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5 18:24:36

에기르(벽람항로)

에기르
KMS Ägir / エーギル
파일:Agir_full.png
스탠딩 이미지 (클릭하여 여닫기)
파일:aijier.png
기본
세력 파일:철혈 로고.png 등급 Decisive
DR
함종 대형순양함 일러스트 雲桑
원본 함선 O급 순양전함 성우 사쿠라 아야네
획득 방법
입수경로 개발 도크에서 개발 건조시간 건조 불가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파일:AzurLane_KR_Logo.jpg캐릭터
O급 순양전함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대형순양함(전열) 순양전함(후열)
파일:벽람항로에기르.png 파일:벽람항로브륀힐드.png 파일:벽람항로알비트.png
에기르 브륀힐드 알비트
}}}}}}}}} ||


1. 개요2. 설정3. 성능
3.1. 능력치 / 장비 정보 / 개발 효과 / 함대 기술3.2. 스킬
4. 스킨
4.1. 모항의 드래곤 메이드4.2. 상운을 오르는 금룡4.3. 한가한 마물의 휴식 시간
5. 대사6. 기타7. 둘러보기

1. 개요

에기르모바일 게임 벽람항로등장인물이다. 철혈 소속 대형순양함이며, 월드 오브 워쉽의 에기르를 콜라보한 캐릭터다.

2. 설정

"내 턱에 삼켜지는 정도의 물보라였네"

신의 이름을 받아 바라는 형태를 가진, 철혈 중순의 집대성인 '특별계획함'
상대를 위압하는 말투지만, 당할 때에는 비교적 온화해지는 모양.
당신은 그녀에게 삼켜져――그대로 당할 것인가, 아니면......? #
에기르의 원본이 된 함선은 월드 오브 워쉽의 9티어 프리미엄 독일 대형순양함인 KMS 에기르로, 크릭스마리네의 해군 재건 계획인 Z 계획의 일환으로 설계된 O급 순양전함을 구현한 함선이다. 다만 비스마르크급의 2연장 38cm SK C/34 주포를 3기 장비한 원본 설계와는 달리 에기르는 305mm 3연장 주포 3기를 탑재하여 구경이 약간 줄어든 대신 함포가 증가한 주포변경 설계안이며, 주포 6문을 장비한 원본 설계는 9티어 연구처 함선인 KMS 지크프리트가 동형함으로 따로 구현되었다.

벽람항로의 에기르는 평소 위엄있는 말투를 쓰고 지휘관을 다소 거친 표현인 너(お前 / 오마에, 번역하면 네 녀석, 네놈 정도)를 사용하며 부르지만, 의외로 자주 당황하며 당황할 때는 위엄 넘치는 목소리는 사라지고 목소리 톤이 올라간다. 특히 대사에서 머리를 쓰다듬거나 호감도가 올라갈 수록 당황하는 대사가 많아진다. 또한 전투 이외의 일은 영 젬병인지 대사에서 지휘관이 오면 누군지 확인하려 하다가 지휘관임을 확인하고 회피하는 듯이 일 힘내라고 얼버무리고, 메이드 스킨에선 스킨 모습 자체가 하라는 일은 안하고 누워서 땡땡이 치고 있는 상황이며, SD캐릭터 모션에서도 주변을 두리번 거리다가 그대로 엎드려 빈둥 거리는 모션인데다가 스킨 이벤트 스토리에서는 서류업류를 비롯한 여러 일을 맡기려는 지휘관에게 잘 할 수 없다며 얼버무린다.

종합적으로 봐도 알겠지만 동일 시기에 나온 하쿠류와 똑같이 허당 캐릭터. 다만 하쿠류는 평소에는 늠름하다가 카타나가 사라졌을 때 한정인 반면 에기르는 조금이라도 당황하면 바로 허당적인 면모가 드러난다. 이는 공식 만화인 미속전진에서도 부각된다. 이외에는 평소 술을 좋아하는 술고래같은 면모를 보이기도 한다. 다만 똑같이 술을 좋아하는 오이겐은 과음한 나머지 취한 모습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은데, 에기르는 원래 술통이 큰건지 아니면 적당히 마시는지 술에 취한 대사는 오이겐과 달리 볼 수가 없다.[1]

사족으로 O급 순양전함 문서에서도 작성되어 있는 내용이지만, 크릭스마리네의 O급 순양전함 설계사상은 일반적인 대형순양함처럼 전합급의 주포로 중순양함 이하 함급의 적함들을 날먹하고 빠른 속도로 통상파괴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장갑을 내다 버려서 속도를 올리는 것이 핵심이었다. 따라서 원본 설계대로라면 에기르는 유리대포에 가까운 함선이 되어야 했지만, WOWS에서는 첫 출시 당시 독일 특유의 부포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대형순양함으로 설계되었던 탓에 수상하게 고평가를 받는 독일함의 터틀백 장갑과 어뢰방호구역의 탄탄한 방뢰 벌지에 힘입어 근접전에 유리한 떡장갑 함선이 되었다. 이 점은 원본 에기르의 부포 성능이 너프당하고 평범한 대형순양함이 된 이후에도 벽람항로에서 쓸데없이 잘 고증되었다.

3. 성능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 파일:AzurLane_KR_Logo.jpg캐릭터 능력치
SSR 이상 중순양함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내구 장갑 장전 포격 뇌장 회피 대공 소비 주포 부포or
어뢰
대공포
SSR
중순
미니애폴리스 4152 중형
(中)
182 258 0 57 248 12 125% 70% 125%
뉴올리언스 4831 179 255 68 266 75%^^
샌프란시스코
볼티모어 4591 184 270 57 260 130% 135%
브레머튼 4828 267 266 125% 70% 140%
노샘프턴 II 4654 187 225 293 130%
타카오 4295 175 270 245 79 178 125% 175% 100%
아타고 135% 170%
마야 125% 120%
초카이 261 221 130% 110%
치쿠마 4392 181 263 248 75 189 130% 175% 100%
프린츠 오이겐 6252 182 226 153 62 205 125% 160% 120%
프린츠 오이겐(μ장비) 6183 185 283 237 61 178
프린츠 하인리히 5946 182 310 245 66 219 160% 130% 100%
프린츠 아달베르트 6007 299 255 215 150% 140%
프리드리히 카를 5958 297 244 155%
(대순포)
135%
블뤼허 4612 289 240 61 208 135% 160%
론(μ장비) 6055 171 283 215 78 233 130% 110% 110%
차라 4941 182 252 0 57 229 120% 55% 100%
폴라 243 125% 60%
고리치아 4942 175 226 130% 55%
탈린 5614 182 261 197 61 221 155% 125% 115%
쿠르스크 4777
(軽)
187 279 212 65 126 120% 120% 100%
알제리 5021 중형
(中)
195 279 223 66 244 125% 175%
브렌누스 5230 197 285 68 247 130% 120% 125%
SSR
중순
(개장)
런던改 3841
(軽)
165 233 82 297 11 150% 160% 115%
요크改 3916 중형
(中)
191 286 193 92 258 155% 165% 105%
엑세터改 3945 266 72 145% 115%
모가미改 4623 188 264 202 80 233 125% 160% 105%
SR
중순
(개장)
포틀랜드改 5355 170 234 0 78 260 10 115% 65% 135%
UR
중순
운젠 4683 190 295 297 79 226 15 140% 150% 130%
UR
대형순
7652 170 297 0 53 449 115%
(대순포)
65% 150%
크론슈타트 7286 294 38 226 110%
(대순포)
55% 100%
PR
중순
이부키 4793 187 270 289 86 194 13 140% 185% 110%
5920 171 283 215 78 233 130% 110%
생 루이 5363 190 276 226 80 248 120% 125%
체셔 5141 156 282 208 76 409 140% 155% 165%
앵커리지 6256 163 252 215 80 227 130% 115% 115%
DR
중순
드레이크 5668 139 289 245 75 289 15 120% 125%
힌덴부르크 5899 174 313 256 80 232 110% 130%
(경순포)
DR
대형순
아즈마 7541 170 307 0 50 226 16 100%
(대순포)
60% 110%
에기르 7877
(重)
168 282 202 52 252 120%
(대순포)
110%
브레스트 7354 중형
(中)
190 299 0 50 254 110%
(대순포)
120%
구분 내구 장갑 장전 포격 뇌장 회피 대공 소비 주포 부포or
어뢰
대공포
  • 윗첨자 : 부포로서 구축포만 장비 가능
  • 윗첨자 : 어뢰 또는 구축포 장비 가능
  • 윗첨자 : 부포로서 경순포만 장비 가능
  • (경순포) : 대공포 또는 경순포만 장비 가능
  • (대순포) : 대순포 또는 중순포 장비 가능
}}}}}}}}} ||



월드 오브 워쉽의 원본 에기르는 크론슈타트 다음가는 9티어 대형순양함 2위의 체력과 독일 특유의 터틀백 장갑, 그리고 무려 동티어 전함인 프리드리히보다도 높은 데미지 감소 37%에 달하는 방뢰성능으로 인해 생존력이 높은 함선에 속한다. 이를 반영하듯 벽람항로의 에기르도 아즈마보다 높은 내구도를 가지고 있으며, 아즈마와 다르게 회피 관련 스킬은 부족하지만 조건부로 모든 피해 감소 15% 스킬[2]을 달고 나온 덕에 체감 내구도는 훨씬 높다. 특히 연구 25레벨 달성 시 추가로 오르는 내구도 수치의 합이 무려 2027에 달한다. 거기에 탄약이 1이라도 있으면 회피 수치 또한 15% 오른다.

