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5-05 22:55:03

안연무양

1. 개요2. 상세3. 여담

1. 개요

고사성어
편안 그럴 없을 근심할

「평안하여 아무 탈이 없다」라는 뜻으로 전국책에서 유래한다.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백성을 평안하게 하고, 근심 없게 함을 근본으로 삼아야 한다는 의미이다.

2. 상세

제나라 왕이 사자를 통해 조나라 위후,趙威后,를 문안했다. 위후는 서신을 보지 않은 체 사자에게 물었다.

"올해 농사는 별 탈이 없는가, 백성은 별 탈이 없는가, 왕은 별 탈이 없는가?"

사자는 기뻐하지 않으며 말했다.

"신,,이 사명을 받들고 위후께 왔는데 이제 우리 왕의 안부는 묻지 않으시고, 먼저 농사와 백성을 물으시니 어찌 천한 것을 먼저 물으시고 존귀한 것을 뒤로 하십니까?"

위후가 말했다.

"그렇지 않다. 참으로 농사가 잘 되지 않으면 어찌 백성이 있겠으며, 참으로 백성이 없다면 어찌 임금이 있을 수 있겠느냐? 그러니 어찌 본,,을 버리고 말,,을 묻겠느냐?"

그리고는 나아가 물었다.

"제나라에는 종리자,鍾離子,라는 처사,處士,가 있다고 하던데 별 탈이 없는가? 그의 사람됨은 자기 식량이 남아도 가난한 자들에게 나누어 주고 모자라도 나누어 주며, 옷이 있어도 입혀 주고 옷이 없어도 입혀 준다고 하니, 이는 왕을 도와 백성을 기르는 것이다. 그런데도 어찌 오늘날에 이르도록 관직을 주지 않는가?"

"섭양자,葉陽子,는 별 탈이 없는가? 그 사람됨은 홀아비와 과부를 불쌍하게 여기며 고아와 자식없는 노인들을 긍휼히 여기며, 곤궁한 자를 진구,振救,하며 부족한 자를 보태 주고 있다. 이는 왕을 도와 백성을 안식,安息,시키는 자인데 어찌하여 지금까지 관직을 주지 않는가?"

"북궁,北宮,씨 집의 영아자,嬰兒子,는 별 탈이 없는가? 그 여자 역시 장신구를 하지 않고 늙도록 출가하지 않은 채 부모를 봉양하고 있으니, 이는 백성들을 효행,孝行,하도록 인도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도 어찌 지금까지 입조,入朝,하지 않는가?"

"앞서 말한 두 선비가 관직을 얻지 못하고 한 효녀가 입조하지 않고 있는데, 어떻게 제나라의 임금이라 하겠으며 만민을 자식처럼 사랑한다고 할 수 있겠는가?"

"진중자,於陵子仲,는 아직도 살아 있는가? 그의 사람됨은 위로는 왕에게 신하의 도리를 다하지 아니하고, 아래로는 제 가정도 다스리지 못하며, 중간으로는 제후들과 교제도 하지 않고 있다. 이는 백성들을 무용,無用,한 데로 인도하는 자인데 어찌 아직도 죽이지 않고 있는가?"

齊王使使者問趙威后 書未發 威后問使者曰 歲亦無恙耶 民亦無恙耶 王亦無恙耶 使者不說 曰 臣奉使使威后 今不問王 而先問歲與民 豈先賤而後尊貴者乎 威后曰 不然 苟無歲 何有民 苟無民 何有君 故有問 舍本而問末者耶 乃進而問之曰 齊有處士曰鍾離子 無恙耶 是其為人也 有糧者亦食 無糧者亦食 有衣者亦衣 無衣者亦衣 是助王養其民也 何以至今不業也 葉陽子無恙乎 是其為人 哀鰥寡 卹孤獨 振困窮 補不足 是助王息其民者也 何以至今不業也 北宮之女嬰兒子無恙耶 徹其環瑱 至老不嫁 以養父母 是皆率民而出於孝情者也 胡為至今不朝也 此二士弗業 一女不朝 何以王齊國 子萬民乎 於陵子仲尚存乎 是其為人也 上不臣於王 下不治其家 中不索交諸侯 此率民而出於無用者 何為至今不殺乎
전국책,戰國策, 제11,第十一, 제책,齊策,#

