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1 14:28:30

페어리테일(유희왕)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테마 일람'''
[ㅇ]
[A~Z, 특수문자]
파일:드용 이그니스터.jpg
[ruby(@, ruby=앳)]이그니스터
[ 각주 ]
● 기준은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데이터베이스의 덱 검색 사이트의 등록 카테고리다.
● 한국어판 미발매 테마들은 비공식 번역명으로 작성한다.
TCG 선행 테마영문판 DB 덱 검색에 카테고리가 등록되어 있으면 영판명 그대로 작성한다.
● 이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테마의 경우는 카드군 분류, 서포트 카드군 분류 혹은 지정되지 않는 카드군 분류 참조.
한글판 명칭 페어리테일
일어판 명칭 [ruby(妖精伝姫, ruby=フェアリーテイル)]
영어판 명칭 Fairy Tail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4 마법사족 1850 1000
1. 개요2. 효과 몬스터
2.1. 페어리테일-백설2.2. 페어리테일-타리아2.3. 페어리테일-신데렐라2.4. 페어리테일-카구야2.5. 페어리테일-라치카
3. 마법 카드
3.1. 페어리테일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카드 시리즈.

동화에 나오는 공주들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수인 컨셉의 몬스터들이다. 이름은 "요정전희"라 쓰고 "페어리테일"이라 읽는다. 탐스러운 꼬리에 동화책이 올려진 걸 봐서, 카드군의 이름은 Fairy tale(동화) + Furry tail(탐스러운 꼬리).

"페어리테일"을 대상으로 하는 효과의 카드가 없어 카드군으로 명확히 지정되어 있진 않다. 소속된 몬스터의 스테이터스는 같지만 효과는 공통점을 찾기 어려운 범용적인 효과로 이뤄졌다. 이러한 특징에서 알 수 있듯 함께 쓰는 걸 전제로 만들어진 몬스터들이라기보단 일부 특징을 공유하는 범용 카드로 생각하는 게 어울린다.

마제스펙터처럼 동물의 모습을 한 카드인데도 야수족이나 야수전사족이 아닌 마법사족이다. 몬스터 카드들이 전부 통일된 스탯을 가져서 동포의 연과 궁합이 좋다.

북미판에선 이름을 그대로 쓰면 저작권 분쟁에 휘말릴 거라 판단했는지 원어판의 의미를 축약하거나 이름을 바꾸는 형태로 나왔다. 일부는 일러스트 역시 수정되었다.

SELECTION 10에서 지원을 받았으나, 원래부터 굿 스터프용으로 만들어진 카드들을 억지로 묶은 데다 그 성능도 좋지 못해 외면받았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선 카드 컨셉 때문인지 루카의 전용 대사가 있다. 공교롭게도 코믹스판 루카는 이와는 다른 컨셉의 페어리테일[1]'이란 필드 마법 시리즈를 썼다. 그리고 SELECTION BOX Mini Vol.2에서 신데렐라가 등장하면서 듀얼링크스에도 정식으로 등장했다. 기타 특이사항으로 브레인즈 월드 상점가 좌하단에 타리아 / 신데렐라 / 카구야 셋이 그려져 있다. 그러나 2023년 기준으로 신데렐라를 제외한 나머지는 듀링에는 등장하지 않았다.

2. 효과 몬스터

2.1. 페어리테일-백설

파일:妖精伝姫-シラユキ.jpg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FairyTailSnow-TDIL-KR-NR-1E.png
내수판 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페어리테일-백설,
일어판 명칭=<ruby>妖精伝姫<rp>(</rp><rt>フェアリーテイル</rt><rp>)</rp></ruby>-シラユキ,
영어판 명칭=Fairy Tail - Snow,
레벨=4, 속성=빛,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850, 수비력=1000,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뒷면 수비 표시로 한다.,
효과2=②: 자신 / 상대 턴에\,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할 경우\, 자신의 패 / 필드 / 묘지에서 이 카드 이외의 카드 7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TCG=금지 카드,
마스터듀얼=제한 카드)]
모티브는 백설공주다람쥐. ①의 효과로 인해 털의 서라는 별명이 붙었다.

①의 효과는 평범한 뒤집기 유발 효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시 상대 필드의 몹 1장한테 달의 서를 발동하므로 ②의 효과와 응용해 상대 턴에도 불시에 튀어나와 상대의 전개를 방해할 수 있어 좋다.

