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9 07:40:02

프레데터 플랜츠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약자가 같은 다큐멘터리 Prehistoric Planet}}}에 대한 내용은 [[선사시대: 공룡이 지배하던 지구]]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선사시대: 공룡이 지배하던 지구#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선사시대: 공룡이 지배하던 지구#|]]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약자가 같은 게임}}}에 대한 내용은 [[PROJECT: PLAYTIME]]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PROJECT: PLAYTIME#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PROJECT: PLAYTIME#|]]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약자가 같은 다큐멘터리 Prehistoric Planet: }}}[[선사시대: 공룡이 지배하던 지구]]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선사시대: 공룡이 지배하던 지구#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선사시대: 공룡이 지배하던 지구#|]]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약자가 같은 게임: }}}[[PROJECT: PLAYTIME]]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PROJECT: PLAYTIME#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PROJECT: PLAYTIME#|]]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테마 일람'''
[ㅇ]
[A~Z, 특수문자]
파일:드용 이그니스터.jpg
[ruby(@, ruby=앳)]이그니스터
[ 각주 ]
● 기준은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데이터베이스의 덱 검색 사이트의 등록 카테고리다.
● 한국어판 미발매 테마들은 비공식 번역명으로 작성한다.
TCG 선행 테마영문판 DB 덱 검색에 카테고리가 등록되어 있으면 영판명 그대로 작성한다.
● 이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테마의 경우는 카드군 분류, 서포트 카드군 분류 혹은 지정되지 않는 카드군 분류 참조.
<colbgcolor=#004330> 프레데터 플랜츠
<nopad> 파일:프레데터 플래닝.jpg
프레데터 플래닝
한글판 명칭 프레데터 플랜츠
일본판 명칭 [ruby(捕食植物, ruby=プレデター・プランツ)]
영어판 명칭 Predaplant
속성 종족 관련 카테고리
어둠 식물족 효과, 융합
펜듈럼, 링크

1. 개요2. 설명3. 효과 몬스터 (非 펜듈럼 / 튜너)
3.1. 레벨 6
3.1.1. 프레데터 플랜츠 뱅크셔오우거
4. 효과 몬스터 (非 펜듈럼 / 非 튜너)
4.1. 레벨 1
4.1.1. 프레데터 플랜츠 세라세니앤트4.1.2. 프레데터 플랜츠 코디셉스4.1.3. 프레데터 플랜츠 비브리스프
4.2. 레벨 2
4.2.1. 프레데터 플랜츠 플라이 헬4.2.2. 프레데터 플랜츠 스키드 드로세라4.2.3. 프레데터 플랜츠 썬듀 킨지
4.3. 레벨 3
4.3.1. 프레데터 플랜츠 프테로펜테스4.3.2. 프레데터 플랜츠 오프리스 스콜피오4.3.3. 프레데터 플랜츠 달링 코브라
4.4. 레벨 4
4.4.1. 프레데터 플랜츠 모레이 네펜테스4.4.2. 프레데터 플랜츠 스피노 디오네아
4.5. 레벨 5
4.5.1. 프레데터 플랜츠 드로소필룸 히드라
4.6. 레벨 8
4.6.1. 프레데터 플랜츠 헬리암포링쿠스
5. 효과 몬스터 (펜듈럼)
5.1. 레벨 1
5.1.1. 프레데터 플랜츠 스파이더 오키드5.1.2. 프레데터 플랜츠 부포리큘라
5.2. 레벨 8
5.2.1. 프레데터 플랜츠 트리안티스
6. 융합 몬스터
6.1. 레벨 5
6.1.1. 프레데터 플랜츠 암불로메리두스
6.2. 레벨 7
6.2.1. 프레데터 플랜츠 키메라플레시아
6.3. 레벨 8
6.3.1. 프레데터 플랜츠 드라고스타페리아
6.4. 레벨 9
6.4.1. 프레데터 플랜츠 트리피오베루툼
6.5. 레벨 10
7. 링크 몬스터8. 서포트 마법 카드
8.1. 프레데터 플랜터8.2. 프레데터 그래프트8.3. 프레데터 플라스트8.4. 프레데터 프랙티스8.5. 프레데터 프라임 퓨전
9. 서포트 함정 카드
9.1. 프레데터 플래닛9.2. 프레데터 플래닝
10. 관련 카드
10.1. 포식 카운터
11. 같이 쓰면 좋은 카드들12. OCG화되지 않은 카드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테마. 약칭은 프플.

2. 설명

프레데터 플랜츠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유리
덱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카드군
프레데터 플랜츠 · 프레데터 · 스타브 베놈 · 퓨전 드래곤 · 앤틱 기어 · 융합 / 퓨전
서브 에이스 에이스
ARC-V
클리어윙 싱크로 드래곤
코믹스
프레데터 플랜츠 키메라플레시아
앤틱 기어 덱
앤틱 기어 리액터 드래곤

ARC-V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
초융합
코믹스
스타브 베너미 드래곤
앤틱 기어 덱
앤틱 기어 얼티미트 골렘
에이스 진화체 최종 몬스터
ARC-V
그리디 베놈 퓨전 드래곤
초월융합
코믹스
스타브 베너미 리설도스 드래곤
OCG
스타브 베놈 프레데터 퓨전 드래곤
}}}}}}}}} ||
ARC-V 각 차원의 닮은 꼴의 카드군
<nopa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margin: -10px 0px -10px; word-break:keep-all;"
유우야 유토 유고 유리 즈아크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EM
마술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
팬텀 나이츠
팬텀
클리어윙
싱크로 드래곤
SR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
프레데터 플랜츠
프레데터
패왕
패왕권룡
패왕문
유즈 루리 세레나 레이
환주 LL WW 문라이트 }}}}}}

'포식식물(捕食植物)'이라 쓰고 '프레데터 플랜츠'라 읽는다. 식충식물이나 동충하초, 독한 냄새를 내는 식물 등, 인간 입장에서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지는 식물들의 모습을 했으며, 극초반엔 그냥 식충식물의 모습을 한 괴물의 모습이었으나 퓨전 엔포서즈 이후엔 "동물의 형상을 한 식물"로 디자인이 굳어졌다. 이 중에서도 융합 몬스터들은 환상종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삼라아로마의 뒤를 이어 등장한 식물족 중심의 카드군이다.

유희왕 ARC-V에선 유리가 사용한다. 잡지 스포일러에 의해 모레이 네펜테스와 플라이 헬이 먼저 공개됐고, 91화에서 모레이 네펜테스와 플라이 헬이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의 융합 소재로 쓰이면서 첫 등장했다.

OCG로는 인베이전 오브 베놈에서 첫 등장했다. 원작에서 제대로 나오기 전부터 효과가 공개됐다. 이후 융합을 테마로 하는 부스터 SP 퓨전 엔포서즈에서 4명의 사카키 유우야유고, 유토의 전례를 따라 OCG 오리지널 카드도 포함해 지원됐다. 퓨전 엔포서즈 발매에 앞서 선행 덱 체험회도 있었다.

상위 카드군으로 "프레데터"가 있다.

2.1. 성능

<nopad> 파일:포식 카운터.jpg
유희왕 ARC-V에 나온 포식 카운터의 모습

상대 몬스터에 포식 카운터를 쌓아서 싸우는 덱이다. 포식 카운터가 놓인 몬스터는 레벨 1이 되어, 레벨을 따지는 각종 소환 방법을 방해할 수 있다. 에일리언의 A 카운터 등과는 달리, 포식 카운터 자체에 효과가 부여되는 방식이라 다른 카드의 도움 없이도 포식 카운터가 놓여 있으면 레벨이 1로 변화한다는 점이 장점. 이외에도 포식 카운터가 놓인 몬스터의 스테이터스를 내리거나 아예 릴리스해버리는 등, 포식자처럼 상대 몬스터를 사냥하는 듯한 컨셉이 특징.

다만 포식 카운터를 놓아 상대를 방해하기엔 상대 턴에 포식 카운터를 놓는 효과가 많지 않아 어려움이 따른다. 일단 카운터를 놓으면 상대가 몬스터를 처리하기 곤란하게 할 수는 있지만, 링크 소환이 나오면서 이 장점도 바랬다. 특히 링크리보란 걸출한 카드의 등장으로 레벨 1 몬스터의 처분이 매우 쉬워져 포식 카운터를 놓는 게 항상 이득인 것도 아니게 됐다. 실질적으로는 상대를 방해하기 위해 카운터를 놓는다기보다, 자신의 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의 효과 발동을 위해 놓는다는 발상으로 임하는 게 좋다.

일반적으로 애니메이션의 캐릭터가 쓰는 카드군이 OCG화 될 땐 그 캐릭터의 에이스 몬스터를 서포트하기에 적절한 컨셉을 가진 경우가 대부분인데, 프레데터 플랜츠의 포식 카운터는 상대 몬스터의 레벨을 감소시켜 주인의 에이스인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의 효과를 방해한다. 애니메이션에서부터 그런 효과였던 것도 아니고 OCG화되며 추가된 효과라 제법 특이한 케이스. 그래도 복사 효과는 자주 사용되는 효과가 아닌지라 그렇게까지 큰 문제는 없는 편이다.

애니메이션에선 포식 카운터를 쓰는 몬스터는 스키드 드로세라뿐이었고, 포식 카운터에 레벨을 1로 만드는 효과도 없었다. 작중 쓰인 건 106화에서 연속 공격을 위해 포식 카운터를 놓은 장면뿐. 그 외의 몬스터는 포식 카운터와 무관한 효과뿐이었으며 카운터를 활용하는 전법은 OCG에서 추가된 것이다. 융합 몬스터도 애니메이션에선 자체 카드군은 단 한 번도 안 나오고, 주구장창 스타브 베놈만 쓰고 딱 1번 진화체인 그리디 베놈만 불러대서 1장도 안 나왔고, 코믹스에서만 키메라플레시아가 하나 쓰였다.

각각의 카드만 두고 보면 굉장히 강력한 카드가 있어서 식물 링크나 융합 관련 덱에서 용병으로 불려다니곤 하며, 오프리스 스콜피오, 베르테 아나콘다는 이 영향으로 각각 제한/금지 카드가 되기까지 했다. 그 외에 같은 주인이 사용했던 스타브 베놈은 초융합 소환용 몬스터로 이리저리 끌려다니고 있고, 소환 조건이 간단한 드라고 스타페리아도 용병으로 굴러다녔다. 그러면서도 정작 카드군 단독으로 덱을 운용하기에는 아쉬운 점이 많았던 테마다. 이런 상황 덕분에 남 좋은 일만 시켜준다는 안쓰러운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1] ARC-V 시기의 지원에 이어서 듀얼리스트 팩, 링크 브레인즈 팩[2], 디멘션 포스에 이어지기까지 긴 텀을 두고 몇 번이고 지원을 받고서야 단일 테마로서의 성능을 확보하게 되었다.

디멘션 포스의 지원 후에는 궁합이 굉장히 좋은 낙인융합을 채용하여 융합 몬스터를 소재로 융합 몬스터를 계속해서 소환하여 빌드를 갖추는 방식으로 운용되었으며, 대회권에서도 가끔 얼굴을 비추었다. 그러나 데스피아를 주축으로 하는 낙인융합 덱에 비해 딱히 장점이 크지 않아 대단한 실적을 올리지는 못했고, 낙인 계열의 제재 및 파워 인플레의 영향으로 대회권에서는 금방 모습을 감추었다.

2.1.1. 장점

  • 준수한 몬스터 제거 능력
    썬듀 킨지, 프라임 퓨전 등 자체적으로 가진 자체 초융합 효과 덕분에 몬스터 락을 비교적 쉽게 제거할 수 있다.
  • 싱크로, 엑시즈 덱 억제력
    상대의 레벨을 강제로 1로 바꾸는 덱 특성상 싱크로와 엑시즈 덱을 상대로는 선공에 드라고스타페리아와 플래닝만 깔아둬도 효과 무효화와 더불어 상대의 전개까지 틀어막는 뛰어난 억제력을 보여준다.

2.1.2. 단점

  • 높은 용병 의존도
    냉정하게 말해서 순수 프레데터 플랜츠만의 성능은 지원을 여러 차례 받은 이후에도 느린 전개력과 부실한 견제 능력으로 인해 그다지 우수한 편이 아니다. 22년 1월 금제 이후 등장하는 실전형 프레데터 플랜츠는 궁합이 좋은 OP 카드군들인 낙인과 세리온즈로 낙인의 전개력과 세리온즈의 견제력을 끌어오고, 다른 융합 용병들과 강력한 시너지를 발휘해 편승한 결과에 가깝다.
  • 부족하고 수동적인 포식 카운터 생성
    덱의 컨셉상 포식 카운터를 놓고 포식 카운터를 활용해 사용하는 효과들이 꽤나 많은것을 볼 수 있는데 포식 카운터를 활용하는 효과들을 가진 카드들에 비하여 포식 카운터를 올릴 수 있는 카드는 몬스터 위주에, 그것도 상대에게만 얹는 게 대다수다. 스피노 디오네아/플라이 헬/스키드 드로세라는 소환권을 소모해야 되는 경우가 많아 채용이 꺼려지고, 프레데터 플랜츠 트리안티스와 프레데터 플라스트는 사용할 조건이 애매하여 능동적이지 못하다. 그나마 드라고 스타페리아와 프레데터 플래닝이 포식 카운터를 놓는데에 자주 사용되는 편이다. 사실 이 단점은 실전형의 프레데터 플랜츠라면 낙인을 섞어 굴리게 되기에 별 문제가 아니게 된다.
  • 부실한 마법/함정 견제 능력
    몬스터 견제 능력은 우수한 편이지만 자체적으로 마함을 견제하는 능력이 사실상 전무하다. 테마 내에 스타브 베놈 프레데터 퓨전 드래곤이라는 퍼미션 몬스터가 존재하지만 소환 조건이 무겁고 사용하는데 상당한 밑준비가 필요하고, 용병 채용을 검토해볼만한 몬스터 중에서도 마함 퍼미션 능력을 가진 몬스터는 세리온즈 킹 레귤러스 뿐이다. 세리온즈와 혼용하는게 아닌 이상 프레데터 플래닝의 묘지 효과나 디스트로이 피닉스가이, 가디언 키메라 등을 사용해 세트 카드를 파괴하는 정도 외엔 실전적인 견제 수단이 없는 실정.