제나라의 왕이 조나라의 섭정 위후,威后,에게 사신을 보냈다. 위후는 사신을 접견하는 자리에서 서신을 열어보지 않은 체 안부를 묻는데, 제나라의 작황,作況,과 백성의 상황 다음에 왕의 안위를 물었다. 이에 사신이 외교 결레를 주장하자, 위후는 백성 없이 왕이 있을 수 없기에 나라의 근본은 백성에 있음을 지적했다. 이어서 위후는 제나라 내부 사정에 대해 넌지시 질의,質疑,함으로써 애둘러 비판했다.

3. 여담

  • 출전에서 인용된 종리자, 섭양자는 복성이며 는 존중의 의미이다.[1][2] 북궁도 복성이며, 영아자는 나이가 어린 이를 가리킨다.[3][4]
  • 출전에서 인용된 진중자는 제나라의 학자로서 오릉,於陵,에 은거하여 청빈,淸貧,한 삶을 살았다. 맹자는 그가 추구한 청빈이 극단적인 까닭에 사람이 관철할 수 없는 것이라 비판했다.[5]
  • 출전에서 언급된 제나라의 왕이 누구인지 구체적으로 서술되지 않았다. 섭정을 맡은 조나라 위후는 효성왕의 어머니이며, 같은 시기 제나라의 통치자는 양왕전건의 섭정 군왕후,君王后,가 해당한다.
  • 조나라는 효성왕 즉위 원년에 진나라의 침공을 받아 세 개의 성을 빼앗기자 제나라에게 구원을 요청했다. 당시 제나라 양왕은 원병을 보내는 조건으로 위후의 막내 아들 장안군,長安君,을 볼모로 요구하였고, 위후는 분노하여 대화를 단절했다. 조나라의 좌사,左師, 촉룡,觸龍,이 위후의 마음을 달래어 두 나라가 합의에 이르렀다.[6] 다만, 제나라 왕의 요구는 선대 조나라 혜문왕에게 세 차례 침공당했던 전사,前事,에 근거한 것이다.[7][8][9]
  • 위후의 섭정 시기에 해당하는 제나라 양왕과 섭정 군왕후 치세는 각각 나라의 부흥과 안정적인 외교로 후대에 평가 받았다.[10][11]


[1] 사기 진본기 「徐廣曰 世本作 鍾離; 應劭曰 氏姓注云有姓終黎者是」[2] 한서 조이한장양왕전 「葉陽 秦昭王后也」[3] 맹자집주 공손추장구 「北宮 姓 黝 名」[4] 묵자 권12 「墨子曰 夫嬰兒子之知 獨慕父母而已」[5] 맹자집주 등문공장구 「匡章曰 陳仲子豈不誠廉士哉 居於陵... 孟子曰... 若仲子者 蚓而後充其操者也」[6] 사기 조세가 「孝成王元年 秦伐我 拔三城 趙王新立 太后用事 秦急攻之... 於是為長安君約車百乘 質於齊 齊兵乃出」[7] 사기 조세가 「趙奢將 攻齊麥丘取之」[8] 사기 조세가 「燕周將 攻昌城高唐取之」[9] 사기 조세가 「藺相如伐齊 至平邑 罷城北九門大城」[10] 사기 전경중완세가 「襄王在莒五年 田單以即墨攻破燕軍... 齊故地盡復屬齊」[11] 자치통감강목 제2 「初 齊君王后事秦謹 與諸侯信... 以故 王建 立四十餘年 不受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