이 카드의 진가는 아무 카드 7장을 제외하고 묘지에서 특수 소환하는 ②의 효과인데, 마치 일곱 난쟁이를 갈아넣고 자기가 소생하는 듯한 무시무시한 효과. 코스트로 7장 제외는 커 보이지만, 패 / 필드 / 묘지를 통틀어 어떤 카드든 제외가 가능한 데다 이미 한 번씩은 써먹었을 카드들을 제외할 테니 그리 큰 페널티는 아니다.

게다가 ②의 효과가 프리체인이고, ②의 효과로 특수 소환되면 ①의 효과가 바로 발동하므로, 상대의 공격을 막거나 배틀 페이즈에 갑자기 나와 추가 공격할 수도 있다.

자기 소생 효과는 동일 체인 내에서 여러 번 발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생 효과를 발동한 이 카드가 D.D. 크로우무덤의 지명자에 찍혔을 때 다시 코스트를 지불하고 소생 효과를 발동할 수 있고, 코스트로 토큰도 제외할 수 있다. 또한, 묘지의 카드를 제외해서 토폴로직 제로보로스의 공격력을 올리는 용도로도 쓰일 수 있으며, 2024년 들어서는 레거시 오브 디스트럭션에서 지원을 받고 덤핑이 쉬워진 라이트로드에서 이 카드로 대량의 묘지 카드를 제외하여 제외된 카드의 수에 비례하여 대미지를 주는 잠항모함 에어로 샤크를 여럿 띄워 번을 내는 선턴킬 루트도 입상하기에 이르렀다.

2017년 4월에 준제한, 2017년 7월엔 제한이 됐다. 워낙 묘지에 카드가 빨리 쌓이는 듀얼 환경상 부활 코스트가 매우 저렴해진 데다 상대 몬스터를 뒤집는 효과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이웃집 잔디깎기로 인해 효과 발동이 더욱 쉬워졌다. 이후 뒷면 표시로 존재할 수 없는 링크 몬스터가 등장해 백설 자체의 채용률이 떨어져서 2019년 1월에 준제한, 2019년 4월에 무제한이 됐다.

그러나 이 카드와 진정한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최강의 테마는 따로 있었으니, 바로 티아라멘츠. 덱을 미친듯이 갈아버리며 흉악한 전개를 늘어놓는 티아라멘츠는 이 카드를 밥먹듯이 뽑아낼 수 있었고, 백설은 중요한 타이밍마다 묘지에서 튀어나와 상대의 맥을 끊든, 추가 대미지를 먹이든, 전개 재료로 쓰이든 그야말로 비장의 카드 역할을 할 수 있었다. 이는 티아라멘츠가 가늘고 길게 살아남은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 특히 부각되면서, 티아라가 세계 대회에서 2연속으로 맹활약을 펼치게 만드는 최강의 조커가 되었다. 이후로도 60GS에서 불려다니더니 2024년 12월 6일자로 제한 카드가 되었다.

TCG에선 브릴리언트 퓨전과 세트로 이리저리 불려다녀서 2019년 1월 28일에 금지됐다. 이후 2022년 2월에 제한으로 풀렸으나, 불과 반년만에 다시 금지가 되었다.

일러스트가 예쁘고 노멀 레어에 상술했던 라이트로드와의 호궁합 때문인지 일본 카드샵에선 1000엔 정도에 팔렸으나, 노멀인 한글판이 풀리면서 가격이 내려갔다.

한국판을 포함한 해외판에선 저작권 문제를 의식했는지 리본이 초록색으로 바뀌고 옷이 붉은 색으로 바뀌었다. 탄압된 일러스트지만 색깔만 바뀐 것이라 탄압된 카드 중 괜찮다는 평가를 받는다. 바뀐 색깔은 아무래도 사과를 의식한 것으로 추측.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도 전세계적으로 서비스하는 게임 특성상 일본판에서도 외수판 일러스트로 변경되어 있다.

일러스트를 보면 독이 묻은 듯한 사과를 들고 있는데, 원작 동화에서 백설공주가 먹고 잠든 그 독사과인 듯하다. 상대 몬스터를 뒤집는 것도 잠들게 하는 걸 의미하는 듯.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THE DARK ILLUSION TDIL-JP042 노멀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RARITY COLLECTION 20th ANNIVERSARY EDITION RC02-JP016 울트라 레어
시크릿 레어
컬렉터즈 레어
일본
STRUCTURE DECK -リバース・オブ・シャドール- SD37-JP015 노멀 일본
The Dark Illusion TDIL-EN042 노멀 미국 미국 최초 수록
OTS Tournament Pack 5 OP05-EN005 슈퍼 레어 미국
2017 Mega-Tin Mega Pack MP17-EN091 노멀 미국
더 다크 일루전 TDIL-KR042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레어리티 컬렉션 RC02-KR016 울트라 레어
시크릿 레어
한국
스트럭처 덱 -리버스 오브 섀도르- SD37-KR015 노멀 한국

