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포마준 · 3 크루고보이 · 4 호샤 · 5 즈델라르 · 6 무힌 · 8 슈만스키 · 9 과리라파 10 오블랴코프 · 11 무사예프 · 13 케우벵 · 15 퍄니치 · 17 글레보프 · 19 제말레트디노프 · 20 코이타 21 파이줄라예프 · 22 M. 가이치 · 25 비스트로비치 · 27 모이제스 · 31 키슬랴크 · 35 아킨페프 (C) 41 우샤코프 · 45 보코프 · 46 야코블레프 · 49 토로프 · 77 아가포프 · 78 디베예프 · 90 루킨 |
*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본래 스쿼드에서 타 팀으로 임대간 선수는 제외되었습니다. |
아보스베크 파이줄라예프의 수상 이력 | ||||
{{{#!folding ▼ | 둘러보기 틀 모음 | |||
개인 수상 | ||||
| 2023 · 2024 | |||
| ||||
베스트팀 | ||||
| |||||
<colcolor=#ffffff> PFC CSKA 모스크바 No. 21 | |||||
아보스베크 파이줄라예프 Abbosbek Fayzullaev | Аббосбек Файзуллаев | |||||
<colbgcolor=#e51232> 본명 | 아보스베크 사이존 오글리 파이줄라예프 Abbosbek Saydjon oʻgʻli Fayzullaev Аббосбек Сайджон ўғли Файзуллаев | ||||
출생 | 2003년 10월 3일 ([age(2003-10-03)]세) | ||||
시르다리야주 시르다료 | |||||
국적 | [[우즈베키스탄| ]][[틀:국기| ]][[틀:국기| ]] | ||||
신체 | 키 168cm / 체중 57kg | ||||
포지션 | 윙어 | ||||
주발 | 오른발 | ||||
등번호 | 우즈베키스탄 대표팀 | 22 | |||
PFC CSKA 모스크바 | 21 | ||||
소속 | <colbgcolor=#e51232><colcolor=#ffffff> 유스 |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2021) | |||
프로 |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 (2021~2023) PFC CSKA 모스크바 (2023~ ) | ||||
국가대표 | 23경기 7골 (우즈베키스탄 / 2023~ ) | ||||
SNS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e51232><colcolor=#ffffff> 역대 등번호 | 우즈베키스탄 대표팀 - 7, 22 PFC CSKA 모스크바 - 21 |
[clearfix]
1. 개요
우즈베키스탄의 축구 선수. 포지션은 윙어.압두코디르 후사노프와 함께 우즈베키스탄 축구를 이끌 미래로 평가받고 있다.
2. 클럽 경력
3. 국가대표 경력
파흐타코르 아카데미 시절부터 U-19 스쿼드에 차출되었다. 2021년 10월에 아시안컵 U-23 예선을 위해 대표팀에 차출되었고, 방글라데시와의 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렀다. 2022년 U-23 아시안 컵에서의 좋은 모습을 보이면서 팀이 준우승을 차지하자, 파이줄라예프는 우즈벡 축협으로부터 올해의 유망주 상을 수상하였다.2023 U-20 아시안 컵에서 최고의 모습을 선보였다. 이라크와의 결승전에서 페널티 킥을 얻어내며 팀의 1대0 승리에 크게 기여하였고, 팀은 역사상 첫 우승을 거둔다. 또한, U-20 아시안컵 MVP를 수상하였다.
2023년 초대 중앙아시아컵 개막전인 오만과의 경기에서 처음으로 우즈벡 성인 대표팀 데뷔전을 치렀다. 조별리그 3차전인 타지키스탄과의 경기에서 우즈벡 대표팀 소속 데뷔골을 넣었다.
2024년 3월 26일 홍콩과 2026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 홈에서 20분에 엘도르 쇼무로도프에게 낮은 크로스를 주며 어시스트를 기록하였다. #
시즌 도중에 2024 U-23 아시안컵 준결승에 출전하여 팀의 올림픽 본선 진출을 견인하였으며 결승전은 출전하지 않고 소속팀으로 복귀하였다.
2024년 11월 15일 카타르와의 2026 FIFA 월드컵/지역예선/아시아/3차예선/A조 경기에서 팀이 0-2로 뒤진 상황에서 헤딩으로 멀티골을 넣으며 균형을 맞췄으나 후반 추가시간 12분에 카타르에게 극장골을 허용하며 2-3으로 패했다.
