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8 15:29:29

안양대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고종\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조선의 왕자
안양대군
安陽大君
봉호 안양대군(安陽大君)
본관 전주(全州)
이름 규(邽)
부왕 국왕 이형(李㷩)
모후 왕비 민자영(閔玆暎)
부인 창녕부부인(昌寧府夫人) 조별단
자녀 1남 1녀
생몰년 1875년 4월 5일 ~ 현재
1. 개요2. 상세3. 행적4. 가족관계5. 기타

[clearfix]

1. 개요

대체역사물 고종, 군밤의 왕의 등장인물.

2. 상세

원 역사에서 봉군되기 전에 요절한 고종과 명성황후의 3남이지만, 1871년생인 첫째 형이 4일 만에 사망해서 사실상 차남이다. 원 역사에서는 13일 만에 사망해서 대군으로 봉작되지 못했으나, 본작에서는 1873년생 공주가 222일 만에 요절하자 내의원을 개편하여 양의학을 배운 의사들의 노력 덕분에 영아기를 넘겨 살아남는데 성공, 대군으로 봉작되었다. 원 역사에서 107일 만에 사망한 1878년생 4남도 본작에서는 살아남아 경양대군이 되었기 때문에 경양대군의 형이기도 하다.

둘째 형 이척과는 연년생(이척 1874년생, 안양대군 1875년생)으로 아빠보다 엄마 자영을 더 많이 닮아 영특하지만 은근히 의뭉스러운 구석이 있다.

귀남을 대단히 존경한다. 육십만 대군을 말 한 마디로 끌어와 북양군을 거꾸러뜨리며, 역시 말 한 마디로 천하를 저들 것으로 여기는 구미의 사람들을 한양으로 불러 모으는 아버지라면 개국 이래 그 공적이 최고이며 이는 종묘의 그 어떤 선왕도 반박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신분이 낮은 별단에게 청혼할 정도로 개방적인 성품이지만, 법 의식이 대명률 시절에 멈춰있는 등 고루한 구석도 있다. 다행히도 이 문제는 교통사고 건을 겪고 나서 고쳐진 것으로 추측된다. 인조의 4남 용성대군이 1630년 사망한 뒤 처음으로 대군으로 봉작된 인물이라는 특수성 때문에[1] 오냐오냐 컸던 탓에 벌어진 문제점으로 보인다.

3. 행적

어느 날 마포로 미복 잠행을 나갔다가 조별단이라는 아이와 만나 연을 맺어 1년 동안 인연을 이어가다 끝내 사랑에 빠졌다. 그런데 별단이 천민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반가의 자제도 아니라서 형 이척의 옆구리를 찔러 귀남의 반응을 살폈고 나쁘지 않자 자신이 대군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그런데 대원군에게 이 사실이 딱 걸려서 별단을 만나는 것은 그렇다고 쳐도, 아무리 형이라도 감히 세자를 그렇게 이용해서는 안 된다는 경고를 들었다. 일부 종친들이 탐탁지 않아 했지만 그래도 귀남과 김옥균의 도움으로 1895년, 끝내 조별단과 결혼했다. 이때의 인연으로 김옥균을 잘 따르게 됐다.

이후 자동차의 매력에 푹 빠져 귀남을 제외한 다른 가족들의 강력한 반대에도 운전을 취미로 삼았다. 운전에 너무 빠진 나머지 눈이 다 녹지 않았으니 운전을 삼가라는 귀남의 하유도 무시하고 운전을 하다가 그만 빙판길에서 미끄러져 노면전차를 박는 대형 사고를 치고 만다. 이후 기무회의를 박차고 달려온 귀남에게 뺨을 맞았고 이 일은 국법대로 처리하겠다는 말을 들었다. 그런데 법 의식이 대명률에서 멈춘 탓에 다른 사람들처럼 귀남이 뒤에서 수를 쓸 것이라고 생각했다가 정말로 국법대로 법정에 출석하게 생기자 그제서야 발등에 불이 떨어져 옥균에게 조언을 구하였고, 법정에서 진솔하게 사죄하고 보상하겠다는 뜻을 밝혀 배상하고 벌금 무는 선에서 사태가 수습되었다.

