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케이슈샤상 | 최우수 4세 암말 |
~~ 1954 없음 ~~ | 1955 사스케 하나# | 1956 페어 만나 | 1957 미스 온워드 | 1958 미스 마루사 | 1959 오칸 | ||
1960 스타 로치 | 1961 치토세 호프 | 1962 켄호 | 1963 패스포트'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background:#268300; font-size: .7em;'>1964 카네 케야키 | 1965 베로나 | 1966 하드 잇 | 1967 야마핏 | 1968 루피너스 | 1969 메이지 애스터# | ||
1970 하버 게임'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background:#268300; font-size: .7em;'>1971 나스노 카오리 | ||
유슌상 | 1972 어치브 스타 · 토쿠 자쿠라 | 1973 닛토 치도리 | 1974 토코 엘사 | 1975 테스코 가비 | 1976 티타니아 | 1977 인터 글로리아 | 1978 모델 스포트# | 1979 아그네스 레이디 | |
1980 하기노 탑 레이디 | 1981 아그네스 테스코 · 텐몬 | 1982 빅토리아 크라운 | 1983 다이나 칼 | 1984 다이애나 솔론 | 1985 에레부스 | 1986 메지로 라모누 | ||
JRA상 | 1987 맥스 뷰티 | 1988 아라 호토쿠 | 1989 샤다이 카구라 | |
1990 아그네스 플로라 | 1991 시스터 토쇼 | 1992 니시노 플라워 | 1993 베가 | 1994 히시 아마존 | 1995 댄스 파트너 | 1996 패뷸러스 라 푸인 | 1997 메지로 도베르 | 1998 팔레놉시스 | 1999 우메노 파이버 | ||
2000 치어스 그레이스 | ||
최우수 3세 암말 | ||
2001 티엠 오션 | 2002 파인 모션 | 2003 스틸 인 러브 | 2004 댄스 인 더 무드 | 2005 세자리오 | 2006 카와카미 프린세스 | 2007 다이와 스칼렛 | 2008 리틀 아마폴라'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background:#268300; font-size: .7em;'>2009 부에나 비스타 | ||
2010 아파파네 | 2011 아벤투라 | 2012 젠틸돈나 | 2013 메이쇼 맘보 | 2014 하프 스타 | 2015 미키 퀸 | 2016 신할라이트 | 2017 소울 스터링 | 2018 아몬드 아이 | 2019 그란 알레그리아 | ||
2020 데어링 택트 | 2021 소다시 | 2022 스타즈 온 어스 | 2023 리버티 아일랜드 | 2024 체르비니아 | ||
# 클래식 출전 불가, 3세 암말 GI급 무관 클래식 출전 가능, 3세 암말 GI급 무관 | }}}}}}}}} |
| ||
이름 | シンハライト Sinhalite | |
출생 | 2013년 4월 11일 ([age(2013-01-01)]세) | |
성별 | 암컷 | |
털색 | 흑갈색 (黑鹿毛, 쿠로카게) | |
아비 | 딥 임팩트 | |
어미 | 싱할리즈(Singhalese) | |
외조부 | 싱스필 | |
생산자 | 노던 팜 | |
마주 | 캐럿 팜 | |
모집 정보 및 규모 | 4400만엔(1구 11만엔 × 400구 계좌) | |
조교사 | 이시자카 세이 (릿토) | |
성적 | 6전 5승 [5-1-0-0] | |
총상금 | 2억 8642만 6000엔 | |
주요 우승 | G1 | 오크스(2016) |
G2 | 로즈 스테이크스(2016) | |
G3 | 튤립상(2016) | |
주요 수상 | 2016년 JRA상 최우수 3세 암말 | |
상세 정보 | |
[clearfix]
1. 개요
일본의 경주마.2. 혈통
1대 | 2대 | 3대 |
<colbgcolor=#fff3e4,#331c00>딥 임팩트 ディープインパクト 2002 | <colbgcolor=#ffffe4,#323300>선데이 사일런스 Sunday Silence 1986 | 헤일로 Halo |