2.2. 유희왕 마스터 듀얼

시크릿 팩 '도태되는 강자'에서 관련 카드들을 획득할 수 있다. 전용 소환 연출은 프레데터 플랜츠 베르테 아나콘다스타브 베놈 프레데터 퓨전 드래곤에 있으며, 추가로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에도 있다.

UR가 키메라플레시아, 베르테 아나콘다, 스타브 베놈 프레데터 퓨전 드래곤 3종이고 각각 1장씩만 필요해서 가격은 꽤 싼 편.

데스피아가 OCG에 비해 티어권에 오래 머물렀고, 디멘션 포스의 신지원이 낙인융합보다 3달 정도 늦게 출시되어서 입지는 영 좁았다. 거기다가 인스턴트 퓨전이 금지 카드가 되어서 OCG보다 상황이 안 좋다.

그나마 이벤트 듀얼에서는 융합 관련 이벤트를 할 때 낙인 덱에 제재를 꽤 강하게 내리는 편이라서 이를 대신할 용도로 많이 쓰였다. 그마저도 2025년부터는 낙인 덱이 팔로우 캠패인 덱으로 선정된 것 때문인지 제재가 약해진 편이라서 사용 빈도가 줄어들었다.

2.3. 유희왕 듀얼링크스

2020년 6월에 WITCH'S SORCERY에서 스피드로이드, 비 포스와 같이 출시되었다. ZEXAL 월드도 나오기 이전의 시기라 핵심 카드들은 키메라플레시아, 프랙티스, 킨지, 그래프트, 플랜터 정도밖에 안 나왔다. 키메라플레시아 자체는 당시 환경에서 강력하긴 했지만, 카드풀도 부족한데 이를 보조해줄 수 있는 주인인 유리는 빨라도 2년은 지나야 나올 것이라 잠깐 반짝 하고 그대로 묻혔다. 미래시 하나만 봐야 하는데 그 미래시가 너무 멀어서 생긴 문제.

그러고 나서 한참 후 2024년 10월 말에 주인인 유리가 등장하고 나머지 프레데터 플랜츠 카드들과 에이스 몬스터인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STARVING VENOM에서 추가로 수록됐다. 다만 다 온건 아니고 뱅크셔오우거, 펜듈럼 몬스터 3종, 트리피오베루툼, 프라임 퓨전, 플래닝, 그리디 베놈 퓨전 드래곤, 스타브 베놈 프레데터 퓨전 드래곤, 베르테 아나콘다는 오지 않았다. 그래도 서치 카드인 세라세니앤트+암불로메리두스/비브리스프가 레벨업 보상/팩깡으로 수록되었고, 드라고 스타페리아와 달링 코브라도 레이드 듀얼 보상으로 풀렸다.
파일:듀링스킬.png 스타브 베놈 인베이전
이 스킬의 ②③의 효과는 엑스트라 덱에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이 들어있을 경우에 각각 듀얼 중에 1번씩 사용할 수 있다.
①: 자신은 「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밖에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할 수 없다(엑스트라 덱에서의 특수 소환은 포함하지 않음).
②: 패의 「프레데터」 카드, 「융합」 마법 카드, 「퓨전」 마법 카드를 합계 2장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묘지의 「프레데터」 카드 1장과 덱 외의 「융합」 1장을 패에 넣는다.
③: 상대 필드에만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에 포식 카운터를 1개 놓는다. 포식 카운터가 놓여진 레벨 2이상의 몬스터의 레벨은 1이 된다.

게다가 강력한 스킬인 스타브 베놈 인베이전 덕분에 후공에는 포식 카운터를 얹어서 덱이 더 용이하게 굴러가는 건 물론, 선/후공 가리지 않고 융합과 프레데터 카드 1장이 공짜로 생겨서 아드를 불리고 시작할 수 있다. 특히 선턴에 드라고 스타페리아를 불러내서 무효 효과도 써먹는 건 물론, 엑시즈/싱크로 덱을 상대할 경우에는 전개 자체를 틀어막어버릴 수도 있다. 덕분에 티어권을 먹긴 했지만 하필이면 1랭크 엑시즈 덱인 LL이 카운터다 보니[3] 2티어 자리에 머무르고 있다...라는 평가를 받기가 무색하게 프플이 전개법과 선공 빌드를 LL의 나이팅게일로 고정시키며 LL을 쉽게 이길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LL뿐만 아니라 기존 카운터 덱으로 평가받던 고스트릭섀도르 또한 프플의 라이고우, 토우테츠드래곤 앞에 무릎 꿇었다. 이 영향으로 2024년 11월 KC컵에서 프플이 압도적인 1티어 덱으로 떠오르며 금장권을 독식했다.[4] 이 영향으로 12월 금제에서 4중 1제한을 때려맞으며 너프되었다.

2025년 1분기는 LL이 너프를 받고 드래고닉 히어로 덱이 활개를 치고 있다. 이에 제한 카드는 초융합을 포기하고 드로소필룸 히드라를 채용하고, 용병으로 네오스 퓨전, 레인보우 네오스, LL-앙상블루 로빈을 투입하여 선후공 모두 안정적인 저점을 확보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드라고 스타페리아가 1제가 된 이후에도 여전히 저점이 안정적인 히드라를 채용하고 있다. 때문에 필드의 몬스터 효과를 직접 견제하는 플레잉 대신에 상대 턴에 상대 몬스터의 레벨을 강제로 1로 조정하면서 상대의 전개를 억제하는 플레잉이 메인이 되었다.[5][6]
프레데터 덱의 선턴 전개

준비물
스킬: 스타브 베놈 인베이전
패: 프레데터 하급 몬스터 2장

1. 스킬을 발동하여 패에 비브리스프, 융합 추가
(비브리스프가 이미 패에 있는 경우 세라세니앤트 추가)

2. 융합을 발동하여 암불로메리두스를 융합 소환
(세라세니앤트가 있는 경우 필드에 세라세니앤트를 세트한 후 융합 소환)

3. 암불로메리두스, 비브리스프 효과로 스콜피오, 프랙티스 서치
(세라세니앤트의 효과도 쓸 수 있으면 플래닛까지 서치)

4. 프랙티스를 발동하여 스콜피오를 특수 소환하고 덱에서 플래닛 서치
(플래닛이 이미 패에 있으면 플라스트 서치)

5. 스콜피오 효과로 패에서 프레데터 몬스터 1장 버리고 덱에서 달링 코브라 특수 소환

6. 코브라 효과로 덱에서 융합재생기구 서치

7. 융합재생기구 발동, 효과로 패에서 플래닛을 버리고 덱에서 치환융합 서치

8. 암불로메리두스 효과로 코브라를 릴리스하고 덱에서 스키드 드로세라 특수 소환

9. 치환융합 발동, 암불로메리두스와 스콜피오를 소재로 키메라플레시아 융합 소환

10. 묘지에서 치환융합을 제외하여 암불로메리두스를 덱으로 되돌리고 1장 드로우

11. 엔드 페이즈에 융합재생기구 효과로 비브리스프 또는 세라세니앤트를 회수

결과: 스키드 드로세라, 키메라플레시아, 융합재생기구, 플래닛(묘지)

이후 상대가 싱크로 소환 또는 엑시즈 소환할 소재가 갖춰졌을 때 플래닛을 제외하고 드로세라를 소재로 암불로메리두스를 융합 소환하여 상대의 전개를 억제함과 동시에 암불로메리두스의 효과로 세라세니앤트를 서치한다.

다시 턴을 받으면 스탠바이 페이즈에 키메라플레시아의 효과로 덱에서 네오스 퓨전을 서치하고 프레데터 몬스터의 개체 수를 활용하여 상대의 견제 효과를 전부 소모시킨 후 레인보우 네오스로 킬각을 잡는다.예시

3. 효과 몬스터 (非 펜듈럼 / 튜너)

3.1. 레벨 6

3.1.1. 프레데터 플랜츠 뱅크셔오우거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5179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 명칭=프레데터 플랜츠 뱅크셔오우거,
일어판 명칭=<ruby>捕食植物<rp>(</rp><rt>プレデター・プランツ</rt><rp>)</rp></ruby>バンクシアオーガ,
영어판 명칭=Predaplant Banksiogre,
레벨=6, 속성=어둠, 종족=식물족, 공격력=2000, 수비력=100,
효과1=①: 이 카드는 상대 필드의 포식 카운터가 놓여진 몬스터 1장을 릴리스했을 경우에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한다.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전부에 포식 카운터를 1개씩 놓는다. 포식 카운터가 놓여진 레벨 2 이상의 몬스터 레벨은 1이 된다.)]
134화에서 사용한 프레데터 플랜츠 최초의 튜너 몬스터이자 유일한 튜너 몬스터. 이 몬스터와 레벨 1 프레데터 플랜츠 토큰 1장으로 클리어윙 싱크로 드래곤을 싱크로 소환했다.

①의 효과는 드로소필룸 히드라의 약화판으로, 드로소필룸 히드라와 달리 묘지에선 특수 소환할 수 없다. 다만 1턴에 1번 제약이 없어 패에 2장 잡혀도 프레데터 블라스트 등으로 포식 카운터가 얹힌 몬스터를 2장이나 잡아먹고 필드에 나올 수 있다. 드로소필룸 히드라와 함께라면 상대 몬스터를 2장 제거하면서 융합 / 싱크로 소재를 마련할 수 있다. 자체적으로 포식 카운터를 얹는 효과를 가진 플라이 헬이나 스피노 디오네아와 조합한다면 간단하게 레벨8/10의 싱크로 소환도 가능해진다.

②의 효과는 스키드 드로세라와 같은 효과로 ①의 효과과 연동도 가능하며, 이 카드 자체가 튜너라 싱크로 소환으로 묘지로 보내는 게 쉽기에 스키드 드로세라보다도 효과 발동이 더 용이하다.

다만 강제 효과라 원작 재현을 하기 위해 클리어윙 싱크로 드래곤을 싱크로 소환하면 상대 몬스터가 전부 레벨 1이 되어 클리어윙의 1번 효과를 사용하기 어려우므로 상성은 영 안 좋다.

이름의 유래는 뱅크시아 + 오우거. 눈알과 입이 더덕더덕 붙은 괴악한 생김새를 하고 있는데, 뱅크시아 열매에서 따온 듯.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 COTD-KR016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CODE OF THE DUELIST COTD-JP016 노멀 일본 세계 최초 수록
Code of the Duelist COTD-EN016 노멀 미국 미국 최초 수록

4. 효과 몬스터 (非 펜듈럼 / 非 튜너)

4.1. 레벨 1

4.1.1. 프레데터 플랜츠 세라세니앤트

파일:捕食植物セラセニアン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프레데터 플랜츠 세라세니앤트,
일어판명칭=<ruby>捕食植物<rp>(</rp><rt>プレデター・プランツ</rt><rp>)</rp></ruby>セラセニアント,
영어판명칭=Predaplant Sarraceniant,
속성=어둠,
레벨=1,
공격력=100,
수비력=600,
종족=식물족,
효과외1="프레데터 플랜츠 세라세니앤트"의 ③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 몬스터의 직접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한 데미지 계산 후에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를 파괴한다.,
효과3=③: 필드의 이 카드가 효과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또는 전투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프레데터 플랜츠 세라세니앤트" 이외의 "프레데터"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최초로 "프레데터"를 카드군으로 지정한 카드. 모티브는 사라세니아개미.

상대 몬스터의 직접 공격시 패에서 특수 소환돼 벽이 되어줄 수 있다. 공격을 받아 파괴돼도 ②의 효과로 공격한 상대 몬스터를 제거하고, 추가로 ③의 효과로 필요한 프레데터 카드를 서치할 수 있다. 어차피 ①이나 ②나 턴 제약이나 명칭 제약이 안 달려 있기 때문에 벽으로 세울 다른 몬스터가 도저히 없는 상황에서는 패에 쥐고 있는 게 낫다. 마함 존에도 카드가 없으면 무한포영, 길항승부라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

③의 효과의 경우 전투는 물론 효과로 묘지로 보내져도 쓸 수 있기에 파괴 이외의 "묘지로 보내는" 효과에 의해 제거돼도 서치 효과를 쓸 수 있다. 물론 직접 묘지로 보내도 되기에 필드에서 융합 소재로 써도 발동된다. 따라서 융합 소환으로 인해 손실된 패 어드밴티지를 벌어줄 수 있는 고마운 카드다. 비브리스프와 달리 마법/함정 카드도 서치할 수 있는 게 특징. 단, 어드밴티지를 벌어주는 효과이므로 유일하게 명칭 제약이 달려 있는 효과다.

거기에 발동 조건이 필드에서 효과로 묘지로 보내지거나 전투로 파괴됐을 경우 한정이라 패에서 묘지로 보내지거나, 코스트로 묘지로 보내는 것엔 대응하지 않는다. 고로 금지된 일적이나 초영양태양이나 당근인 등의 카드와의 궁합은 안 좋으니 주의.

130화에서 그리디 베놈 퓨전 드래곤의 융합 소재로 등장했고, 131화에서 그리디 베놈 퓨전 드래곤의 부활 효과 코스트로 등장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부스터 SP 퓨전 엔포서즈 SPFE-KR001 노멀
노멀 패러렐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ブースターSP -フュージョン・エンフォーサーズ- SPFE-JP001 노멀
노멀 패러렐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Fusion Enforcers FUEN-EN001 슈퍼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4.1.2. 프레데터 플랜츠 코디셉스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620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프레데터 플랜츠 코디셉스,
일어판 명칭=<ruby>捕食植物<rp>(</rp><rt>プレデター・プランツ</rt><rp>)</rp></ruby>コーディセップス,
영어판 명칭=Predaplant Cordyceps,
레벨=1, 속성=어둠, 종족=식물족, 공격력=0, 수비력=0,
효과1=①: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 묘지의 레벨 4 이하의 "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 2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통상 소환할 수 없으며\, 융합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묘지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묘지의 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를 2장이나 소생시키는 쓸만한 효과가 있다. 다만 발동 타이밍이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라 느리고 효과를 쓴 후엔 융합 몬스터만 특수 소환할 수 있으므로, 다른 몬스터의 특수 소환은 물론 일반 소환까지 막혀버리니 주의. 썬듀 킨지와 달링 코브라를 살려오면 달링 코브라의 효과로 융합 / 퓨전 마법을 서치할 수 있기에 썬듀 킨지의 효과와 함께 융합 소환을 2번 실행할 수 있다. 융합 몬스터를 필요로 하는 드라고스타페리아를 쓰는 것도 좋고,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이나 드라고스타페리아를 소재로 그리디 베놈 퓨전 드래곤을 쓸 수도 있다. 또한, 융합 몬스터만 부를 수 있다는 제약이므로 프레데터 그래프트를 통해 묘지의 융합 몬스터를 부활시키는 것은 가능하다.

