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5 10:07:19

에르네스트 무치

1 에르신 · 2 스벤손 · 4 블루트 · 5 사누치 · 6 콜리 · 7 레비치 · 8 우찬 · 9 토순 · 10 아부바카
11 라시차 · 12 아마티 · 14 우준한 · 15 체임벌린 · 17 워럴 · 20 우이살 (C)
21 에게특나즈 · 22 자이누트디노프 · 23 무치 · 25 마쉬아퀴 · 28 알무스라티
34 귀노크 · 40 뮐레카 · 44 아이
62 데미르 · 63 야샤르 · 64 헤키모을루 · 65 클리치 · 64 헤키모을루 · 66 쾨메치 · 70 된메즈
75 빙괼 · 77 메라슈 · 70 테르지 · 83 페르난데스 · 88 빙괼 · 90 클르츠소이 · 94 베이테긴 · 97 유바쿠란 · # 파울리스타
파일:UEFA NED.png 지오바니 판브롱크호르스트
*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베식타스 JK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두 틀 모두 수정해주세요.

파일:GF5CjsuXcAE0UiG.jpg
베식타스 JK No. 23
에르네스트 무치
Ernest Muçi
<colbgcolor=#ffffff><colcolor=#f00> 출생 2001년 3월 19일 ([age(2001-03-19)]세)
알바니아 티라나
국적
[[알바니아|]][[틀:국기|]][[틀:국기|]]
신체 180cm / 체중 75kg
포지션 공격형 미드필더, 중앙 공격수, 레프트윙
소속 <colbgcolor=#fff><colcolor=#f00> 유스 툴리파너트(2011~2014)
FC 디나모 시티 (2014~2017)
KF 티라나 (2017~2018)
선수 KF 티라나 (2018~2021)
레기아 바르샤바 (2021~2024)
베식타스 JK (2024~ )
국가대표 12경기 3골 (알바니아 / 2021~)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알바니아축구 선수. 현재 베식타스 JK에 소속되어 있다.

2. 클럽 경력

티라나에서 태어난 무치는 툴리파너트라는 지역 클럽에서 10살에 축구를 시작했다.

이후 FC 디나모 시티 유스를 거치고, 자신이 응원하던 KF 티라나에 입단한다. U-17팀에 입단한 그는 2018년 1월에 1군으로 콜업된다. 그리고 2018년 1월 28일, KF 슈쿰비니 페친과의 경기에서 56분에 교체 투입되며 16세의 나이로 프로 무대에 데뷔한다.

2018년 3월 3일, KF 션콜리와의 경기에서 62분에 투입된 이후 득점하며 성인 무대 첫 골을 기록했다. 데뷔 첫 시즌 11경기 3골을 기록하면서 팀의 카테고리아 수페리오레 승격을 함께했다.

2018-19 시즌 1부 리그에서 뛰게 되었지만, 8경기 출전에 그치며 주로는 U19팀에서 활약했다.

2019-20 시즌에는 주로 교체 선수로 쓰였지만, 리그에서 7골, 컵 대회에서 5골을 득점하며 팀의 25번째 카테고리아 수페리오레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2020-21 시즌에는 주전 스트라이커였던 마이클 은구가 이적하면서 더욱 중용받았다.

리그 전반기에 20경기 5골을 득점한 후, 2021년 2월 레기아 바르샤바로의 이적을 발표했다.[1]

바르샤바에서의 첫 시즌에는 7경기 출전에 그쳤고 그마저도 선발 출전은 2경기 뿐이었지만, 팀은 엑스트라클라사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21-22 시즌 비스와 프워츠크와의 개막전에서 득점하며 바르샤바에서의 첫 골을 신고했다. 리그 24경기 4골을 득점했고 팀은 10위로 시즌을 마쳤다.

2022-23 시즌에는 주전 공격수로 자리잡아 리그 32경기 5골을 득점했고, 푸하르 폴스키에서는 우승하였다.

2023-24 시즌에는 리그 전반기 19경기 4골을 기록한 후 2월 베식타스 JK에 영입되었다.

베식타스 JK의 클럽 레코드인 1천만 유로[2]로 영입된 무치는 첫 시즌 리그 17경기 4골을 득점하였고, 튀르키에 쿠파스에서 우승하였다.

