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13 18:56:33

스웨덴령 에스토니아


에스토니아의 역사
{{{#!folding [ 펼치기 · 접기 ]북부남부사레마
고대추디에스티인
중세에스토니아 공국리보니아 검의 형제기사단외젤비엑 주교령
테라 마리아나
근세스웨덴 제국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덴마크-노르웨이 왕국
스웨덴 제국
근대러시아 제국
현대에스토니아 제1공화국
소련
소비에트 에스토니아
나치 독일
오스트란트 국가판무관부
소련
소비에트 에스토니아
에스토니아 제2공화국
}}}||

에스토니아 공국
Hertigdömet Estland
Eestimaa hertsogkond
Herzogtum Estland
파일:스웨덴 제국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공국 문장.png
국기 문장
<nopad> 파일:Sw_BalticProv_en.png
에스토니아 공국의 판도
1561년 ~ 1721년
성립 이전 멸망 이후
튜튼 기사단  러시아 제국
위치 에스토니아 북부
수도 탈린
정치체제 전제군주제
국가원수 스웨덴 국왕
공용어 스웨덴어, 독일어, 에스토니아어
종족 스웨덴인, 발트 독일인, 에스토니아인
종교 스웨덴 교회


1. 개요

1. 개요

1561년 스웨덴 국왕 에리크 14세가 탈린을 포함한 에스토니아 북부 일대를 정복한 후 신설되었으며, 대북방전쟁을 종결시킨 1721년의 뉘스타드 조약으로 러시아 제국에 할양되기 전까지 유지되었다. 러시아 점령 이후 발트 독일인의 착취가 심해지면서 에스토니아인은 이 시기를 "Vana hea Rootsi aeg" 이른바 "행복했던 스웨덴 시절"이라고 칭했으나 막상 스웨덴도 에스토니아 통치는 발트 독일인에게 위임했고, 초기에는 농노의 부담이 늘어나는 등 큰 차이는 없었다. 다만 칼 11세가 발트 독일인과 교회의 권력을 견제하면서 토지 사유를 제한하고 귀족 영지를 국유화하는 정책을 실시했으며 사법제도를 개정하며 이때부터 농노들이 지주를 합법적으로 고소할 수 있게 되었고, 농노들의 군입대를 허용해서 에스토니아들이 출세할 수 있게 되는 길을 열게 되며, 에스토니아인들의 처우가 나아지기는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