모티브는 동충하초의 영문명인 코디셉스(Cordyceps). 이에 걸맞게 다른 생물 위에 기생한 모습이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맥시멈 크라이시스 MACR-KR011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MAXIMUM CRISIS MACR-JP011 노멀 일본 세계 최초 수록
Maximum Crisis MACR-EN011 노멀 미국 미국 최초 수록

4.1.3. 프레데터 플랜츠 비브리스프

파일:捕食植物ビブリスプ.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프레데터 플랜츠 비브리스프,
일어판명칭=<ruby>捕食植物<rp>(</rp><rt>プレデター・プランツ</rt><rp>)</rp></ruby>ビブリスプ,
영어판명칭=Predaplant Byblisp,
속성=어둠,
레벨=1,
공격력=0,
수비력=1900,
종족=식물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프레데터 플랜츠 비브리스프" 이외의 "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필드의 몬스터에 포식 카운터가 놓여 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묘지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제외된다.)]

고성능 서치 카드. 그냥 아무데서나 장소를 가리지 않고 묘지로 보내지기만 하면 자신 이외의 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를 바로 서치 해준다.

어리석은 매장이나 프레데터 플래닝으로 덱에서 직접 덤핑은 물론 패나 필드에서 융합 소재로 사용되어도 곧바로 서치가 가능. 거기에 일단 묘지로 가기만 하면 되므로 세라세니앤트와 달리 코스트로 사용해도 효과가 격발된다. 2번 효과로 포식 카운터가 놓여있는 몬스터가 있다면 묘지에서 부활까지 가능하다. 프레데터 플래닝은 이 카드를 묻으면서 포식 카운터까지 쌓아주니 두 효과의 조건을 모두 만족시켜주어 궁합이 좋은 편.

그간 프레데터 플랜츠를 서치하기 위해선 패의 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가 있어야만 쓸 수 있던 프랙티스나 필드에 한번 꺼내놓고 묘지로 보내야 가능했던 세라세니앤트, 함정인데다 포식 카운터에 의존해야 하는 플래닛 밖에 없었기에 이런 쉬운 조건의 즉발 서치 카드는 프플에게 있어 가뭄의 단비 같은 존재다.

카드명의 유래는 와스프(wasp)와 '무지개풀(Rainbow flower)'이라는 별명이 있는 비블리스속(Byblis).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DIMENSION FORCE DIFO-JP017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4.2. 레벨 2

4.2.1. 프레데터 플랜츠 플라이 헬

파일:捕食植物フライ・ヘ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프레데터 플랜츠 플라이 헬,
일어판 명칭=<ruby>捕食植物<rp>(</rp><rt>プレデター・プランツ</rt><rp>)</rp></ruby>フライ・ヘル,
영어판 명칭=Predaplant Flytrap,
레벨=2, 속성=어둠, 종족=식물족, 공격력=400, 수비력=800,
효과1=①: 1턴에 1번\,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에 포식 카운터를 1개 놓는다. 포식 카운터가 놓여진 레벨 2 이상의 몬스터 레벨은 1이 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이 카드의 레벨 이하의 레벨을 가지는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하는 데미지 스텝 개시시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그 후\, 파괴한 그 몬스터의 원래의 레벨만큼만\, 이 카드의 레벨을 올린다.)]
능동적으로 포식 카운터를 쌓을 수 있는 카드. 자체 능력치는 약하지만 ②의 효과 덕분에 쉽게 전투로 파괴되진 않는다. 레벨 상승을 싱크로 / 엑시즈 등에도 활용할 순 있지만, 레벨 변환치가 상대에게 의존하므로 의도적으로 쓰긴 어렵다. 그래도 효과로 레벨이 오르면 포식 카운터가 없는 몬스터도 깔아뭉갤 수 있다.

하지만 약점도 꽤 많다. 일단 효과 파괴 내성이 있는 카드는 건들이지 못하며, 레벨이 없는 엑시즈 / 링크 몬스터에겐 약한데, 특히 링크 몬스터는 대부분의 덱이 채용하며 소환도 쉬우므로 상대 턴까지 버틸 기대는 하기 어렵다.

메인 덱 몬스터 중 유일하게 조건 없이 매 턴 포식 카운터를 쌓을 수 있으므로 이쪽이 주된 사용처가 된다. 뱅크셔오우거와 함께 프레데터 플랜츠 메인 덱 몬스터만으로 자체적으로 레벨 8 싱크로 소환, 포식 카운터 쌓기, 상대 몬스터 제거(일부 내성 무시 가능)를 할 수 있다.

이름과 생김새에서 알 수 있듯이 플라이(파리) 헬(지옥)로 파리지옥이 모티브.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인베이전 오브 베놈 INOV-KR006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부스터 SP 퓨전 엔포서즈 SPFE-KR006 노멀
노멀 패러렐 레어
한국
INVASION OF VENOM INOV-JP006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ブースターSP -フュージョン・エンフォーサーズ- SPFE-JP006 노멀
노멀 패러렐 레어
일본
Invasion: Vengeance INOV-EN006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Fusion Enforcers FUEN-EN006 슈퍼 레어 미국
2017 Mega-Tin Mega Pack MP17-EN131 레어 미국

4.2.2. 프레데터 플랜츠 스키드 드로세라

파일:捕食植物スキッド・ドロセーラ.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프레데터 플랜츠 스키드 드로세라,
일어판 명칭=<ruby>捕食植物<rp>(</rp><rt>プレデター・プランツ</rt><rp>)</rp></ruby>スキッド・ドロセーラ,
영어판 명칭=Predaplant Squid Drosera,
레벨=2, 속성=어둠, 종족=식물족, 공격력=800, 수비력=400,
효과1=①: 이 카드를 패에서 묘지로 보내고\,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그 몬스터는 포식 카운터가 놓여진 상대 몬스터 전부에 1회씩 공격할 수 있다.,
효과2=②: 앞면 표시의 이 카드가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발동한다. 상대 필드의 특수 소환된 몬스터 전부에 포식 카운터를 1개씩 놓는다. 포식 카운터가 놓여진 레벨 2 이상의 몬스터 레벨은 1이 된다.)]
①의 효과는 패에서 버리고 몬스터 1장에게 연속 공격 능력을 부여하는 효과. 여러 개씩 놓고 유지하기 어려운 포식 카운터의 특성상 이 카드의 ②의 효과나 프레데터 플라스트와 연계해 공격 횟수를 늘리는 게 중요하다. 융합 소재로 쓰며 ②의 효과로 카운터를 놓고, 융합 회수 등의 카드로 패로 회수해 효과 발동을 노릴 수 있다.

②의 효과는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지면 상대의 특수 소환된 몬스터 전부에게 포식 카운터를 놓는 효과. 프레데터 플랜츠 메인 덱 몬스터 중 한 번에 가장 많은 카운터를 놓을 수 있는 카드다. 상대에 의해 전투로 파괴되는 것은 물론 융합, 링크 등의 소재가 됐을 때도 놓을 수 있다. 다만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져야 하므로 소환권이나 추가 전개 카드를 소비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원작 사용자가 같은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과의 궁합이 좋은 편으로, 상대 필드에 특수 소환된 고타점 몬스터가 많다면 이 카드를 소재로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을 융합 소환해 포식 카운터를 얹은 후, 공격력을 높인 스타브 베놈에게 연속 공격 능력을 부여해 상대 몬스터를 전멸시키고 높은 데미지를 줄 수 있다.

원작에서도 106화에서 유리가 2장을 써서 필드에 소환된 1장째로 상대 필드 몬스터에 포식 카운터를 얹고, 패에 있던 2장째의 효과로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에게 연속 공격 능력을 줘 5명을 원턴킬했다. 애니메이션에선 ①의 효과가 "포식 카운터가 놓여진 모든 상대 몬스터를 공격해야 한다"란 공격 강제형 효과였기에 직접 공격 후에 추가타를 가하는 것이 가능했으며 ②의 효과는 포식 카운터에 의한 레벨 변동은 없었다.

모티브는 오징어+끈끈이주걱. 이름의 드로세라(Drosera)는 끈끈이주걱의 학명이다. 한글판은 스퀴드 부분을 스[7]로 오역해버렸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인베이전 오브 베놈 INOV-KR008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부스터 SP 퓨전 엔포서즈 SPFE-KR008 노멀
노멀 패러렐 레어
한국
INVASION OF VENOM INOV-JP008 노멀 일본 세계 최초 수록
ブースターSP -フュージョン・エンフォーサーズ- SPFE-JP008 노멀
노멀 패러렐 레어
일본
Invasion: Vengeance INOV-EN008 노멀 미국 미국 최초 수록
Fusion Enforcers FUEN-EN008 슈퍼 레어 미국
2017 Mega-Tin Mega Pack MP17-EN133 노멀 미국

4.2.3. 프레데터 플랜츠 썬듀 킨지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293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프레데터 플랜츠 썬듀 킨지,
일어판명칭=<ruby>捕食植物<rp>(</rp><rt>プレデター・プランツ</rt><rp>)</rp></ruby>サンデウ・キンジー,
영어판명칭=Predaplant Chlamydosundew,
속성=어둠,
레벨=2,
공격력=600,
수비력=200,
종족=식물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이 융합 소재로 하는 포식 카운터가 놓여진 몬스터의 속성은 어둠 속성으로 취급한다.,
효과2=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어둠 속성의 융합 몬스터 카드에 기재된\, 필드의 이 카드를 포함하는 융합 소재 몬스터를 자신의 패 / 필드 및 상대 필드의 포식 카운터가 놓여진 몬스터 중에서 골라 묘지로 보내고\, 그 융합 몬스터 1장을 엑스트라 덱에서 융합 소환한다.)]
자체 융합 효과를 가진 프레데터 플랜츠. 유사 초융합의 효과가 내장됐다. 포식 카운터가 놓인 상대 몬스터만 소재로 삼을 수 있단 점은 아쉽지만, 패 융합도 가능하니 적절한 상대 몬스터가 없어도 융합 카드를 대체할 수 있다. 참고로 포식 카운터만 얹혀 있다면 몇 장이든 소재로 쓸 수 있어서 상대 필드에 포식 카운터가 얹힌 몬스터가 2장 있다면 2장 모두 잡아먹고 트리피오베루툼 같은 걸 융합 소환할 수도 있다.

①의 효과에 의해 포식 카운터가 놓인 몬스터의 속성은 전부 어둠 속성이 된다. 때문에 상대 몬스터를 소재로 하면 키메라플레시아나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을 소환할 수 있다.

순수 프레데터 플랜츠 덱 외에도 용병으로 출장 나가는 경우가 있다. 뽑을 수 있는 프레데터 플랜츠 융합 몬스터들의 효과가 괜찮고[8] 효과의 범용성이 높아서 일반 소환권이나 어드밴티지가 남는 덱에서 날빌을 세우거나 화력을 높이는 데 쓰인다. 이런 활용도는 메인덱 몬스터인 킨지보다는 링크 몬스터인 아나콘다가 더 자주 사용됐으나 금지를 먹은 이후 다시 한번 썬듀 킨지의 채용 가치가 생겼다.

모티브는 끈끈이주걱 + 목도리도마뱀. 썬듀(Sundew)라는 끈끈이지옥의 영명과 목도리도마뱀(Chlamydosaurus kingi)의 종명에서 따 왔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부스터 SP 퓨전 엔포서즈 SPFE-KR005 슈퍼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듀얼리스트 팩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5- DP22-KR051 노멀 한국
ブースターSP -フュージョン・エンフォーサーズ- SPFE-JP005 슈퍼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デュエリストパック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5- DP22-JP051 노멀 일본
Fusion Enforcers FUEN-EN005 시크릿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Legendary Duelists: Immortal Destiny LED5-EN051 노멀 미국

4.3. 레벨 3

4.3.1. 프레데터 플랜츠 프테로펜테스

파일:捕食植物プテロペンテ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프레데터 플랜츠 프테로펜테스,
일어판 명칭=<ruby>捕食植物<rp>(</rp><rt>プレデター・プランツ</rt><rp>)</rp></ruby>プテロペンテス,
영어판 명칭=Predaplant Pterapenthes,
레벨=3, 속성=어둠, 종족=식물족, 공격력=300, 수비력=2100,
효과1=①: 이 카드가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주었을 때\,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에 포식 카운터를 1개 놓는다. 포식 카운터가 놓여진 레벨 2 이상의 몬스터 레벨은 1이 된다.,
효과2=②: 1턴에 1번\, 이 카드의 레벨 이하의 레벨을 가지는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컨트롤을 엔드 페이즈까지 얻는다.)]
①의 효과는 전투 데미지를 주면 포식 카운터를 얹는 효과. 하지만 공격력이 워낙 낮아서 쓰기 어렵다. 뒷면 표시로 세트한 뒤 하급 몬스터는 튕겨내는 수비력으로 데미지를 주는 방법도 있지만, 높은 공격력의 몬스터를 소환하기 쉬운 현황에선 노리기 어려운 방법이다.

사실상 메인은 ②의 효과인데, 조건부로 상대 몬스터 1장을 엔드 페이즈까지 뺏을 수 있다. 기본적으로 레벨 3 이하의 몬스터의 컨트롤을 빼앗는데 쓰이며, 포식 카운터가 얹혀 레벨이 내려간 최상급 몬스터를 뺏을 수도 있다. 당연히 레벨이 없는 엑시즈 / 링크 몬스터는 못 뺏는다. 엔드 페이즈까지란 턴 제약이 있지만, 뺏어와도 포식 카운터는 여전히 얹혀 있기에 쓸 만큼 쓰고 드로소필룸 히드라의 효과로 탈취한 몬스터를 릴리스해 소환할 수 있다.

