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1 00:41:04

알레한드로 커크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134A8E> 파일:토론토 블루제이스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134A8E><colcolor=#ffffff> 투수 9 테이트40인 · 17 베리오스IL-15 · 23 호프먼 · 28 블로스40인 · 29 로드리게스 · 31 슈어저 · 33 피냐IL-60 · 34 가우스먼 · 39 예세비지 · 40 배싯IL-15 · 43 IL-60 · 44 프란시스IL-60 · 45 낸스 · 48 도밍게스 · 52 샌들린IL-60 · 54 리틀 · 56 라우어 · 57 비버 · 58 브룰 · 60 에스트라다40인 · 62 루카스40인 · 63 피셔 · 64 마코40인 · 65 슐츠40인 · 66 바스타도IL-60 · 68 플루하티 · 77 발랜드 · 93 가르시아IL-60
포수 30 커크 · 55 하이네만
내야수 0 A.히메네스 · 2 프랭스IL-10 · 7 카이너-팔레파 · 11 비솃IL-10 · 22 클레멘트 · 27 게레로 Jr. · 47 바저 · 49 L.히메네스40인
외야수 3 스트로 · 4 스프링어 · 5 바쇼 · 8 클라세40인 · 10 로퍼피도 · 25 산탄데르 · 36 슈나이더 · 38 루케스
파일:미국 국기.svg 존 슈나이더 파일:미국 국기.svg 드말로 헤일 파일:미국 국기.svg 돈 매팅리 파일:미국 국기.svg 피트 워커 파일:미국 국기.svg 샘 그린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드 팝킨스 파일:미국 국기.svg 헌터 멘스 · 파일:미국 국기.svg 루 이아노티 파일:미국 국기.svg 그레이엄 존슨 파일:미국 국기.svg 마크 버드진스키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를로스 페브레스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버팔로 바이슨스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
토론토 블루제이스 등번호 30번
조나단 비야
(2020)
알레한드로 커크
(2021~)
현역
파일:알레한드로 커크 2025.jpg
<colbgcolor=#134a8e><colcolor=#ffffff> 토론토 블루제이스 No.30
알레한드로 커크[1]
Alejandro Kirk
출생 1998년 11월 6일 ([age(1998-11-06)]세)
바하 칼리포르니아티후아나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멕시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멕시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3cm | 111kg
포지션 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입단 2016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TOR)
소속팀 토론토 블루제이스 (2020~)
계약 Arb 2 / $4,600,000
2026 - 2030 / $58,000,000
연봉 2025 / $4,600,000
1. 개요2. 선수 경력
2.1. 토론토 블루제이스
2.1.1. 마이너 리그2.1.2. 2020 시즌2.1.3. 2021 시즌2.1.4. 2022 시즌2.1.5. 2023 시즌2.1.6. 2024 시즌2.1.7. 2025 시즌
3. 플레이 스타일4. 수상 내역5. 연도별 성적6. 여담7. 둘러보기

1. 개요

토론토 블루제이스 소속 포수.

2. 선수 경력

2.1. 토론토 블루제이스

2.1.1. 마이너 리그

2016년 토론토 블루제이스와 아마추어 계약을 맺은 뒤 2017년 루키 리그에서 딱 1경기 출전에 그쳤으나, 2018년 같은 리그에서 58경기 10홈런 57타점 33볼넷 21삼진 .353/.443/.558 OPS 1.001의 호성적을 기록했다.

2019년에는 싱글A에서 뛰며 92경기 310타수 90안타(2루타 30, 3루타 1) 7홈런 44타점 56볼넷 39삼진 .290/.403/.465의 성적을 기록하며 차근차근 성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2.1.2. 2020 시즌

9월 12일 뉴욕 메츠 원정에서 메이저 데뷔전을 가졌고, 3타수 1안타 1볼넷을 기록했다.

