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6 15:24:23

승진여객

파일:용인시 CI_White.svg 용인시 마을버스 회사
경남여객·동백운수·마북운수
구성운수·죽전운수·연원운수·한비운수
상현운수 수성교통 승진여객 용인교통
용인시 시내버스 회사 목록
승진여객 주식회사
承進旅客 株式會社
Seungjin Passenger Co., Ltd.
파일:승진여객로고.jpg
설립일 2010년 6월 3일
업종 마을버스 운송업
대표이사 박성진/김건
소재지 경기도 용인시 신정로 323 (보정동)

1. 개요2. 특징
2.1. 난폭운전2.2. 동백동 마을버스 독점2.3. 기타
3. 운행 노선4. 폐선된 노선5. 차량 관련 이야기(810번 한정)

1. 개요

승진여객은 경기도 용인시마을버스 회사로 본사는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신정로 323[1]에 있다. 이 회사는 과거에 선진운수로 출발했었던 회사였으며, 2010년 6월 3일에 현재의 사명으로 바뀌었다. 810번 시리즈 노선을 운행하고 있으며 한때는 대형버스를 꾸준히 뽑았으며 마을버스 주제에 좌석형으로 자체 출고하는 경우가 많았다.

2011년 용인시 마을버스 최초로 천연가스버스를 도입했으며, 동시에 경기도 마을버스 최초로 저상버스를 도입했다. 저상버스는 통합 창원시 버스 업체인 구 시민버스 출신 중고 차량이었다. 여담으로 기존 차량을 중고로 내 놓는 일도 흔하며 반대로 신일여객처럼 중고차를 많이 가져오는 경향도 있다.[2]

과거에는 현대차를 선호했지만 2017년 말부터 자일대우버스로 전향했다가 자일대우버스 울산공장 폐쇄 문제로 2021년부터 다시 현대차로 뽑는다.

전기버스BYD eBus-7을 1대 출고했으며[3] 810-2번에서 운행한다.

2. 특징

2.1. 난폭운전

한때 수성교통과 동시에 용인시 마을버스에서 난폭운전으로 유명하고 운행시간이 빡빡해 과속, 신호위반을 서슴없이 하며 정류장에 사람이 없으면 승차문을 열자마자 (1초 개방) 문도 닫지 않고 출발했으나 2020년 이후로는 많이 나아졌으며 현재는 난폭운전도 줄었고 안전하게 운전하는 기사들이 대다수이다.

차량 관리 상태도 상당히 미흡한 편인데, 차량을 구입한지 1주일만에 싱크로매시가 나가게 할 정도이다.[4]

또한 마을버스 회사치고 유독 고령자들이 많은 편이라[5] 운전감각에 둔한 기사들이 많이 보인다. 그러나 의외로 경력만큼은 버스를 20년 이상 운전한 베테랑 기사들이 제법 많은 편. 810번의 경우에는 노선 특성상 마을버스 치고는 경력이 없는 초보 기사들이 운행하기는 힘든 편이다. 그래서 810번은 촉탁직 위주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810-1번과 810-2번에서 경력을 쌓으면 810번으로 올라갈 수 있는 듯 하나, 실제로는 다른 회사로 이직해버리는 경우가 많다.

게다가 동백동 내 광역버스 독점회사인 경남여객 역시 과속운전으로 유명한 회사이다. 이 때문에 거의 대다수 노선이 난폭운전이 심하다 보니 KD 운송그룹에 대한 평가가 나뉘는데, 이 회사의 노선에 익숙해진 사람들은 KD 운송그룹의 저속운행을 거의 혐오하는 수준이고, 반면에 심각할 정도의 난폭운전으로 위협을 느껴 KD 운송그룹의 저속운행을 선호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이건 810번만 해당되는 이야기일뿐 810-1번과 810-2번은 대체제마저 악명높은 과속회사인 경남여객이다.

2.2. 동백동 마을버스 독점

승진여객은 810번 시리즈로 동백동에서 독점수준의 영업을 하고 있다. 그 중에도 특히 통학과 통근에서 아주 대단한 수요를 자랑하고 있다.