위싱 웰 Wishing Well | ||
윈드 인 허 헤어 Wind in Her Hair 1991 | 알자오 Alzao | |
버클리어 Burghclere | ||
싱할리즈 Singhalese 2002 | 싱스필 Singspiel 1992 | 인 더 윙스 In the Wings |
글로리어스 송 Glorious Song | ||
베이즈 Baize 1993 | 에피시오 Efisio | |
바욘 Bayonne | ||
* 헤일로 3×4 18.75% * 노던 댄서 5×5 6.25% | ||
주요 전형제[A] | 아담스 피크(2009) | |
주요 반형제[A] | 릴라바티(父 젠노 롭 로이)(2011) |
모마 싱할리스는 통산 12전 3승, 2005년 Del Mar Oaks(G1) 우승마이며 세자리오가 우승한 2005년 아메리칸 오크스(G1)에서 3착을 한 전적이 있다.[3]
3. 커리어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모아닌 | 빅 아서 | 주얼러 | 오쥬 쵸산 | 디 마제스티 | 키타산 블랙 | 메이저 엠블럼 | 스트레이트 걸 | 신할라이트 | 마카히키 | 로고타입 | 마리알라이트 | 레드 팔크스 | 비블로스 | 사토노 다이아몬드 | 모리스 | 퀸즈 링 | 미키 아일 | 키타산 블랙 | 사운드 트루 | 소울 스터링 | 사토노 아레스 | 오쥬 쵸산 | 사토노 다이아몬드 이 표는 간략화한 버전입니다. 경기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 |
4. 번식마 생활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68300><rowcolor=#fff><rowbgcolor=#268300><tablebgcolor=#fff,#2d2f34> 순서 || 생년 || 말 이름 || 성별 || 모색 || 아비 || 마주 || 조교사 || 전적 ||
1 | 2018 | 세븐 서밋 (セブンサミット) | 수컷 | 흑갈색 (青鹿毛, 아오카게) | 모리스 | 캐럿 팜 | 이시자카 세이 (릿토) → 니시무라 마사유키 (릿토) | 17전 3승 현역 |
2 | 2019 | 아르주나 (アルジュナ) | 수컷 | 갈색 (鹿毛, 카게) | 킹 카메하메하 | 이케조에 마나부 (릿토) | (불출주) | |
3 | 2020 | 덤불라 (ダンブッラ) | 암컷 | 흑갈색 (黒鹿毛, 쿠로카게) | 로드 카날로아 | - | (불출주, 번식마) | |
4 | 2021 | 실론 젬스 (セイロンジェムズ) | 암컷 | 갈색 (鹿毛, 카게) | 레이 데 오로 | 요시다 카즈미 | 미야타 케이스케 (릿토) | 3전 1승 현역 |
2022 | (유산) | 사투르날리아 | - | |||||
5 | 2023 | (신할라이트 2023) | 암컷 | 갈색 (鹿毛, 카게) | 에피파네이아 | 캐럿 팜 | 사이토 타카시 (릿토) | (데뷔 전) |
6 | 2024 | (신할라이트 2024) | 암컷 | 흑갈색 (黒鹿毛, 쿠로카게) | 사투르날리아 | - | (데뷔 전) |
5. 여담
- 2025년 2월 21일, 우마무스메 4주년 기념 파카라이브를 하루 앞둔 날 갑자기 신할라이트의 우마무스메 실장설이 급부상했다.
이유는 당일 갑자기 성우 타이라 엘렌이 본인의 X에 "우마무스메 메인스토리 2부에서 아메리칸 오크스 3착을 한 우마무스메의 목소리를 담당했습니다"라고 트윗을 올린 것이 시작이었다.
사실 트윗의 내용 자체는 큰 문제가 없는, 그냥 일상적인 근황보고일 뿐이었지만 문제는 타이밍이었다.
세자리오가 육성실장 됐을 당시라면 아 그렇구나 라며 넘어갈 사항이었지만 한참이 지난 지금에 와서, 그것도 다수의 신규 우마무스메가 공개될 예정인 파카라이브 전날에 뜬금없는 글이 올라오다 보니 이것이 단순한 근황보고가 아니라 일종의 사인이 아닌가 하는 이야기가 돌기 시작한 것.
타이라 엘렌이 맡은 '오크스에서 3착을 한 우마무스메'는 신할라이트의 모마인 싱할리즈가 모티브인 모브였기 때문에 싱할리즈 관련 캐릭터인 신할라이트가 유력 후보로 떠오른 것이다.