그렇게 재판이 끝난 후 귀남의 명을 받고 빅토리아 여왕의 다이아몬드 주빌리에 참석했다. 그리고 스핏헤드 관함식에서 찰스 파슨스의 터빈 선을 보고 감탄하여 안 그래도 해외에 나온 김에 공 하나 세우고자 조선에 부족한 과학자들을 영입할 계획을 세웠던 터라 그를 영입할 생각을 한다. 그러나 파슨스는 이미 영국의 주목을 받고 계약까지 체결해버려 한 발 늦은 꼴이 되었다.

그래도 포기하지 않고 새 인물을 물색하였고 진령군에게 퀴리 부부와 치올코프스키에 대한 정보를 들어 김홍집에게 부탁해 우선 피에르 퀴리와 접촉하고자 한다. 그리고 만삭의 마리 퀴리와 접촉해 결국 퀴리 부부를 초빙하는 데 성공하고, 치올코프스키가 역으로 자신의 아이디어를 실현해줄 것을 요청하게 하는 성과를 거둔다.

이에 귀남은 명석하여 공부를 좋아할 듯한 아들이 과학기술에 관심이 많은 줄 알고 공조에 이야기해서 그때그때 중구난방으로 옮겼기에 어지럽던 과학, 공학 낱말들의 표준용어를 정하는 일을 맡게 됐다. 이에 따라 사실상 종친들 중에서 유일하게 실무에 뛰어들게 되었다.

이후 운산 광독 사건으로 슬슬 환경 정책을 추진할 때가 왔다고 느낀 귀남이 신문물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검사하는 일을 맡기자 동생의 조언을 듣고 인재들을 모아 자기 일을 대신 해줄 녹화회를 꾸렸다. 공조 일에서 도망치기 위해서 군에 입대[2]하여 형처럼 편한 군 생활을 누리려고 하였으나,[3] 형을 본받아 군대를 가는 줄로 착각한 귀남이 군에서도 저 좋아하는 기술 일을 하라고 비행기 관련 업무를 맡겨버렸다. 그래도 그 동안 공조 일에 정을 붙이며 사명감을 느끼게 되기도 했고, 일 재주도 늘어서 나름 성과도 내고 있는 모양. 가끔 아내인 조별단과 함께 와서 비행기를 타며 데이트를 즐긴다고.

1910년에 터져버린 대전쟁에 인도적 지원을 결심해 만백성을 설득하고자 하는 아버지 귀남을 위해 종묘 이래 첫 옥음 방송의 스태프로 참여한다. 생방송에 익숙지 않은 귀남이 시작부터 방송사고를 내자 다급히 사관의 만년필로 종이에 '시(是)' 자를 써서 방송 시작을 알려주고, 대본 없이 즉흥으로 말하는 것을 보고 점점 표정이 굳다가 임금 자리를 버려서라도 직접 가겠다고 희대의 폭탄 발언을 던지는 것을 목도하며 기겁한다.

4. 가족관계

본작에서는 끝까지 조선 왕 국체를 유지하기 때문에 대한제국 시절 명칭이 아니라 조선 왕조 시절의 명칭을 사용한다. 따라서 고종과 왕비 민씨, 왕세자 이척의 시호는 원 역사와 다소 다를 가능성이 높다.
  • 어머니 : 왕비 민자영(閔玆暎)
  • 첫째 형 : 1871년생 요절
  • 첫째 누나 : 1873년생 요절
  • 부인 : 창녕부부인(昌寧府夫人) 조별단
    • 아들