이 회사 세 노선의 공통점이라면 상당히 우수한 배차를 자랑한다는 것과 과속으로 인해 엄청난 시간단축을 한다는 점이다. 810번은 경합하는 390번의 선형이 직선이긴 하나 KD 운송그룹 특유의 저속질과 현암로의 정체 디버프 때문에 미금역에서 두 버스가 동시에 출발하면 오리역~죽전성당 부근에서 810번이 항상 추월한다. 이후 터널까진 390번이 빨라보이나, 터널 내부 또는 백현마을 부근에서 810번이 추월해 최종적으로 초당에는 810번이 먼저 도착하게 된다. 단 보정고와 죽전중,고 하교시간에는 390번이 학교를 경유하지 않음으로 압도적으로 우월하다.

810-1번은 최근 66-4번의 1탕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66-4번이 상당히 느려져, 속도로는 66-4번을 그냥 따라잡는다. 배차도 상당히 우수하다는 점과 동백내부를 경유하지 않고 바로 소방서↔이마트로 바로 간다는 점도 이 노선의 흥행을 견인하고 있다.

810-2번은 경합하는 68번, 670번석성로 경유와 우수한 배차간격으로 우위를 점한다. 심지어 같은 구간을 달리는 77번마저 과속으로 따라잡는다. 석성로가 별로 안 중요한 것 같지만, 시간을 약 절반정도로 단축시켜주는 아주 좋은 수단이다. 어디하나 흠잡을데 없는 노선들로만 구성되어 있으니 독점이 아닌게 이상할 정도.

이로인해 신동백을 제외하면 사실상 동백동 마을버스 독점이라는 타이틀은 동백운수보다 이쪽이 더 가깝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승진여객은 신동백에는 노선이 없는데, 이것으로 인해 신동백 한정으로는 동백운수 33번의 독점이다.

2.3. 기타

  • 다음과 같은 회사로고를 사용중인데, 실제로 이걸 쓰는 차량이 극히 적다.[6]
파일:승진여객로고.jpg
  • 운행하는 노선에 타이틀이 굉장히 많이 붙은 회사이다. 예컨대 810번은 용인시 마을버스 중 인가대수와 노선길이 1위이며, 경기도 마을버스 최초로 저상버스를 투입했고, 810-2번에는 노선버스 최초로 BYD의 전기버스가 출고됐다. 또한, 810-3번은 전국 노선버스 중 가장 짧기로 유명했다.

3. 운행 노선

4. 폐선된 노선

5. 차량 관련 이야기(810번 한정)

810-1번이나 810-2번과 같은 소형차[8]가 들어가는 노선들은 별 볼일이 없으나, 유독 주력 노선인 810번은 워낙 다른 노선과의 경합이 상당한 만큼 투입 차량에 대한 역사도 파란만장한데, 마을버스에 저상버스부터 좌석형 버스까지, 장거리 시내버스에 투입해도 손색없는 차량들을 투입했었다.