어찌됐든 트윗 공개 당일 팬들 사이에선 신할라이트가 최우선 후보로 두고 다른 말의 실장[4] 가능성도 있다고 보는 의견과 그냥 단순히 트윗 올리는 걸 까먹었다 뒤늦게 올린 걸 거라는 의겸으로 나뉘는 중인데, 대부분은 성우의 늦은 트윗으로 인한 단순 해프닝만은 아니길 바라는 상황이다.
6. 경주 성적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68300><rowbgcolor=#268300><tablebgcolor=#fff,#2d2f34><rowcolor=#ffffff><width=3%> 경주일 || 경마장 ||
(2착마) ||
경기명
||<width=3%> 등급 || 트랙
||<width=3%> 배당 ||<width=3%> 인기 || 착순 || 기수 || 1착마(2착마) ||
<rowcolor=#ffffff> 2015년 (2세) | |||||||||
10.10 | 교토 | 2세 신마 | 잔디 1600m | 2.4 | 1 | 1착 | 이케조에 켄이치 | (오켄빌리브) | |
<rowcolor=#ffffff> 2016년 (3세) | |||||||||
1.17 | 교토 | 코바이(紅梅) 스테이크스 | OP | 잔디 1400m | 3.0 | 1 | 1착 | 이케조에 켄이치 | (원투원) |
5.6 | 한신 | 튤립상 | GIII | 잔디 1600m | 5.6 | 2 | 1착 | (주얼러) | |
4.10 | 한신 | 오카상 | GI | 잔디 1600m | 4.9 | 2 | 2착 | 주얼러 | |
5.22 | 도쿄 | 우준 빈마 (오크스) | GI | 잔디 2400m | 2.0 | 1 | 1착 | (체키노) | |
9.18 | 한신 | 로즈 스테이크스 | GII | 잔디 1800m | 1.6 | 1 | 1착 | (크로코스미아)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1938 아스테리 모어 | 1939 호시 호마레 |
1940 루넬라 | 1941 테츠 반자이 | 1942 록 스테이츠 | 1943 쿠리후지 | ~~1944 · 1945 없음~~ | 1946 미츠마사 | 1947 토키츠카제 | 1948 야시마 히메 | 1949 킹 나이트 | |
1950 코마 미노루 | 1951 키요 후지 | 1952 스위 수 | 1953 지츠 호마레 | 1954 야마이치 | 1955 히로이치 | 1956 페어 만나 | 1957 미스 온워드 | 1958 미스 마루사 | 1959 오칸 | |
1960 스타 로치 | 1961 치토세 호프 | 1962 오 하야부사 | 1963 아이티오 | 1964 카네 케야키 | 1965 베로나 | 1966 히로요시 | 1967 야마핏 | 1968 루피너스 | 1969 샤다이 타킨 | |
1970 주피크 | 1971 카네 히무로 | 1972 타케 후부키 | 1973 나스노 치구사 | 1974 토코 엘자 | 1975 테스코 가비 | 1976 티타니아 | 1977 리니어 퀸 | 1978 파이브 호프 | 1979 아그네스 레이디 | |
1980 케이 키로쿠 | 1981 텐몬 | 1982 샤다이 아이버 | 1983 다이나 칼 | |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 지정 후 | |
1984 토카이 로망 | 1985 노아노 하코부네 | 1986 메지로 라모누 | 1987 맥스 뷰티 | 1988 코스모 드림 | 1989 라이트 컬러 | |
1990 에이신 서니 | 1991 이소노 루블 | 1992 아도라블 | 1993 베가 | 1994 초카이 캐럴 | 1995 댄스 파트너 | 1996 에어 그루브 | 1997 메지로 도베르 | 1998 에리모 엑셀 | 1999 우메노 파이버 | |
2000 실크 프리마 돈나 | 2001 레이디 파스텔 | 2002 스마일 투모로우 | 2003 스틸 인 러브 | 2004 다이와 엘 시엘로 | 2005 세자리오 | 2006 카와카미 프린세스 | 2007 로브 데콜테 | 2008 톨 포피 | 2009 부에나 비스타 | |
국제 GI 지정 후 | |