따라서 에기르의 실질내구는 내구도 10473/회피 59(탄약보유시)가 되어 전함급의 탱킹력을 보여줘 아즈마의 내구도 7541/회피 60(버프발동시)를 훨씬 넘는 전열 최강급 탱킹을 자랑하게 된다.[3] 여기에 그라프 체펠린과의 조합으로 피해감소 스킬까지 받는다면 모든 피해 30%를 경감해서 받는, 연구 25레벨 피해감소 15% 기준 체감 내구도 9천에 육박하는 끔찍한 탱커가 탄생한다.[4] 당연히 장비 없이 쓸 리는 없을테니 적당한 장비나 추가 피해감소를 달아준다면 그 이상도 충분히 기대해 볼 수 있다.

거기다 성장 내구 포텐셜도 나쁘지 않고, 마침 스루가의 공투장비도 시기적절하게 나와 주다 보니 연구 5레벨을 찍자마자 바로 실전에 투입되어 12지역 전열에 기용되는 기염을 토하고 있다.12-4 단독 전열 테스트 영상 애초에 탱커 포지션인데 성능함의 증표인 적청황 스킬을 달고 나온 것 부터가.. 물론 70렙도 되기 전에 실전투입 되는지라 최전열에 설 수는 없으며 최소 피해감소 30% 이상과 전열 시너지를 맞춰두고 가야 확실한 탱킹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피해감소를 잘 챙기지 않았을 경우..

화력투사 성능의 경우 1스킬은 어뢰를 맞은 적의 이동속도를 60%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고, 3스킬은 근처의 적이 없을 때 주포가 명중하면 파갑상태로 만드는데, 이는 사실상 보스를 상시 파갑상태로 만드는 것과 마찬가지인 효과이다. 특수탄막은 8회/4회(대구경포) 발사시 발동하는데 연구레벨 5 달성시 포좌+1이므로 4회/2회마다 발동하는 셈이다.

단, DR함선 특유의 끔찍한 연비 문제는 에기르 역시 벗어날 수 없다. 도면도 당연히 많이 들지만, 에기르는 DR 함선 치고는 이례적으로 실전 투입이 빠른 편이기 때문에 도면 문제는 크게 부각되지는 않는 편. 또한, 에기르의 피해감소 패시브를 받기 위해서는 적당한 통상탄 혹은 철갑탄 포를 달고 쓰면 되겠지만, 아무래도 본 성능을 확실히 발휘하기 위해서는 4차 연구장비인 시제형 305mm 중순포(통칭 에기르 포)(대구경 철갑탄)가 필요하다.[5]

상기해둔 탱킹 포지션은 철갑탄 포, 도이칠란트포, 에기르포를 장비했을 때의 모습으로, 피해감소는 그라프 체펠린 등에 맡기고 다른 포를 바꿔줌에 따라 딜탱 포지션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고폭탄 포를 장비하면 화상 효과가 없어지는 대신 주포 데미지 12% 상승이, 대구경 포를 장비하면 주포 보정률이 12% 상승한다.

설비에는 아즈마와 마찬가지로 스루가 공투장비 보상 또는 코어 데이터로 구입가능한 장비인 'VH 장갑 강판'이 추천되는데, 원래부터가 중장갑인 에기르는 받는 대미지 감소 효과를 추가로 얻을 수 있으므로 사실상 코어템으로 두기에 아까움이 없다. 중순들의 국민 탱킹장비인 회피율과 30초마다 2초 무적을 부여하는 '강화 유압식 조타기' 역시 자체 회피버프를 지닌 에기르와 매우 잘 맞으며, 설령 탄약을 다 써서 회피 15% 버프가 꺼졌다고 해도 기본적인 회피수치를 많이 올려준다.

3.1. 능력치 / 장비 정보 / 개발 효과 / 함대 기술

능력치
(레벨1/호감도50 → 레벨125/호감도100)
내구 1385 → 8056 장갑 중(重) 장전 62 → 170
포격 53 → 288 뇌장 38 → 206 기동 12 → 53
대공 47 → 257 항공 0 명중 45 → 134
대잠 0 항속 26
행운 0 소모 9 → 16
<colbgcolor=#e13b60> 장비 정보
번호 장비 종류 공격 횟수 (MIN/MAX) 장비 효율 (MIN/MAX)
1 대형/중순양함 주포 1 / 2 90% / 120%
2 어뢰 1 / 1 100% / 110%
3 대공포 1 / 1 100% / 110%
4 설비 - -
5 설비 - -
개발 효과[6]
{{{#!wiki style="margin: -16px -11px;" Lv.5 내구 +338 / 대공 +12 / 주포 발사 수 +1 / 주포 효율 +5%
Lv.10 스킬 【안티 세이렌】 습득 / 주포 효율 +5% / 특수 부포 장비
Lv.15 내구 + 675 / 대공 +23 / 대공포 효율 +10% / 어뢰 탑재량 +1
Lv.20 【안티 세이렌】업그레이드 / 어뢰 효율 +10%
Lv.25 내구 +1014 / 대공 +34 / 기동 +5 / 주포 효율 +5%
Lv.30 【안티 세이렌】업그레이드 / 주포 효율 +15%
함대 기술
함대 기술점수 획득 돌파MAX Lv.120
52 104 78
함대 추가 능력치 중순양함, 대형순양함, 모니터함 포격 +1 중순양함, 대형순양함, 모니터함 포격 +1 }}}

3.2. 스킬

스킬
해신의 매력 자신이 장비한 어뢰에 적이 명중 할 경우
  • 명중한 적의 항속이 5초 동안 30(60)% 감소한다.

자신이 탄약 고갈 상태가 아니라면, 자신의 기동 스탯이 5(15)% 상승한다.
비추는 연못 주포 슬롯에 철갑탄 또는 통상탄 주포를 장비 시
  • 자신이 받는 대미지가 5(15)% 감소하고, 자신의 크리티컬 확률이 4.5(12)% 상승한다.

주포 슬롯에 고폭탄 주포 장비 시
  • 자신의 주포 대미지가 4.5(12)% 상승하지만, 화재 효과는 사라진다.

주포 슬롯에 대구경 주포 장비 시[7]
  • 주포 슬롯 무기 효율이 4.5(12)% 상승한다.
물어뜯는 턱 자신의 주포 사격 시 자신 주위 거리 35 이내에 적이 없다면
  • 주포에 명중당한 적에게 장갑파괴 효과를 부여한다.

주포로 8회 공격 시마다, 특수 탄막 Lv.1(10) 을 전개한다(위력은 스킬 레벨에 비례).
  • 자신이 대구경 주포 장비 시,[8] 특수 탄막 발동에 필요한 주포 공격 횟수가 4회로 감소한다.
안티 세이렌I 자신이 세이렌에게 입히는 대미지가 5(15)% 증가.

