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29 12:19:17

땅 지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3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6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チ, ジ
일본어 훈독
つち, ところ
-
표준 중국어
de, dì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5%9C%B0-order.gif
地의 필순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clearfix]

1. 개요

地자는 '땅 지'라는 한자로, , 대지(大地)를 뜻한다. '따 지'라고도 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땅
중국어 표준어
광동어 dei6
객가어 thi
민북어
민동어 [文] / diê[白]
민남어 [文] / tī, tōe[白]
오어 di3
일본어 음독 チ, ジ
훈독 つち, ところ
베트남어 địa

유니코드에는 U+5730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GPD(土心木)로 입력한다. 주음부호로는 ㄉˊ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흙 토)와 소리를 나타내는 (어조사 야)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중국어에서는 단어 뒤에 (과녁 적)이 붙어 부사적 용법으로 쓰이는 경우와 동일한 용법으로 쓰이기도 한다. (예: 모순적으로→矛盾地) 이때는 발음도 的과 동일하게 de(더)로 변한다.

서예에 있어서 나름 중요한 글자 취급받는데, 왜냐하면 地의 4번째 획이 극소수의 한자에만 사용되는 필획[5]이기 때문이다. 이 필획을 사용하는 한자는 (어조사 야)와 그것이 구성요소인 한자(地를 포함한 (다를 타), (연못 지), (달릴 치), (늦출 이), (끌 타), (베풀 시) 등) 및 (사팔뜨기 먀)가 전부이다.[6]

경기도 광주시, 여주시, 이천시에서 개최된 2001 세계도자기엑스포의 공식 마스코트는 '토야'라는 캐릭터인데, 이 토야의 이름은 地를 土(흙 )와 也(어조사 )로 나누어 붙인 것이다.

천자문에서는 '따 지'라고도 읽으며, 하늘 천에 이어 두 번째로 나오는 걸로 유명한 글자다.

일본어에서는 じ, ち 2가지 음독이 존재하는데, じ로 읽는 경우는 地面(じめん, 지면), 地震(じしん, 지진) 등이 있고, ち로 읽는 경우는 地図(ちず, 지도), 地球(ちきゅう, 지구), 地下鉄(ちかてつ, 지하철), 地方(ちほう, 지방) 등이 있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한국 작명소에서는 地를 쓰는 것을 권하지 않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인명용으로는 잘 쓰이지 않는 한자이다. 대자연의 기에 눌려 험난한 인생을 살게 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 (하늘 건)
  • (하늘 궁)
  • 𡫃[⿱⿱宀心⿱罒天]/𥦏[⿱穴旲](하늘 녕)
  • 𩆚[⿱霝𠕁](하늘 령)
  • (하늘 륭)
  • /(하늘 민)
  • (하늘 소)
  • /(하늘 천)
  • (하늘 천/현)
  • (하늘 호)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文] 문독[白] 백독[文] [白] [5] 한자의 형상을 구성하는 요소 중 가장 작은 단위. 쉽게 말해 획의 종류를 말한다.[6] 다만 해당 필획은 CJK 공통한자에서 합의 하에 분류한 36개의 필획 중 'HZG'(㇆)에 속해 있고 특별히 따로 분류되어 있지는 않다. HZG 필획에는 완전 직각 필획, 세로 부분이 약간 기운 필획, 그리고 본문에서 언급했던 필획이 전부 포함된다.[7] 고인드립이다. 문서 참조[8] (긴뱀 사)의 속자[9] (옮길 이)의 속자[10] (찢을 이/치)의 동자[11] (횃대 이)의 동자[12] (핥을 지)의 본자[13] (쇠고삐 진)의 동자[14] (끌 타)의 동자[15] (귀신 귀)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