9월 21일 뉴욕 양키스전에서 홈런 포함 4안타를 치면서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2.1.3. 2021 시즌

4월 14일 뉴욕 양키스전에서 홈런을 기록하면서 시즌 첫 홈런을 기록했다.

4월 30일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전에서는 멀티홈런을 포함 4타점 경기를 펼치며 맹활약을 펼쳤다.

5월 1일 부상 이후 장기간 나오지 못하다가 7월 23일 뉴욕 메츠전에 복귀했다.

9월 5일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전에서는 4타수 3안타 1홈런 3타점을 올리며 맹활약을 펼쳤다.

9월 7일 뉴욕 양키스 상대로 멀티홈런을 터뜨리며 팀의 5-1 승리를 이끌었다.

9월 11일 볼티모어 오리올스전에서 솔로홈런을 때려냈다. 시즌 8호 홈런.

2.1.4. 2022 시즌

6월 5일 기준으로 최근 9경기 32타수 15안타 2루타 4개 4홈런 5볼넷 2삼진 .469/.541/.969의 어마어마한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팀의 주전 포수로 완전히 자리잡은 모습. 6월 19일 기준으로 58경기 209타석 6홈런 22타점 26볼넷 21삼진 .307/.397/.464 wRC+ 147 fWAR 2.2를 기록하며 리그에서 손꼽히는 포수 성적을 기록 중이다.

올스타 투표 1차 중간 집계에서 1,057,008표를 득표하며 AL 포수 부문 1위를 달렸다.

6월 21일 시카고 화이트삭스 원정에서는 시즌 7호 홈런을 기록했다.

6월 22일 시카고 화이트삭스 원정에서는 1회 1타점 적시타, 3회 솔로 홈런(8호)으로 맹타를 휘둘렀다. 2경기 연속 홈런을 기록한 커크의 최근 7경기 OPS는 1.060이다.

6월 24일 밀워키 브루어스전에서는 4타수 4안타 1홈런 2타점을 기록하며 3경기 연속 홈런을 가동했다. 홈런이 포함된 4안타 경기는 개인 통산 2번째로, 23세 이하 나이에 이 기록을 달성한 포수는 서먼 먼슨, 조 마우어에 이어 커크가 메이저리그 역대 3번째다. 현재 시즌 비율스탯은 .321/.406/.513이며, OPS는 0.919로 ML 포수 전체 선두이다.

올스타 투표에서 185만 표를 획득하며 AL 전체 3위, 포수 1위를 기록해 올스타전 선발 포수 영예를 안게 되었다.

7월 17일 캔자스시티 로열스와의 전반기 마지막 경기에서는 8회말에 역전 투런포를 터뜨리면서 팀의 3연승을 이끌었다.

7월 22일 보스턴 레드삭스 원정에서는 6타수 3안타를 기록하며 토론토 구단 역사상 단일 경기 최다 득점 기록을 28점으로 갱신하는 데 기여했다.

8월 16일 볼티모어 오리올스전에서는 3타수 무안타를 기록하였고 6회초 테오스카 에르난데스에 송구를 뒤로 빠뜨리면서 이닝을 끝내지 못하였고 결국 팀에 4:2 패배에 원흉이 되었다.

8월 20일 뉴욕 양키스 원정에서는 3안타를 기록했다. 8월 들어 슬럼프에 빠지며 일시적으로 타율 2할대로 떨어졌던 커크는 최근 3경기에서 11타수 6안타(2루타 2개) 4타점 맹타를 휘두르며 3할 타율에 복귀했다. 시즌 성적은 현재까지 .304/.384/.455 OPS .839 12홈런 45타점 wRC+ 136 fWAR 3.0

8월 21일 뉴욕 양키스 원정에서 2타점 적시타를 기록하며 팀의 연승 행진을 이끌었다.

AL 포수 부문 실버슬러거를 수상했다.

