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가 구단별 홈구장 (2024)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 이바라키현립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 산쿄프론티어 가시와 스타디움 | 도도로키 육상 경기장 | 노에비아 스타디움 고베 |
상가 스타디움 by KYOCERA | 도요타 스타디움 | 덴카 빅 스완 스타디움 | 에키마에 부동산 스타디움 | |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 야마하 스타디움 * 시즈오카 스타디움 에코파 | 레몬 가스 스타디움 히라츠카 | 파나소닉 스타디움 스이타 | |
요도코 사쿠라 스타디움 |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 닛산 스타디움 * NHK 스프링 미츠자와 경기장 |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 |
베스트 덴키 스타디움 | 에디온 피스 윙 히로시마 | 마치다 기온 스타디움 | 다이와하우스 프레미스트 돔 * 삿포로 아쓰베쓰공원 경기장 | |
* 표시는 제2 홈구장 | ||||
J2리그 구단별 경기장 ▶ |
<colcolor=#ffffff> 산프레체 히로시마 | |
{{{#40007a {{{+1 에디온 피스 윙 히로시마}}} エディオンピースウイング広島 Edion Peace Wing Hiroshima}}} | |
<colbgcolor=#40007a> 위치 | 히로시마시 나카구 모토마치 15-2-1 |
개장 | 2024년 2월 |
명명권 | 에디온 (2024년~2033년, 총 10억엔) |
설계자 | PwC, 쇼와 설계, 후쿠야마 컨설턴트 |
건설사 | 타이세이 건설, 후지타, 코우세이 건설, 토하타 건축 사무소 |
좌석 수 | 28,520석 |
경기장 형태 | 축구전용구장[1] (천연잔디 Tifton 419, 105m×68m) |
홈 구단 | 산프레체 히로시마 |
AFC 명칭 (구장 정식명칭) | 히로시마 사커 스타디움 (広島サッカースタジアム, Hiroshima Soccer Stadium) |
[clearfix]
1. 개요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나카구 히로시마 중앙공원 내에 있는 축구전용구장이다. 2024년 시즌부터 산프레체 히로시마가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2. 상세
과거 산프레체 히로시마의 홈경기장이던 히로시마 광역공원 육상경기장의 접근성을 개선하고자 건설된 경기장이다. 히로시마 성 및 과거 일본프로야구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홈 경기장이었던 히로시마 시민구장 부지와 인접해 있다.시 조례상의 명칭은 '히로시마 사커 스타디움'(広島サッカースタジアム)으로, 후에 AFC 챔피언스 리그 등 국제 경기가 열릴 경우에도 이 명칭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 J리그에서 사용하는 약칭은 E피스(Eピース).
스탠드는 서쪽이 본부석, 남쪽이 홈 서포터석, 북쪽이 원정석으로, 근래 유행하는 것과 같이 홈 서포터석은 단층 구조로 위압감을 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일본의 가전양판회사인 에디온이 2024년 2월 1일부터 10년 계약으로 명명권을 취득하였다.
3. 교통
버스 터미널에서는 도보 범위이고 히로시마역에서 차로 10분 정도의 거리이다.4. 여담
- 대구 FC의 홈경기장인 DGB대구은행파크와 닮은 점이 많다. 두 구단의 기존 홈구장이 시내와는 동떨어진 거리에 있어 접근성이 떨어지는데다가, 관람 시야마저 좋지 않아 팬들에게 많은 비판을 받은 종합경기장이었다는 것. 또 이러한 이유로 두 홈구장을 대체할 목적으로 만든 축구전용구장이라는 점에서 그렇다. 이 과정에서 두 신축 홈구장은 시내와의 접근성이 더 좋아진 건 물론 수용인원도 종합경기장에 비해 줄어들었다. 다만 DGB대구은행파크와 달리 에디온 피스 윙 히로시마 구장은 축구 경기 이외에 럭비 및 스포츠 교실, 요가 교실 등 다목적 경기장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 차이점이 있다.
[1] 다목적 스포츠 경기장으로 활용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