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5 00:21:21

안티고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문서는 그리스 로마 신화의 등장인물에 대해 다룹니다. 소포클레스의 비극에 대한 내용은 안티고네(희곡)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안티고네의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안티고네(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

Ἀντιγόνη / Antigone

오이디푸스이오카스테의 딸. 또한 오이디푸스의 여동생이자 이오카스테의 손녀이기도 하다.[1] 쌍둥이 폴뤼네이케스에테오클레스의 여동생이자 이스메네의 언니이다.

안티고네는 "꺾이지 않는"/ "거슬러 걷는 자"라는 뜻이다('안티-'가 반대, 대신에 된다는 의미임을 생각해보자). 훗날 안티고네가 외숙부 크레온의 명령을 어기면서까지 오빠의 시신을 거둬주려 한 것을 생각해 보면, 저런 뜻을 가진 그녀의 이름(안티고네)은 참 묘해지는 이름이라 할 수 있다.

2. 행적

여동생 이스메네[2]와 함께, 장님이 되어 테베에서 쫓겨난 아버지 오이디푸스의 길 안내를 하며 이리저리 떠돌았다. 소포클레스의 비극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에서는 오이디푸스와 함께 아테네에 도착해 테세우스의 보호를 받고, 오이디푸스가 있는 곳이 승리한다는 예언을 들은 크레온이 오이디푸스를 데려가기 위해 자신과 이스메네를 납치하자 절망한다. 다행이도 테세우스에게 구출되었고, 아버지가 죽은 뒤 테베로 돌아온다.[3] 돌아간 그 곳에서는 두 오빠인 폴뤼네이케스에테오클레스가 왕위를 놓고 싸우는 중이었고, 안티고네는 이 둘을 화해시키려고 하지만 그 둘은 그녀의 말을 듣지 않고 서로를 죽이게 된다. 결국 왕위는 그녀의 외삼촌인 크레온에게 돌아간다.

크레온은 에테오클레스에게만 성대한 장례를 치러주고,[4] 타국의 군대를 끌여들여 내전을 일으킨 폴뤼네이케스는 매국노라며 그 시신을 짐승의 밥이 되도록 길바닥에 방치하고, 그의 시신을 거두는 자에게 사형을 내리겠다고 한다.

안티고네는 이스메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국왕의 명을 어기고 자신의 양심에 따라 폴뤼네이케스의 시체를 묻어주었다가 붙잡히고, 이에 분노한 크레온은 안티고네를 굶어 죽도록 산 채로 무덤에 감금시킨다.[5] 감금된 안티고네는 스스로 목숨을 끊었으며, 동생 이스메네는 언니의 죽음에 절망하여 똑같이 자살했다고도 하고 살아는 남았으되 세상 만사를 뜬구름으로 여기고 허망해하며 어딘가로 떠나 버렸다고도 한다. 크레온의 아들이자 안티고네의 약혼자인 하이몬도 안티고네의 죽음을 알고 자살하고, 뒤이어 하이몬의 어머니이자 크레온의 아내인 에우뤼디케도 남편을 저주하며 자살한다. 조카들의 연이은 자살에 이어 아내와 아들마저 잃은 크레온도 기력을 잃는다.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포이니케 여인들》에서는 오빠들이 싸우다 서로를 동시에 죽이고, 어머니 이오카스테마저 자살하자 이를 슬퍼한다. 크레온이 폴뤼네이케스의 장례를 치르는 걸 금지하자 이에 반발하고, 추방당한 오이디푸스와 함께 테베를 떠난다.

여담으로, 테티스와 결혼하기 전 펠레우스의 첫 아내의 이름도 안티고네다.

3. 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파일:EhDnbLuVoAEAnoo.jpg
파일:오이디푸스의 자식들 구판.jpg
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 구판 어린 시절 모습 (구판)[6]
7권 <행운과 비극>편에서 등장한다. 홍은영이 일러를 맡은 구판에서는 오이디푸스 왕 에피소드의 마지막 장면에서 오이디푸스를 돌봐줬다는 내용만 나오며 오빠들인 에테오클레스와 폴뤼네이케스, 동생 이스메네는 오이디푸스와 이오카스테가 결혼하고 자녀들을 낳았을 때 어린 모습으로 잠깐 나온 것 말고는 등장하지 않지만 서영수가 맡은 신판에서는 안티고네 남매의 이야기를 추가로 다뤘다. 구판 안티고네는 오이디푸스처럼 파랑빛이 도는 흑발이지만 신판에서는 머리색이 연두색이다.[7]


[1] 부모인 오이디푸스와 이오카스테가 사실은 모자지간이었기 때문에 오이디푸스에게는 자신의 딸인 동시에 어머니의 딸이기 때문에 여동생이 되며, 이오카스테에게는 자신의 딸인 동시에 아들의 딸이기 때문에 손녀가 된다. 다만 오이디푸스와 이오카스테는 결혼할 당시에는 자신들이 모자지간이라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자식들을 낳고도 한참이 지나서야 사실을 알게 되어 파국을 맞지만.[2] 이스메네는 테베에 남았다고 하기도 하고, 한동안 같이 다니다가 먼저 테베에 돌아갔다고 하기도 한다. 소포클레스의 비극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에서는 오이디푸스와 안티고네를 찾아와 에테오클레스가 왕위를 독차지하면서 폴뤼네이케스를 추방하고, 폴뤼네이케스가 아르고스 인들과 테베를 치려 한다는 소식을 알렸다.[3] 오이디푸스는 자신이 죽을 곳을 딸들에게도 알리지 말라고 당부했기에 테세우스는 안티고네에게 오이디푸스가 묻힌 곳을 알리지 않았다.[4] 에테오클레스는 폴뤼네이케스와 내전을 벌이긴 했지만 그는 타국의 군대를 끌어들이는 짓까지 하진 않았기에 크레온에게 밉보이지 않은 모양. 사실 자기 나라 내전이나 국내에서 일어난 반란 시도 등에 타국의 군대를 끌어들이는 짓을 했다간 잘못하면 타국의 군대가 자국이 혼란스러워진 틈을 타 영향력을 늘리거나 나라를 꿀꺽하려는 시도를 벌일 수도 있으니 크레온이 폴뤼네이케스를 밉게 볼 수밖에 없긴 했다.[5] 정치철학에서는 이를 개인적 정의와 사회적 정의의 괴리와 충돌을 묘사한 최초의 설화로 평가한다.[6] 나머지 아이들은 에테오클레스, 폴뤼네이케스, 이스메네.[7] 참고로 홍은영 버전에선 모두 어린 아이들의 모습으로 나오긴 했지만, 이스메네, 폴뤼네이케스, 에테오클레스 모두 금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