4. 스킨

4.1. 모항의 드래곤 메이드

파일:에기르_모항의_드래곤_메이드.png
가격 1180다이아 스킨 소개 #
{{{#!wiki style="margin: -15px -10px" }}}
<color#FFFFFF> 스킨 특수대사(모항의 드래곤 메이드)
<color#FFFFFF> 입수시 ふん、メイドの仕事術などとほざきやがって、この程度の仕事、私にかかれば…っ!?お、お前…見ていたの!?
흥, 메이드 업무술이니 뭐니 호들갑이나 떨고, 이 정도 업무쯤 나한테 걸리면… 읏?! 너, 너… 보고 있었어?!
<color#FFFFFF> 로그인 お前か。コ、コホン、おはようございます、ご主…やっぱなしよなし!
너였군. 크, 크흠… 좋은 아침입니다, 주인니… 역시 그만두자고, 그만!
<color#FFFFFF> 상세확인 その書類を私に任せる気?お前はこのエーギルをなんだと思ってるの?…それにそもそも任せたところでちゃんとできるかどうかは…!
그 서류, 내게 맡길 생각이야? 대체 이 에기르를 뭐라고 생각하는 거야?! …게다가 애초에 맡아준다고 해도 내가 제대로 해낼 수 있을지 어떻지…!
<color#FFFFFF> 메인1 何このちっこいの…邪魔よ!消えなさい!私にのしかかられていたらなにもできないでしょ?
뭐야 이 쬐깐한 건… 방해된다고! 사라져! 나한테 눌려서 아무것도 못 한다고?
<color#FFFFFF> 메인2 この掃除、宴の準備の一環だとでも言うのかしら?どうせ散らかし放題になるのになぜ…
이 청소 작업이 연회 준비의 일환이라고? 어차피 어질러질 텐데 뭐하러….
<color#FFFFFF> 메인3 パーセヴァル、楽しんでやがって…私がメイドということ自体に不満があるわ!…聞いてるの?
파르제팔, 뭘 즐거운 듯이… 내가 메이드라는 거 자체가 불만이라고! …내 말 들려?!
<color#FFFFFF> 터치 ……はぅ!?
…하읏?!
<color#FFFFFF> 터치2 …っ!?メイド役を買って出るんじゃなかった…!
…윽?! 메이드를 하겠다고 나서지 말 걸 그랬어…!
<color#FFFFFF> 임무완료 任務完了よ。報酬を受け取りにでも行ってきなさい
임무 완료야. 보상이나 받으러 다녀와.
<color#FFFFFF> 모항귀환 帰ってくるタイミングを見計らって、お茶とお菓子を…よしっ、これで大丈夫、よね?
돌아오는 타이밍을 가늠해서 다과를… 좋았어, 이걸로 괜찮…겠지?
<color#FFFFFF> 의뢰완료 委託完了よ。…まさか私に行かせようとした、とかじゃないでしょうね…
의뢰 완료야. …설마 날 보내려고 한 건 아니겠지….
그 서류, 내게 맡길 생각이야? 대체 이 에기르를 뭐라고 생각하는 거야?! …게다가 애초에 맡아준다고 해도 내가 제대로 해낼 수 있을지 어떻지…!
중국 서버 5주년 기념 방송에서 공개된 메이드 컨셉 스킨. L2D 사양이다.

특이하게도, 담당 일러스트레이터인 雲桑은 대부분 스킨들이 노출이 심한 스킨들을 담당했었지만 특이하게 이번 스킨은 조금 얌전하게 나왔다. 그 대신인지(?) 손 모양이 매우 위험한데, 자세히 보면 중지와 엄지 손가락으로 원을 만들고 반대손 손가락이 원을 관통하고 있는 모양이다.[9]

스킨에 이스터에그가 몇개 있는데, 뒷 배경 액자에 'PAINT BY YUNSANG'이라고 담당 일러스트레이터 雲桑의 이름과, 5주년 축전 글귀, 스킨 이름과 에기르의 이름이 적혀있고, 에기르가 엎드린 소파 옆 탁자를 보면 쉬르쿠프 수영복 스킨 모습 일부가 표지로 나와있다.

중섭에서는 인도미터블 스킨과 함께 판매금지가 되었다.

패치 이후 L2D모션에 소소한 모션이 변화 하였는데, 기존의 노골적인 손모양은 머리를 터치해야만 출력이 되고 평소에는 소파 팔걸이를 잡고 있다. 또한 로그인이나 귀환 모션에서 잽싸게 소파에 눕는 모션이 다소 어색했는지, 이 부분도 자연스럽게 수정이 되었다.

4.2. 상운을 오르는 금룡

파일:에기르_상운을_오르는_금룡.png
가격 1180다이아 스킨 소개 #
{{{#!wiki style="margin: -15px -10px" }}}
<color#FFFFFF> 스킨 특수대사(상운을 오르는 금룡)
<color#FFFFFF> 입수시 新しい飾り付けに新しい衣装、それと準備の数々……これが東煌の「新春」というわけか。やるべきことをやっていきなさい。この祭日の準備にお前が欠かせない存在であることぐらいは知っているつもりよ。でも……あまり待たせるんじゃないわ。ふふふ
새로운 장식에 새로운 의상, 그리고 다양한 준비……. 이것이 이스트 글림의 '새해'라는 건가? 가서 네 할 일을 해. 이 축제 준비에 네가 빠질 수 없는 존재란 것쯤은 나도 잘 알아. 그렇지만… 날 너무 기다리게 하진 마. 후후후.
<color#FFFFFF> 로그인 戻ってきた?ふふふ、このエーギルが恋しくなったのかしら?それとも…単に疲れただけ?
돌아왔어? 후후후, 이 에기르가 그리워진 거려나? 아니면그 서류, 내게 맡길 생각이야? 대체 이 에기르를 뭐라고 생각하는 거야?! …게다가 애초에 맡아준다고 해도 내가 제대로 해낼 수 있을지 어떻지… 단순히 지친 것뿐?
<color#FFFFFF> 상세확인 「龍」を東煌では神聖視していると聞いたけど…十二ある干支の中でなぜ五位にとどまってるの?
'용'은 이스트 글림에서 신성시된다고 들었는데… 12개나 되는 간지 중에서는 왜 5위에 머물러 있는 거지?
<color#FFFFFF> 메인1 筆……どうやって握るの?こう?それとも……こう?っ……お前が正しい握り方を知っていることくらい分かっているわ。見てないで助けなさい!
붓…… 어떻게 잡는 거지? 이렇게? 아니면… 이렇게? 윽…… 네가 어떻게 잡는지 알고 있다는 것쯤은 나도 알아. 보지만 말고 도와줘!
<color#FFFFFF> 메인2 龍舞(りゅうまい)とはこういうものなのね……最初に聞いたとき、てっきり鉄血の艤装みたいな「ドラゴン」を用意するのかと思ってたわ
용의 춤이란 건 이런 거구나…. 처음 들었을 때는 철혈의 의장 같은 '드래곤'을 준비할 줄로만 알았는데.
<color#FFFFFF> 메인3 ブリュンヒルデ、これはお前が集めた東煌の骨董品かしら。たしかによくできているボウルね……ふん、お前もいいセンスをしているわ
브륀힐드, 그건 네가 모은 이스트 글림의 골동품이야? 확실히 잘 만들어진 그릇이긴 하네. ……흥, 너도 꽤 괜찮은 안목을 가졌군.
<color#FFFFFF> 터치 一緒に出歩いてみたい?構わないけど…靴を履かせてもらえないかしら
같이 돌아다니자고? 상관은 없지만… 신발 좀 신겨줄래?
<color#FFFFFF> 터치2 なっ…!?お前のせいで墨が……!じ、自分で拭けるわ!
무슨…?! 너 때문에 먹물이……! 나 혼자 닦을 수 있어!
<color#FFFFFF> 터치3 角の飾りに勝手に触るんじゃないわっ
뿔 장식에 멋대로 손대지 마.
<color#FFFFFF> 임무 指揮官は任務で祭日を楽しむ暇もなし……そんなことは許さないわ。ふん、少しは手伝ってやろう
지휘관은 임무 때문에 축제를 즐길 여유도 없다는…… 그런 건 용납할 수 없어. 흥, 조금은 도와주도록 하지.
<color#FFFFFF> 임무완료 任務が完了したわ。祭日を楽しむことに集中するがいいわ
임무가 완료됐어. 축제를 즐기는 데 집중하도록 해.
<color#FFFFFF> 모항귀환 海を制する猛獣も休まるときが必要よ。ちょうどここに精神安定のアロマもあるし、隣に座って休んだら?
바다를 제압하는 맹수에게도 휴식은 필요해. 마침 여기 심신 안정 아로마도 있으니, 내 곁에 앉아서 쉬는 게 어때?
<color#FFFFFF> 의뢰완료 委託が完了したわ。行きなさい。祭日に頑張っている仲間を疎かにしないことよ
의뢰가 완료됐어. 어서 가. 축젯날에 고생하는 동료들을 소홀히 대하면 안 되지.
새로운 장식에 새로운 의상, 그리고 다양한 준비……. 이것이 이스트 글림의 '새해'라는 건가? 가서 네 할 일을 해. 이 축제 준비에 네가 빠질 수 없는 존재란 것쯤은 나도 잘 알아. 그렇지만… 날 너무 기다리게 하진 마. 후후후.
2023년 1월 18일에 추가된 구정 스킨.