5. 기타

  • 위키백과에 따르면 명성황후의 네 아들의 이름은 각각 최, 척(坧), 표, 부라고 하는데 고종의 다른 아들들과 달리 한자가 표기되어 있지 않고 정확한 사실관계는 알 수 없어서 작가가 이름을 따로 창작한 것으로 보인다. 원 역사에서 이름이 확인되는 고종의 아들은 장남 선(墡), 3남 척(坧), 5남 강(堈), 7남 은(垠), 8남 육(堉), 9남 우(堣)로 모두 토(土) 부수를 사용하는데, 안양대군의 이름 규(邽)도 여기서 따온 것으로 보이나 다른 형제들과 달리 규(圭) 부수이기도 하다.
  • 안양대군의 봉호는 강원도 춘천의 옛 지명인 안양도호부(安陽都護府)에서 유래했다. 성종의 3남이자 서차남인 안양군과 봉호가 겹친다. 원 역사 고종의 장남 완친왕과 5남 의친왕의 조선 시대 군호가 완화군(完和君)과 의화군(義和君)인 것으로 보아 화(和) 돌림을 썼던 것으로 보이는데 본작에서는 안양대군과 경양대군의 봉호를 보아 양(陽) 돌림을 쓴 것 같다.
  • 원 역사에서는 13일 만에 사망해서 존재감이 없던 탓에 보통 대체역사물에서는 언급조차 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본작에서는 역사 개변으로 살아남아 직접 등장하기 때문에 대체역사물 전체를 둘러봐도 찾아보기 어려운 인물이다.[4]
  • 원 역사의 고종은 명성황후 민씨 4남 1녀, 영보당 귀인 이씨 1남 1녀, 귀인 장씨 1남, 순헌황귀비 엄씨 1남, 광화당 귀인 이씨 1남, 보현당 귀인 정씨 1남, 내안당 귀인 이씨 1녀, 복녕당 귀인 이씨 1녀로 총 9남 4녀를 두었으나 본작의 고종(귀남)은 명성황후 외의 여자에게 관심이 없어 명성황후에게 4남 1녀를 두었고 장남과 장녀가 요절하여 왕세자 이척-안양대군-경양대군 3남만 존재한다.
  • 원 역사와 본작을 통틀어 인조의 적3남 인평대군(공교롭게도 고종의 생물학적 8대조이다) 이후 처음으로 태어난 적3남이며, 서자까지 포함할 경우 철종의 3남(1859년생) 이후 처음으로 태어났다.
  • 상술했듯 인조의 4남 용성대군 이후로 250여 년만에 대군으로 봉작된 인물이다. 원 역사에서 효종 이후 손이 귀해지거나 모두 요절하여 대군으로 봉작된 인물은 아무도 없으며, 고종 또한 명성황후와의 사이에서 4남을 두었으나 차남 순종을 제외하고 모두 요절하여 대군으로 봉작되지 못했다.
  • 효종~철종 시대 요절한 아들까지 포함하면 효종~고종 사이 왕의 적차자는 2명, 세자까지 포함하면 3명 존재했으며, 적3남은 인조의 3남 인평대군(고종의 생물학적 8대조)이 마지막이라 효종~철종 시대에는 적3남이 존재하지 않았다.[5] 인조 이후 왕 또는 세자들은 요절한 자식들까지 포함하면 효종 1남 7녀, 현종 1남 3녀, 숙종 6남 2녀, 영조 2남 12녀, 사도세자 5남 3녀, 정조 2남 2녀, 순조 2남 4녀, 효명세자 1남, 헌종 1녀, 철종 5남 4~7녀, 고종 9남 4녀의 자식을 두었기 때문에 만약 요절한 아들들이 모두 요절하지 않고 장성했을 경우 숙종 이후의 왕위계승은 다르게 흘러갔을 것이다.
    • 숙종의 차남 이성수(1690년생) : 숙종 대 희빈 장씨가 왕비였던 시절 낳은 차남. 경종은 서장자로 태어나 적장자가 되었다 다시 서장자가 된 사례라서 숙종의 아들 중 적자로 '태어난' 건 이성수뿐이다. 하지만 1694년 인현왕후가 복위하면서 장씨가 왕비에서 후궁으로 강등되기 때문에 이성수가 1694년 이후까지 살아있었으면 서차남이 되어 대군에서 군으로 강등되었을 것이다. 만약 이성수가 경종 사후(1724년)까지 살아있었을 경우 이성수가 경종 다음의 왕이 되었을 것이다.[6]
    • 사도세자의 차남 정조(1752년생) : 세자의 아들이라 다소 다르기는 한데, 원래 사도세자의 장남은 정조의 동복형 의소세손(1750~1751년)으로 정조가 의소세손 사후에 태어나 사실상 장남이 된 거지 의소세손이 요절하지 않고 장성했을 경우 정조의 포지션은 의소세손에게로 넘어가고 정조는 사도세자의 적차남으로 대우받았을 것이다. 물론 영조가 의소세손도 학대해서 죽이지 않는다는 전제가 붙어야 하지만,[7] 정조는 이복 백부인 효장세자의 양자가 되어 즉위하고 효장세자를 진종으로 추존해서 왕통이 이어지기 때문에 의소세손이 정조 대신 왕이 되었을 경우 의소세손이 진종의 양자가 되고 정조는 사도세자의 봉사손이 되어 군(세자의 아들)으로 남았을 것이다.[8]
    • 순조의 차남(1820년생) : 효명세자에게는 1820년 태어났다 요절한 동복동생이 있었다.
  • 작중에서 하도 평화롭게 살아서 간과하는 사실인데, 조선 중후기에는 둘째 이하의 왕자들은 적자든 서자든 별의별 무고에 휘말려서 억울하게 죽는 일이 허다하지만 안양대군과 경양대군은 내내 평화롭게 잘 살고 있다. 국내 정세가 놀라울 정도로 평탄하게 흘러가는 데다 축첩 금지령이 내려진 상태에서 평민 여성과 혼인해서 별다른 외척이 없는 것도 원인인 듯하다. 그래도 조선 왕조의 특성을 고려하면 운이 좋은 건 사실이다.


