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23 17:00:21

암불로케투스

암불로케투스
Ambulocetus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mbulocetus_natans.jpg
학명 Ambulocetus natans
Thewissen, Hussain, & Arif, 1994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우제목Artiodactyla
하목 고래하목Cetacea
†암불로케투스과Ambulocetidae
암불로케투스속Ambulocetus
  • †암불로케투스 나탄스(A. natans)모식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mbulocetus_BW.jpg
복원도

1. 개요2. 생태3.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고진기 에오세 중기에 살던 원시적인 고래의 일종. 이름의 뜻은 '걸어다니는 고래'이다.[1]

2. 생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mbulocetus_SIZE.png
인간과의 크기 비교

5000만 년 전 인도파키스탄 접경지대[2]에서 서식했다. 발견자는 네덜란드계 미국인 고생물학자 한스 테비슨(J. G. M. Hans Thewissen). 당시의 열대 강가나 호수에서 살았으며 식성은 육식성으로 중소형 포유류어류를 주로 잡아먹은 것으로 보인다. 전체 몸길이는 3m이며 악어에 비유될 정도로 길쭉한 몸이 특징. 헤엄치는 방식은 오늘날의 수달이나 고래와 비슷했을 것으로 보인다. 한때는 악어나 하마처럼 물과 땅을 오가며 반수생 생물로서 생활한 것으로 여겨졌지만, 이후의 연구를 따르면 실제로는 오늘날의 고래처럼 완전히 수중생활을 했으며 육지에서 움직이는데는 적합하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단 돌고래의 예를 생각해 보면 물밖에 나와도 생명에 지장은 없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틱타알릭 같은 사지형류의 사례를 생각해보면 기각류나 폐어처럼 육지에서 엎드린 채 사지로 질질 끄는 정도의 제한된 육상생활은 가능했을 가능성이 높다.

거기다가, 선조인 파키케투스와 마찬가지로 여전히 안와가 두개골 위쪽을 향하고 있었기 때문에, 고대 야생 동물 대탐험에서 묘사된 것처럼, 악어처럼 물속에서 잠복했다 튀어나오는 사냥방식도 충분히 가능했을 것이다.

고래의 진화 역사에서 미싱링크로 자주 다뤄지며, 이미 오늘날의 고래와 비슷한 적응양상을 지니고 있다. 코의 구조는 물 속에서 먹이를 삼키는 행동에 적응하였고, 귀뼈는 현대 고래와 아주 흡사하다.

국내에서는 서대문자연사박물관에 전신골격이 전시되어 있다.

3. 대중매체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Ambulocetus.jpg
BBC다큐멘터리 고대 야생 동물 대탐험 1부 에서 등장한 전적이 있고, 극중에서는 악어와 비슷한 생활방식을 지닌 것으로 묘사되었다. 단 작중 배경인 독일에서 암불로케투스의 화석이 발견된 적은 없다. 이를 두고 무려 암불로케투스의 명명자인 한스 테비슨 본인이 "텔레비전에서 보이는 모든 것을 믿어선 안 된다"고 이야기했다는 후일담이 있다(...).[3]

SCP-1836(얼음 속의 어머니)에서는 바실로사우루스, 에우리노델피스, 아크로피세테르와 함께 SCP-1836 내부에 살고있는 것으로 나오며, 내부에 살고있는 다른 고래류들과 함께 SCP-1836-1로 지정되어있다.


[1] 종명까지 합치면 '헤엄치고 걷는 고래'라는 의미.[2] 파키케투스도 여기서 발견되었다.[3] 실제로 자신이 원시 고래 화석을 발굴하고 연구한 일화들에 대한 자서전격인 저서 '걷는 고래'에서 언급된 내용. 본인의 언급에 의하면 다른건 다 괜찮았는데 정작 출연 배경이 독일이 된 순간 다른 걸 다 말아먹은 격이라는 식으로 언급했다. 기승전병 제작진들도 이걸 알고 있는지 극중에서 등장하는 암불로케투스는 다른 곳에서 이동해온 개체라는 해설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