매번 화려한 L2D 스킨의 퀄리티를 보여주는 윤상의 스킨인 만큼 뛰어난 모션과 퀄리티를 자랑한다. 서약을 해놓은 상태라면 잘 안보이지만 왼쪽 손에 서약 반지가 껴져있다.

지휘관에게 신발을 신겨달라고 하거나, 지휘관을 계속 발로 차거나 밟는 동작이 많으며, 로그인이나 모항귀환 시 화면이 에기르의 발에 줌인되며 심신안정 아로마(...)라며 발을 내미는 등 여러모로 노리고 만든 스킨이라는 느낌이 강하다.

숨겨진 기능이 굉장히 많은 스킨인데, 오른쪽 옆구리 끈을 잡아당겨 없애면 살짝 웃으면서 지휘관의 장난을 받아주려고 하는 듯한 제스쳐를 취하더니 이에 음흉한 표정을 지으면서 지휘관을 계속 발로 차고 밟는 모션이 출력된다. 또한 구두[10]를 신고 있는 오른발을 누른 상태에서 아무 방향으로 당기면 엄지와 검지발가락 사이 살짝 아래쪽 스타킹에 구멍이 생기며 지휘관을 발로 밟는다.[11] 그리고 스타킹을 누른 채 아래로 길게 잡아당기면 잡아당긴 만큼 그 다리의 스타킹이 망사 스타킹마냥 찢어진다. 양쪽 다리 모두 찢을 수 있으며, 역으로 위로 잡아당기면 다시 원상복구된다.

여담으로 이런 효과들과 달리 터치2는 발이 아니라 가슴으로 설정되어있는데, 판정범위가 가슴 전체가 아닌 가슴 사이 굴곡으로 매우 작다.

4.3. 한가한 마물의 휴식 시간

파일:ÄgirHome_Relaxation.png
가격 1180다이아 스킨 소개 #
{{{#!wiki style="margin: -15px -10px" }}}
<color#FFFFFF> 스킨 특수대사(한가한 마물의 휴식 시간)
<color#FFFFFF> 입수시 ふぅーん。意外といい感じね。居心地もいいし、飲み物の質もなかなか、おまけにこのような個室も……ん?お前は突っ立ったままでいいのか?な、なにこっちをジロジロ見ている……っ!///
흐음, 의외로 꽤 괜찮네. 편안하고 음료 품질도 괜찮고, 게다가 이런 개별 공간까지…… 응? 왜 계속 그러고 서 있어? 어딜 그렇게 뚫어져라 쳐다 보는 거야……!
<color#FFFFFF> 로그인 海が凪いでいるし、邪魔するやつも誰もいやしない。落ち着いた時間を思う存分楽しむといいわ
바다는 잔잔하고, 방해하는 녀석도 아무도 없어. 차분한 시간을 마음껏 즐기도록 해.
<color#FFFFFF> 상세확인 お前、早くこっちに来て手伝っ……ひゃぅ!?ど、どこを触ってるの!?きゃぁぅ!?
어서 와서 도와…… 꺅?! 어, 어딜 만지는 거야! 꺅?!
<color#FFFFFF> 메인1 なに?エーギルと一杯やりたいって?珍しく積極的ね……飲むヨーグルト?健康だからオススメ?お前、ほかに選択肢はなかったのか!
뭐? 에기르와 한 잔하고 싶다고? 웬일로 적극적이네…… 뭐> 요거트? 건강에 좋다고? 다른 선택지는 없는 거야?!
<color#FFFFFF> 메인2 なんだか暖かくなったし、上着を脱ごうかしら……お、お前も脱ぐの!?
좀 덥기도 하니, 겉옷은 벗을까… 응? 너도 벗으려고?!
<color#FFFFFF> 메인3 エーギルと一緒に座りたいって?こんな狭い場所に二人で座れるわけが……なっ!?
에기르랑 같이 앉고 싶다고? 이렇게 좁은 공간에 어떻게 둘이……윽?!
<color#FFFFFF> 터치 上着を貸してやろうか?
외투 빌려줄까?
<color#FFFFFF> 터치2 ……また!?ほかに誰もいないからっていつまでも…っ///
……또야?! 우리 말고는 아도 없다고 자꾸…///
<color#FFFFFF> 터치3 ……ん?何をする気?
……음? 뭘 하려는 거지?
<color#FFFFFF> 임무 休憩時間なのにまだ任務をやる気?手伝ってやるからさっさと片付けなさい
휴식 시간인데 임무를 하려고? 도와줄 테니까 어서 처리해.
<color#FFFFFF> 임무완료 任務完了ね。さあ、一杯やって楽にしようじゃない!…あっ…子供が飲むようなものしか置いてないのは残念ね
임무 완료네. 자, 한 잔하고 느긋하게 쉬자고! …아, 애들이나 마실 음료밖에 없는 게 좀 아쉽네.
<color#FFFFFF> 모항귀환 疲れた?私が使っている場所で休みたいって?ふん、ここは大人しく空けて……ん?私の靴はどこに行ったの?
피곤해? 여기서 쉬고 싶다고? 흠, 그럼 얌전히 비켜주…… 어라? 내 신발이 어디로 갔지?
<color#FFFFFF> 의뢰완료 委託の物資が届いたわ。確認でもしてくる?
의뢰 물자가 도착했네. 확인하고 올까?
<color#FFFFFF> 사랑 せっかく深淵の主が荒波を鎮めてやったというのに、お前はまさか見るだけで満足する気?…っ……そうこなくっちゃね…一度だけ…一度だけ調子に乗らせておいてやるわ……っ!
모처럼 심연의 주인이 거친 파도를 진정시켜 줬는데, 그대로 보고만 있을 셈이야? 음…… 그래, 그렇게 나와야지. 딱 한 번… 딱 한 번만 제멋대로 굴 수 있는 기회를 주겠어……!
"호오, 기분 좋게 놀랐어. 편안한 좌석과 고급 음료 그리고 멋진 개인실까지... 음? 하루 종일 거기 서 있을 거야? 그렇게 쳐다보고 있지만 말라고..."
24년 12월에 공개된 스킨. L2D 사양. 항상 수준급 퀄리티의 스킨을 받는 에기르답게 이번에 받은 스킨도 꽤나 출중하다.

옆에 커피잔을 터치하면 외투를 탈의하며, 레코드판을 누르면 에기르가 잠에 드는데, 이때 몸에 낙서가 그려진다. 레코드판 중앙을 누르면 스타킹 착장도 가능하다.

