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의 수도회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color=#000> 한국에서 활동하는 교황청 설립 수도회 | |
<colbgcolor=#ffc224> 남자 수도회 | <colbgcolor=#fff,#1c1d1f>가르멜회 · 구속주회 · 그리스도의레지오회 · 글라렛선교회 · 꼰솔라따선교회 · 도미니코회 · 마리스타회 · 마리아회 · 마리아의아들회 · 말씀의선교회 · 바오로회 · 베네딕도회 · 사랑의선교회 · 살레시오회 · 삼위일체회 · 성모승천회 · 시토회 · 아우구스티노회 · 예수회 · 예수고난회 · 예수성심의로가찌오니스티회 · 예수성심전교회 · 예수의작은형제회 · 오블라띠선교회 · 작은형제관상선교회 · 천주의성요한의료봉사회 · 카르투시오회 · 프란치스코회 | |
여자 수도회 | 가난한이들의작은자매회 · 가르멜회 · 거룩한열정의딸수도회 · 골롬반회 · 그리스도왕선교수녀회 · 그리스도의교육수녀회 · 그리스도의성혈흠숭수녀회 · 글라렛선교수녀회 · 길의성모재속회 · 노틀담회 · 느베르애덕수녀회 · 도미니코회 · 도움이신마리아수녀회 · 마리아회 · 마리아수녀회· 마리아의작은자매회 · 마리아의전교자프란치스코수녀회 · 마리아의종수녀회 · 메리놀회 · 바오로회 · 베네딕도회 · 보혈선교수녀회 · 복자회 · 안드레아수녀회 · 사랑의선교회 · 사랑의성모회 · 살레시오회 · 삼위일체회 · 샬트르성바오로수녀회 · 성령선교수녀회 · 성모마리아방문봉쇄수녀회 · 성모승천봉헌자선교수녀회 · 성심수녀회 · 성체선교클라라수녀회 · 성프란치스코병원수녀회 · 세례자성요한수녀회 · 시토회(트라피스트회) · 씨튼회 · 영원한도움의성모수도회 · 예수고난회 · 예수마리아성심전교수녀회 · 예수성심전교수녀회 · 예수수도회 · 예수의작은자매들의우애회 · 원죄없으신마리아교육선교수녀회 · 위로의성모수녀회 · 자비의메르세다리아스수녀회 · 작은자매관상선교수녀회 · 착한목자수녀회 · 천주섭리수녀회 · 카르투시오회 · 트르와사랑의성모수녀회 · 프란치스코회 | |
한국에서 활동하는 교구 설립 수도회 | ||
남자 수도회 | 그리스도 수도회 · 꽃동네 수도회 · 미리내 수도회 · 복자회 · 작은예수회 · 프란치스코전교봉사회 | |
여자 수도회 | 가르멜의모후수도회 · 거룩한말씀의회 · 꽃동네 수녀회 · 나자렛예수수녀회 · 말씀의성모영보수녀회 · 미리내 수도회 · 복자회 · 삼성산성령수녀회 · 섭리의딸수녀회 · 성가소비녀회 · 성령강림사도수녀회 · 성삼의딸들수녀회 · 성안드레아수녀회 · 수원성빈센트드뽈자비의수녀회 · 수원순교가르멜봉쇄여자수도원 · 순교자들의선교수녀회 · 순교자의모후전교수녀회 · 예수그리스도수녀회 · 예수성심시녀회 · 예수의선교수녀회 · 예수의성모수녀회 · 예수의소화수녀회 · 오순절요셉자매회 · 원죄없으신성모의기사성프란치스코수녀회 · 인보성체수녀회 · 작은예수회 · 천사의모후수녀회 · 티없으신마리아성심수녀회 · 파티마의성모프란치스코수녀회 · 프란치스코전교봉사회 · 한국성모의자애수녀회 · 한국외방선교수녀회 | |
※ 이 표에 기재된 수도회 외에도 가톨릭의 수도회는 많습니다. 틀의 분량이 방대하므로 한국에서 활동하지 않는 수도회는 기재되어 있지 않습니다. ※ 여러 수도회를 하나의 명칭으로 종합하여 기재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렇게 하였으나, 누락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나의 명칭으로 종합할 수 있는 수도회들이나 누락된 수도회들을 발견하신 분은 기여 또는 토론 생성을 부탁드립니다. ※ 전 세계의 수도회에 대한 정보는 영문 위키피디아 문서나 영문 위키피디아 틀 등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상기 위키피디아 문서와 틀에 기재되어있지 않은 수도회도 있습니다. | }}}}}}}}} |
