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1 03:24:08

에어즈록 선라이즈

에어즈 록 선라이즈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야수족]]{{{#!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1. 개요2. 설명
2.1. 원작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2.2.1. 수록 팩 일람

1. 개요

유희왕의 일반 마법 카드.

2. 설명

2.1. 원작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AyersRockSunrise-GX02-JP-VG.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에어즈록 선라이즈,
일어판 명칭=エアーズロック・サンライズ,
영어판 명칭=Ayers Rock Sunrise,
효과1=자신 묘지에 있는 야수족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자신 묘지에 있는 야수족 / 식물족 / 비행야수족 몬스터 1장당 상대 필드 위의 몬스터의 공격력을 200 포인트 내린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 마에다 하야토크로노스 데 메디치와의 시험 듀얼에서 사용한 카드. 인더스트리얼 일루전에 응모한 디자인이 당첨되어 그대로 카드로 제작되면서 하야토에게 전달되었다.

탄생 비화는 첫 낙제 이후 아버지의 허락을 받아 호주 여행을 떠났을 당시에 해가 뜨던 에어즈 록(=울루루)의 전망을 보고 영감을 얻어 그려낸 것. 본래 듀얼에 대한 감정을 정리하기 위해 정상까지 올라와서 덱을 버리려 했지만[1], 그 아름다운 풍경을 보며 아직 듀얼을 좋아하고 있음을 깨닫고 어떤 형태로든 듀얼에 관여하고 싶다는 마음이 생겨 듀얼 아카데미아를 자퇴하지 않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로도 애착이 생겼는지, 미술 수업에서 쥬다이와 쇼가 애들 낙서급 그림을 그리면서 서로 자랑이나 하고 있을 때 솜씨 좋은 실력으로 에어즈록을 그려서 주변 친구들에게 수많은 관심을 받기도 했다.

이후 전달된 카드는 앤틱 기어 골렘에게 밀려서 패배하기 직전으로 몰린 상황에서 드로우되어 빅 코알라를 소환하는 데 사용되었다. 앤틱 기어 골렘의 공격력을 낮춘 후 마스터 오브 OZ를 융합 소환해 단숨에 역전을 노렸지만, 안타깝게도 크로노스가 앤틱 기어 드릴로 덱에서 세트한 리미터 해제를 간파하지 못해 결국 패배하고 말았다.

하지만 크로노스는 패배 시 입사 추천은 물론 없고, 최악의 경우 퇴학까지 생각해 두라는 공약과 달리 포기하지 않고 훌륭한 듀얼을 보여주며 패배한 그를 높게 평가하며 듀얼 아카데미아 실기 담당 최고 책임자로서 그를 인더스트리얼 일루전 사에 추천해준다. 하야토를 자신의 자랑스러운 학생이라며 지원해주는 모습은 1기 초반의 악덕 선생에서 완벽하게 벗어난 모습. 이후 하야토는 인더스트리얼 일루전에 특채로 입사하면서 GX의 진정한 인생의 승리자가 되었다. 만년 낙제생 신세였던 그에게 있어서 구원자나 다름없는 카드라고 볼 수 있다.

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파일:エアーズロック・サンライズ.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에어즈록 선라이즈,
일어판 명칭=エアーズロック・サンライズ,
영어판 명칭=Ayers Rock Sunrise,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묘지의 야수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야수족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고\, 상대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자신 묘지의 야수족 / 비행야수족 / 식물족 몬스터의 수 × 200 내린다.)]

Dragons of Legend에서 OCG화되었다. 효과는 1턴에 1번 제약이 걸린 걸 제외하면 원작과 별 차이가 없이 나왔다.

야수족이라면 무엇이든 완전 소생시킬 수 있는데다 상대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을 낮출 수 있으며, 발동 조건이나 디메리트도 일절 존재하지 않는다. 야수족 통일 덱이라면 죽은 자의 소생의 상호호환이라 할 수 있는 카드로, 경우에 따라 그 이상의 활약도 기대할 수 있다.