5. 대사

도감-자기소개
我が名はエーギル、かの伝説の深海を司る神の名に因んだものよ。
波だの嵐だの自然の力を呼び寄せるあの神様と比べて、私のやり方は結構優しい方よ?ふふふ
나의 이름은 깊은 바다의 신에서 유래한 것이다. 하지만, 바람과 비를 부르고 파도를 지배하는 그 해신에 비하면, 내 방식은 훨씬 부드럽지~
<colbgcolor=#e13b60> 일반 대사
입수 <colbgcolor=#ffffff,#1f2023> 大型巡洋艦エーギルだ。お前の望むがままの私として、お前に使われてやるわ。ふふふ…まずはお手並み拝見といこうかしら
대형순양함 에기르다. 지휘관, 내가 널 위해 파도를 부리길 원하는가? 좋다. 그럼 먼저 너의 그릇을 보여봐라.
로그인 さあて、一体誰が来たのかしら?…お前か。じゃ、じゃあ仕事頑張ってちょうだい
누가 왔는지 볼까? 오, 너였군--그렇다면...열심히 일하도록.
로그인Ex[A] やっと来たわね。仕事のスケジュールはもうまとめておいたから、確認してみるといいわ――なに?問題でもあった?
드디어 왔네. 업무 일정은 이미 정리해 뒀으니까, 학인해 봐. …뭐야? 문제라도 있어?
상세확인 この子は時々急に暴れだすから、スキンシップをするなら気をつけなさい。指揮官
이 아이는 가끔씩 활발해진다. 돌볼 때 조심하라고, 지휘관.
상세확인Ex[A] なぜか最近、この子がやけにおとなしくなった気がするわ。お前、さては何か仕込んだのか?…「主が丸くなっただけ」…?ず、図に乗るんじゃないわ!
왜인지는 모르겠는데, 이 아이… 요즘 얌전하단 말이지. 너… 무슨 술수라도 부린 거야? …주인 성질이 많이 죽어서 그런 거…라고? 어, 어디 건방지게!
메인1 モチベーション?宴でも開いてたっぷり飲ませてやったら上がるんじゃない?
의욕? 연회 자리에서 다들 마음껏 마시면 오르는거 아니야?
메인2 そうか、海が暴れるのを見るのが好きか?ふふふ、轟いてこその嵐、荒れてこその海よ
그런가, 광폭한 바다의 모습을 보는 것을 좋아해? 후후후, 굉음이 울려야 폭풍이고,거칠어야 바다인 것이지.
메인3 ……なに?私に気を取られた、とでも言いたいの?
……응? 날 보느라 정신이 팔렸다, 라고 말할 셈이야?
메인4Ex[A] パーティーでみんなと思いっきり飲むのも楽しい、けど……お前がいないとやっぱり物足りなかったわね。今度こそ顔を出しなさい
파티에서 동료들과 함께 왁자지껄 마시는 것도 즐겁지만… 네가 없으니까 역시 좀 부족하더라. 다음에는 꼭 참석해.
메인5Ex[A] 海は荒ぶる時もあれば凪の時もあるわ。例えば今のように何もせずのんびりと過ごすのも……お前がいるなら……ま、まあまあいいわね
바다는 거칠게 날뛸 때도 있지만 잔잔할 때도 있는 법이지. 예를 들면 이렇게 아무것도 하지 않고 느긋하게 지내는 것도…… 너만 내 곁에 있다면…… 뭐, 나름 괜찮네.
메인6Ex[A] そ、そんな風に見つめられると、いくらこのエーギルでも気が散る…!せめて仕事が終わってからでも……くっ!さっきの書類にミスがあったとかなのか!?
그렇게 자꾸 쳐다보면 아무리 이 에기르라도 정신 집중이 흐트러진다고…! 적어도 일이 끝난 후에…… 윽! 방금 서류에 잘못된 부분이 있어서 그런 거라고?!
터치1 もうちょっと近いほうがいい…?
좀 더 가까운 편이 좋아?
터치1Ex[A] ほう?荒波に飲み込まれないように気をつけなさい
응> 거친 파도에 휩쓸리지 않도록 조심하는게 좋을걸.
터치2 やってくれるじゃない。…てっ、また!?
저질러주는데……뭣, 한 번 더!?
터치2Ex[A] ……また?!?そ、そこは……っ!////
……또야?! 거, 거긴……!////
터치3 ……ハッ!?
……뭣!?
터치3Ex[A] お前!なに夢中になってるの!?
야! 아주 푹 빠져서 뭘 하는 거야?!
임무 まだ完了していない任務があるわね。…ほら、無能呼ばわりされたくないでしょ?
아직 완료하지 않은 임무가 있다. 너도 무능한 지위관이란 소리를 듣고 싶진 않겠지?
임무완료 任務完了よ。指揮官合格ってところか
좋아,이게 바로 자격 있는 지휘관이지.
메일 遠方からの手紙か。…ほら、読んでご覧なさい
멀리서부터 온 편지……우선 확인해봐.
모항귀환 休みたいのか?おかれている書類の山を見るに…それは無理な相談ね
그냥 이렇게 쉬도록 두고 싶지만 책상에 있는 서류 건수를 보면……아무래도 안되겠지?
모항귀환Ex[A] その苦労に免じて代わりにこのエーギルが仕事を片付けてやるわ。そこで大人しく休んでなさい。ふふふ♪
늘 고생이 많으니까 오늘은 특별히 이 에기르가 대신 업무를 처리해 줄게. 거기서 얌전히 쉬고 있어. 후후후♪
의뢰완료 委託完了よ。仲間たちを埠頭に待たせるのはお前のやり方か?
의뢰를 완료했다. 설마 동료들을 기다리게할 셈은 아니겠지?
강화성공 お祝いに一杯飲もうじゃない。…ぷはっ
경축하며 한 잔 마시자......후아~
강화성공Ex[A] さぁ指揮官、乾杯よ!……ぷはーっ!
자, 지휘관! 건배! ……크으!
전투개시 噛み砕け!あはははは!
물어뜯어 주마!하하하하!
승리 我がアギトに飲まれる程度の水しぶきだったわね。ふふふ、ふははははは!
나약한 물보라는 거대한 파도 앞에서 언급할 가치도 없지.후후,아하하하!
승리Ex[A] 見たか!これぞ深淵の神性の力よ!ふははははは!
봤지?! 이게 바로 심연의 신만이 가질 수 있는 강력한 힘이라고! 으하하하하!
패배 誰だろうと私の勝利を奪わせない…!見てなさい!
난 누구도 내 앞에서 승리의 열매를 빼앗아 가는 것을 용납하지 않는다……두고 보자!
스킬 ふはははは!巻き込め!エーギルのアギトよ!
하하하하! 황량한 바다의 신의 커다란 입에 삼켜져라!
HP 경고 あら、見破られたわね…
오? 잔괴를 간파당한 건가?
호감도 대사
실망 自堕落した魂には同情しないわよ
나는 스스로 타락한 영혼을 동정하지 않는다.
낯섦 私が興味を持っているもの?ふふふ、強い敵、うまい酒、吹き荒れる嵐の海、そして……お前はそんなみ私の注意を引きたいのか?
내가 관심 있는 거? 후후후~ 강력한 적, 아름다운 술, 거센 폭풍의 바다, 그리고...... 그렇게 내 주의를 끌고 싶어?
호감 指揮官、飲むのに付き合いなさい、ここに限っては無礼講ーーああ、酔っぱらってふざけた話をしても気にしないでやるわ
지휘관, 이리 와봐. 왜 그러냐고? 당연히, 나랑 술 몇 잔 해달라고. 안심해. 네가 만약 취해서 헛소리를 한다고 해도 괘념치 않을테니까.
기쁨 私の興味を引こうとするのはいいが、まさかずっと釘つけにさせる気?ふふ、大きく出たものね…ま、まさか本気!?
네가 흥미를 유발하고 싶어하는 건 알지만, 설마 계속 날 보고 있으려는 건 아니겠지? 후후, 너도 어느 정도 성장했군...... 잠깐, 너, 너 정말 진지한거 아니지!?
사랑 この私に挑むというのなら、深淵の神の名のごとくお前を飲み干してやろうじゃないーーさあ、どうした、もう動けんのか?この私に…きゃっ!?
나에게 도전하고 싶다니, 심연의 신이라는 이름으로 널 삼켜버릴 수밖에 없겠구나__ 와라, 왜 가만히 있지? 이 나에게...... 앗!
사랑Ex[A] 指揮官、そろそろこのエーギルの勝利を認めたらどう?だってお前はもう私に完全に征服されてるでしょう?その目、そして鼓動の速さは嘘をつかないわ。ふふふ……きゃぅ!?ま、待てお前……!お前なんかに負けるわけが…っ!?///
지휘관, 슬슬 이 에기르의 승리를 인정하는 게 어때? 이미 나한테 완전히 정복당했잖아? 그 눈빛, 그리고 빠른 고동은 거짓말을 하지 않지. 후후후…… 꺅?! 자, 잠깐! 너……! 너 따위에게 내가 질 리가……?///!
서약 誓いの証明?お前はこういう形ばかりののもをきにいっているのか?それなら…そうね、形ばかりでない、もっとお前を縛り付けられるのをよういしてやるから…ふふふ、今にみてなさいな
서약의 증명? 넌 이런 형식적인 것을 좋아하는 거야? 그렇다면... 형식적인 것뿐만 아니라, 너에게 실질적인 속박을 더 많이 주겠다... 후후후, 차라리 지금 한 번 알려주도록 하지~
특수 대사
어드미럴 히퍼, 탈린 중 한 명과 출격시 飲んだくれるのは後よ
.
넵튠과 출격시 お行儀には気をつけてほしいものね
.