2.1.5. 2023 시즌

2월 2일, MLB 네트워크에서 선정한 포수 TOP 10 부문에서 6위에 오르며 리그 최고의 포수 중 한 명이라는 사실을 인정받았다.#

2022 시즌의 뛰어난 성적을 이어가지 못하고 공격력에서 심각한 하락[2]을 보였다. 반면 수비는 매우 뛰어난 모습을 보였다.[3]

시즌 최종 성적은 .250/.334/.358 wRC+96 8HR 43RBI fWAR 1.6을 기록했다.

2022 시즌에 비해 많은 부분에서 아쉬운 모습을 보여준 것에 절치부심하여 시즌 종료 후 다이어트와 운동을 열심히 하는 모습이 SNS에 포착되기도 하였으며[4], 2024 시즌이 본인 커리어에 있어 큰 변곡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2.1.6. 2024 시즌

1월 11일, 연봉 조정을 피해 280만 달러의 연봉에 합의했다.

최종성적은 103경기 0.253 5홈런 OPS 0.677을 기록했다.

2.1.7. 2025 시즌

1월 9일, 연봉 조정을 피해 460만 달러의 연봉에 합의했다.

3월 22일, 5년 5,800만 달러의 연장 계약을 맺었다.

2025년 들어서 타격에서 3년 전만큼의 성적을 기록하며 올스타에 선정되었다. 7월 21일 기준으로 84경기 331타석 92안타(2루타 11) 7홈런 46타점 28볼넷 91삼진 .309/.366/.416 OPS .782 wRC+ 119 fWAR 3.3 bWAR 1.8의 호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8월 15일 텍사스 레인저스전 8회말에 무려 도루를 시도해 성공하였고, 그 커크가 도루를 하자 온 경기장이 뒤집어지며 폭소가 섞인 박수를 보냈다. 도루 자체가 득점으로 연결되지는 않았지만 시즌 1호 도루이자 개인 통산 ML 1호 도루. 같은 경기에서 홈런 하나를 포함해 4타수 2안타 4타점의 불방망이를 휘두르며 팀의 6-5 승리를 견인했다.

9월 24일 보스턴 레드삭스전에서는 9회말 2사 1루 상황에서 우익수 방면 안타성 타구를 날렸는데, 이 타구가 너무 빨랐던 나머지 우익수의 재빠른 송구에 의해 안타가 아닌 아웃이 되면서 경기가 그대로 종료되었다 (...) #

3. 플레이 스타일


본격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던 2022 시즌 기준으로는 공격형 포수로 각광받았었지만, 그 이후로는 수비력이 상승하고 타격에서 부진하며 수비형 포수로써 개화한 모습을 보이는 선수다.

타격에서 컨택, 파워, 선구안 모두 갖춘 모습이며, 부드러운 스윙으로 라인 드라이브 타구를 날리는 스프레이 히터이다. 173cm/111kg 프로필에서 볼 수 있듯 장타를 기록할 수 있는 큰 체격과 파워를 갖고 있으며, 컨택률 역시 80%를 상회하는 모습이다. 그리고 선구안은 수준급인데, 이미 마이너 시절부터 선구안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빅리그에서도 타석당 볼넷 비율이 10%를 상회하고 볼삼비가 1에 수렴하는 등 뛰어난 모습이다. 그러나 2023시즌부터 공격력의 침체가 시작되더니 2024시즌까지 2년 연속으로 부진을 겪었다.

주루는 말 그대로 최악. 팬그래프 기준 BsR 수치가 데뷔 후 줄곧 음수대를 기록 중으로, 스프린트 속도가 24ft/s 선에서 그칠 정도로 리그에서 가장 느린 선수 중 하나이다. 173cm의 키에 무려 111kg에 육박하는 체형상 포수라는 포지션을 감안해도 기대가 불가능하다. 저 키 대비 체중은 사실 포수 수비를 뛰는 게 기적일 정도다. 이것은 보스턴과의 경기에서 경기를끝내는 우익수 앞 땅볼을 칠 정도로 느리다는 것에서 증명되었다.