아래 내용은 810번의 차량 내용이다.
  • 마을버스 전환 당시에는 경남여객 시절 차량을 그대로 가져와 운행했다. 이때는 BS090과 슈퍼 에어로시티, 뉴 슈퍼 에어로시티가 있었으며 글로벌900 F/L 디젤도 새로 뽑아서 투입했다. 덕분에 용인시 마을버스 중에서는 유일하게 대형차량을 보유한 업체가 되었다.
  • 2011년, 경기도 마을버스 노선들 중 최초로 저상버스를 투입하는 장관을 보여주었다. 마산시 시내버스 업체인 시민버스에서 가져온 2006년식 중고차량이었다.[9] 2005년식 뉴 슈퍼 에어로시티 가스차량 1대와 2009년식 저상버스 2대를 추가로 중고로 가져왔고, 동년 말에는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가스차 3대를 자체출고하여 투입했다.
  • 그러나 보정동 기흥공영차고지에 가스충전소가 없어 미금역에서 중간종료 후 구미동차고지로 공차회송하여 충전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잔고장을 비롯한 여러 가지 문제점 때문에 2013년에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중고로 들여온 2012년식 그린시티 2대를 마지막으로 더 이상 가스차를 들여오지 않는다. 2012년부터 다시 디젤차량을 뽑기 시작했으며 2013년까지 그린시티 디젤차를 출고하였다.
  • 2006년식 저상버스였던 1013호와 2005년식 일반버스 1039호는 2014년 중반에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디젤 좌석형 차량으로 대차되었으나, 현재는 오산교통에 중고로 매각[10]되었고 2015년식 중고 카운티로 대차되어 동사의 810-1번과 -2번에서 운행중이다.
  • 다음 해인 2015년에는 그린시티, 2016년에는 그린시티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좌석형을 무려 자체출고하였다. 하지만, 2019년 중반에 전부 예비차로 격하되었고, 꽤 오랜 시간 차고지에 방치되어 있다가, 경북 안동의 시내버스 업체인 동춘여객으로 팔려갔다. 이후 2017년 그린시티를 석 대를 출고하였다.
  • 결국 가스충전 문제를 이기지 못해 가스차량 조기대차를 시작했다. 우선 2016년에 2012년식 그린시티 2대를 뉴 슈퍼 에어로시티 디젤 좌석형으로 조기대차시켰고(1010, 1064), 2017년부터 뉴 슈퍼 에어로시티 가스차량 한 대(9200)를 순천 동신교통으로 매각한 후 금암마을여객 출신의 2015년식 NEW BS090으로 대차시켰고, 2017년 말에는 9201~2호를 신일여객으로 매각한 후, NEW BS090 두산엔진을 탑재한 디젤 신차를 새로 투입하였다. 이후 9203호가 2018년 1월에 NEW BS090으로 대차, 마지막으로 남아 있던 2009년식 저상버스인 9204호가 2018년에 NEW BS090으로 대차되면서 더 이상 이 노선에서의 저상버스와 천연가스버스는 볼 수 없게 되었다.
  • 추후 기흥공영차고지에 가스충전소가 들어온다면 천연가스버스가 들어올 가능성이 있긴 하다. 하지만 이 곳은 CNG 충전소보다 전기충전소가 먼저 들어왔기 때문에, 추후 전기버스가 투입될 가능성도 적지 않게 존재한다. 하지만 기점지 인근의 전기충전소 부재와 차고지 내 전기충전 여건이 좋지 못함으로 인해 저상버스 의무화 대상에서 예외 승인을 받았다.[11]
  • 2020년 3월에 예비로 격하된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차량 넉 대의 대차분으로 2019년형 BS090이 들어왔으며 현재는 그린시티와 BS090 차량으로 운행해[12] 현재는 중형차량만이 운행중에 있다.
  • 2021년 초, 2019년식 BS090 차량 넉 대에 기존의 종이 행선판에서 LED 행선안내기로 교체되었다.
  • 동년 10월, 2012년식 차량 대차분으로 승진여객 최초의 그린시티 개선형을 출고해 운행중이다.
  • 2023년에는 말소된 2012년식 그린시티 면허를 상현운수 출신 그린시티 개선형을 가져오면서 되살렸고, 2023년 5월에도 두 대를 추가로 가져와 추가로 되살렸다.


파일:CC-white.svg 이 5번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8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5번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8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5.1. 현재 보유차량

5.1.1. 현대자동차

5.1.2. 자일대우버스

5.1.3. BYD

5.2. 과거 보유차량

5.2.1. 현대자동차

5.2.2. 자일대우버스



[1] 기흥버스공영차고지에 위치하며 마을버스 전용 차고지로 활용한다. 이 회사 외에도 수성교통마북운수도 사용한다.[2] 2011년식 뉴 슈퍼 에어로시티 가스차들은 모두 신일여객에, 2014년식 뉴 슈퍼 에어로시티 좌석형 디젤차는 오산교통에, 2016년식 뉴 슈퍼 에어로시티 좌석형 디젤차들은 모두 동춘여객에 매각했다.[3] 2017년 6월 30일에 제작됐지만 2019년 12월 18일에 등록했다.[4] 해당 차량은 오산 금암마을여객에서 중고로 들여온 NEW BS090이다. 하지만 이 차량은 금암마을여객 시절부터 상태가 최악으로 유명했으며 커민스 디젤 엔진 탑재분이라 결국 8년 만에 사측에서 상현운수 출신 그린시티로 조기대차시켰다.[5] 이는 수성교통도 마찬가지. 중형차 노선들은 대부분 촉탁직들이 운전대를 잡는다.[6] 810-1번 카운티 차량에서 자주 목격된다.[7] 2024년 12월 개통 예정이다.[8] 단, 810-2번은 한때 중형버스가 투입되기도 했다.[9] 참고로 마을버스 회사 중에서 저상버스 신차를 가장 먼저 구매한 회사는 고양시백마운수다.[10] 1013 → 8147, 1039 → 9100[11] 810-2번의 전기버스도 평일 출퇴근 시간에만 운행하는게 이 때문이다.[12] 기존 차량들이 매각되지 않아 면허를 새로 발급받았다.[13] 전부 파주 신일여객에 중고로 팔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