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어 단어
- 부사
- 용언 앞에서 부정이나 반대를 뜻함. '안'으로 줄여 쓸 수 있다. 예: '아니 먹다',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날까'
다만, '아니꼽다'는 어원 의식이 멀어져 한 단어가 되었고, '안꼽다'는 방언으로 되어 있다. - 어떤 사실을 강조할 때. 예: "그건 불가능합니다. 아니, 죽었다 깨어나도 할 수 없습니다."
- 감탄사
- 아랫사람이나 대등한 입장의 사람의 질문에 부정하여 대답할 때. 예: "먹은 거 아냐?" "아니, 분명히 먹었는데?", "아니 그건 니 생각이고"
- 놀라워하거나 의아할 때. 예: "아니, 누구세요?", "아니, 그런 얘기를 듣지 못했다는 말입니까?"[1]
남탓의 시작을 알리는 말. 팀 게임에서 무조건 나오는 말. 예: "아니 그걸 왜 하냐고" "아니 뭐 하냐고"- 형용사 '아니다'의 어근, 어간. 예: "잡초(체언)가 아니다."
- 보조용언 '아니하다'의 어근. '않다'로 줄일 수 있다. 가령, '하지 아니하다'와 같이 쓴다.
그런데 체언 뒤에는 '아니다'가 옳고 접미사 '-적' 뒤에는 '~이지 않다'가 옳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국어에 일가견 있는 사람들도 자주 실수할 정도이다.
1.1. 아니오? 아니요?
- 아니오
- '아니다'의 어간 '아니-'에 하오체 종결 어미 '-오'가 붙어서 된 높임말. '그렇소/그러오'와 '그러하오'의 반대말이다. 순행동화로써 [아니요]로도 발음할 수 있다. 예: 이보시오! 나는 바보가 아니오.
- 아니요
1.2. 아니었다? 아니였다? / 아니에요? 아니예요?
'아니었다'와 '아니에요'가 옳다. '아니다'는 용언이므로 서술격 조사의 어간 '이-' 없이 '-었다', '-에요' 같은 어미만 온다. 다만, '이었다', '이에요'를 '였다', '예요'로 줄일 수 있듯이 '아녔다'와 '아녜요'로 줄일 수 있다.1.3. 관련 문서
2. 튀르키예 영토에 있는 아르메니아 유적
3. Stray Kids의 노래, "아니 (Any)"
의 아니 (Any)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일본어 あに
兄일본어로 형, 오빠 등을 가리키는 말. 오니상(お兄さん)보다는 가벼운 어감이다. 단 한국으로 따지면 시아주버니나 손위 처남, 매형 등도 가리킬 수 있는 단어이기도 하다.
어린 여성이 오빠를 부를 때 이 단어를 사용할 경우 오라비로 번역하는 경우가 가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