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506년 9월 8일 중종에 의해 책록 | |||||||
병충분의협책익운정국공신 (1등) | ||||||||
박원종 | 홍경주 | | 류순정 | |||||
장정 | | 성희안 | |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 병충분의익운정국공신 (2등) | |||
이효성 | 최한홍 | 류순 | 이계 | |||||
이활 | 심순경 | 윤형로 | 김수동 | |||||
이계남 | 변수 | 조계상 | 김감 | |||||
구수영 | ||||||||
병충분의정국공신 (3등) | ||||||||
고수겸 | 류세웅 | 이심 | 민회창 | |||||
구현휘 | 신준 | 정미수 | 강혼 | |||||
류경 | 김경의 | 윤양로 | 심형 | |||||
류계종 | 이식 | 허상 | 백수장 | |||||
김우증 | 박건 | 한순 | 김수경 | |||||
이함 | 황탄 | 윤사정 | 민희발 | |||||
장온 | 이극정 | 이석번 | 송질 | |||||
이손 | 정윤겸 | | ||||||
분의정국공신 (4등) | ||||||||
박이검 | 윤형 | 이종의 | 한사문 | |||||
윤탄 | 조세훈 | 박영창 | 이창 | |||||
박영분 | 변준 | 신윤문 | 민효증 | |||||
이성언 | 이상 | 이맹우 | 김임 | |||||
최유정 | 이희옹 | 변사겸 | 홍경림 | |||||
김극성 | 이당 | 류홍 | 이성동 | |||||
조계은 | 장한공 | | 한숙창 | |||||
강지 | 성몽정 | 윤희평 | 성율 | |||||
이기 | 박이온 | 손동 | 윤장 | |||||
류영 | 류응룡 | 이세응 | 신수린 | |||||
윤금손 | 김선 | 신은윤 | 이곤 | |||||
성희옹 | 윤여필 | 황맹헌 | 허광 | |||||
한세창 | 조원륜 | 강윤희 | 조계형 | |||||
문치 | 채수 | 서경생 | 김계공 | |||||
김은 | 김무 | 권균 | 김준 | |||||
반우형 | 김숙손 | 우정 | 임원산 | |||||
송일 | }}}}}}}}} |
조선 예조판서 연창부원군(延昌府院君) 문경공(文敬公) 김감 金勘 | |
<colbgcolor=#c00d45><colcolor=#f0ad73> 출생 | 1466년(세조 12) |
사망 | 1509년(중종 4)[1] |
본관 | 연안(延安)[2] |
자 | 자헌(子獻) |
호 | 선동(仙洞), 일재(一齋) |
시호 | 문경(文敬)[3] |
조상 | 증조부 김자지(金自知) 조부 김수(金脩)[4] |
부모 | 부친 김원신(金元臣)[5] 모친 진주 강씨[6] |
배우자 | 인천 채씨(仁川蔡氏) - 채수(蔡壽, 1449 ~ 1515)의 딸[7] |
형제 | |
자녀 |
[1] 중종실록 8권, 연창부원군 김감의 졸기[2] 도관찰사공파 10세. 동시대의 같은 집안 사람으로는 영의정 김전(내자시윤공파 10세), 영의정 김근사(도관찰사공파 11세), 그라고 김안로(내자시윤공파 11세)가 있다. 세 사람은 각각 김감의 재종형제(6촌형제), 조카, 재종질(7촌 조카)이다.[3] 중종실록 8권, 연창부원군 김감의 졸기 : (전략) '시호는 문경(文敬)이라 하였다.'[4] 중추부(中樞府)동지사(同知事)[5] 안동부사[6] 대민공(戴敏公) 강석덕(姜碩德)의 딸[7] 인천군 채수의 맞사위가 김안로, 둘째 사위가 김감으로, 7촌 사이인 김안로와 김감은 동서사이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