2.2. 페어리테일-타리아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825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리버스=, 효과=,
한글판 명칭=페어리테일-타리아,
일어판 명칭=<ruby>妖精伝姫<rp>(</rp><rt>フェアリーテイル</rt><rp>)</rp></ruby>-ターリア,
영어판 명칭=Fairy Tail - Sleeper,
레벨=4, 속성=빛,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850, 수비력=10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리버스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상대가 일반 마법 / 일반 함정 카드를 발동했을 때\, 자신 필드의 다른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효과는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뒷면 수비 표시로 한다"가 된다.)]
모티브는 잠자는 숲속의 미녀고양이. 타리아라는 이름은 잠바티스타 바실레가 쓴 유화(類話)[2] '태양과 달과 탈리아'에서 딴 것으로 보인다.

리버스에 성공만 하면 소환 제약이 없는 어떤 몬스터든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상대가 일반 마법 / 일반 함정을 발동했을 때 자신 필드의 몬스터를 릴리스해, 그 효과를 달의 서덮어씌우는 효과. 리버스 덱에 넣고 쓰면 좋은 시너지를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효과를 덮어 쓰는 것의 모티브는 나쁜 마녀가 건 죽음의 저주를 착한 마녀가 잠에 빠지는 걸로 덮어 쓴 대목으로 보인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INVASION OF VENOM INOV-JP035 노멀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STRUCTURE DECK -精霊術の使い手- SD39-JP011 노멀 일본
Invasion: Vengeance INOV-EN035 노멀 미국 미국 최초 수록
OTS Tournament Pack 5 OP05-EN007 슈퍼 레어 미국
2017 Mega-Tin Mega Pack MP17-EN146 노멀 미국
Structure Deck: Shaddoll Showdown SDSH-EN015 노멀 미국
Structure Deck: Spirit Charmers SDCH-EN011 노멀 미국
인베이전 오브 베놈 INOV-KR035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스트럭처 덱 -정령술의 마스터- SD39-KR011 노멀 한국

2.3. 페어리테일-신데렐라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127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페어리테일-신데렐라,
일어판 명칭=<ruby>妖精伝姫<rp>(</rp><rt>フェアリーテイル</rt><rp>)</rp></ruby>-シンデレラ,
영어판 명칭=Fairy Tail - Rella,
레벨=4, 속성=빛,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850, 수비력=1000,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서로 필드의 다른 몬스터를 마법 카드의 효과의 대상으로 할 수 없다.,
효과2=②: 1턴에 1번\, 패에서 마법 카드 1장을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덱 / 묘지에서 장착 마법 카드 1장을 이 카드에 장착한다. 그 장착 마법 카드는 엔드 페이즈에 패로 되돌아간다.)]
모티브는 신데렐라강아지. 버리는 마법 카드는 요정의 마법, 장착 마법은 유리 구두, 엔드 페이즈에 패로 돌아가는 건 12시에 마법이 풀리는 설정에 대한 은유인 듯.

①의 효과는 은근히 간과하기 쉽지만 자신뿐만 아니라 상대 몬스터도 마법 효과의 대상으로 못하게 한다. 때문에 자신의 몬스터를 상대의 마법으로부터 보호해줄 뿐만 아니라 상대가 자신의 몬스터를 대상으로 이득을 보는 마법 카드로 아드를 버는 것도 막을 수 있다. 단 블랙홀 같은 대상 비지정엔 얄짤 없고, 역으로 자신도 상대 몬스터를 마법 카드의 대상으로 선택할 수 없어서 상황을 잘 보고 꺼내는 게 좋다.

이 효과 때문에 장착 마법 위주로 돌아가는 주안이나 성기사 같은 덱은 아예 신데렐라를 필드에서 없애기 전까진 전개가 힘들어진다.