모티브는 프테라노돈 + 네펜데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부스터 SP 퓨전 엔포서즈 SPFE-KR003 노멀
노멀 패러렐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ブースターSP -フュージョン・エンフォーサーズ- SPFE-JP003 노멀
노멀 패러렐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Fusion Enforcers FUEN-EN003 슈퍼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4.3.2. 프레데터 플랜츠 오프리스 스콜피오

파일:捕食植物オフリス・スコーピオ.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프레데터 플랜츠 오프리스 스콜피오,
일어판명칭=<ruby>捕食植物<rp>(</rp><rt>プレデター・プランツ</rt><rp>)</rp></ruby>オフリス・スコーピオン,
영어판명칭=Predaplant Ophrys Scorpio,
속성=어둠,레벨=3,공격력=1200,수비력=800,종족=식물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패에서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프레데터 플랜츠 오프리스 스콜피오" 이외의 "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는 출중한 편으로 일반 소환 / 특수 소환 성공시 패의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덱에서 자신 이외의 프레데터 플랜츠를 특수 소환해 준다. 기본적으론 자체 융합 효과를 가진 썬듀 킨지를 불러와 융합하는 용도로 쓸 수 있으며, 융합 소재를 쉽게 필드에 모아주니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을 뽑기도 좋다. 패 코스트로는 묘지에서도 효과를 쓸 수 있는 드로소필룸 히드라를 보내고 덱에서 스피노 디오네아나 플라이 헬을 특수 소환하면 상대 몬스터 하나를 제거하면서 몬스터를 3장이나 전개할 수 있게 된다. 서치나 특수 소환 능력이 부족하던 프레데터 플랜츠에겐 매우 좋은 지원 카드.

이 카드 3장과 달링 코브라 1~2장만 채용해 용병으로 자주 불려갔다. 둘 다 레벨 3이라 랭크 3 엑시즈 소환이 가능하고, 달링 코브라의 융합 / 퓨전 마법 카드들을 확정 서치해 전개를 이어나가는 방식. 식물 링크에서 인스턴트 퓨전을 서치해 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를 소환하는 패트랩 대처 콤보로 사용되기도 했다.

이러한 콤보 때문에 OCG에서 2018년 4월에 제한 카드가 됐다. 이후 2019년 10월에 준제한이 됐다가 2020년 4월에 다시 제한 카드가 됐다. 이후 4년이 지난 2024년 7월에 무제한으로 풀렸다. 마스터 듀얼에서도 이 인스턴트 퓨전과의 시너지 때문에 한때 준제한에 올랐다가, 마듀에서 인퓨가 금지로 가면서 2024년 1월에 무제한으로 풀렸다.

모티브는 오프리스 + 전갈. 오프리스속(Ophrys)은 암컷 벌로 위장해 꽃가루를 옮기는 난초의 일종으로, 국명으로는 흑란/거울난초라고 불린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맥시멈 크라이시스 MACR-KR009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어드밴스드 이벤트 팩 2019 Vol.2 AE14-KR009 슈퍼 레어 한국
MAXIMUM CRISIS MACR-JP009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トーナメントパック 2019 Vol.3 19TP-JP309 노멀 일본
Maximum Crisis MACR-EN009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OTS Tournament Pack 6 OP06-EN016 노멀 미국
Duel Power DUPO-EN066 울트라 레어 미국

4.3.3. 프레데터 플랜츠 달링 코브라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620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프레데터 플랜츠 달링 코브라,
일어판명칭=<ruby>捕食植物<rp>(</rp><rt>プレデター・プランツ</rt><rp>)</rp></ruby>ダーリング・コブラ,
영어판명칭=Predaplant Darlingtonia Cobra,
속성=어둠, 레벨=3, 공격력=1000, 수비력=1500, 종족=식물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효과는 듀얼 중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의 효과로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융합" 마법 카드나 "퓨전" 마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의 효과로 특수 소환에 성공하면 덱에서 싱크로 퓨저니스트 같이 융합 / 퓨전 마법 카드를 서치해준다. 오프리스 스콜피오나 코디셉스, 혹은 암블로메리두스의 효과로 특수 소환해 효과를 쓸 수 있으며, 융합 몬스터인 키메라플레시아에 비해 발동 타이밍이 빨라 좀 더 원활하게 융합 소환할 수 있게 해준다. 오프리스 스콜피오의 효과로는 주로 자체 융합 효과를 가진 썬듀 킨지를 가져올 테니 묘지에서 살려올 수 있는 코디셉스와 함께 쓰는 게 좋을 듯하다. 다만 듀얼 중에 1번밖에 발동할 수 없기에 타이밍을 잘 재가면서 쓰는 게 좋다.

오프리스 스콜피오와 같이 서치용 용병으로 쓰였다. 보통 서치하는 카드는 인스턴트 퓨전이나 브릴리언트 퓨전. 하지만 스콜피오는 덱에서만 특수 소환해오기에 패에 같이 잡힌다면 그대로 말림 패가 된다. 용병이 아닌 순수 프플 덱 입장에서도 코브라가 패에 잡히면 코디셉스의 효과를 쓰는 것 말고는 방법이 없다.

모티브는 코브라릴리 + 코브라. 이름의 달링은 식충식물 코브라릴리의 학명 Darlingtonia californica의 속명에서 따온 것이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맥시멈 크라이시스 MACR-KR010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MAXIMUM CRISIS MACR-JP010 노멀 일본 세계 최초 수록
Maximum Crisis MACR-EN010 노멀 미국 미국 최초 수록

4.4. 레벨 4

4.4.1. 프레데터 플랜츠 모레이 네펜테스

파일:捕食植物モーレイ・ネペンテ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프레데터 플랜츠 모레이 네펜테스,
일어판 명칭=<ruby>捕食植物<rp>(</rp><rt>プレデター・プランツ</rt><rp>)</rp></ruby>モーレイ・ネペンテス,
영어판 명칭=Predaplant Moray Nepenthes,
레벨=4, 속성=어둠, 종족=식물족, 공격력=1600, 수비력=1000,
효과1=①: 이 카드의 공격력은\, 필드의 포식 카운터의 수 × 200 올린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그 파괴한 몬스터를 장착 카드로 취급하여 이 카드에 장착한다.,
효과3=③: 1턴에 1번\, 이 카드의 효과로 장착하고 있는 몬스터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하고\, 그 원래의 공격력만큼만 자신의 LP를 회복한다.)]
①의 효과는 포식 카운터의 수에 따른 파워 업. 하나만 있어도 하급 어태커 수준은 된다. 포식 카운터는 손쉽게 여러 개 쌓고 유지하는 카운터가 아니라 높은 공격력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②③의 효과에 의해 전투로 파괴한 몬스터를 장착하고 LP 회복도 노릴 수 있지만, 공격력이 높지 않아 몬스터를 파괴하기도 어렵고 얻는 효과도 라이프 회복이라 너무 수수하다. 사실상 채용 가치가 없는 수준.

모티브는 곰치(Moray) + 네펜데스.

파일:모레이1.gif파일:모레이2.gif
이렇게 실용성은 없지만 애니메이션에서 등장할 때의 기묘하면서도 앙증맞은 움직임 덕분에 프레데터 플랜츠 카드군의 아이돌 카드라 불리기도 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인베이전 오브 베놈 INOV-KR007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부스터 SP 퓨전 엔포서즈 SPFE-KR007 노멀
노멀 패러렐 레어
한국
INVASION OF VENOM INOV-JP007 노멀 일본 세계 최초 수록
ブースターSP -フュージョン・エンフォーサーズ- SPFE-JP007 노멀
노멀 패러렐 레어
일본
Invasion: Vengeance INOV-EN007 노멀 미국 미국 최초 수록
Fusion Enforcers FUEN-EN007 슈퍼 레어 미국
2017 Mega-Tin Mega Pack MP17-EN132 노멀 미국

4.4.2. 프레데터 플랜츠 스피노 디오네아

파일:捕食植物スピノ・ディオネア.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프레데터 플랜츠 스피노 디오네아,
일어판명칭=<ruby>捕食植物<rp>(</rp><rt>プレデター・プランツ</rt><rp>)</rp></ruby>スピノ・ディオネア,
영어판명칭=Predaplant Spinodionaea,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1800,
수비력=0,
종족=식물족,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에 포식 카운터를 1개 놓는다. 포식 카운터가 놓여진 레벨 2 이상의 몬스터 레벨은 1이 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이 카드의 레벨 이하의 레벨을 가지는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한 데미지 계산 후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프레데터 플랜츠 스피노 디오네아" 이외의 "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하급 어태커. 플라이 헬과 함께 포식 카운터를 쉽게 쌓을 수 있으며, 그런 몬스터를 잡은 뒤 다른 프레데터 플랜츠를 전개해 후속타를 노릴 수 있다. ②의 효과에 횟수 제약이 없어서 스키드 드로세라의 전체 공격 효과와도 잘 맞는 편.

공격력이 1800이라 메인 덱 프레데터 플랜츠 중 원래 공격력이 가장 높지만, 요즘은 공격력 2000을 넘는 몬스터를 전개하기 쉬워져서 어태커로서의 의의는 옅다. 자폭해도 효과는 발동하니 특수 소환을 목적으로 들이박는 것도 고려할 만하다. 썬듀 킨지를 소환하면 이 카드로 카운터를 놓은 상대 몬스터를 융합 소재로 삼아 길동무로 만들 수 있다.

이 카드의 가장 큰 의의는 소환만 하면 능동적으로 포식 카운터를 놓을 수 있단 점. 이전까진 다른 보조 카드 없이 스스로 포식 카운터를 쌓을 수 있는 몬스터는 플라이 헬뿐이었지만, 이 카드의 등장으로 더 쉽게 포식 카운터를 쌓을 수 있게 됐다. 특수 소환에도 대응하기에 론 파이어 블로섬으로 덱에서 부르거나 혹은 증초제, 후술할 프레데터 그래프트로 특수 소환해도 쓸 수 있다.

모티브는 파리지옥의 학명인 디오네아(Dionaea)[9] + 스피노사우루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부스터 SP 퓨전 엔포서즈 SPFE-KR004 노멀
노멀 패러렐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링크 브레인즈 팩 3 LVP3-KR074 노멀 한국
ブースターSP -フュージョン・エンフォーサーズ- SPFE-JP004 노멀
노멀 패러렐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LINK VRAINS PACK 3 LVP3-JP074 노멀 일본
Fusion Enforcers FUEN-EN004 시크릿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4.5. 레벨 5

4.5.1. 프레데터 플랜츠 드로소필룸 히드라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292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프레데터 플랜츠 드로소필룸 히드라,
일어판명칭=<ruby>捕食植物<rp>(</rp><rt>プレデター・プランツ</rt><rp>)</rp></ruby>ドロソフィルム・ヒドラ,
영어판명칭=Predaplant Drosophyllum Hydra,
속성=어둠,
레벨=5,
공격력=800,
수비력=2300,
종족=식물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방법에 의한 특수 소환은 1턴에 1번밖에 할 수 없으며\,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는 자신 또는 상대 필드의 포식 카운터가 놓여진 몬스터 1장을 릴리스했을 경우에 패 / 묘지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필드 / 묘지에 존재할 경우\, 이 카드 이외의 자신 묘지의 "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500 내린다. 이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듀얼링크스=제한됨 1)]

포식 카운터가 얹힌 상대 몬스터 제거 + 특수 소환이란 고성능 효과를 지녔지만, 공격력이 낮아 이 카드 자체로 공세로 돌아서긴 힘들다. 실질적으로는 프레데터 플랜츠 전용 파괴수 역할을 해준다고 생각하면 되고, 강력한 융합 몬스터나 링크 몬스터의 소재로 쓰거나, 높은 수비력을 이용해 벽으로 쓰는 플레이가 필요하다.

특수 소환 효과는 패뿐만 아니라 묘지에서도 발동되기에 포식 카운터를 쌓을 수단만 있으면 1턴에 1번씩 상대 몹을 잡아먹고 부활할 수 있다. 능동적으로 혼자서 포식 카운터를 쌓을 수 있는 플라이 헬이나 스피노 디오네아와 호궁합.

②의 효과는 묘지의 프레데터 플랜츠 1장을 제외해 상대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을 약화시키는 효과. 역시 묘지에 있을 때도 쓸 수 있으므로, 융합 소재로 묘지로 보낸 후 추가로 상대 몬스터를 약화시켜 때려잡을 수도 있다. 상대 턴에도 발동 가능하며, 내려간 공격력이 언제까지란 언급이 없기에 상대 턴에 1번 약화시킨 몬스터를 자신 턴에 다시 약화시킬 수도 있지만 대상 지정이라 내성을 살필 필요가 있고, 제외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지도 않고 묘지 자원을 많이 쓰는 프레데터 플랜츠 덱의 특성상 남발하기엔 금물. 적극적으로 여러 번 쓰기보단 꼭 필요할 때만 쓰는 게 좋다.

원작에서는 이 카드가 묘지에 있을 때 묘지의 몬스터를 제외하는 대신 제외된 몬스터 하나를 묘지로 되돌리고 전투 데미지를 절반으로 하는 효과였다. 131화에선 이 효과로 유리의 전투 데미지를 절반으로 줄여 LP가 0이 되는 사태를 면했으며, 덤으로 그리디 베놈 퓨전 드래곤의 부활 효과로 제외된 원본도 묘지로 되돌려버렸다. 그리고 프레데터 그래프트의 효과로 특수 소환돼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과의 효과 연계로 유고의 클리어윙 싱크로 드래곤을 때려잡는데 공헌했고[10], 결국 132화에서 유고는 유리에게 흡수됐다. 이후에는 이 카드의 레벨이 5라는 점을 활용해, 뺏어먹은 클리어윙과의 콤보로 유야를 밀어붙이기도 했다.

