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 |||
他 | 山 | 之 | 石 |
다를 타 | 뫼 산 | 갈 지 | 돌 석 |
1. 개요
한자 그대로의 뜻은 "다른 산의 돌"로써, 다른 사람의 보잘 것 없는 것으로도 자신의 수양을 향상시키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고사성어이다.2. 유래
이 말은 <시경> 소아편 '학명(鶴鳴)'에 나오는 5언시의 한 구절에서 유래했다. 그 시는 다음과 같다.鶴鳴于九皐 聲聞于野, 魚潛在淵 或在于渚. 樂彼之園 爰有樹檀 其下維蘀, 他山之石 可以爲錯. 鶴鳴于九皐 聲聞于天, 魚在于渚 或潛在淵. 樂彼之園 爰有樹檀 其下維穀, 他山之石 可以攻玉. |
여기서 학은 '임금'을 상징하고, 물고기는 '숨어지내는 현자'를 상징하고, 박달나무는 '나라의 굳건한 체계'를 상징하고, 개암나무와 닥나무는 '그 체계에 따르는 사람 또는 이득'을 상징하고, 다른 산의 돌은 '다른 지역의 보잘 것 없는 것'을 상징하고, 숫돌은 '실용적인 업적', 옥은 '고귀한 업적'을 상징한다.
즉, 다른 산의 거친 돌이라도 자기 산의 옥돌을 가는 데에 쓸 수 있다는 말은, 다른 지역의 보잘 것 없는 것으로도 영광스런 업적을 이룰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 말이 관용어처럼 사용되면서 의미가 사람에게 적용되어, '타인의 보잘 것 없는 것이라도 그것을 허투루 보지 않고 참고함으로써 자신의 수양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3. 관련 문서
- 반면교사 - 타산지석이 반면교사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반면교사의 용례에 타산지석을 사용하는 경우가 더러 있다.
[1] 주자는 '구고'를 '웅덩이'라고 보았지만, 지명을 뜻하는 고유명사일 가능성이 크다. 九皐의 글자 그대로의 뜻은 '9의 언덕'을 의미한다. 고대 중국에서 9는 완전수를 의미하기 때문에 구고는 '완전하고 높은 자리'를 상징한다.[2] 탁(蘀)은 시의 내용으로 봐서 개암나무 석(檡)의 오자이다.[3] 여기서 穀는 '곡식 곡'이 아니라, '닥나무'를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