②의 효과로 원하는 장착 마법을 이 카드에 장착할 수 있고 엔드 페이즈에 패로 되돌아오므로, 사실상 마법 카드 1장을 장착 마법 카드로 바꾸는 효과인데, 이 카드가 마법사족이라 원더 원드를 장착해 2장 드로우하거나, 패 또는 묘지에 요도 죽도가 1장씩 있을 때 서로 교환하면서 황금빛 죽도를 가져와 2장 드로우할 수 있고, 데몬의 도끼월경의 방패 등 전투에서 이길 수 있는 장착 마법도 손쉽게 가져올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RAGING TEMPEST RATE-JP035 노멀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STRUCTURE DECK R -ウォリアーズ・ストライク- SR09-JP017 노멀 패러렐 레어 일본
STRUCTURE DECK -精霊術の使い手- SD39-JP012 노멀 일본
Raging Tempest RATE-EN035 노멀 미국 미국 최초 수록
2017 Mega-Tin Mega Pack MP17-EN199 노멀 미국
OTS Tournament Pack 6 OP06-EN005 슈퍼 레어 미국
Structure Deck: Spirit Charmers SDCH-EN012 노멀 미국
레이징 템피스트 RATE-KR035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스트럭처 덱 -워리어즈 스트라이크- SR09-KR017 노멀 패러렐 레어 한국
스트럭처 덱 -정령술의 마스터- SD39-KR012 노멀 한국

2.4. 페어리테일-카구야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644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페어리테일-카구야,
일어판 명칭=<ruby>妖精伝姫<rp>(</rp><rt>フェアリーテイル</rt><rp>)</rp></ruby>-カグヤ,
영어판 명칭=Fairy Tail - Luna,
레벨=4, 속성=빛,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850, 수비력=1000,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공격력 1850인 마법사족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자신 / 상대 턴에 1번\,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상대는 그 몬스터와 같은 이름의 카드 1장을 자신의 덱 / 엑스트라 덱에서 묘지로 보내고 이 효과를 무효로 할 수 있다. 묘지로 보내지 않았을 경우\, 이 카드와 대상 몬스터를 패로 되돌린다.)]
모티브는 타케토리모노가타리카구야 공주여우. 최초의 동양 설화 모티브 몬스터로, 그래선지 다른 페어리테일 몬스터와 달리 꼬리에 책이 아닌 두루마리가 달려 있다. ②의 효과는 카구야 공주가 차버린 다섯 구혼자와, 달로 돌아간 카구야 공주를 모티프로 한 듯한 효과.

①의 효과는 일반 소환시 공격력 1850의 마법사족 몬스터를 서치하는 효과. 자신을 포함한 페어리테일 몬스터 전원을 서치할 수 있고, 메인 덱 빙의장착 몬스터들도 서치 가능하여 령사 덱에서 채용되고, 임프레스 오브 엔디미온도 서치 범위에 들어가며 이 때문에 엔디미온 덱에서도 카구야를 채용한다.

공격력 1850 / 마법사족 메인 덱 몬스터 [ 펼치기 · 접기 ]
* "페어리테일" 몬스터 전원


②의 효과는 상대 필드의 카드 1장을 자신과 함께 패로 되돌리는 효과. 같은 이름의 카드를 덱에서 덤핑해 효과를 무효로 할 수 있는데, 메인 덱 몬스터는 덱에서 덤핑시켜 남 좋은 일 시켜 줄 수 있으니, 제한 카드나 엑스트라 덱 몬스터를 제거하는 데 쓰는 게 좋다. 특히 엑스트라 덱 몬스터는 욕망과 졸부의 항아리를 쓰거나 그 덱의 최주력이 아닌 이상 다양성을 위해 1장만 넣는 경우가 많아서 성공률이 높다. 다만 대상 지정한 카드와 이 카드를 같이 되돌리는 효과기 때문에 이 효과에 체인하여 둘 중 하나라도 어떤 이유로 먼저 필드를 벗어날 경우 불발된다.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매크로 코스모스 같은 카드가 있으면 상대는 카드를 묘지로 못 보내므로 확정적으로 바운스할 수 있다.

이 카드와 파괴수를 섞은, 파괴수카구야굿 스터프 덱이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MAXIMUM CRISIS MACR-JP038 노멀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STRUCTURE DECK R -ロード・オブ・マジシャン- SR08-JP016 노멀 패러렐 레어 일본
STRUCTURE DECK -精霊術の使い手- SD39-JP013 노멀 일본
Maximum Crisis MACR-EN038 슈퍼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OTS Tournament Pack 5 OP05-EN021 노멀 미국
Structure Deck: Order of the Spellcasters SR08-EN016 노멀 미국
Structure Deck: Spirit Charmers SDCH-EN013 노멀 미국
맥시멈 크라이시스 MACR-KR038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스트럭처 덱 -로드 오브 매지션- SR08-KR016 노멀 패러렐 레어 한국
스트럭처 덱 -정령술의 마스터- SD39-KR013 노멀 한국