모티브는 드로소필룸 + 히드라.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부스터 SP 퓨전 엔포서즈 SPFE-KR002 슈퍼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듀얼리스트 팩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5- DP22-KR050 노멀 한국
ブースターSP -フュージョン・エンフォーサーズ- SPFE-JP002 슈퍼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デュエリストパック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5- DP22-JP050 노멀 일본
Fusion Enforcers FUEN-EN002 시크릿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Legendary Duelists: Immortal Destiny LED5-EN050 노멀 미국

4.6. 레벨 8

4.6.1. 프레데터 플랜츠 헬리암포링쿠스

파일:헬리암포.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프레데터 플랜츠 헬리암포링쿠스,
일어판 명칭=<ruby>捕食植物<rp>(</rp><rt>プレデター・プランツ</rt><rp>)</rp></ruby>ヘリアンフォリンクス,
영어판 명칭=Predaplant Heliamphorhynchus,
레벨=8, 속성=어둠, 종족=식물족, 공격력=1200, 수비력=24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 필드의 몬스터에 포식 카운터가 놓여 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상대에 의해 파괴되었을 경우\, "프레데터 플랜츠 헬리암포링쿠스" 이외의 자신 묘지의 드래곤족 / 식물족인 어둠 속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최초로 등장한 레벨 8 메인 덱 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

고레벨의 몬스터지만 상대 필드에 포식 카운터가 놓인 몬스터가 있으면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대에게 파괴돼 묘지로 보내질 경우 이 카드 이외에 묘지의 어둠 속성 드래곤족 또는 식물족 몬스터를 부활시키는 유언 효과도 있다. 다만 특수 소환은 아예 카운터가 얹힌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나오는 드로소필룸 히드라나 뱅크셔오우거에 비하면 많이 심심한 편.

이 카드의 추가로 그간 프레데터 플랜츠 덱에서 뽑기 힘들었던 그리디 베놈 퓨전 드래곤을 쉽게 패 융합으로 뽑을 수 있게 됐으며,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이나 드라고스타페리아와 함께 랭크 8 엑시즈 소환도 가능해졌다. 마침 포식 카운터가 쌓여있으면 특수 소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기에 자체적으로 카운터 쌓는 효과를 가진 드라고스타페리아가 있으면 쉽게 패에서 특수 소환해서 엑시즈 소재로 쓸 수 있다. 그러나, 트리안티스의 추가로 이젠 버려지게 되었다. 2번 효과가 그냥 효과로 묘지로 보내지는게 트리거였으면 몰라도...

유언 효과의 범위는 넓어서 기존 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들뿐만 아니라 범용 몬스터들도 살려올 수 있다.

모티브는 헬리암포라속(Heliamphora) + 람포링쿠스(Rhamphorhynchus). 사라세니아에 비하면 포충낭 뚜껑이 작은 것이 특징이라고 한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듀얼리스트 팩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5- DP22-KR046 슈퍼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デュエリストパック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5- DP22-JP046 슈퍼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Legendary Duelists: Immortal Destiny LED5-EN046 슈퍼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5. 효과 몬스터 (펜듈럼)

5.1. 레벨 1

5.1.1. 프레데터 플랜츠 스파이더 오키드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A001C> 파일:V 점프 로고.svg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V점프 동봉 카드(2018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サモン・ソーサレス.jpg
파일:캐로베인.jpg
파일:E・HERO ソリッドマン.jpg
파일:竜魔導の守護者.jpg
1월호 2월호 3월호 4월호
VJMP-JP140
서몬 소서리스
VJMP-JP141
트릭스터 케로베인
VJMP-JP142
엘리멘틀 히어로 솔리드맨
VJMP-JP143
용마도의 수호자
파일:シューティング・ ライザー・ドラゴン.jpg
파일:希望の魔術師.jpg
파일:闇鋼龍 ダークネスメタル.jpg
파일:魔界の警邏課デスポリス.jpg
5월호 6월호 7월호 8월호
VJMP-JP146
슈팅 라이저 드래곤
VJMP-JP147
희망의 마술사
VJMP-JP148
암강룡 암흑 메탈
VJMP-JP149
마계의 경라과 데스폴리스
파일:サイバー・ドラゴン・ネクステア.jpg
파일:シノビネクロ.jpg
파일:コード・ジエネレーター.jpg
파일:ホワイトローズ・ドラゴン.jpg
9월호 10월호 11월호 12월호
VJMP-JP152
사이버 드래곤 넥스테아
VJMP-JP153
시노비네크로
VJMP-JP154
코드 제너레이터
VJMP-JP155
화이트 로즈 드래곤
정기구독 특전
VJMP-JP144 EM 클레이브레이커
VJMP-JP145 퍼니멀 엔젤
VJMP-JP150 프레데터 플랜츠 스파이더 오키드
VJMP-JP151 데스완구 마이스터
}}}}}}}}} ||
← 2017년2019년 →

파일:捕食植物スパイダー・オーキッド.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 명칭=프레데터 플랜츠 스파이더 오키드,
일어판 명칭=<ruby>捕食植物<rp>(</rp><rt>プレデター・プランツ</rt><rp>)</rp></ruby>スパイダー・オーキッド,
영어판 명칭=Predaplant Spider Orchid,
레벨=1, 속성=어둠, 종족=식물족, 공격력=0, 수비력=0, P스케일=8,
P효과외1=이 카드명의 펜듈럼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P효과1=①: 이 카드를 발동한 턴의 자신 메인 페이즈에\, 이 카드 이외의 마법 & 함정 존의 앞면 표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외1=이 카드명의 몬스터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한 턴의 엔드 페이즈에\, 패에서 식물족 몬스터 1장을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4 이하의 식물족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모티브는 난초 + 거미.[11]

펜듈럼 효과는 발동한 턴의 메인 페이즈에 자신을 제외한 마/함 존의 앞면 표시 카드 1장을 파괴하는 효과. 세트 카드는 부술 수 없지만 프레데터 플랜츠에 없었던 마/함 견제라는 점은 쓸만하다. 자신 필드의 카드도 지정할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해 자신의 다른 펜듈럼 존의 카드를 파괴하는 식의 플레이도 가능하고, 스케일도 8로 높아서 선전하는 편이지만 문제는 메인 몬스터 효과.

몬스터 효과는 일반소환/특수소환 된 엔드 페이즈에 패의 식물족 1장을 버리고 덱에서 레벨 4이하의 식물족을 서치해오는 효과지만 제한인 오프리스 스콜피오 대용으로 쓰기엔 너무나도 부족하다. 패 코스트 수는 같지만 종족 제한이 달린 데다, 발동 타이밍이 소환된 턴 엔드 페이즈라 오프리스 스콜피오에 비해 한참 느린 건 둘째 치고, 스탯이 낮은 이 카드를 소환하고 융합 소재 등으로 소비하지 않고 남겨둬야 쓸 수 있는 데다 그마저도 오프리스 스콜피오 같이 특수 소환이 아니라 패에 넣는 효과라 쓰기 힘들다. 레벨 1이라 원 포 원으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단 게 그나마 위안.

원래는 프레데터 플랜츠에 스케일 0인 펜듈럼 몬스터가 없었기에 엑스트라 덱으로 간 이 카드를 재활용하기도 힘들었으나 아래의 부폴리큘라가 추가됨에 따라 엑스트라 덱으로 간 이 카드를 펜듈럼 소환하여 재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프리미엄 팩 Vol.14 2nd Wave PP14-KRB16 슈퍼 레어
노멀 패러렐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링크 브레인즈 팩 3 LVP3-KR075 노멀 한국
V점프 정기구독특전 2018년 가을 VJMP-JP150 울트라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LINK VRAINS PACK 3 LVP3-JP075 노멀 일본
Duel Power DUPO-EN035 울트라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5.1.2. 프레데터 플랜츠 부포리큘라

파일:捕食植物ブフォリキュラ.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펜듈럼=,
한글판명칭=프레데터 플랜츠 부포리큘라,
일어판명칭=<ruby>捕食植物<rp>(</rp><rt>プレデター・プランツ</rt><rp>)</rp></ruby>ブフォリキュラ,
영어판명칭=Predaplant Bufolicula,
속성=어둠,
레벨=1,
공격력=0,
수비력=0,
종족=식물족,
P스케일=0,
P효과외1=이 카드명의 펜듈럼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P효과1=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필드에서\, 어둠 속성 융합 몬스터 카드에 기재된 융합 소재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고\, 그 융합 몬스터 1장을 엑스트라 덱에서 융합 소환한다.,
효과외1=이 카드명의 몬스터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융합 소환의 소재가 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또는 엑스트라 덱에 앞면 표시로 넣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서 "프레데터 플랜츠 부포리큘라" 이외의 앞면 표시의 어둠 속성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디멘션 포스에서 추가된 스케일 0의 펜듈럼 몬스터. 덕분에 위의 스파이더 오키드도 펜듈럼 소환이 가능해졌다.

펜듈럼 효과는 어둠 속성 제한이 걸린 융합 소환 효과로, 달링 코브라 외에 첫 번째로 사용할 융합의 서치가 힘들었던 프플에게 일소권을 쓰지 않고도 융합을 할 수 있게 해준다.

몬스터 효과는 융합 소환의 소재로 쓰여 묘지로 보내지거나 엑덱에 넣어졌을 경우에 엑덱에서 자신 외의 앞면 표시의 어둠속성 펜듈럼 몬스터를 샐비지 해주는 효과. 다른 프레데터 플랜츠 펜듈럼 몬스터를 샐비지하여 전개를 도울 수도 있으며 어둠 속성이기만 하면 되기에 다른 용병 몬스터들도 채용할 수 있다.

카드명의 유래는 두꺼비의 속명(Bufo)과 기간트 세팔로투스에도 쓰였던 통발 세팔로투스속의 종명(Cephalotus follicularis).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DIMENSION FORCE DIFO-JP018 노멀 일본 세계 최초 수록

5.2. 레벨 8

5.2.1. 프레데터 플랜츠 트리안티스

파일:捕食植物トリアンティ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펜듈럼=,
한글판명칭=프레데터 플랜츠 트리안티스,
일어판명칭=<ruby>捕食植物<rp>(</rp><rt>プレデター・プランツ</rt><rp>)</rp></ruby>トリアンティス,
영어판명칭=Predaplant Triantis,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2400,
수비력=1000,
종족=식물족,
P스케일=8,
P효과1=①: 이 카드가 펜듈럼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이 어둠 속성 융합 몬스터를 융합 소환할 경우\, 자신의 펜듈럼 존에 존재하는 융합 소재 몬스터도 필드의 몬스터로서 융합 소재로 사용할 수 있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융합 소환의 소재가 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또는 엑스트라 덱에 앞면 표시로 넣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몬스터의 수까지\, 필드의 몬스터를 고른다. 그 몬스터에 포식 카운터를 1개씩 놓는다. 포식 카운터가 놓여진 레벨 2 이상의 몬스터 레벨은 1이 된다.)]
위의 부포리큘라와 함께 세트로 등장한 펜듈럼 몬스터. 스파이더 오키드와 같은 스케일 8의 펜듈럼 몬스터로 레벨 7인 스타브 베너미 드래곤도 재활용 가능하게 해준다.

펜듈럼 효과는 펜듈럼 퓨전이나 EM 오드아이즈 디졸버처럼 펜듈럼 존의 몬스터로도 융합 소환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 다만 저 둘과 달리 이 카드 자체에 융합하는 효과까진 없는 점에 주의. 프레데터 플랜츠는 어차피 융합할 수단이 많기 때문에 이 카드를 그냥 세팅해놓기만 해도 펜듈럼 존의 이 카드를 바로 융합 소재로 쓸 수 있어 필드의 몬스터만 소재로 쓸 수 있는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이나 트리피오 벨툼의 소환 난이도를 내려준다. 짝으로 나온 부포리큘라와 함께 세팅해놓으면 곧바로 펜듈럼 존의 이 2장으로 융합몹을 부를 수도 있다.

몬스터 효과는 융합 소환의 소재가 되어 묘지 또는 엑스트라 덱에 앞면 표시로 보내졌을 경우 자신 필드의 몬스터의 수 까지 필드의 몬스터에 포식 카운터를 얹는 효과. 고르고 놓는 거라 대상 지정 내성이 있는 몬스터에게도 얹을 수 있는 게 장점. 프레데터 플래닝과 마찬가지로 자신의 몬스터에게도 놓을 수 있다.

그 외에 레벨이 8이기에 그리디 베놈 퓨전 드래곤의 융합 소재로 쓸 수 있는 것도 소소한 장점이다. 이전에도 레벨 8의 프레데터 플랜츠로는 헬리암포링쿠스가 있긴 했지만 포식 카운터가 없는 상태에서 패에 잡히면 꽤 무거운 몬스터였기에 패에 잡혀도 마법 카드처럼 쓸 수 있는 이 카드의 가치는 상당히 높다.

모티브는 트리안타속(Triantha occidentalis)의 속명과 맨티스, 특히 스파이더 오키드와 연관지어 난초사마귀로 보인다. 또한 트리안타속은 2021년에 줄기로 곤충을 유인하는 식충식물이라는 것이 밝혀진 식물이기도 하다.

6. 융합 몬스터

6.1. 레벨 5

6.1.1. 프레데터 플랜츠 암불로메리두스

파일:捕食植物アンブロメリドゥ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융합=,
한글판명칭=프레데터 플랜츠 암불로메리두스,
일어판명칭=<ruby>捕食植物<rp>(</rp><rt>プレデター・プランツ</rt><rp>)</rp></ruby>アンブロメリドゥス,
영어판명칭=Predaplant Ambulomelides,
속성=어둠,
레벨=5,
공격력=1000,
수비력=2500,
종족=식물족,
소재="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 × 2,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융합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 / 묘지의 카드 및 자신의 엑스트라 덱의 앞면 표시 펜듈럼 몬스터 중에서\, "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 1장 또는 "프레데터"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상대 필드의 포식 카운터가 놓여진 몬스터 또는 자신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덱에서 "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드디어 나온 인스턴트 퓨전으로 부를 수 있는 레벨 5의 융합 몬스터. 소재도 널널한데다가 효과도 둘 다 준수하다.

①의 효과는 융합 소환 성공 시 덱/묘지는 물론 엑덱의 앞면표시 펜듈럼 몬스터 중에서 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나 프레데터 마법 함정 1장을 패에 넣을 수 있는 고성능 서치 효과. 인스턴트 퓨전 역시 융합 소환으로 취급해 소환하기에 당연히 이 효과를 사용할 수 있으며 서치 범위가 굉장히 넓은 만큼 비브리스프와 마찬가지로 필수 서치 요원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재활용이 거의 불가능한 마법 / 함정 카드를 샐비지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주로 낙인 카드들과 신규 융합 몬스터의 추가로 활용도가 올라간 프레데터 플래닝을 확정적으로 서치하는데에 쓰인다. 이미 잡혔다면 전개에 필요한 몬스터를 가져오도록 하자.