6. 기타

프린츠 하인리히, 탈린을 이어서 또다시 프린츠 오이겐을 닮은 캐릭터가 나왔는데, 닮긴 했어도 확실히 다른 캐릭터라고 인식할 수 있었던 저 둘에 비해 이번엔 얼핏 보면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오이겐을 닮게 나왔다. 심지어 이번엔 성우마저 같다. 특히 오이겐과 똑같이 도도한 성격까지 비슷한데 차이점이라면 오이겐은 도도하면서 빈틈이 없는 반면, 에기르는 조금이라도 당황하면 바로 빈틈이 생기는 정도의 차이점이 있다. 때문에 오이겐의 새 스킨, 혹은 오이겐의 UR 개조가 드디어 나왔다는 식의 드립을 전세계 모든 벽람항로 커뮤니티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을 정도.

생방송에서 바로 성우 정보까지 공개했던 다른 4기 함선들과는 달리 선공개 시에는 성우가 ???로 나왔는데, 방송 얼마 전에 논란이 되었던 카야노 아이 야스쿠니 신사 참배 사건과 엮여 '사실 성우가 카야노로 내정이 되어 있었는데 논란 때문에 급하게 강판한 것 아닌가?' 하는 추측이 있었고 이 의혹은 에기르의 트위터 소개가 늦어지자 점점 커져갔지만, 결국 소개가 나오면서 성우가 드러나고 다른 4기 캐릭터들과 똑같이 음성 데이터가 들어 있던 것으로 보아 그냥 기대감을 높이기 위해 늦게 공개한 것으로 보인다. 사실 1기 때의 생 루이도 선행 공개 시 성우가 ???로 되어 있었던 전례가 있었다.

자기 소개 대사에 스스로를 심해의 신에서 이름을 따왔다고 하는데, 원본 에기르는 북유럽 신화에 나오는 거인족인 요툰이자 바다의 신이다. 기본적으로 요툰은 북유럽 신화의 신족들인 바니르와 애시르의 적이나 에기르는 우호적인 관계였고, 신들을 위한 연회도 열었다. 대사에서 바다나 연회를 언급하고, 술꾼 속성이 부여된 건 이에 대한 반영이다. 다만 디자인 상의 원본이라 할 수 있는 프린츠 오이겐도 마찬가지로 술꾼 속성이 있는지라 그냥 이것도 오이겐의 설정을 갖고온 것이라고 생각하는 유저도 많다. 또, 마찬가지로 바다의 신에서 이름을 따온 것 때문인지 넵튠과 함께 출격시 전용 대사가 존재한다.

공식 4컷 만화에서는 75-2화와 75-3화에서 등장했다. 처음 등장 때는 도도한 모습을 보이며 파도나 폭풍을 다루는 신도 자기가 음주하는 걸 막지 못한다고 허세를 부리다가 뒤에서 만쥬가 화단에 물을 주고 있던 호스를 눈치못채 깔고 앉다가 수도꼭지에서 호스가 빠지며 물이 튀어 체면을 구기는 여러므로 허당적인 면모가 부각된다.[24] 그러면서도 한손으로 맥주에 물이 들어가는 걸 막는 술꾼스러운 모습을 보여준다. 75-3화에서는 잠깐 잠들었다 깨어난 앵커리지와 함께 만쥬를 가지고 놀다가 앵커리지가 지휘관이 폭신폭신하다며 좋다는 발언을 하자 둘이 뭘한 거냐고 경악한다.

동시기에 나온 PR함선이자 동일 진영인 아우구스트 폰 파르제팔하고 어느 정도 친분이 있는듯 하다. 메이드 스킨에서 파르제팔을 언급하는데 평소에 허당인 에기르가 새디스트에다 사람을 꿰뚫어보는게 특기인 파르제팔한테 매번 골탕 당하는 모양새인듯하다.

여느 캐릭터들 그렇듯이 편성 대기화면 SD가 평소의 위엄 넘치고 도도한 모습과 반대되게 꽤 웃기는데, 의장 양쪽에서 레이저를 허공에 쏘며 아주 신나는 표정을 짓고 전투에서 승리하면 의장과 함께 점프하면서 매우 즐거워 한다.

오이겐 페이스와 윤상의 준수한 일러스트가 인기를 끌어모은 덕분에 스케일 피규어가 여럿 발매되었다.

우선 원본 일러스트 버전이 발매되어, 본체만 있는 경량판과 일러스트의 저 의장을 구현한 중장판으로 판매되었다. 가격은 각각 999위안/4599위안이며, 중장판은 전세계 500개 한정으로 판매되었다. 경량판은 다소 각도빨을 받는 얼굴 조형에 무지막지하게 큰 베이스의 압박으로 인해 떡락했으나, 중장판은 소체는 경량판과 같으며 공간은 경장 이상으로 엄청 잡아먹지만 의장이 워낙 웅장하여 그만큼의 가치가 있고 수량 한정까지 더해져서 구하기가 굉장히 힘들다. 구하려면 타오바오나 아미아미에서 사야했으나 당일 예약이 마감됐고 국내에서도 한정판은 들여오지 못했기에 국내에서 중장판을 갖고 있는 사람은 굉장히 손에 꼽을 정도. 거기다 해당 회사는 2024년에 사업을 접었기에 재판될 가능성도 완전히 사라진 상태.

스킨 버전 피규어도 차례차례 발매 중이다.

인기투표에서는 콩라인수준인데 2021년 인기투표에서는 한국서버에서는 뉴저지의 뒤를 이어 2위에 입성했으며, 2년 후인 2023년 중국 서버에서는 젠하이에게 밀려서 2위로 입상한 건 물론이고 글로벌 서버에서도 시나노에게 이어서 또 2위를 했다.

명예의 전당 입성 조건인 3위 내에는 유일하게 들어, 2023년 인기투표에서 한국서버 한정으로 테두리와 명예의 전당 스토리가 공개되었다. 2024년에는 기어이 월드 오브 워쉽에서 콜라보로 다시 에기르를 역수입하여 전용 위장이 적용된 AL 에기르와 함장을 정식 출시하는 저력을 보여주기도 했다.[25]

파생캐릭터로 꼬마 에기르가 있다.