3. 국가대표 경력

알바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U-19 팀에서 17경기 7골, U-21 팀에서 11경기 4골을 기록하였다.

에도아르도 레야 감독의 2022 카타르 월드컵 지역예선 명단에 포함되어 성인대표팀에 발탁되었다. 2021년 11월 15일, 안도라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경기에서 첫 성인 대표팀 경기에 출전했다.

성인 대표팀 첫 골은 2023년 6월 20일에 열린 페로 제도와의 유로 2024 예선 경기에서 득점하였다.

4.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베식타스 JK 2024-25 시즌 스쿼드
번호 포지션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1 GK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에르신 데스타노을루 Ersin Destanoğlu
2 DF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요나스 스벤손 Jonas Svensson
4 D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오누르 블루트 Onur Bulut
5 D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타이이프 탈하 사누치 Tayyip Talha Sanuç
6 DF 파일:감비아 국기.svg 오마르 콜리 Omar Colley
7 FW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안테 레비치 Ante Rebić
8 M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살리흐 우찬 Salih Uçan
9 FW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젠크 토순 Cenk Tosun
10 FW 파일:카메룬 국기.svg 뱅상 아부바카 Vincent Aboubakar
11 MF 파일:코소보 국기.svg 밀로트 라시차 Milot Rashica
12 DF 파일:가나 국기.svg 다니엘 아마티 Daniel Amartey
14 D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엠레잔 우준한 Emrecan Uzunhan
15 M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알렉스 옥슬레이드체임벌린 Alex Oxlade-Chamberlain
17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조 워럴 Joe Worrall
19 FW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아이딘 하시치 Ajdin Hasic
20 M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네지프 우이살 Necip Uysal 주장
21 M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데미르 에게 특나즈 Demir Ege Tıknaz
22 MF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박티야르 자이누트디노프 Bakhtiyar Zaynutdinov
23 MF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에르네스트 무치 Ernest Muçi
26 DF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아르튀르 마쉬아퀴 Arthur Masuaku
28 MF 파일:리비아 국기.svg 알리 알무스라티 Al-Musrati
34 GK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메르트 귀노크 Mert Günok
40 FW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잭슨 뮐레카 Jackson Muleka
44 M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흐리 아이 Fahri Ay
62 M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제말 아자드 데미르 Cemal Azad Demir
63 GK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에미르 야샤르 Emir Yaşar
64 FW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무스타파 에르한 헤키모을루 Mustafa Erhan Hekimoğlu
65 FW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아르다 클리치 Arda Kılıç
66 D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아이투 쾨메치 Aytuğ Kömeç
70 M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아브뒬메지드 된메즈 Abdülmecid Dönmez
75 M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타이푸르 빙괼 Tayfur Bingöl
77 D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우무트 메라시 Umut Meraş
79 D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엠레잔 테르지 Emrecan Terzi
83 MF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제드송 페르난데스 Gedson Fernandes
90 FW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세미흐 클르츠소이 Semih Kılıçsoy
94 GK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괵투 베이테킨 Göktuğ Baytekin
97 GK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우트쿠 유바쿠란 Utku Yuvakuran
# DF 파일:브라질 국기.svg 가브리에우 파울리스타 Gabriel Paulista
구단 정보
구단주: 피크렛 오르만 / 감독: 지오바니 판브롱크호르스트 / 구장: 보다폰 파크
출처: 트렌스퍼마크트,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6월 15일
}}}}}}}}} ||