②의 효과는 자신 필드의 몬스터 또는 포식 카운터가 얹힌 상대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덱에서 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하는 효과. 덱 특소의 강력함이야 말할 필요가 없고 코스트로 포식 카운터가 얹힌 상대 몬스터도 릴리스 할 수 있기에 상대 몹 하나를 제거하며 자신은 덱에서 몬스터를 불러오는 상황을 만들 수도 있다. 다만 릴리스는 코스트가 아니라 효과라서 대상 지정 내성 보유 효과는 씹을 수 없다. 제한된 오프리스 스콜피오를 대신해 달링 코브라를 불러내 추가 전개를 하는 것도 가능.

효과도 효과지만, 인스턴트 퓨전으로 간편하게 튀어나오는 만큼 드라고스타페리아나 스타브 베놈 프레데터 등 융합 몬스터를 소재로 요구하는 몇몇 융합 몬스터를 부르는 게 훨씬 편해졌다.

모티브는 고래의 조상격 생물인 암불로케투스파에팔란투스속의 종명(Paepalanthus bromelioides). 꽤 마이너한 식충식물로, 이 식물을 식충식물로 분류해야 하는지 논쟁이 있었다고 한다.

6.2. 레벨 7

6.2.1. 프레데터 플랜츠 키메라플레시아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293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융합=,
한글판명칭=프레데터 플랜츠 키메라플레시아,
일어판명칭=<ruby>捕食植物<rp>(</rp><rt>プレデター・プランツ</rt><rp>)</rp></ruby>キメラフレシア,
영어판명칭=Predaplant Chimerafflesia,
속성=어둠,레벨=7,공격력=2500,수비력=2000,종족=식물족,
소재="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 + 어둠 속성 몬스터,
효과1=①: 1턴에 1번\, 이 카드의 레벨 이하의 레벨을 가지는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제외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상대의 앞면 표시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하는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턴 종료시까지\, 그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은 1000 내리고\, 이 카드의 공격력은 1000 올린다.,
효과3=③: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다음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융합" 마법 카드 또는 "퓨전" 마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 원작 효과 ]
파일:PredaplantChimerafflesia-JP-Manga-AV-NC.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융합=,
한글판명칭=프레데터 플랜츠 키메라플레시아,
일어판명칭=<ruby>捕食植物<rp>(</rp><rt>プレデター・プランツ</rt><rp>)</rp></ruby>キメラフレシア,
영어판명칭=Predator Plant Chimera Rafflesia,
속성=어둠,레벨=7,공격력=2500,수비력=2000,종족=식물족,
소재=식물족 몬스터 × 2,
효과1=이 카드의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턴 종료시까지\, 공격 대상이 되는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을 원래 공격력으로 되돌리고\, 그 공격력의 차이만큼 이 카드의 공격력을 올린다.)]
프레데터 플랜츠라 칭해지는 몬스터를 본뜬 필드 파츠.
구멍에 빠진 것은 먹혀 사라져버리는 듯하지만, 이번에는 다시 빼낼 수 있는 것 같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 필드 파츠 플레이버 텍스트
OCG화되면서 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 + 어둠 속성 몬스터로 소재 조건이 완전히 바뀌어서 펜듈럼 퓨전으로 원작 재현은 불가능해졌다. 대신 원작에선 없었던 ①③의 효과가 추가됐다.

①의 효과는 필드의 레벨 7 이하의 몬스터를 코스트 없이 제외할 수 있고, 제외 이후 어떠한 공격의 제약도 없다. 다만 레벨 8 이상 혹은 엑시즈 / 링크 몬스터에겐 안 먹히고, 저레벨 몬스터도 이런 몬스터를 소환하기 위한 포석으로 필드에 머물러 있는 게 적으니, 고레벨의 경우엔 포식 카운터를 잘 올려서 처리해야 할 것이다.

②의 효과는 가가가 간맨의 융합 몬스터 버전. 원작에선 '이 카드가 배틀할 때,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은 원래 수치가 되고 그만큼 이 카드의 공격력을 (배틀이 끝날 때까지) 올린다' 였는데, 작중에선 공격력 3200의 데스토이 시저 베어를 공격력 2200으로 만들고 변화된 수치인 1000만큼 이 카드의 공격력을 올렸고, 그게 OCG 효과에 반영됐다. 사실상 공격력 4500 미만의 몬스터는 전투로 전부 처리할 수 있다.

③의 효과는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진 턴의 다음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이라 비슷한 효과들이 SNo.39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에 맥을 못추는데 비해 이 카드는 안심하고 효과를 발동할 수 있으며, 다양한 융합, 퓨전 마법 카드를 가져올 수 있어 후속 전개에 도움이 된다. 사이버 다크 덱에서도 용병으로 채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사이버 다크 클로를 장비한 몬스터로 전투를 실행할 때 이 카드를 덤핑하면 다음 스탠바이 페이즈에 오버로드 퓨전 카드를 서치할 수 있으므로 클로의 덤핑&퓨전 서치용으로 채용이 된다.

인스턴트 퓨전-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등 제압력, 견제력이 우수한 어둠 속성 몬스터들을 채용함으로써 운용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성능이 괜찮은 썬듀 킨지와 함께 다른 덱에 용병으로 갈 수도 있다.

강력한 제거 효과+우수한 전투력+후속 전개 보조+쉬운 소환 조건으로 인해 사실상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을 제외한 프레데터 플랜츠의 진 에이스. 필드 융합이 강제되는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보다도 자주 튀어나온다.

드래그마의 엑스트라 덱 덤핑 효과에 연계하거나 카운터하는 목적으로 초융합을 서치하는 용도로 채용되기도 한다.

원작은 유희왕 ARC-V 코믹스 9화에서 사카키 유우야의 몸을 빌린 유리시운인 소라와의 듀얼 중 사용. 펜듈럼 퓨전의 효과로 EM 바라드, EM 바라쿠다[12]를 융합하여 융합 소환되었다. EM 핸사무라이거를 장착한 데스완구 시저 베어를 원래 공격력으로 되돌리고, 그 수치인 1000만큼 공격력을 올려 전투로 파괴했다. 다음 턴 데스완구 데어데블의 공격에 파괴되었다.

이때 미남형 몬스터인 바라드랑 바라쿠다를 소재로 한 것을 보고 "꽃미남과 꽃미남이 융합하면...!"이라고 기대한 유즈를 저버리고 이 몬스터가 나와 네타가 됐다.꽃이긴 하다 전혀 안 어울리는 것들끼리 융합할 때 뜬금없이 키메라플레시아가 나오는 식.

공격명은 '서포트 손([ruby(紫炎の棘, ruby=サポート・ソーン)])'.

모티브는 키메 + 플레시아.

공교롭게도 유리가 사용하는 스타브 베너미 드래곤과 공격력 / 수비력이 같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ブースターSP -フュージョン・エンフォーサーズ- SPFE-JP009 슈퍼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LINK VRAINS PACK 3 LVP3-JP072 레어 일본
Fusion Enforcers FUEN-EN009 시크릿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부스터 SP 퓨전 엔포서즈 SPFE-KR009 슈퍼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링크 브레인즈 팩 3 LVP3-KR072 레어 한국

6.3. 레벨 8

6.3.1. 프레데터 플랜츠 드라고스타페리아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A001C> 파일:V 점프 로고.svg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V점프 동봉 카드(2017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3170_1.jpg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4049_1.jpg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6569_1.jpg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9269_1.jpg
1월호 2월호 3월호 4월호
VJMP-JP124
프레데터 플랜츠 드라고스타페리아
VJMP-JP125
파괴룡 간드라-기가 레이즈
VJMP-JP126
앤틱 기어 골렘-얼티미트 파운드
VJMP-JP127
DDD 열화대왕 이그제큐티브 테무진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50590_1.jpg
파일:リンク・ディサイプル.jpg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56356_1.jpg
5월호 6월호 7월호 8월호
VJMP-JP130
사이버스 가제트
VJMP-JP131
프록시 드래곤
VJMP-JP132
링크 디사이플
VJMP-JP133
V-LAN 히드라
파일:사이버스컨버터.jpg
파일:六武衆の真影.jpg
파일:サブテラーの導師.jpg
파일:セキュリティ・ドラゴン.jpg
9월호 10월호 11월호 12월호
VJMP-JP136
사이버스 컨버터
VJMP-JP137
여섯 무사의 진영
VJMP-JP138
서브테러의 도사
VJMP-JP139
시큐리티 드래곤
정기구독 특전
VJMP-JP128 EM 카드 가드너
VJMP-JP129 에지임프 코튼 이터
VJMP-JP134 화이트 스팅레이
VJMP-JP135 DDD 초시왕 제로 맥스웰
}}}}}}}}} ||
← 2016년2018년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317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융합=,
한글판명칭=프레데터 플랜츠 드라고스타페리아,
일어판명칭=<ruby>捕食植物<rp>(</rp><rt>プレデター・プランツ</rt><rp>)</rp></ruby>ドラゴスタペリア,
영어판명칭=Predaplant Dragostapelia,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2700, 수비력=1900, 종족=식물족,
소재=융합 몬스터 + 어둠 속성 몬스터,
효과1=①: 자신 / 상대 턴에 1번\,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에 포식 카운터를 1개 놓는다. 포식 카운터가 놓여진 레벨 2 이상의 몬스터 레벨은 1 이 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상대가 발동한\, 포식 카운터가 놓여 있는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리미트 레귤레이션
[[리미트 레귤레이션/OCG|
OCG
]]OCG'display:nonTCG=e'>[[리미트 레귤레이션/TCG|
TCG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리미트 레귤레이션/KCG|
KCG
]]KCG'display:non마스터듀얼=e'>[[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
마스터 듀얼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듀얼링크스'display:non리모트듀얼=e'>[[리미트 레귤레이션/TCG#리모트 듀얼 금지 카드|
리모트 듀얼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
러시 듀얼
]]러시듀얼@

V점프 2017년 1월호 부록으로 수록된 프레데터 플랜츠의 융합 몬스터. 프레데터 플랜츠 키메라플레시아에 이어서 두번째이다.

1턴에 1번 프리 체인으로 상대 몬스터에 포식 카운터를 얹는 ①의 유발 즉시 효과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포식 카운터가 놓인 몬스터가 발동한 효과를 무효화하는 ②의 지속 효과가 있는 카드다.

지금까지 나온 포식 카운터를 쌓는 몬스터들은 별도의 서포트가 없으면 자신의 턴에만 카운터를 쌓을 수 있어 상대 전개를 방해하기 어려웠지만, 이 카드는 프리 체인이라 상대가 의식 / 싱크로 / 엑시즈 소환하려 할 때 카운터를 놓아 레벨을 낮춰 소환을 방해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거기다 포식 카운터가 놓힌 몬스터는 효과를 발동하면 그대로 무효화되기에 몬스터 효과도 못 쓰는 애물단지가 된다. 무효화 효과의 경우 이 카드의 효과로 쌓은 게 아니더라도 적용되기에, 플라이 헬이나 스피노 디오네아의 효과로 놓아도 무효화할 수 있다. 특히 스키드 드로세라와는 궁합이 좋은데, 필드의 스키드 드로세라를 소재로 이 카드를 융합 소환하면 그 타이밍에 상대 필드에 존재하는 특수 소환된 몬스터의 효과 발동을 전부 틀어막을 수 있다. 플래닝과 함께하면 순간적인 스킬 드레인을 시전할 수도 있다.

이펙트 뵐러, 무한포영, 금지된 성배와 달리, 상대 몬스터가 필드에서 효과를 발동했지만 효과 처리 시에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지 않는 경우 그대로 통과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발동 효과만 막는 스킬 드레인 판정으로 생각하면 된다.

효과 자체는 이 카드 혼자서도 운용 가능하고 프레데터 플랜츠 덱이라면 더더욱 유용하게 쓰일 테니 나쁘진 않지만, 문제는 저 빡센 소환 조건. 융합 몬스터를 소재로 써야 하기에 키메라플레시아나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보다 소환 난이도가 높다. 키메라플레시아를 소재로 소환하면 다음 턴 서치 효과도 쓸 수 있어 나쁘진 않지만 역시나 융합을 2번이나 해야 하기에 융합 회수 같은 카드라도 있지 않는 한 소환하기 까다롭다. "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 × 2 정도로만 나와줬어도 프레데터 플랜츠 덱에서 쓰기 편했을 것이다.

일단 쓴다면 정규 소환된 융합 몬스터보단 인스턴트 퓨전을 쓰는 게 좋을 것이다. 사우전드 아이즈 새크리파이스와의 궁합은 괜찮은 편으로 상대 몬스터 1장을 제거하면서 이 카드를 융합 소환할 수 있다. 썬듀 킨지나 초융합으로 상대 융합 몬스터를 잡아먹고 나올 수도 있지만, 상대가 융합을 반드시 쓴다는 보장이 없기에 보험 정도로만 생각해둬야 할 듯. 하지만 초마도용기사-붉은 눈의 드라군이 발매되고 너도나도 드라군을 쓰면서 '상대 드라군+메이저 속성인 어둠 속성 몬스터'를 잡아먹고 나올 수 있기에 그 입지가 상승했다. 이후 드라군은 저세상으로 갔지만, 곧바로 똑같은 어둠 속성인 데스티니 히어로 디스트로이 피닉스 가이가 나오면서 똑같은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자신 카드군에서 레벨 5인 암불로메리두스가 나오면서 자체 카드군만으로도 비교적 쉽게 부를 수 있게 되었다.

몇 안 되는 레벨 8 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라, 이 카드군과 간접적으로 연관된 그리디 베놈 퓨전 드래곤의 부활용 코스트로도 쓸 수 있다.

신속한 융합 테마인 퍼니멀의 용병으로도 쓸 수 있다. 데스완구 몬스터들이 대부분이 융합 몬스터고 에지임프는 어둠 속성이니 융합 소재에 알맞다. 그 외에도 낙인융합을 통해 낙인룡 알비온이나 신염룡 루벨리온으로 부를 수도 있다. 그 때문에 데스피아비스테드 등 낙인과 섞어 쓰는 경우가 많은 덱들에서 용병으로 쓰기도 한다.

사실 진짜로 덕을 본건 티아라멘츠 이후로, 기본적으로 덤핑을 통해 키토칼로스를 내고 키토칼로스로 추가 융합몹을 부르는 방식이기 때문에 어둠속성 테마군인 티아라멘츠는 이 카드를 굉장히 잘 뽑기 때문. 이후 현세와 명계의 역전 카드군의 추가로 인해 덤핑이 더욱 쉬워져, 심하면 패유발로 상대턴에 덤핑을 해 이 카드를 뽑는 플레이를 하게 된다. 자세한 내용은 이시즈 티아라멘츠 문서 참조.