7. 둘러보기


||<rowbgcolor=#fff><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f2023> 파일:AzurLane_KR_Logo.jpg ×파일:external/gamingwithdaopa.ellatha.com/World-of-Warships-Logo-300.png
특별계획함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기수 등급 함선
<colbgcolor=#fff,#1f2023> 1기 PR 넵튠* | 모나크* | 이부키* | 이즈모* | * | 생 루이*
2기 DR 아즈마* | 프리드리히 데어 그로세*
PR 시애틀* | 조지아* | 키타카제* | 가스코뉴*
3기 DR 드레이크*
PR 체셔* | 마인츠* | 오딘* | 샹파뉴*
4기 DR 하쿠류* | 에기르
PR 앵커리지* | 아우구스트 폰 파르제팔* | 마르코 폴로*
5기 DR 플리머스 | 브레스트
PR 프린츠 루프레히트* | 치칼로프* | 하얼빈*
6기 DR 힌덴부르크 | 키어사지
PR 시만토* | 플랑드르* | 펠릭스 슐츠*
7기 DR 나폴리 | 어드미럴 나히모프
PR 다이센 | 할포드 | 바야르
8기 DR 하우덴 리우 | 메클렌부르크
PR 드미트리 돈스코이 | 캔자스 | 비토리오 쿠니베르티
}}}}}}}}}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007FFF,#0060BF><bgcolor=#007FFF,#0060BF>
||<tablealign=center><tablewidth=300><tablebordercolor=#007FFF,#0060BF><tablebgcolor=#007FFF,#0060BF><width=40%>
파일:벽람항로 로고 배경 무색.png
||<width=6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함종 등급 함선
<colcolor=#FFF> 구축함 벽람항로/구축함
경순양함 DR
HMS
플리머스
PR
USS
시애틀 ·
HMS
넵튠 ·
IJN
시만토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마인츠 ·
FFNF
바야르·
SN
드미트리 돈스코이 ·
PRAN
하얼빈
SSR
USS
리노 · 몬트필리어 · 산타페 · 샌디에이고 · 파고 · 휴스턴 II ·
HMS
다이도 · 다이도(μ장비) · 스위프트슈어 · 벨파스트 · 스킬라 · 시리우스 · 카리브디스 · 클레오파트라 · 허마이오니 ·
IJN
노시로 · 노시로(μ장비) · 사카와 · 와타라세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뒤스부르크 · 레겐스부르크 · 마그데부르크 · 엠덴 ·
FFNF
기샹 · 잔 다르크 ·
MNF
마르세예즈 ·
SN
보로실로프 · 아브로라 · 차파예프 · 쿠이비셰프 · 키로프 ·
RN
두카 델리 아브루치 · 주세페 가리발디 ·
HNLMS
더 제번 프로빈시엔 ·
META
진츠(META) · 키로프(META) · 파먀티 메르쿠리야(META) · 헬레나(META) ·
기타
라이잘린 슈타우트E · 루루티에E · 모모 베리아 데빌룩E · 미사키E · 아마미 하루카E · 아스카E· 아일라 폰 뒤러E · 타카라다 릿카E · 퍼플 하트E
SR
USS
꼬마 샌디에이고 · 꼬마 클리블랜드 · 꼬마 헬레나 · 덴버 · 버밍햄 · 보이시 · 보이시(μ장비) · 빌럭시 · 세인트루이스 · 컬럼비아 · 클리블랜드 · 클리블랜드(μ장비) · 헬레나 ·
HMS
글로스터 · 꼬마 벨파스트 · 리버풀 · 맨체스터 · 블랙 프린스 · 벨로나 · 셰필드 · 셰필드(μ장비) · 에든버러 · 엔터프라이즈 · 오로라 · 트리니다드 · 페넬로피 ·
IJN
나토리 · 모가미 · 미나세 · 미쿠마 · 아가노 · 아야세 · 유라 · 유바리 · 진츠 · 키누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뉘른베르크 · 엘빙 ·
FFNF
뒤게 트루앵 · 에밀 베르탱 ·
MNF
라 갈리소니에르 ·
SN
무르만스크 · 올레그 · 파먀티 메르쿠리야 ·
RN
바르톨로메오 콜레오니 ·
ROC
닝하이 · 얏센 · 잉 루이 · 차오 호 · 지안 · 핑하이 · 하이치· 하이롱 · 하이티엔 ·
META
라 갈리소니에르(META) · 멤피스(META) · 셰필드(META) ·
기타
넵튠E · 모니카E · 핫스E
R
USS
마블헤드 · 멤피스 · 브루클린 · 산후안 · 애틀랜타 · 쥬노 · 콩코드 · 피닉스 · 호놀룰루 ·
HMS
갈라테아 · 글래스고 · 뉴캐슬 · 사우스햄튼 · 아레투사 · 아킬레스 · 에이잭스 · 자메이카 · 컬루 · 퀴라소 · 피지 ·
IJN
나카 · 센다이 · 이스즈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라이프치히
N
USS
롤리 · 리치몬드 · 오마하 ·
HMS
리앤더 ·
IJN
나가라 · 아부쿠마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카를스루에 · 쾨니히스베르크 · 쾰른
중순양함 DR
HMS
드레이크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힌덴부르크 ·
RN
나폴리·
HNLMS
하우덴 리우
UR
IJN
운젠
PR
USS
앵커리지 ·
HMS
체셔 ·
IJN
이부키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
FFNF
생 루이
SSR
USS
노샘프턴 II · 뉴올리언스 · 미니애폴리스 · 볼티모어 · 브레머튼 · 샌프란시스코 · 피츠버그 ·
IJN
마야 · 아사마 · 아타고 · 초카이 · 치쿠마 · 타카오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론(μ장비) · 블뤼허 · 프리드리히 카를 · 프린츠 아달베르트 · 프린츠 오이겐 · 프린츠 오이겐(μ장비) · 프린츠 하인리히 ·
ROC
지엔우 ·
FFNF
브렌누스 ·
MNF
알제리 ·
RN
고리치아 · 차라 · 폴라 ·
SN
쿠르스크 · 탈린 ·
META
알제리(META) · 어드미럴 히퍼(META) · 위치타(META) ·
기타
라라 사타린 데빌룩E · 미나미 유메E · 미우라 아즈사E · 블랙 하트E · 이카루가E · 카스미E · 쿠온E · 키즈나 아이 엘레강트E
SR
USS
꼬마 앵커리지 · 볼티모어(μ장비) · 빈센스 · 아스토리아 · 위치타 · 인디애나폴리스 · 퀸시 · 휴스턴 · 루이빌 ·
HMS
꼬마 체셔 · 데본셔 · 도셋셔 · 런던 · 요크 · 엑세터 ·
IJN
모가미 · 스즈야 · 아시가라 · 쿠마노 · 하구로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아드미랄 그라프 슈피 · 꼬마 그라프 슈피 · 꼬마 프린츠 오이겐 · 도이칠란트 · 어드미럴 히퍼 · 어드미럴 히퍼(μ장비) · 요르크 ·
FFNF
뒤켄 · 쉬프랑 ·
MNF
뒤플렉스포슈 ·
RN
볼차노 · 트리에스테 ·
META
볼차노(META) · 트렌토(META) · 포슈(META) ·
기타
나미코E · 나키리 아야메E · 느와르E · 릴라 디자이어스E · 사이렌지 하루나E · 유우야키E
R
USS
노샘프턴 · 시카고 · 포틀랜드 ·
HMS
노포크 · 서섹스 · 서포크 · 슈롭셔 · 켄트 ·
IJN
나치 · 묘코 ·
RN
트렌토
N
USS
솔트레이크 시티 · 펜사콜라 ·
IJN
아오바 · 카코 · 키누가사 · 후루타카
미구현
IJN
토네 ·
META
타카오(META)
대형순양함 DR
IJN
아즈마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에기르 ·
FFNF
브레스트
UR
USS
·
SN
크론슈타트
SSR
기타
칼라 이데아스E
SR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꼬마 에기르
운송함 SSR
기타
공주E
SR
IJN
카시노 ·
ROC
딩안 ·
기타
아키즈키 리츠코E
모니터함 SR
HMS
에레버스 · 애버크롬비 · 테러 ·
META
에레버스(META)
순양전함 PR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오딘 · 프린츠 루프레히트
SSR
USS
컨스텔레이션 ·
HMS
후드 ·
IJN
아마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뤼초 · 브륜힐데 · 알비트 · 어드미럴 젠커 · 자이틀리츠 ·
ROC
환창 ·
FFNF
마세나 ·
MNF
스트라스부르 ·
META
그나이제나우(META) · 리나운(META) · 리펄스(META) · 샤른호르스트(META) · 히에이(META) ·
기타
블랙★록 슈터E · 타마키E
SR
HMS
꼬마 리나운 · 리나운 ·
IJN
꼬마 아마기 · 꼬마 히에이 · 콘고 · 콘고(μ장비) · 키리시마 · 하루나 · 히에이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그나이제나우 · 샤른호르스트 ·
MNF
됭케르크 ·
META
됭케르크(META)
R
HMS
리펄스
전함 DR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프리드리히 데어 그로세 · 메클렌부르크
UR
USS
뉴저지 ·
HMS
뱅가드 · 라이온 ·
IJN
무사시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비스마르크 Zwei · 울리히 폰 후텐 ·
FFNF
알자스 ·
SN
소비에츠키 소유즈 ·
RN
라파엘로
PR
USS
조지아 · 캔자스 ·
HMS
모나크 ·
IJN
다이센 · 이즈모 ·
FFNF
샹파뉴 ·
MNF
가스코뉴 · 플랑드르 ·
RN
마르코 폴로
SSR
USS
노스캐롤라이나 · 매사추세츠 · 사우스다코타 · 앨라배마 · 워싱턴 · 인디애나 ·
HMS
듀크 오브 요크 · 로열 오크 · 워스파이트 · 킹 조지 5세 · 프린스 오브 웨일즈 · 하우 ·
IJN
나가토 · 미카사 · 스루가 · 오미 · 오와리 · 카가 · 키이 · 토사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비스마르크 · 티르피츠 ·
FFNF
리슐리외 ·
MNF
가스코뉴(μ장비) · 장 바르 · 클레망소 ·
SN
소비에츠카야 러시아 · 소비에츠카야 벨로루시아 · 카잔 ·
RN
리토리오 · 로마 · 비토리오 베네토 ·
META
나가토(META) · 로드니(META)애리조나(META) · 퀸 엘리자베스(META) · 안드레아 도리아(META) ·
기타
금빛 어둠E · 니나 프리드E · 미나세 이오리E · 신죠 아카네E · 키즈나 아이 슈퍼 게이머E · 파트리샤 아벨하임E · 호노카E · 후부키E
SR
USS
메릴랜드 · 애리조나 · 웨스트버지니아 · 콜로라도 ·
HMS
넬슨 · 리벤지 · 로드니 · 밸리언트 · 퀸 엘리자베스 ·
IJN
무츠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꼬마 프리드리히 데어 그로세 · 튀링겐 ·
FFNF
리옹 ·
SN
강구트 · 세바스토폴 · 아르한겔스크 · 폴타바 ·
RN
안드레아 도리아 · 줄리오 체사레 ·
META
네바다(META)S · 야마시로(META)S · 줄리오 체사레(META)S· 후소(META)S ·
기타
나기사E · 무지나E
R
USS
캘리포니아 · 테네시 · 펜실베이니아 ·
IJN
야마시로 · 이세 · 후소 · 휴가 ·
RN
콘테 디 카보우르
N
USS
네바다, 오클라호마
항공전함 DR
USS
키어사지
SSR
기타
2대E
R
IJN
야마시로 · 이세 · 후소 · 휴가
경항공모함 SSR
HMS
센토 · 알비온 · 테세우스 · 퍼시어스 ·
IJN
류호 · 즈이호 ·
FFNF
부아 벨루 ·
기타
루나E· 유미아 리스펠트E · 클라우디아 발렌츠E
SR
USS
랭글리 II · 바탄 · 샌 재신토 · 인디펜던스 · 프린스턴 ·
HMS
아거스 · 유니콘 · 체이서 ·
IJN
류조 · 치요다 · 치토세 · 호쇼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베저 · 야드 · 엘베 ·
ROC
젠하이 · 화지아 ·
META
준요(META)S · 프린스턴(META)S · 호쇼(META)S · 히요(META)S ·
기타
무라사키E · 무라사키 시온E · 사라나E · 우루루E
R
USS
롱 아일랜드 · 카사블랑카 ·
IJN
쇼호 · 준요 · 히요
N
USS
레인저 · 랭글리 · 보그 ·
HMS
허미즈
항공모함 DR
IJN
하쿠류 ·
SN
어드미럴 나히모프
UR
USS
요크타운 II ·
HMS
임플래커블 ·
IJN
시나노 · 아마기 · 하쿠호 ·
KMS
프리츠 루메이
PR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아우구스트 폰 파르제팔 ·
SN
치칼로프
SSR
USS
벙커힐 · 샹그릴라 · 에식스 · 엔터프라이즈 · 인트레피드 · 타이콘데로가 · 프랭클린 · 호넷 II ·
HMS
빅토리어스 · 인도미터블 · 일러스트리어스 · 일러스트리어스(μ장비) · 포미더블 · 포미더블(μ장비) ·
IJN
다이호 · 다이호(μ장비) · 쇼카쿠 · 아카기 · 아카기(μ장비) · 즈이카쿠 · 카가 · 카츠라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그라프 체펠린 · 페터 슈트라서 ·
FFNF
팽르베 ·
MNF
조프르 ·
SN
볼가 ·
RN
아퀼라 · 임페로 ·
META
글로리어스(META) · 다이호(META) · 베아른(META) · 소류(META) · 아크로열(META) · 호넷(META) · 히류(META) ·
기타
그린 하트E · 데드 마스터E · 아스카가와 치세E · 유미E · 키사라기 치하야E · 키즈나 아이 애니버서리E · 토키노 소라E
SR
USS
꼬마 엔터프라이즈 · 렉싱턴 · 새러토가 · 요크타운 · 호넷 ·
HMS
글로리어스 · 꼬마 일러스트리어스 · 꼬마 포미더블 · 아크로열 · 이글 ·
IJN
꼬마 다이호 · 꼬마 아카기 · 꼬마 시나노 · 소류 · 히류 · {{{#!wiki style="display: inline; border-radius: 7px;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3px; font-size: .9em" 꼬마 그라프 체펠린 ·
FFNF
베아른 ·
기타
뇨텐구E · E · 세리 글로스E · 오오카미 미오E · 코테가와 유이E · 후미뤼르E
R
USS
와스프
미구현
META
본험 리차드(META) · 아카기(META) · 에식스(META) · 엔터프라이즈(META) · 요크타운(META)
공작함 SSR
IJN
아카시
SR
USS
베스탈 ·
META
베스탈(META)
범선 SSR
템페스타
건스웨이로열 포춘 · 골든 하인드 · 메리 셀러스트 · 상 마르티뉴아미티팬시
SR
템페스타
돌핀어드벤처 갤리위다포츠머스 어드벤처
잠수함 · 잠수항모 벽람항로/범선·잠수함·잠수항모
  • 윗첨자E: 콜라보 이벤트로 한정 기간동안만 획득 가능한 함선
  • 윗첨자: 개장 가능한 함선(개장 시 함종 변경이 되는 경우는 변경된 함종에만 표시)
  • 윗첨자S : 시즌 패스 함선
  • 참고: 템플릿:벽람항로 함선
}}}}}}}}}