4. 플레이 스타일
좋은 발기술과 킥력을 바탕으로 우즈벡 축구팬들로부터 우즈벡의 카가와 신지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는 선수이나, 키도 작고 체형도 왜소해 피지컬이 많이 부족한 선수다. 앞으로 몸싸움 능력을 키우는 것이 관건이다.이는 마노르 솔로몬과 상당히 유사한데 실제로 양발 사용이 가능하고, 드리블이 좋은 편이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 U-20 아시안컵: 2023
5.2. 개인 수상
- U-20 아시안컵 MVP: 2023
- 우즈베키스탄 올해의 선수: 2023, 2024
- AFC 아시안컵 토너먼트의 팀: 2023
- AFC 올해의 유스 선수: 2023
-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올해의 발견: 2023-24
6.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번호 | 포지션 | 국적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키릴문자 성명 | 비고 |
1 | GK | | 일리야 포마준 | Ilya Pomazun | Илья Помазун | ||
3 | DF | | 다닐 크루고보이 | Danil Krugovoy | Данил Круговой | ||
4 | DF | | 윌리앙 호샤 | Wilyan Rocha | Виллиан Роша | ||
5 | MF | | 사샤 즈델라르 | Saša Zdjelar | Саша Зделар | ||
6 | MF | | 막심 무힌 | Maksim Mukhin | Максим Мухин | ||
8 | FW | | 아르툠 슈만스키 | Artyom Shumanskiy | Артём Шуманский | ||
9 | FW | | 사울 과리라파 | Saul Guarirapa | Саул Гуарирапа | [2] | |
10 | MF | | 이반 오블랴코프 | Ivan Oblyakov | Иван Обляков | ||
11 | ST | | 타메를란 무사예프 | Tamerlan Musayev | Тамерлан Мусаев | ||
13 | DF | | 케우벵 | Khellven | Келлвен | ||
15 | MF | | 미랄렘 퍄니치 | Miralem Pjanić | Миралем Пьянич | ||
17 | MF | | 키릴 글레보프 | Kirill Glebov | Кирилл Глебов | ||
19 | MF | | 리파트 제말레트디노프 | Rifat Zhemaletdinov | Рифат Жемалетдинов | ||
20 | FW | | 세쿠 코이타 | Sekou Koita | Секу Койта | ||
21 | MF | | 아보스베크 파이줄라예프 | Abbosbek Fayzullayev | Аббосбек Файзуллаев | ||
22 | DF | | 밀란 가이치 | Milan Gajic | Милан Гайич | ||
25 | MF | | 크리스티얀 비스트로비치 | Kristijan Bistrovic | Кристиян Бистрович | ||
27 | DF | | 모이제스 | Moisés | Мойзес | ||
31 | MF | | 마트베이 키슬랴크 | Matvey Kislyak | Матвей Кисляк | ||
35 | GK | | 이고르 아킨페프 | Igor Akinfeev | Игорь Акинфеев | 주장 | |
41 | MF | | 예고르 우샤코프 | Yegor Ushakov | Егор Ушаков | ||
45 | GK | | 다닐라 보코프 | Danila Bokov | Данила Боков | ||
46 | FW | | 블라디슬라프 야코블레프 | Vladislav Yakovlev | Владислав Яковлев | ||
49 | GK | | 블라디슬라프 토로프 | Vladislav Torop | Владислав Тороп | ||
77 | DF | | 일리야 아가포프 | Ilya Agapov | Илья Агапов | ||
78 | DF | | 이고리 디베예프 | Igor Diveev | Игорь Дивеев | ||
90 | DF | | 마트베이 루킨 | Matvey Lukin | Матвей Лукин | ||
<colbgcolor=#093990> 구단 정보 | |||||||
감독: 마르코 니콜리치 / 홈 구장: VEB 아레나 | |||||||
출처: 트랜스퍼마르크트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7월 18일 |
[주의] 이 틀은 기기 환경에 따라 볼 때 상당히 길 수 있습니다.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또한 이 틀을 수정할 때는 여기도 같이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2] PFC 소치에서 임대
}}}}}}}}} ||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포지션 | 등번호 | 한글 성명 | 생년월일 | 출장 | 득점 | 클럽 | ||||||
GK | 1 | 우트키르 유수포프 (Utkir Yusupov) | 1991년 1월 4일 | 27 | 0 | | |||||||
12 | 압두보히드 네마토프 (Abduvohid Nematov) | 2001년 3월 20일 | 7 | 0 | | ||||||||
