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5 20:48:48

갈 마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c1d1f>
, 11획
총 획수
<colbgcolor=#fff,#1c1d1f>
16획
고등학교
[A]
일본어 음독
マ,
일본어 훈독
みが-く, す-る, と-ぐ
-
표준 중국어
mó, mò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磨는 '갈 마'라는 한자로, '갈다', '닳다', '문지르다'를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c1d1f>갈다
중국어 표준어 <colbgcolor=#fff,#1c1d1f>mò
광동어 mo4 mo6
객가어 mo mo
민북어 mǒ̤ -
민동어 mò̤ -
민남어 bôa[文] / mô͘[白]
오어 mu (T3) mu (T3)
일본어 음독 マ,
훈독 みが-く, す-る, と-ぐ
베트남어 ma

유니코드에는 U+78E8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戈金一口(ICMR) 혹은 戈木一口(IDMR)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돌 석)과 소리를 나타내는 (삼 마)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원래는 (쓰러질 미)가 소리를 나타내는 䃺(U+40FA)로 썼지만, 이 글자가 줄어들어 현재는 磨로 정착했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 마부작침():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뜻으로, 이백의 일화에서 유래했다. 이백이 산에서 공부를 하다 싫증이 나 하산하던 중, 한 노파가 물가에서 도끼를 가는 것을 보고선 무엇을 하느냐고 물었다고 한다. 노파는 바늘을 만든다면서 중간에 그만두지만 않으면 할 수 있다 하였고, 이에 감명받아 이백은 다시 공부를 시작해 시인으로 이름을 날렸다는 이야기이다. 이에 마부작침은 끊임없이 노력해서 어려운 일을 이루어낸다는 뜻으로 사용된다.

3.3. 인명

3.4. 지명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마귀 마)
  • (문지를 마)
  • (작을 마)
  • (고삐 미)

[A] 𣏟가 아닌 林이다.[文] 문독[白] 백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