{{{#!wiki style="color:#ffffff;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000000
<rowcolor=#222222>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득점소속 클럽
GK 1 에트리트 베리샤
(Etrit Berisha)
1989년 3월 10일 ([age(1989-03-10)]세) 80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엠폴리 FC
12 엘한 카스트라티
(Elhan Kastrati)
1997년 2월 2일 ([age(1997-02-02)]세) 2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S 치타델라
23 토마스 스트라코샤
(Thomas Strakosha)
1995년 3월 19일 ([age(1995-03-19)]세) 25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브렌트포드 FC
DF 2 이반 바이우
(Iván Balliu)
1992년 1월 1일 ([age(1992-01-01)]세) 11 0 파일:스페인 국기.svg 라요 바예카노
3 마리오 미타이
(Mario Mitaj)
2003년 8월 6일 ([age(2003-08-06)]세) 10 0 파일:러시아 국기.svg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4 엘세이드 히사이
(Elseid Hysaj)
1994년 2월 20일 ([age(1994-02-20)]세) 81 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 라치오
5 프레데리크 베셀리
(Frédéric Veseli)
1992년 11월 20일 ([age(1992-11-20)]세) 45 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티흐 카라귐뤼크 SK
6 베라트 짐시티
(Berat Djimsiti)
1993년 2월 19일 ([age(1993-02-19)]세) 55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탈란타 BC
13 존 메르시나이
(Jon Mersinaj)
1999년 2월 8일 ([age(1999-02-08)]세) 1 0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NK 로코모티바 자그레브
18 아르디안 이스마일리
(Ardian Ismajli)
1995년 9월 30일 ([age(1996-09-30)]세) 36 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엠폴리 FC
MF 7 케이디 바레
(Keidi Bare)
1997년 8월 28일 ([age(1997-08-28)]세) 28 2 파일:스페인 국기.svg RCD 에스파뇰
8 클라우스 자술라
(Klaus Gjasula)
1989년 12월 14일 ([age(1989-12-14)]세) 27 0 파일:독일 국기.svg SV 다름슈타트 98
10 네딤 바이라미
(Nedim Bajrami)
1999년 2월 28일 ([age(1999-02-28)]세) 19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US 사수올로 칼초
14 카짐 라치
(Qazim Laçi)
1996년 1월 19일 ([age(1996-01-19)]세) 23 2 파일:체코 국기.svg AC 스파르타 프라하
20 윌베르 라마다니
(Ylber Ramadani)
1996년 4월 12일 ([age(1996-04-12)]세) 32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US 레체
21 크리스티얀 아슬라니
(Kristjan Asllani)
2002년 3월 9일 ([age(2002-03-09)]세) 16 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24 아르브노르 무콜리
(Arbnor Muçolli)
1999년 9월 15일 ([age(1999-09-15)]세) 4 0 파일:스웨덴 국기.svg IFK 예테보리
FW 9 야시르 아사니
(Jasir Asani)
1995년 5월 19일 ([age(1995-05-19)]세) 9 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광주 FC
11 뮈르토 우주니
(Myrto Uzuni)
1995년 5월 31일 ([age(1995-05-31)]세) 35 5 파일:스페인 국기.svg 그라나다 CF
15 타울란트 세페리
(Taulant Seferi)
1996년 11월 15일 ([age(1996-11-15)]세) 17 3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바니야스 SC
16 소콜 치칼레시
(Sokol Cikalleshi)
1990년 7월 27일 ([age(1990-07-27)]세) 59 13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콘야스포르
17 어니스트 무치
(Ernest Muçi)
2001년 3월 19일 ([age(2001-03-19)]세) 7 2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베식타스 JK
19 미를린드 다쿠
(Mirlind Daku)
1998년 1월 1일 ([age(1998-01-01)]세) 5 1 파일:러시아 국기.svg FC 루빈 카잔
22 아르브노르 무자
(Arbnor Muja)
1998년 11월 29일 ([age(1998-11-29)]세) 5 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삼순스포르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2월 27일
}}}}}}}}}}}} ||

1 베리샤 · 2 바이우 · 3 미타이 · 4 히사이 · 5 아예티 · 6 짐시티 · 7 마나이 · 8 자술라 · 9 아사니 · 10 바이라미
11 브로야 · 12 카스트라티 · 13 미하이 · 14 라치 · 15 세페리 · 16 베리샤 · 17 무치 · 18 이스마일리
19 다쿠 · 20 라마다니 · 21 아슬라니 · 22 아브라시 · 23 스트라코샤 · 24 쿰불라 · 25 알리이 · 26 호자
파일:UEFA BRA.png 시우비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0.8em;" 파일:UEFA ARG.png 파블로 사발레타 · 파일:UEFA BRA.png 도리바우 · 파일:UEFA EURO ALB.png 에르빈 불쿠



[1] 이적료는 50만 유로(약 7억원)이고 무치의 추후 이적료 수입의 10%를 티라나가 받는 조항이 있었다고 한다.[2] 알리 알무스라티의 1100만 유로로 경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