2010 아파파네 · 생테밀리옹동착 | 2011 에린 코트 | 2012 젠틸돈나 | 2013 메이쇼 맘보 | 2014 누오보 레코르트 | 2015 미키 퀸 | 2016 신할라이트 | 2017 소울 스터링 | 2018 아몬드 아이 | 2019 러브즈 온리 유 | |
2020 데어링 택트 | 2021 위버레번 | 2022 스타즈 온 어스 | 2023 리버티 아일랜드 | 2024 체르비니아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1983 롱 그레이스 |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 지정 후 | |
1984 롱 레저 | 1985 타케노 하나미 | 1986 메지로 라모누 | 1987 맥스 뷰티 | 1988 시요노 로망 | 1989 샤다이 카구라 | |
1990 카츠노 조오 | 1991 린덴 릴리 | 1992 엘 카사 리버 | 1993 스타 발레리나 | 1994 히시 아마존 | 1995 사일런트 해피니스 | 1996 히시 나탈리 | 1997 쿄에이 마치 | 1998 팔레놉시스 | 1999 히시 피너클 | |
2000 니혼 필로 스완 | 2001 다이아몬드 비코 | 2002 파인 모션 | 2003 어드마이어 그루브 | 2004 레 클레 도르 | 2005 에어 메사이어 | 2006 어드마이어 키스 | 2007 다이와 스칼렛 | 2008 마이네 래첼 | |
국제 GII 지정 후 | |
2009 브로드 스트리트 | |
2010 애니메이트 바이오 | 2011 웨일 캡처 | 2012 젠틸돈나 | 2013 데님 앤 루비 | 2014 누오보 레코르트 | 2015 터칭 스피치 | 2016 신할라이트 | 2017 래빗 런 | 2018 칸타빌레 | 2019 다논 판타지 | |
2020 리아 아멜리아 | 2021 안드바라나우트 | 2022 아트 하우스 | 2023 마스크드 디바 | 2024 퀸즈 워크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중앙 오픈 경주로 창설 |
1983 우라카와 미유키 | 1984 아이노 사치 | 1985 레이호 솔론 | 1986 맥스 뷰티 | 1987 시요노 로망 | 1989 영게스트 시티 | |
1990 아그네스 플로라 | 1991 시스터 토쇼 | 1992 아도라블 | 1993 베가 | |
중앙 GIII 승격 후 | |
1994 아그네스 퍼레이드 | 1995 유키 비바체 | 1996 에어 그루브 | 1997 오렌지 필 | 1998 단츠 시리우스 | 1999 에이신 루덴스 | |
2000 조 디 시라오키 | 2001 티엠 오션 | 2002 헬스 월 | 2003 오스미 하루카 | 2004 스윕 토쇼 | 2005 에이신 텐더 | 2006 어드마이어 키스 | 2007 보드카 | 2008 에어 파스칼 | 2009 부에나 비스타 | |
국제 GIII 지정 후 | |
2010 쇼류 문 | 2011 레브 디소르 | 2012 하나즈 골 | 2013 쿠로후네 서프라이즈 | 2014 하프 스타 | 2015 코코로노 아이 | 2016 신할라이트 | 2017 소울 스터링 | |
국제 GII 승격 후 | |
2018 럭키 라일락 | 2019 다논 판타지 | |
2020 말티즈 디오사 | 2021 메이케이 옐 · 엘리자베스 타워동착 | 2022 나뮈르 | 2023 모즈 메이메이 | 2024 스윕 피트 | }}}}}}}}} |
[A] 중상마만 서술, 볼드 표시는 G1/Jpn1 우승마.[A] [3] 2005년 아메리칸 오크스는 일본 G1 우승마의 모마를 넷이나 배출한 대회가 되었다. 1착마 세자리오를 필두로 3착마 싱할리스는 신할라이트의 모마, 9착 이슬라 코진은 이슬라 보니타의 모마, 11착 실크 앤 스칼렛은 2011년 마일 챔피언십 우승마 에이신 아폴론의 모마다.[4] 엄마 목소리를 맡았다고 바로 혈통의 다른 말을 맡는다는 보장은 없기 때문으로, 실제 애니메이션에선 미스터 시비의 자마인 레오 더반이 모티브인 리오 나탈이란 캐릭터를 맡았던 아오야마 요시노는 실제 게임에선 심볼리 루돌프 자마인 츠루마루 츠요시 역을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