시토회 Ordo Cisterciensis | |||||
<colbgcolor=#005ebd,#005ebd><colcolor=white> 이명 | 베르나르도회(Bernardines) 백의 수도자들(White Monks) | ||||
표어 | <colbgcolor=#005ebd,#005ebd><colcolor=white> 라틴어 | {{{#005ebd,#gold 'Cistercium mater nostra'}}} | |||
영어 | Cîteaux is our mother | ||||
한국어 | 시토는 우리의 어머니 | ||||
설립 시기 | 1098년 3월 21일 ([age(1098-03-21)]주년) | ||||
설립자 | 몰렘의 로베르토 스티븐 하딩 시토의 알베리코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도 | ||||
규모 | 2,928명 (2023) | ||||
종교 | 가톨릭[1] | ||||
소재지 | |||||
{{{#000,#whit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5ebd,#005ebd><colcolor=white> 총회 | <colbgcolor=white,#1f2023>이탈리아 로마 시토회 총회 (Piazza del Tempio di Diana, 14 00153 Roma, IT) | |||
본원 | 프랑스 디종 시토 수도원 (Abbaye Notre-Dame de Cîteaux, 21700 Saint-Nicolas-lès-Cîteaux, Côte-d'Or, FR) | ||||
언어별 명칭 | |||||
{{{#000,#whit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5ebd,#005ebd><colcolor=white> 라틴어 | <colbgcolor=white,#1f2023> Ordo Cisterciensis | |||
영어 | Order of Cistercians | ||||
프랑스어 | Ordre cistercien | ||||
독일어 | Zisterzienserorden | ||||
네덜란드어 | Orde der Cisterciënzers | ||||
스페인어 | Orden del Císter | ||||
이탈리아어 | Ordine cistercense | ||||
포르투갈어 | Ordem de Cister | ||||
그리스어 | Τάγμα των Κιστερκιανών | ||||
폴란드어 | Zakon Cysterski | ||||
러시아어 | Орден цистерцианцев | ||||
일본어 | シトー会 | ||||
중국어 | 熙笃会 / 煕篤會 |
링크 | ||||
{{{#000,#whit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5ebd,#005ebd><colcolor=white> 웹사이트 | <colbgcolor=white,#1f2023> 홈페이지(총회 - 가톨릭) | ||
홈페이지(분회 - 성공회) |
[clearfix]
1. 개요
가톨릭의 수도회. 명칭은 발생지인 프랑스 시토에서 유래되었고, 수도회의 근간을 마련하고 확장을 도모한 성 베르나르도의 이름을 따 '베르나르도회', 혹은 새하얀 수도복에 검은색 스카풀라를 걸친 외관에 빗대어 '백의(白衣) 수도자들'이라고도 불린다. 시토회에 소속된 수도자는 이름 뒤에 O.Cist.가 붙는다.가톨릭의 대표적인 봉쇄수도회 중 하나이며, 수작업과 자급자족을 바탕으로 한 청빈한 신앙 생활을 규범으로 해 시토회 수도자들은 전통적으로 농업이나 주조와 같은 활동으로 삶을 영위한다.
2. 출신 인물
- 몰렘의 로베르토
- 베네딕토 12세
- 스티븐 하딩
- 시토의 알베리코
- 에우제니오 3세
- 클레르보의 베르나르도
- 토르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