薊 삽주 계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艸, 13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7획 | ||||
미배정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ケイ | ||||||
일본어 훈독 | あざみ | ||||||
蓟 | |||||||
표준 중국어 | jì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1. 개요
薊는 '삽주 계'라는 한자이나, 훈과 달리 엉겅퀴를 가리킨다.2. 상세
뜻을 나타내는 艸(풀 초)와 소리를 나타내는 魝(요리할 결)이 합쳐진 형성자이다.우리말 훈 '삽주'는 한약재로도 쓰이는 식물의 이름이지만, 薊 자가 가리키는 것은 삽주가 아니라 엉겅퀴이다. 그런데 삽주와 엉겅퀴가 둘 다 국화과 식물로 꽃과 잎이 비슷하기 때문에 삽주를 薊 자로 표현하는 경우도 있었던 듯하다. 정말로 삽주를 가리키는 한자는 출(朮)이다.
유니코드에는 U+858A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TNFN(廿弓火弓)으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이체자
- 葪(U+846A)
5. 유의자
- 朮(삽주 출)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𦌥[⿱罒魝]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𧾯[⿺走薊](달리는모양 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