2.5. 페어리테일-라치카

유희왕 OCG의 SELECTION 팩 선정 테마와 커버 카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SELECTION 10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뱀파이어 라바르 성각
드라큐레어 뱀파이어 라바르바르 샐러맨더 성각천룡-에네아드
섀도르 네크로즈 페어리테일
네프섀도르 게니우스 아라드와의 네크로즈 페어리테일-라치카
'''''' 크로노다이버 생아발론
갤럭시아이즈 사이퍼 엑스 드래곤 크로노다이버 더블배럴 생아발론 드리아트란티에
홀리나이츠
성야에 빛나는 용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SELECTION 5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열차 소환수 섬도희
폭주궤도 플라잉 페가수스 소환마술 섬도기동-인게이지
드래곤메이드
이빌트윈
드래곤메이드 하스키 Evil★Twin 키스킬
Evil★Twin 리일라
}}}}}}}}} ||
파일:妖精伝姫-ラチ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페어리테일-라치카,
일어판 명칭=<ruby>妖精伝姫<rp>(</rp><rt>フェアリーテイル</rt><rp>)</rp></ruby>-ラチカ,
영어판 명칭=Fairy Tail - Rochka,
레벨=4, 속성=빛,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850, 수비력=10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에 성공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는 500 LP 회복한다. 그 후\, 상대는 이 효과를 발동한 플레이어의 덱 위에서 카드를 3장 확인하고\, 그 중에서 1장을 고른다. 자신은 상대가 고른 카드를 패에 넣는다. 남은 카드는 덱으로 되돌리고 셔플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전투를 실행하는 데미지 계산 전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낸다.)]
①의 유발 효과는 일반 소환 시에 상대의 LP를 500 회복시키고, 대신 상대가 선택하는 욕망과 겸허의 항아리와 같은 방식으로 카드를 서치한다. 욕망과 겸허의 항아리와 달리 특수 소환 제한은 안 걸리지만 서치하는 카드를 상대가 선택하는 게 골칫거리다.

②의 효과는 전투 실행시 자신을 묘지로 보낼 수 있는 임의 효과. 데미지 계산 전에 발동해서 리플레이가 발생하지 않는다.

신데렐라나 타리아와 비슷한 처지의 카드로, 원작의 반영은 잘 됐으나 효과의 실전성은 떨어진다.

모티브는 러시아의 민화 ‘봄의 요정 이야기(Vesennyaya Skazka; A Spring fairy tale), 혹은 러시아 극작가 알렉산드르 오스트롭스키의 작품 '눈 아가씨(The Snow Maiden)'의 주인공 스네구로치카담비. 해당 카드의 이름은 일본어로 번역한 '스네구라치카'의 뒷 부분 '라치카'에서 따왔다. ①의 효과는 스네구로치카가 만난 3명 '렐(Lel)', '쿠파바(Kupava)', '미즈기르(Mizgir)'의 사람들 중 진정한 사랑인 미즈기르를 만나 사랑에 빠지는 과정을, ②의 효과는 미즈기르와의 결혼식 중 진정한 사랑을 깨닫게 된 순간 햇빛을 받아 몸이 녹아버린 걸 모티프로 한 듯한 효과.
파일:페어리테일라치카 설정화.png
설정화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SELECTION 10 SLT1-JP018 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셀렉션 텐 SLT1-KR018 슈퍼 레어
시크릿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Ghosts From the Past GFTP-EN009 울트라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3. 마법 카드

3.1. 페어리테일

파일:妖精の伝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 명칭=페어리테일,
일어판 명칭=<ruby>妖精の伝姫<rp>(</rp><rt>フェアリーテイル</rt><rp>)</rp></ruby>,
영어판 명칭=Fairy Tail Tales,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같은 이름의 몬스터가 자신 필드에 존재하지 않는\, 패의 공격력 1850인 마법사족 몬스터 1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통상 소환한다.,
효과2=②: 자신 필드에 원래 공격력이 1850인 마법사족 몬스터가 존재하고\, 자신이 전투 / 효과로 데미지를 받을 경우\, 1턴에 1번만 그 데미지는 0이 된다.)]
페어리테일 몬스터를 보조하는 지속 마법. '페어리테일'이란 명칭을 지정하지 않고 "공격력 1850의 마법사족"을 지원하기에, 똑같이 공격력이 1850인 빙의장착 몬스터가 주력인 령사 덱에서도 쓸 수 있다.

일러스트는 페어리테일들이 날아다니는 모습. 왼쪽부터 백설, 타리아, 신데렐라, 라치카, 그리고 카구야이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SELECTION 10 SLT1-JP019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셀렉션 텐 SLT1-KR019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Ghosts From the Past GFTP-EN010 울트라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1] 'FairyTale'이라 쓰지만 그 위에 표기된 요미가나는 이 카드군의 일어 표기와 겹친다.[2] 해당 설화와 비슷한 내용의 이야기라는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