약체화 수치는 야수족 외에도 식물족이나 비행야수족 역시 가산시키지만, 순수 야수족 덱에서라면 최하 수치는 딱히 바뀔 것이 없으므로 억지로 같이 쓸 필요는 없다. 식물족이라면 론 파이어 블로섬, 스포어, 프레데터 플랜츠 달링 코브라 등 다른 덱에서 용병으로 나가기 좋은 카드들이 있으니 조금 써주는 정도는 어렵지 않을 듯. 야수족 말고 다른 제한은 없으므로 그냥 살리고 싶은 야수족이 있는 덱이라면 다른 종족이 섞인 덱이라도 별 탈없이 투입해볼 수는 있다. 미량이라도 약체화가 이뤄졌다면 No.103 신장령양 라그나 제로의 효과 대상으로 찍을 수도 있으니 레벨 4 몬스터를 1장 더 꺼내서 엑시즈 소재로 삼아봐도 좋다.

원작 사용자가 같은 코알라 덱은 식물족인 유칼리 몰을 같이 쓰기에 약체화 수치를 나름 뽑아낼 수 있다. 자신 이외의 야수족 몬스터를 필요로 하는 코알랏코랏코알라의 효과 발동 조건도 쉽게 충족시켜준다.

반대로 말하자면 야수족 덱에서는 이 카드 하나로 유효 활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적지 않다는 뜻이기도 하며, 다른 카드의 전개 서포트로 활용하는 편이 좋은 경우도 많다. 마수의 회유를 주축으로 한 덱에서 땅 속성을 포함하는 야수족 몬스터를 리크루트 해 온 뒤, No.64 늙은 너구리 삼태부를 엑시즈 소환해서 그림자 무사 너구리 토큰을 전개, 이어서 남은 땅 속성 1장과 삼태부 2장으로 미세스 레디언트를 링크 소환한다. 그 상태에서 이 카드를 써주면 소환권을 남겨둔 채로 필드의 최고 공격력과 맞먹을 수 있는 토큰과 500 강화를 마련할 수 있으며, 상대측의 몬스터를 전부 600 약화시키면서 전투 서포트까지 해내준다.

특수 소환과 전체 약체화 효과는 동시에 처리되기 때문에, 격류장 같은 카드는 타이밍 놓치는 일 없이 발동할 수 있다. 소환 반응형 함정을 피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지만, 반대로 보옥수 사파이어 페가수스 같은 임의 효과도 타이밍을 놓칠 일이 없으므로 일장일단이라 할 수 있다.

베어루크티와 상성이 좋은 카드라면서 에인션트 가디언즈에 재록이 결정되기도 했는데, 해당 테마의 싱크로 몬스터는 자기 소환 조건으로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는데다 메인 덱 몬스터도 레벨 8 튜너는 야수족이 아니라서 실전 궁합은 묘하게 좋지 않다. 다만 레벨 7의 베어루크티를 되살리면 해당 카드의 특수 소환시 효과를 발동할 수 있으니 써먹을 곳이 없는 것이 아니다.

일러스트의 경우, 파스텔 내지는 유화 느낌을 강조하던 원작의 화풍에서 단순히 입체적인 풍경화로 리터칭되었다.

2.2.1.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14-04-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RLG-EN020 | DRAGONS OF LEGEND
2014-08-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P03-EN183 | BATTLE PACK 3 MONSTER LEAGUE
2020-09-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LCS-EN022 | DRAGONS OF LEGEND: THE COMPLETE SERIES
2021-05-0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ANGU-EN054 | ANCIENT GUARDIANS
2014-05-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PL1-JP020 | コレクターズパック 伝説の決闘者編
2021-03-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AG-JP043 | デッキビルドパック - エンシェント・ガーディアンズ -
2014-08-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PL1-KR020 | 컬렉터즈 팩 전설의 듀얼리스트 편
2021-06-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AG-KR043 | 에인션트 가디언즈

[1] 허락을 받은 조건도 듀얼의 길을 포기하고 아카데미아를 자퇴하는 것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