모티브는 드래곤 + 그랜디플로라스타펠리아. 뒷목 부분에 희미하지만 별모양의 잎이 있다.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프리미엄 팩 Vol.12 PP12-KR026 시크릿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듀얼리스트 팩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5- DP22-KR053 노멀 한국
V점프 2017년 1월호 부록 카드 VJMP-JP124 울트라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デュエリストパック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5- DP22-JP053 노멀 일본
Soul Fusion SOFU-EN094 노멀 미국 미국 최초 수록
Duel Power DUPO-EN069 울트라 레어 미국
Legendary Duelists: Immortal Destiny LED5-EN053 노멀 미국

6.4. 레벨 9

6.4.1. 프레데터 플랜츠 트리피오베루툼

파일:捕食植物トリフィオヴェルトゥム.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융합=,
한글판명칭=프레데터 플랜츠 트리피오베루툼,
일어판명칭=<ruby>捕食植物<rp>(</rp><rt>プレデター・プランツ</rt><rp>)</rp></ruby>トリフィオヴェルトゥム,
영어판명칭=Predaplant Triphyoverutum,
속성=어둠,레벨=9,공격력=3000,수비력=3000,종족=식물족,
소재=필드의 어둠 속성 몬스터 × 3,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공격력은\, 이 카드 이외의 필드의 포식 카운터가 놓여진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의 합계만큼 올린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융합 소환되어 있을 경우\, 상대가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시기에 발동할 수 있다. 그 특수 소환을 무효로 하고\,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효과3=③: 상대 필드의 몬스터에 포식 카운터가 놓여 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묘지에서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빛의 제너레이드 마르델과 더불어 최고 레벨의 식물족 몬스터로, 모티브는 세계 최대의 식충식물인 트리피오필룸(Triphyophyllum peltatum)+로마신화의 식물의 신 베르툼누스. 디자인 모티브는 드라고스타페리아와 같은 드래곤이나, 이쪽은 상위 계급임을 나타내려는 건지 머리가 3개에 하체의 다리는 4개다.

융합 소재는 패왕권룡 스타브 베놈,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 스타브 베너미 리설도스 드래곤을 연상시키는 필드의 어둠 속성 몬스터 3장인데, 스타브 베놈과는 달리 "토큰 이외"라는 텍스트가 없어서 토큰도 융합 소재로 할 수 있으나, 전개력이 아주 특출나진 않은 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만으론 쉽게 준비하기 어렵다. 그래도 초융합을 쓰면 상대 어둠 속성 몬스터에 대한 강력한 견제 카드가 될 수 있으며, 포식 카운터가 놓인 몬스터를 어둠 속성으로 바꾸고 융합 소재로 쓰게 해 주는 썬듀 킨지나 필드의 몬스터 하나를 어둠 속성으로 바꾸는 아나콘다와의 궁합도 좋으며, 상술했다시피 어둠 속성이기만 하면 토큰도 소재로 할 수 있다는 것 역시 큰 장점이다.

또한 기본 공격력도 3000으로 높은 편인데, ①의 효과에 의해 포식 카운터가 놓인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의 합계만큼 자신의 공격력을 올릴 수 있다. 프레데터 플라스트로 상대 턴에 기습적으로 공격력을 올릴 수도 있다. 다만 포식 카운터를 능동적으로 놓고 유지할 수 있는 카드가 많지 않아 일시적인 강화로 끝나기 쉽다.

②의 효과는 강력한 특수 소환 억제 효과. 융합 소환 등 카드의 발동을 통해 소환하는 소환은 못 막지만, 링크 소환으로 대표되는 수많은 특수 소환들을 1번이라도 틀어막을 수 있어 강력하다. 융합 소환되어 있어야 하므로 프레데터 그래프트 등으로 소생시키는 것으론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③의 효과는 포식 카운터가 놓인 몬스터가 있을 때의 소생 효과. 조건을 맞추는 것 자체는 어렵지 않아 바운스나 제외 따위를 당하지 않는 한 계속해서 소생할 수 있다. 수비 표시로 소환되므로 즉시 전투에 참여할 수는 없고 강력한 ②의 효과도 잃지만, 높은 수비력으로 상대 턴을 견디면 ①의 효과의 도움을 받아 강력한 공격력으로 상대를 압박할 수 있다. 레벨 8 이상의 융합 몬스터이므로 그리디 베놈 퓨전 드래곤이나 드래고스타페리아의 융합 소재가 될 수 있는 점도 유용하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듀얼리스트 팩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5- DP22-KR045 울트라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デュエリストパック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5- DP22-JP045 울트라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Legendary Duelists: Immortal Destiny LED5-EN045 슈퍼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6.5. 레벨 10

6.5.1. 스타브 베놈 프레데터 퓨전 드래곤

7. 링크 몬스터

7.1. 링크 2

7.1.1. 프레데터 플랜츠 베르테 아나콘다

8. 서포트 마법 카드

8.1. 프레데터 플랜터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294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 명칭=프레데터 플랜터,
일어판 명칭=プレデター・プランター,
영어판 명칭=Predaponics,
효과외1=이 카드의 컨트롤러는\,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마다 800 LP를 지불한다. 또는 LP를 지불하지 않고 이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묘지에서 레벨 4 이하의 "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106화에서 유리가 사용. OCG에선 ①의 효과에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란 문장이 추가됐다.

불러내기 가장 좋은 몬스터는 묘지에서 효과를 발동하기에 무효화에 별 영향을 안 받는 스키드 드로세라와 세라세니앤트, 비브리스프로, 융합 소환할 때마다 상대 필드에 특수 소환된 몬스터에게 포식 카운터를 놓거나 프레데터 카드를 서치할 수 있다.

이 카드로 스키드 드로세라 소환→론 파이어 블로섬으로 스키드 드로세라 릴리스(이때 스키드 드로세라 효과로 상대 필드에 포식 카운터를 얹을 수 있다.)→썬듀 킨지를 소환해 상대 몬스터를 융합 소환하거나, 플라이 헬로 안전하게 잡아 먹거나, 모레이 네펜테스로 타점이 증가한 상태로 몬스터를 파괴해 코스트로 줄어든 LP를 회복하거나. 효과가 무효화된 채 특수 소환되는 디메리트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의외로 카드 자체엔 카드명 제약이 없어서, 여러 장을 발동해 놓고 한 턴에 여러 몬스터를 소환할 수도 있다.

효과를 발동할 때마다 LP를 지불하는 게 아닌, 과거의 카드들이나 "계약서" 카드처럼 매 턴마다 LP를 지불해야 한다는 리스크가 있다. 다행히도 자괴라는 선택지도 있기에 쓸만큼 쓰고 자괴시키는 게 좋다.

일러스트엔 스테인드 글라스로 꾸며진 식물원 같은 곳에서 대량의 플라이 헬을 키우고 있다. 원작에서 등장한 마법 카드이기도 한데, 원래 프레데터 플랜츠의 컨셉은 이런 식물원에서 길러지는 포식식물인 듯.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부스터 SP 퓨전 엔포서즈 SPFE-KR011 슈퍼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듀얼리스트 팩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5- DP22-KR054 노멀 한국
ブースターSP -フュージョン・エンフォーサーズ- SPFE-JP011 슈퍼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デュエリストパック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5- DP22-JP054 노멀 일본
Fusion Enforcers FUEN-EN011 시크릿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Legendary Duelists: Immortal Destiny LED5-EN054 노멀 미국

8.2. 프레데터 그래프트

파일:捕食接ぎ木.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 명칭=프레데터 그래프트,
일어판 명칭=<ruby>捕食接ぎ木<rp>(</rp><rt>プレデター・グラフト</rt><rp>)</rp></ruby>,
영어판 명칭=Predapruning,
효과1=①: 자신 묘지의 "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고\, 이 카드를 장착한다. 이 카드가 필드에서 벗어났을 때에 그 몬스터는 파괴된다.)]
'포식접목'이라 쓰고 '프레데터 그래프트'라 읽는다. 131화에서 유리가 드로소필룸 히드라를 특수 소환하는 데 썼다.

프레데터 플랜츠용 노 코스트 성급한 매장. 프레데터 플랜터와 달리 레벨 제약이 없으며 살려온 몬스터의 효과도 무효화되지 않기에, 썬듀 킨지처럼 강력한 효과를 가진 몬스터를 불러와 효과를 쓰거나 키메라플레시아 등의 융합 몬스터를 살려와 공세에 들어갈 수도 있다.

비슷한 효과를 가진 증초제와 달리 프레데터 플랜츠만 살릴 수 있는 데다 지속적으로 필드에 남아 몬스터를 소생시킬 수도 없고 이 카드가 날아가면 소환된 몬스터까지 파괴되지만, 대신 이 카드는 자신이 일반 소환한 턴에도 쓸 수 있으며 "프레데터" 카드군이라 세라세니앤트나 프레데터 플래닛으로 서치할 수 있다. 장착 마법이라 암즈 홀로도 서치할 수 있단 점으로 차별화할 수 있다. 어차피 프레데터 플랜츠 덱이라면 둘 다 들어갈 테니 별 상관 없다.

이상한 기계가 스키드 드로세라를 둘러싸는데, 모종의 실험 비슷한 것을 하는 듯. 줄기 부분에 변화가 생긴 걸 볼 수 있다. 다른 프레데터 플랜츠 혹은 프레데터 플랜츠가 아닌 식물과의 접목실험인 듯.

Predator Plants의 약식인 PP를 의식해 테마내 마법/함정카드의 약식 역시 PP이지만[13], ocg 카드명으로 따지면 이 카드만 유일하게 Pradator Graft로 약식이 PP가 아닌 카드다. tcg에선 이를 의식했는지, graft 대신 '(나무 등의)가지치기'를 뜻하는 pruning을 써서 PP로 약식을 지켰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부스터 SP 퓨전 엔포서즈 SPFE-KR012 노멀
노멀 패러렐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ブースターSP -フュージョン・エンフォーサーズ- SPFE-JP012 노멀
노멀 패러렐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Fusion Enforcers FUEN-EN012 슈퍼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8.3. 프레데터 플라스트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319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프레데터 플라스트,
일어판 명칭=<ruby>捕食生成<rp>(</rp><rt>プレデター・プラスト</rt><rp>)</rp></ruby>,
영어판 명칭=Predaplast,
효과1=①: 패의 "프레데터" 카드를 임의의 수만큼 상대에게 보여주고\, 보여준 수만큼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를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에 포식 카운터를 1개씩 놓는다. 포식 카운터가 놓여진 레벨 2 이상의 몬스터 레벨은 1이 된다.,
효과2=②: 자신의 "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가 전투로 파괴될 경우\, 대신에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할 수 있다.)]
'포식생성'이라 쓰고 '프레데터 플라스트' 라 읽는다.

드디어 나온 포식 카운터를 쌓는 마법 카드. 그것도 속공 마법이라 프리 체인으로 쓸 수 있는 데다 패의 프레데터 카드의 수만큼 쌓을 수 있기에 패만 충분하다면 포식 카운터를 대량으로 쌓을 수가 있다.

지금까진 포식 카운터를 쌓으려면 몬스터 효과에만 의존해야 하는 데다 대량으로 쌓을 수 있는 건 조건이 다소 까다로운 스키드 드로세라뿐이었지만 이 카드 덕에 보다 쉽게 포식 카운터를 쌓아 효과를 쓸 수 있게 됐으며, 속공 마법이라 상대 턴에 발동해 상대의 의식 / 싱크로 / 엑시즈 소환을 방해할 수도 있다. 포식 카운터를 쌓는 효과가 빈약한 프레데터 플랜츠 덱에선 상당히 고마운 카드. 그러나 이제는 프레데터 몬스터를 패에 잔뜩 들고 있을 일이 줄어들었기에, 2번의 견제 효과를 가진 플래닝보단 밀린다.

②의 효과는 묘지에서 제외해 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의 전투 파괴를 막는 효과. 전투 파괴에만 대응하는 게 아쉽지만 파괴 내성이 없는 프레데터 플랜츠에겐 쓸만한 보호 효과다. 특히 1턴에 1번 제약도 없고, 묘지로 보내진 턴에도 즉각적으로 발동이 가능하며 최대 3번까지 막을 수 있는 건 좋은 편.

일러스트는 땅에서 세라세니앤트, 드르소필룸 히드라, 플라이 헬, 모레이 네펜테스, 스키드 드로세라가 튀어나오고 있는 모습. 포식생성이란 카드명에 걸맞은 일러스트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디멘션 세트 DBLE-KR005 울트라 패러렐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듀얼리스트 팩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5- DP22-KR055 노멀 한국
ディメンションボックス -リミテッド・エディション- DBLE-JP005 울트라 패러렐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デュエリストパック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5- DP22-JP055 노멀 일본
Soul Fusion SOFU-EN097 노멀 미국 미국 최초 수록
Battles of Legend: Hero's Revenge BLHR-EN069 울트라 레어 미국
Legendary Duelists: Immortal Destiny LED5-EN055 노멀 미국

8.4. 프레데터 프랙티스

파일:포식활동.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프레데터 프랙티스,
일어판명칭=<ruby>捕食活動<rp>(</rp><rt>プレデター・プラクティス</rt><rp>)</rp></ruby>,
영어판명칭=Predapractice,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패에서 "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그 후\, 덱에서 "프레데터 프랙티스" 이외의 "프레데터"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이 카드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융합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심플한 패 특소 효과와 서치 효과를 가진 유용한 카드. 특히 서치 효과는 충족 조건이 수동적인 세라세니앤트랑 플래닛밖에 없었기에 쉽게 패에서 발동해서 서치할 수 있는 이 카드는 매우 좋은 지원이다. 제한 카드인 오프리스 스콜피오를 서치하기에도 좋은 효과.

대신 오프리스가 용병으로 끌려다니던 전례 때문에 발동 후엔 융합 몬스터만 엑덱에서 특소 가능한 디메리트가 있다. 링크 몬스터를 쓸 거라면 미리 링크 소환해놓고 이 카드를 쓰는 게 좋다.

이후 등장한 비브리스프를 코스트로 버리면 비브리스프의 서치효과도 발동되어 아드가 +1이 된다.