[1] 안양대군이 1875년생이므로 무려 245년이라는 차이가 나며, 대군 봉작이 보통 2~3살 정도일 때 하므로 실제로는 더 걸렸을 것이다. 용성대군은 1624년생, 안양대군 1875년생이기 때문에 생년을 기준으로 하면 251년 차이가 난다.[2] 정확하게는 1901년 아들이 태어남에 따라 세자의 전례에 따라 군에 가야 했었다.[3] 그가 제대할 때쯤 되면 공조의 자기 자리가 없어졌을 테니, 어쩔 수 없다는 듯이 공조 일에서 손을 떼는 것을 노렸다.[4] 대체역사물 중에서는 조선, 혁명의 시대처럼 고종이 명성황후 사후 계비와의 사이에서 적자를 두는 전개는 있으나, 이쪽은 명성황후의 아들이 살아남는 것과 별개의 사안이다.[5] 이후 고종의 왕비 명성황후가 4남 1녀를 낳으면서 인조 이후 유일하게 적4남까지 태어났다.[6] 경종 다음에 즉위한 연잉군(영조)은 숙종의 4남이기 때문에(동복형인 이영수(1693년생)도 있었다) 이성수 또는 이영수가 살아있었을 경우 이쪽이 왕이 되었을 것이다.[7] 사도세자도 처음에는 아끼다 나중에 학대로 변질된 것이고, 정조는 사도세자처럼 되지 않기 위해 영조에게 최대한 비위를 맞췄기 때문에 무사한 거라서 의소세손이 비위를 잘 맞추지 못하면 의소세손도 사도세자처럼 될 것이다.[8] 원 역사에서는 고종 대 사도세자가 장종으로 추존되고 대한제국 당시 4대조를 황제로 추존할 때 진종(효장세자)이 아니라 장종(사도세자)을 장'조'로 추존했기 때문에 정조가 사도세자의 아들로 복적되었을 가능성은 있으나, 복적되었다는 기록이 있는 것도 아니고 본작에서는 사도세자를 추숭했다는 언급이 없기 때문에 사도세자로 남은 것으로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6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6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