朮 삽주 출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木, 1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5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シュツ, ジュツ, チュツ | ||||||
일본어 훈독 | うけら, おけら, もちあわ | ||||||
术 | |||||||
표준 중국어 | zhú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1. 개요
朮은 차조 출 혹은 삽주 출이라는 한자이다.2. 상세
벼과 곡물인 조나 기장, 혹은 수수 중에서도 점성(찰기)이 있는 종류를 가리킨다. 즉 차조나 찰기장, 찰수수인데, 차조를 대표 격으로 삼아서 '차조 출'이라고 훈음을 새긴다.한약재로 쓰이는 국화과 식물인 큰꽃삽주, 혹은 근연종인 삽주를 가리키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한약명(중국명)으로는 큰꽃삽주를 백출(白朮), 삽주를 창출(蒼朮)이라고 부른다.
유니코드에는 U+672E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戈十金(IJC)으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 薊(삽주 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