洞)
- 스러우현(石柱县)
- 스자좡시(石家莊市)
- 스주 투자족 자치현(石柱土家族自治县)
- 스첸현(石阡县)
- 스취현(石渠县)
- 스취안현(石泉县)
- 스타이현(石台县)
- 신석동(申石洞)
- 이시가키시(石垣市)
- 이시카리시(石狩市)
- 이시카와현(石川県)
- 지스산 바오안족 둥샹족 살라르족 자치현(积石山保安族东乡族撒拉族自治县)
- 스징산구(石景山区)
3.5. 철도역
- 간석역(間石驛)
- 간석오거리역(間石五거리驛)
- 마석역(磨石驛)
- 반석역(盤石驛)
- 백석역(白石驛)
- 석계역(石溪驛)
- 석남역(石南驛)
- 석대역(石坮驛)
- 석바위시장역(石바위市場驛)
- 석불역(石佛驛)
- 석수역(石水驛)
- 석천사거리역(石泉四거리驛)
- 석촌고분역(石村古墳驛)
- 석촌역(石村驛)
- 석포역(石浦驛)
- 석항역(石項驛)
- 지석역(支石驛)
- 입석리역(立石里驛)
- 탑석역(塔石驛)
- 흑석역(黑石驛)
- 흑석리역(黑石里驛)
3.6. 창작물
3.7. 기타
3.8. 중국어
- 石 [shí]
- 명사
- 돌
예) 岩石 [yánshí] : 암석
3.9. 일본어
3.9.1. 훈독
3.9.2. 음독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 右(오른 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