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colbgcolor=#D80000><colcolor=#ffffff> 스테고사우루스 Stegosaurus | |
| |
학명 | 스테고사우루스 스테놉스Stegosaurus stenops |
출생 | 이슬라 소르나, 이슬라 누블라 |
체고 | 불명 (Unknown) (소설) 5 ~ 5.8m (16.4 ~ 19 feet) (영화) |
길이 | 6.1 ~ 7.6m (20 ~ 24.9 feet) (소설) 10.1 ~ 12.2m (33.1 ~ 40 feet) (영화) |
체중 | 불명 (Unknown) (소설) 1.5 ~ 3.5t (3,306 ~ 7,716 lbs) (영화) |
등장 작품 | 《쥬라기 공원 (소설 한정)》 《잃어버린 세계 (소설 및 영화)》 《쥬라기 공원 3》 《쥬라기 월드 시리즈 전체》 |
[clearfix]
1. 개요
인젠에서 보유하고 있는 프로필 |
|
쥬라기 공원 시리즈에서 등장하는 스테고사우루스. 작중 비중은 미약한 편이지만, 트리케라톱스, 파라사우롤로푸스와 더불어 시리즈에 개근한 초식공룡이다.[1]
2. 등장 작품
2.1. 소설
《잃어버린 세계》에서의 설정화 |
2.1.1. 쥬라기 공원
소설 쥬라기 공원에선 총 4마리를 복원한 것으로 나오며, 그 중 한마리는 병이 들어 주인공 일행에게 건강검진을 받는다.[2] 엘리 새틀러에 의하면 병이 든 원인은 이 공룡이 소화를 위해 위석을 먹을 때에 독초인 식물[3]을 먹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다시 말해 공룡들을 복원하면서 그들이 살았던 환경은 신경쓰지 않았다는 말로 쥬라기 공원을 만든 이들의 안일한 부분을 꼬집는 장면이다. 스테고사우루스를 검진하던 도중 그랜트는 근처에서 랩터의 것으로 보이는 알 껍질을 발견하고 직후 말콤은 이 공원이 개체수 관리에 실패했다는 것을 주장한다. 여러모로 쥬라기 공원의 파멸의 복선이 되는 공룡이다. 이후 모니터에는 아성체 티렉스와 한 마리가 싸우는 모습이 포착되었고, 섬이 네이팜 탄 폭격으로 인해 파괴되면서 몇몇 벨로시랩터나 프로콤프소그나투스를 제외한 다른 공룡들과 함께 죽게 된다.2.1.2. 잃어버린 세계
후속 소설에서도 등장은 하지만 병풍 수준으로 비중이 없는 편. 다만 등장 자체는 인상 깊다는 평이 많은데, 소설에서 사라 하딩이 기절했다가 이 공룡이 그녀의 얼굴을 혀로 핥아서(...) 정신을 차리기 때문이다.[4] 특이하게도 혼자 있는 개체 하나만이 소설에 등장한다.2.2. 쥬라기 공원 시리즈
2.2.1. 쥬라기 공원(영화)
2.2.2. 잃어버린 세계: 쥬라기 공원
스테고사우루스 무리는 새끼를 관찰하려고 접근한 사라 하딩을 위험 요소로 인지하고[7] 꼬리를 휘두르며 덤벼드는데, 그 모습이 상당히 위압적인 편. 다행히 사라가 날쌔게 피해 겉잡을 수 없는 사태로까지 번지지는 않는다. 이후 새끼를 포함해서 몇 마리가 인젠 수확팀에 의해 생포되지만, 존 해먼드의 밀명을 받은 닉 벤 오웬 덕분에 모두 풀려나고, 영화 최후반부에는 무리가 티라노사우루스 옆에서 평화롭게 이동하는 모습으로 퇴장한다.