일러스트에선 드로소필룸 히드라를 포함한 식물들이 사냥 연습을 하는 모습. 위의 플라스트에서 이어진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듀얼리스트 팩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5- DP22-KR047 슈퍼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デュエリストパック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5- DP22-JP047 슈퍼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Legendary Duelists: Immortal Destiny LED5-EN047 울트라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8.5. 프레데터 프라임 퓨전

파일:프프퓨.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프레데터 프라임 퓨전,
일어판 명칭=プレデター・プライム・フュージョン,
영어판 명칭=Predaprime Fusion,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필드에 "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 상대 필드에서\, 어둠 속성 융합 몬스터 카드에 기재된\, 자신 필드의 어둠 속성 몬스터 2장 이상을 포함하는 융합 소재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고\, 그 융합 몬스터 1장을 엑스트라 덱에서 융합 소환한다.)]
프레데터 플랜츠 전용 융합 카드. 패에서 융합할 수 없고 오직 필드 융합만 할 수 있지만, 속공 마법 카드란 게 장점이다.

초융합처럼 상대 필드의 몬스터도 융합 소재로 할 수 있지만, "자신의 어둠 속성 몬스터 2장을 포함하는 몬스터"를 융합 소재에 포함해야 한다. 따라서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은 물론이고, 프레데터 플랜츠 관련 카드들 중에서도 프레데터 플랜츠 트리피오베루툼 외에는 상대 몬스터를 잡아먹을 수 없다. 더 정확히는 대융합 항목을 보면 알 수 있듯이, 트리피오베루툼이 유일하고, 그 외에는 사실상 상대 몬스터를 잡아먹는 게 불가능하다고 보면 된다.

일러스트는 프레데터 플랜츠 플라이 헬프레데터 플랜츠 모레이 네펜테스를 융합해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이 나오는 장면으로, 유희왕 ARC-V 106화에서 유리가 저 둘을 융합시킨 것을 나타냈다. 참고로 스타브 베놈의 실루엣이 처음 나왔을 때랑 비슷하다.

카드명이 프레데터 퓨전이 아니라 굳이 프라임을 붙인 이유는 다른 프레데터 마법/함정 카드의 영어명 약식이 PP인지라[14][15], Predator Fusion으로 되어버리는 대신, Predator Prime fusion으로 변경한 것으로 추측된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デュエリストパック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5- DP22-JP048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Legendary Duelists: Immortal Destiny LED5-EN048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듀얼리스트 팩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5- DP22-KR048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프레데터 프라임 퓨전|프레데터 프라임 퓨전]]}}}{{{#!if external != "o"
[[프레데터 프라임 퓨전]]}}}}}}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프레데터 프라임 퓨전?uuid=77c9a93f-6f97-4ca3-bebb-c944139eebd0|r9]]}}}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프레데터 프라임 퓨전?uuid=77c9a93f-6f97-4ca3-bebb-c944139eebd0#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프레데터 프라임 퓨전?from=9|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프레데터 프라임 퓨전|프레데터 프라임 퓨전]]}}}{{{#!if external != "o"
[[프레데터 프라임 퓨전]]}}}}}}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프레데터 프라임 퓨전?uuid=77c9a93f-6f97-4ca3-bebb-c944139eebd0|r9]]}}}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프레데터 프라임 퓨전?uuid=77c9a93f-6f97-4ca3-bebb-c944139eebd0#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프레데터 프라임 퓨전?from=9|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9. 서포트 함정 카드

9.1. 프레데터 플래닛

파일:捕食惑星.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 명칭=프레데터 플래닛,
일어판 명칭=<ruby>捕食惑星<rp>(</rp><rt>プレデター・プラネット</rt><rp>)</rp></ruby>,
영어판 명칭=Predaplanet,
효과외1="프레데터 플래닛"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고\, 포식 카운터가 놓여 있는 몬스터가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발동한다. 덱에서 "프레데터"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필드에서\, 융합 몬스터 카드에 기재된 융합 소재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고\, 그 융합 몬스터 1장을 엑스트라 덱에서 융합 소환한다. 이 효과로 융합 소환할 경우\, "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밖에 융합 소재로 할 수 없다.)]
'포식혹성'이라 쓰고 '프레데터 플래닛'이라 읽는다.

①의 효과는 고성능 서치 효과로, 포식 카운터가 얹혀진 몬스터가 어떤 방법으로든 필드만 벗어나면 몬스터,마함 구분 없이 프레데터 카드를 서치해온다.

발매 초에는 포식 카운터를 얹는 효과가 죄다 상대에게만 쌓는 효과였기에 상대 의존률이 높아 쓰기 어려운 카드였으나 아래의 프레데터 플래닝이 발매되며 자신의 몬스터에게 포식 카운터를 쌓아 융합 소재 등으로 필드를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능동적으로 서치를 할 수 있게 되었다. 플래닝이 함정이라 느리다는 단점이 있으나 어차피 이 카드도 함정이랑 세트하고 발동해야하는 건 같기에 상대턴에 기습적으로 발동해 상대 전개를 방해하고 자신의 카드를 서치하는 식으로 운용이 가능하다. 이후 디멘션 포스에서는 피아 가리지않고 대량으로 포식 카운터를 쌓을 수 있는 트리안티스가 나오면서 더욱 사용하기 편해졌다.

②의 효과는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해 발동하는 융합 효과. 함정이라 상대 턴에 기습적으로 제외해 융합 소환이 가능하며, 묘지에서 발동하는 효과라 상대에게 방해받을 일이 적어 보다 안정적으로 융합 소환이 가능하고, 자신의 배틀 페이즈 중 융합할 수도 있다.

D-퓨전과 마찬가지로 소재 몬스터는 프레데터 플랜츠만 가능하지만, 어차피 해당 덱에서만 쓰일 테니 별 디메리트는 안 된다. 거기다 D-퓨전과 달리 이쪽은 패의 몬스터도 소재로 쓸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소환하는 몬스터 자체엔 제약이 없으므로, 프레데터 플랜츠 융합 몬스터뿐만 아니라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이나 그리디 베놈 퓨전 드래곤도 융합 소환할 수 있다.

일러스트는 여러 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들이 모여 있다. 하늘을 나는 프테로펜테스, 들판에 여럿 자라 있는 플라이 헬, 거대하게 자란 스키드 드로세라, 사냥을 준비하는 듯한 모레이 네펜테스, 뭔가를 배불리 먹고 트림하며 뼈를 뱉는 스피노 디오네아, 무리지어 이동하는 세라세니앤트 등 찾는 재미가 쏠쏠하다. 제루스원시 저그 같은 느낌도 난다. 네임드 악역 캐릭터가 사용한 기괴한 디자인의 몬스터들로 이뤄진 테마인데, 화풍이 코믹해 기묘한 느낌을 준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부스터 SP 퓨전 엔포서즈 SPFE-KR013 노멀
노멀 패러렐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ブースターSP -フュージョン・エンフォーサーズ- SPFE-JP013 노멀
노멀 패러렐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Fusion Enforcers FUEN-EN013 슈퍼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9.2. 프레데터 플래닝

파일:포식계획.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프레데터 플래닝,
일어판명칭=<ruby>捕食計画<rp>(</rp><rt>プレデター・プランニング</rt><rp>)</rp></ruby>,
영어판명칭=Predaplanning,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덱에서 "프레데터 플랜츠"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전부에 포식 카운터를 1개씩 놓는다. 포식 카운터가 놓여진 레벨 2 이상의 몬스터의 레벨은 1이 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자신이 어둠 속성 몬스터의 융합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①의 효과는 프레데터 플랜츠의 덤핑을 코스트로 포식 카운터를 생성시키는 효과. 프레데터 플랜츠 덱에선 소환권 없이 여러 개의 포식 카운터를 두는 귀중한 수단이 된다. 프레데터 플랜츠를 묘지로 보내는 것은 어디까지나 코스트이므로, 발동이 무효화돼도 묘지 자원은 확실히 채울 수 있다. 의식 / 싱크로 / 엑시즈 소환을 방해할 수 있으며, 한 번에 많은 포식 카운터를 준비할 수 있어 프레데터 플랜츠 드라고스타페리아의 영향력도 커진다.

특히 상성이 좋은 건 드로소필룸 히드라로, 자기재생 준비를 카드 1장으로 이루게 해준다. 그 외에도 묘지로 보내진 프레데터 플랜츠는 소생이 묘지 융합으로 연계할 수 있으므로 상대 몬스터가 적은 경우라도 적극적으로 노릴 가치가 있을 것이다.

디멘션 포스에서 묘지로 가기만 하면 프레데터 플랜츠를 서치해오는 비브리스프가 추가되면서 효과가 무효가 되더라도 즉발 서치를 할 수 있어 가치가 더욱 올랐다.

앞면 표시의 자신 몬스터한테도 포식 카운터를 놓을 수 있어서, 기존의 카드로는 힘들었던 포식 카운터가 놓인 자신 몬스터를 드로소필룸 히드라나 프레데터 플래닛으로 이용하는 수법이 가능해졌으며, 트리피오베루툼의 공격력을 폭등시키는 것도 쉬워졌다.

②의 효과는 어둠 속성 몬스터가 융합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필드의 카드를 파괴하는 효과. ①의 효과로 포식 카운터나 묘지의 상황을 갖출 수 있어 썬듀 킨지나 프레데터 플래닛으로 융합 소환을 서포트하기 쉬워진다.

이 카드 자체는 OCG 오리지널이지만, 원작에서 유리가 사용한 지속 마법 '종포연사'와 효과에서 유사점이 보인다.

일러스트는 여기저기 난동부리고 있는 트리피오베루툼.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듀얼리스트 팩 -레전드듀얼리스트 편 5- DP22-KR049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デュエリストパック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5- DP22-JP049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Legendary Duelists: Immortal Destiny LED5-EN049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10. 관련 카드

10.1. 포식 카운터

파일:捕食カウンター.jpg
한글판 명칭 포식 카운터
일어판 명칭 [ruby(捕食, ruby=ほしょく)]カウンター
영어판 명칭 Predator Counter
이 카드는 "포식 카운터"로 사용할 수 있다.

토큰 형식으로 발매됐는데 카운터로 사용 가능한 카드. 엑시즈 소재처럼 몬스터 밑에 겹치는 용도인 듯하다.

11. 같이 쓰면 좋은 카드들

12. OCG화되지 않은 카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레데터 플랜츠/OCG화되지 않은 카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레데터 플랜츠/OCG화되지 않은 카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프레데터 플랜츠/OCG화되지 않은 카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그래서 별명 중 하나가 아낌없이 주는 나무였다. 식물족이라 딱 나무랑 이미지가 맞는 건 덤.[2] 팩의 취지에 맞게 링크 몬스터 1장을 받았다. 문제는 그게 프레데터 플랜츠의 자체 성능보다는 융합 소환 자체를 서포트하는 방식으로 설계된 프레데터 플랜츠 베르테 아나콘다였지만.[3] 1랭크 엑시즈 덱이라 포식 카운터로 레벨 변환 효과가 의미가 없어지고, 드라고 스타페리아 등으로 엑시즈 몬스터에다가 포식 카운터를 쌓고 싶어도 소재가 된 코발트 스패로우가 대상 내성을 부여해서 격발이 안 되는 경우도 많다. 비대상으로 포식 카운터를 쌓는 방법은 스키드 드로세라의 유언 효과나 스킬밖에 없다.[4] 무려 1,2,3,6,8,10위가 프플을 주력으로 사용했다.[5] 싱크로 주축인 SR 덱, 레조네이터 덱, 엑시즈 주축인 유토피아 덱을 상대로는 강점을 보이지만 융합 소환 또는 링크 소환 주축인 덱을 상대로는 범용 견제 카드가 없으면 상대의 전개를 유의미하게 막을 수 없다.[6] 참고로 스킬에 의해 뒷면 표시로 소환되는 몬스터도 앞면 표시로 바뀌면 특수 소환된 몬스터로 취급되기 때문에 스키드 드로세라의 유언 효과를 받는다.[7] 타이어가 도로에 끌리면서 남은 마찰 흔적을 뜻한다.[8] 키메라플레시아는 단독으로 4500까지 처리 가능하고 묘지로 보내지면 다소 느리지만 어떤 융합 / 퓨전 마법 카드든 서치할 수 있며, 드라고 스타페리아는 프리 체인으로 필드의 몬스터의 효과를 무효화한다.[9] 충혹마의 일원인 티오의 충혹마도 이것이 모티브다.[10] 스타브 베놈으로 클리어윙의 효과 흡수 > 드로소필룸 히드라의 효과로 클리어윙의 공격력 500 감소 > 스타브 베놈이 흡수한 클리어윙의 효과로 드로소필룸 히드라 파괴 및 스타브 베놈의 공격력을 드로소필룸 히드라의 공격력만큼(800) 상승 > 스타브 베놈으로 클리어윙을 파괴 > LP가 1000이였던 유고에게 1100의 대미지가 들어감 > LP가 0이 된 유고의 패배.[11] 거미난초(spider orclhid)는 실제로도 있는 식물로, 꽃받침이 거미 다리처럼 길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다. 단 이름상의 모티브인 브라시아속과는 달리, 일러스트상의 모티브는 거미난초와 상관이 없는 드라쿨라속으로 보인다.[12] 둘 다 꽃을 모티브로 한 몬스터다.[13] 대표적으로 Pradator Planning, Predator practice 등[14] 예시로 Predator Practice, Predator Plant 등.[15] 예외적으로 장착 마법인 프레데터 그래프트는 카드명을 직역하면 Predator Graft로 PG가 되어버린다. TCG에선 이를 의식했는지 'graft' 대신 (나무 등의) 가지치기를 뜻하는 'pruning'을 사용해 Predapruning로 번역해 PP로 약식을 지켰다.[16]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은 레벨 5 이상의 몬스터의 효과만 복사할 수 있는데, 포식 카운터가 레벨을 1로 바꾸기 때문.[17] 디아블로스와 마찬가지로 그리디 베놈의 묘지 부활 코스트로도 유용하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프레데터(유희왕), version=15, uuid=655c96d4-7ca6-49c5-adfb-d954a3015fdc,
title2=프레데터 플랜츠 키메라플레시아,version2=19, uuid2=f3f1fc15-e284-45ef-a040-18442e5eff9e,
title3=프레데터 플랜츠 드라고스타페리아,version3=21, uuid3=810f0d86-36ec-47aa-9d54-cb2a50c8fe7d)]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