16 | 보티랄리 에르가셰프 (Botirali Ergashev) | 1995년 6월 23일 | 3 | 0 | | ||||||||
DF | 3 | 호지아크바르 알리조노프 (Khojiakbar Alijonov) | 1997년 4월 19일 | 30 | 1 | | |||||||
4 | 파루흐 사이피예프 (Farrukh Sayfiev) | 1991년 1월 17일 | 53 | 1 | | ||||||||
5 | 루스탐 아슐마토프 (Rustam Ashurmatov) | 1996년 7월 7일 | 33 | 0 | | ||||||||
13 | 셰르조드 나스룰라예프 (Sherzod Nasrullaev) | 1998년 7월 23일 | 16 | 0 | | ||||||||
2 | 압두코디르 후사노프 (Abdukodir Khusanov) | 2004년 2월 29일 | 10 | 0 | | ||||||||
15 | 우마르 에슈무로도프 (Umar Eshmurodov) | 1992년 11월 30일 | 27 | 0 | | ||||||||
18 | 압둘라 압둘라예프 (Abdulla Abdullaev) | 1997년 9월 1일 | 16 | 0 | | ||||||||
23 | 후스니딘 알리쿨로프 (Husniddin Aliqulov) | 1999년 4월 4일 | 19 | 1 | | ||||||||
MF | 6 | 아크말 모즈고보이 (Akmal Mozgovoy) | 1999년 4월 2일 | 12 | 0 | | |||||||
7 | 오타벡 슈쿠로프 (Otabek Shukurov) | 1996년 6월 22일 | 65 | 7 | | ||||||||
8 | 잠시드 이스칸데로프 (Jamshid Iskanderov) | 1993년 10월 16일 | 34 | 4 | | ||||||||
9 | 오딜존 함로베코프 (Odiljon Hamrobekov) | 1996년 2월 13일 | 51 | 1 | | ||||||||
10 | 잘롤리딘 마샤리포프 (Jaloliddin Masharipov) | 1993년 9월 1일 | 60 | 11 | | ||||||||
11 | 오스톤 우루노프 (Oston Urunov) | 2000년 12월 19일 | 26 | 5 | | ||||||||
19 | 아지즈베크 투르군보예프 (Azizbek Turgunboev) | 1994년 10월 1일 | 30 | 4 | | ||||||||
20 | 호지마트 에르키노프 (Khojimat Erkinov) | 2001년 5월 29일 | 30 | 4 | | ||||||||
22 | 아보스베크 파이줄라예프 (Abbosbek Fayzullaev) | 2003년 10월 3일 | 13 | 4 | | ||||||||
FW | 14 | 엘도르 쇼무로도프 (Eldor Shomurodoov) | 1995년 6월 29일 | 69 | 38 | | |||||||
17 | 보부르 압디콜리코프 (Bobur Abdikholikov) | 1997년 4월 23일 | 12 | 1 | | ||||||||
21 | 압두라우프 부리예프 (Abdurauf Buriev) | 2002년 7월 20일 | 0 | 0 | | ||||||||
일정 | 2026 FIFA 월드컵 아시아 3차예선 | 2024년 11월 15일(금) | 원정 | | |||||||||
2024년 11월 19일(화) | 원정 | | |||||||||||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1월 12일 |
1 유수포프 · 2 함랄리에프 · 3 알리조노프 · 4 사이피예프 · 5 아슐마토프 · 6 홀마토프 · 7 슈쿠로프 · 8 이스칸데로프 · 9 함로베코프 10 마샤리포프 ⓒ · 11 우루노프 · 12 네마토프 · 13 나스룰라예프 · 14 볼타보예프 · 15 에시무로도프 · 16 에르가셰프 · 17 압디홀리코프 18 압둘라예프 · 19 투르군보예프 · 20 에르키노프 · 21 세르게예프 · 22 파이줄라예프 · 23 우마로프 · 24 아모노프 · 25 후사노프 · 26 압두라흐마토프 |
|
1 네마토프 · 2 미르사이도프 · 3 후사노프 · 4 알리쿨로프 · 5 함랄리예프 · 6 율도셰프 · 7 파이줄라예프 · 8 지야노프 · 9 노르차예프 10 잘롤리디노프 · 11 우루노프 · 12 나자로프 · 13 압두라흐마토프 · 14 쇼무로도프 ⓒ · 15 라흐모날리예프 · 16 라힘조노프 17 홀마토프 · 18 부리예프 · 22 오딜로프 |
|
분류
- 2003년 출생
- 2021년 데뷔
- 시르다리야 주 출신 인물
- 우즈베키스탄의 남자 축구 선수
- PFC CSKA 모스크바/현역
- 파흐타코르 타슈켄트 FK/은퇴, 이적
- 우즈베키스탄의 AFC 아시안컵 참가 선수
-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참가 선수
- 우즈베키스탄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
- 2024 파리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
- 우즈베키스탄의 FIFA U-20 월드컵 참가 선수
- 2023 FIFA U-20 월드컵 아르헨티나 참가 선수
- 우즈베키스탄의 AFC U-23 아시안컵 참가 선수
- 2022 AFC U-23 아시안컵 우즈베키스탄 참가 선수
- 2024 AFC U-23 아시안컵 카타르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