2.2.3. 쥬라기 공원 3
2.3. 쥬라기 월드 시리즈
2.3.1. 쥬라기 월드
작중 자이로스피어 벨리에서 다른 초식 공룡들과 함께 등장하는데, 잭이 자이로스피어의 속력을 올리자 놀라 일제히 뛰어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그레이가 펫팅 주 시설을 둘러보는 장면을 잘 보면, 멀리 새끼의 모습도 보인다.
참고로, 본래 쥬라기 월드에서는 스테고사우루스와 트리케라톱스의 유전자를 섞어서 만들어낸 하이브리드 공룡 스테고케라톱스가 등장할 예정이었다고 한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항목 참조.
2.3.2. 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
2.3.3.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
그 중에서 초반부에 나온 한 개체가 돋보였는데, 바이오신 직원들이 해당 개체를 양치질을 해주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전작의 켄 휘틀리에게 이빨이 뽑히는 것과 대조적이다.
여담으로 전작의 두 작품에서 많은 비판을 받은 부리 없는 두상과 늘어트리고 다닌 꼬리가 모두 개선되어 등장한다.
3. 피규어/스태츄
- 1편, 2편 개봉 당시에 케너에서 두 종류의 피규어를 발매했는데, 둘 다 꼬리를 움직일 수 있는 기믹이 포함되어 있다. 다만 1편 당시 출시되었던 제품은 아직 스테고사우루스가 시리즈에 데뷔하지 않았던 만큼, 작중 스테고사우루스와 괴리가 심한 디자인[12]을 갖고 있으며, 2편의 제품은 오른쪽 등가의 상처 퀄리티가 아쉽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 제품은 광수생각 단행본에서 공룡을 너무나 좋아하는 친구[13]가 장만한 공룡 모형으로 소개된 바있다. 모니터 위에서 항상 그 친구를 노려보고 있었다고.
- 이후 마텔에서 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 개봉에 맞춰 새로운 피규어를 출시했다. 준수한 조형과 적당한 크기, 인상적인 꼬리 기믹 등으로 호평 받는 편.
- 스테츄 제작사인 크로니클 콜렉터블즈에서 쥬라기 공원 시리즈 관련 제품들을 출시했는데, 잃어버린 세계 당시의 컨셉아트를 기반으로 훌륭하게 재현된 조형을 출시해서 한동안 극찬을 받았다. 다만 이후 크로니클사의 심각한 도색 문제가 다수 제보되면서 해당 제품도 위기를 직면했으나, 본래 단조로운 녹색으로 이루어진 제품인지라 타 제품들에 비해 도색문제가 크게 두드러지지 않는 편이었고, 덕분에 적당한 판매량을 기록했다고 한다.
- 마텔의 프리미엄 액션 피규어 라인업인 해먼드 컬렉션으로 2편의 등장개체인 아기 스테고사우루스만 발매. 이전 레거시 라인업으로 나왔던 특별판 세트에 비해 조금 더 세밀한 조형과 많은 관절가동부를 자랑한다.
4. 기타
- 쥬라기 월드: 더 게임과 쥬라기 월드 에볼루션에서도 나온다. 더 게임에서는 쥬라기 월드처럼 꼬리를 늘어트리고 다니는 반면, 에볼루션에서는 잃어버린 세계: 쥬라기 공원에서처럼 꼬리를 세우고 다닌다.
- 의외로 꼬리를 세우는 지에 대한 여부를 제외하면 디자인이 크게 변하지 않는 공룡이기도 하다.
- 쥬라기 공원 & 월드 시리즈에 나오는 쥐라기 출신의 몇 안 되는 공룡이기도 한다.
- 시리즈에서 유일한 검룡류였지만, 이후에 나온 백악기 어드벤쳐에 나온 켄트로사우루스가 등장하면서 더 이상 유일한 검룡류가 아니게 되었다.
- 다이노트랙커에 따르면 고주파 소리를 싫어한다고 한다. 또한 영양실조로 인해 골판이 자주 떨어져나가거나 골침이 쉽게 부러진다고 한다.