[1] 단, 23년에 공개된 21년 한국서버 명예의 전당 스토리를 보면 자신이 마시는 것이 술이 아니라 특별히 만든 맥아맛 음료라고 스스로 말하는 대사가 있고, 게다가 지휘관의 대사로는 '미성년자는 음주 금지'라는 어째 진담인지 드립인지 분간이 안 가는 대사를 고를수가 있다.[2] 처음에는 오직 어뢰 데미지 감소였으나, 잠수패치를 통해 모든 피해 감소로 변경되었다.[3] 회피는 큰 차이가 안나고 그마저도 아즈마 버프가 꺼지면 8초의 공백시간이 있고 100% 발동도 아니다. 반면 에기르는 100% 발동에 상시이다.[4] 30강일 시 최대로 끌어올릴 수 있는 내구도는 10473인데 에기르 본인+체펠린의 피해감소 스킬까지 더해서 이론상 최대 체감 내구도는 무려 12,043이라는 괴물급 탱커가 탄생한다.(!!!)[5] 비슷한 시기 새로 추가된 신규 패키지에서 4차 도면 25개를 확정적으로 얻을 수 있으므로, 연구를 돌리기 매우 귀찮다면 이를 통해 획득하는 것도 한 방법이지만, 물론 4차 장비 도면이 인식 방향성 연구 및 장비 연구를 돌리면 생각보다 잘 나오는 데다가, 아즈마의 전용 주포와 마찬가지로 에기르에게 하나 달아주고 난 뒤로는 사실상 애물단지가 되는지라 다른 장비의 도면을 얻는 것이 더 권장되고 있다. 때문에 에기르포 완성 전에는 283mm SKC28 3연장포 T3(도이칠란트 고증주포)(대구경 철갑탄)나 시작형 3연장 310mm 포(아즈마 고증 주포)(대구경 고폭탄) 같은 대구경 중순포나 아예 체셔나 드레이크, 론 등의 고증 중순포를 끼워 육성시키게 된다.[6] 도감 개방, 레어도 상승 효과 제외[7] 280mm 이상[8] 280mm 이상[9] 실은 담당 일러스트레이터 雲桑이 담당한 캐릭터들 라투디를 보면 꽤나 아찔한 경우가 적지 않았다. 세인트루이스의 신년 스킨은 발로 무언가를 하는 것 같은 모션이 있고, 다이호야 두 말하면 잔소리고, 차라의 수영복 스킨의 경우는 초기에는 수영장 사다리 봉을 잡고 위아래로 왔다갔다 거리거나, 쉬르쿠프의 수영복 스킨은 대놓고 손으로 엉덩이를 잡아서 벌리는 모션, 폴라는 가슴과 엉덩이에 불가사리가 달라붙어 그것을 떼어낼 때 야릇한 상황이 연출이 존재한다. 이후 2024년에 7월에 나온 일러스트리어스의 첫 라투디 스킨에서도 같은 손동작이 나왔다.[10] 이것도 숨겨진 기능인지 단순한 글리치인지 알 수 없지만, 가끔씩 구두를 신지 않고 스타킹만 신은 맨발로 앉아 있을 때도 있다.[11] 같은 방법으로 스타킹에 구멍은 여러 번 낼 수 있지만, 밟는 모션은 모항을 벗어날 때까지 1회 한정으로 취한다.[A] Ex 대사들은 서약시 해금[A] Ex 대사들은 서약시 해금[A] Ex 대사들은 서약시 해금[A] Ex 대사들은 서약시 해금[A] Ex 대사들은 서약시 해금[A] Ex 대사들은 서약시 해금[A] Ex 대사들은 서약시 해금[A] Ex 대사들은 서약시 해금[A] Ex 대사들은 서약시 해금[A] Ex 대사들은 서약시 해금[A] Ex 대사들은 서약시 해금[A] Ex 대사들은 서약시 해금[24] 당연하지만 화단에 물을 주고 있던 만쥬는 에기르에게 의장에 잡아먹히려고 하는식으로 응징당한다.[25] 동일한 케이스인 체셔도 동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