수비에서는 빅리그 데뷔 1~2년차 때는 블로킹에서 약점을 드러냈는데, 코치의 지도로 한 쪽 무릎을 바닥에 붙이는 자세로 포구를 하면서 보완해갔다. 또한 프레이밍에서도 부족한 점을 채워가면서 약점을 메우면서, 2022년 들어서는 수비에서도 무난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3 시즌 및 2024 시즌에는 골드글러브급 수비력으로 발전되었다.

4. 수상 내역

수상 내역
파일:MLB 로고.svg 올스타 2회 (2022, 2025)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포수 실버 슬러거 (2022)

5. 연도별 성적

파일:MLB 로고.svg 알레한드로 커크의 역대 MLB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G PA H 2B 3B HR R RBI SB BB SO AVG OBP SLG OPS fWAR bWAR
2020 TOR 9 25 9 2 0 1 4 3 0 1 4 .375 .400 .583 .983 0.2 0.2
2021 60 189 40 8 0 8 19 24 0 19 22 .242 .328 .436 .764 0.7 0.9
2022 139 541 134 19 0 14 59 63 0 63 58 .285 .372 .415 .786 3.9 4.0
2023 123 422 93 16 0 8 34 43 0 42 45 .250 .334 .358 .692 1.6 1.9
2024 103 386 86 19 1 5 23 54 0 35 51 .253 .319 .359 .677 2.8 2.0
2025 130 506 127 18 0 15 45 76 1 50 59 .282 .348 .421 .769 4.6 2.3
MLB 통산
(6시즌)
564 2069 489 82 1 51 184 263 1 214 239 .268 .345 .398 .743 14.8 11.3

6. 여담

  • 키가 작은데 몸에 살집이 많아 귀엽다. 쿵푸팬더라는 별명이 있다.
  • LG 트윈스김범석과 매우 닮았었다. 공격형 포수라는 점, 키가 크지 않고 극도로 뚱뚱하다는 점과 주루 능력이 리그 최악이라는 것이 굉장히 비슷하다.다만 커크는 유망주 단계를 넘어 메이저리그에 안착했으며, 현재 수비형 포수의 패턴을 보이는 선수라[5] 김범석과는 다르다. 커크는 체중부담 때문에 한쪽 무릎을 땅에 대고 포구를 하는 자세로 바꿨는데 김범석은 커크보다 체중이 훨씬 많이 나가서[6] 이마저도 불가능하며 체중을 112.5kg 이하로 감량하지 않는 이상 사실상 포수 불가로 봐도 무방한 상황이다.

7. 둘러보기

알레한드로 커크의 수상 경력 / 이전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2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25 MLB 올스타전 로고.svg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2022 2025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2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포수 부문 실버 슬러거
살바도르 페레즈
(캔자스시티 로열스)
알레한드로 커크
(토론토 블루제이스)
애들리 러치맨
(볼티모어 오리올스)

토론토 블루제이스 등번호 85번
결번 알레한드로 커크
(2020)
결번
}}} ||

[1] 에스파냐어 외래어 표기법을 적용한 표기는 '알레한드로 키르크'. 미국 현지 중계에서는 적당히 영어식 발음으로 '커크'로 부르고 국내에도 그렇게 알려져 있으나, 히스패닉을 대상으로 한 스페인어 현지 중계를 들어보면 '키르크'라고 발음하는 것을 알 수 있다.[2] wRC+기준 2022 시즌 129 → 2023 시즌 96[3] DRS 기준 2022 시즌 +9에서 2023 시즌 +17로 개선[4] 시즌에 비해서 뱃살이 쏙 들어간 모습이었다.[5] 공력력은 기대치만큼 성장하지 못했는데 2023년에 수비력이 크게 개선되었다.[6] 키가 175~176cm 정도인 김범석이 포수를 보려고 한다면 112.5kg 정도가 마지노선인데 현재 김범석의 체중은 이보다 훨씬 많이 나가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