[1] 다만 영화 시리즈 한정으로 첫 등장은 첫 작품이 아닌 2편이며, 1편에선 배아로만 등장했다. 이 배아도 출연으로 친다면 영화에서도 개근출연한 공룡이 된다. 자세한 이야기는 후술.[2] 영화판에선 후술하듯이 트리케라톱스가 이 포지션을 맡는다.[3] 속명 및 종명은 Melia azedarach.[4] 이 장면은 이후 폴른 킹덤에서는 시노케라톱스가 기절한 오웬의 얼굴을 닦는 장면으로 나오게 되었다.[5] 여담으로 티라노사우루스의 수정란에도 오타가 나서, 정식명칭인 Tyrannosaurus에서 n이 하나 빠진 Tyranosaurus로 적혀 있다. 그 와중에 가장 어려운 메트리아칸토사우루스는 잘만 적었다.[6]
감독인 스티븐 스필버그는 새끼 스테고사우루스 애니매트로닉스를 가지고 촬영을 하면서, 이전에 촬영했었던 E.T.가 생각났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실제로 촬영 중 사진을 보면 알 수 있지만, 새끼 조형에게 연기 지도를 시키는 듯 말을 거는 모습이 단순한 기계가 아닌, 진짜 연기자를 대하는 듯한 모습이다.[7] 이 과정도 웃긴게, 스테고사우루스는 온순해서 인간들이 지척에 있을 때도, 심지어 하딩이 새끼 코 앞까지 접근했을 때도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그런데 적당히 하면 될 것을 새끼 코 앞에서 사진을 찍어대다가 하필 필름 카메라 특유의 윙~하는 (필름이 다 떨어졌을때) 자동으로 필름 감기는 소리에 새끼가 놀라 공격하게 된 것. 이 영화 최고의 발암캐로 불리는 이유가 있다.[8] 평상시 꼬리를 살짝 치켜올리고 다니던 기존의 모습에서, 꼬리를 축 늘어뜨리고 다니는 모습으로 자세 교정(...)을 받았다. 참고로 이는 실제 공룡과 비교할 경우 엄연히 고증 오류로, 실제 스테고사우루스는 전작들의 모습과 마찬가지로 꼬리가 위로 솟아있다.[9] 이후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 바이럴 사이트를 통해 이 점이 단순히 개량종이나 개체 간의 차이가 아닌 쥬라기 월드의 관리 미흡과 시보산의 화산 활동 등으로 인한 영양실조로 인해 부리가 벗겨지고, 꼬리를 늘어트렸다는 것이 밝혀졌다. 물론 작품 외적으로 보면 이전 디자인이 비판이 너무 심해 피드백을 수용해 새 디자인을 만들어낸 다음 이전 디자인과의 괴리감을 메꾸기 위해 덧붙인 설정이다. 문제는 이게 너무 억지스러워서 이럴꺼면 그냥 처음부터 잘했으면 될거 아니냐고 조롱만 왕창 받았다.[10] 롤랜드 템보가 티라노사우루스의 둥지에 들어섰을 때 먹다 남은 공룡 사체가 수두룩했던 장면.[11] ![파일:Screenshot_20180929-181534.jpg]()
당장 소품팀과의 크기차이를 보면 가히 용각류급의 엄청난 크기를 자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이런 괴물과 라이벌이었다는 알로사우루스 재평가가 시급하다[12] 골판과 가시가 두줄이 아닌 한줄이다. 실제로 스테고사우루스 발견 초기에는 배부의 구조물을 한줄로 배치한 복원도도 있었는데 이 사실을 반영한 것인지는 확실치 않다.[13] 일명 '왕머리 신진택'으로 작중 등장한 그의 캐릭터도 불뿜는 티라노사우루스였다. 머리가 하도 커서 별명 중 하나가 모여라 꿈동산이었으며 이를 이용한 에피소드도 여럿있었다.
당장 소품팀과의 크기차이를 보면 가히 용각류급의 엄청난 크기를 자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