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테마 일람''' |
|
|
<colbgcolor=#f0dc84,#f0dc84> 킬러튠 | |||||
<nopad> 킬러튠 레드씰 | |||||
한국어판 명칭 | 킬러튠 (비공식 번역명) | ||||
일어판 명칭 | キラーチューン | ||||
영어판 명칭 | Kewl Tune(미발매) | ||||
속성 | 종족 | 관련 카테고리 | |||
다양 | 다양 | 효과 튜너, 싱크로 |
1. 개요
<rowcolor=white> 유희왕 덱 빌드 팩 수록 테마 | ||||
저스티스 헌터즈 | 팬텀 리벤저스 | |||
드래곤테일, 야미, K9 | → | 헤카톤케일, 에니아크래프트, 킬러튠 | → |
[ruby(BRING, ruby=ブリング)] [ruby(THE, ruby=ザ)] [ruby(BEAT, ruby=ビート)]!!
[ruby(MAKE, ruby=メイク)] [ruby(SOME, ruby=サム)] [ruby(NOOOOOOOOISE, ruby=ノーーーーーーーーイズ)]!!!!
[ruby(BRING, ruby=브링)] [ruby(THE, ruby=더)] [ruby(BEAT, ruby=비트)]!!
[ruby(MAKE, ruby=메이크)] [ruby(SOME, ruby=썸)] [ruby(NOOOOOOOOISE, ruby=노오오오오오오오오이즈)]!!!!
공식 홈페이지 소개 문구
[ruby(MAKE, ruby=メイク)] [ruby(SOME, ruby=サム)] [ruby(NOOOOOOOOISE, ruby=ノーーーーーーーーイズ)]!!!!
[ruby(BRING, ruby=브링)] [ruby(THE, ruby=더)] [ruby(BEAT, ruby=비트)]!!
[ruby(MAKE, ruby=메이크)] [ruby(SOME, ruby=썸)] [ruby(NOOOOOOOOISE, ruby=노오오오오오오오오이즈)]!!!!
공식 홈페이지 소개 문구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테마.
2. 설명
덱 빌드 팩 팬텀 리벤저스에서 첫 등장했다.모티브는 일본어의 "킬러 튠"이라는 단어 그 자체에서 따 왔다. 일본어에서 킬러 튠이라는 단어는 "사람을 끌어들이는 매력적인 곡"을 설명할 때 쓰인다. 아예 제목이 킬러 튠인 노래도 여럿 존재한다. 여기서는 말 그대로 Killer+Tune으로 해석했다. 게임상 전개로 보면 튜닝(=싱크로 소환)으로 상대를 죽인다는 의미로 보인다. 상대의 필드나 묘지에 튜너가 있으면 추가적 효과를 발휘하는 카드를 보면 상대의 튜닝을 죽인다는 의도 또한 포함되어 있는 듯하다.
한편 마스터 듀얼 데이터 마이닝 유출로 언급된 영어명은 Kewl Tune인데, 1990년대에 사용된 'cool'의 은어이다. Killer라는 단어 자체가 서양권에서 굉장히 민감하므로, 매번 폭력적 어휘를 검열했던 TCG 측에서 K라는 운율이라도 맞추기 위해 Kewl란 단어를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TCG권 유저들은 번역이 형편없다며 '4Kids에서 직원을 고용한 것 같다'라는 혹평을 내렸다. 2002년 TCG에 나온 킬러비의 경우, 모티브가 모티브이다보니 Killer가 그대로 사용되었지만, TCG권 유저들은 킬러비와 연관시켜 코나미 TCG 부서의 처참한 센스와 번역을 비판하는 데 이르렀다. 더더욱 같은 팩의 헤카톤케일(Hecahands)의 사례가 있어서 TCG권 유저들에게 공감을 받고 있다.[1]
덱 빌드 팩에서 음악과 관련된 테마는 도레미코드, 바르모니카 다음으로 세 번째. 장르는 언더그라운드 씬을 중심으로 한 얼터너티브 록으로, 클래식에 속했던 앞의 둘보다 근현대 장르고, 메인 소환법도 앞의 두 테마가 펜듈럼인 것과는 달리 싱크로. 지하에서 논다는 점에서 지하 아이돌 또한 일정 부분 컨셉으로 둔 듯하다.
공식의 설명에 의하면 연속되는 튜닝(싱크로 소환)으로 비트를 타서(상대의 행동에 맞춰 싱크로 소환을 해 그 소재로 묘지로 가면 발동하는 효과를 통해 방해해서) 승리를 향해 계속해서 소리를 키워나가는(튜닝, 즉 싱크로 소환을 해나가는) 컨셉이다.
캐치프레이즈는 "파천황 같은 스크래치로 플로어를 장악하는 싱크로 튜너다!"
2.1. 성능
튜너끼리 싱크로 소환하여 싸우는 신 테마가 난입!
등장하는 몬스터는 싱크로 몬스터도 포함하여 모두 튜너 몬스터.
4체의 효과 몬스터와 레벨 4의 싱크로 몬스터 「트랙메이커」는 2개의 효과 이외에도 필드의 자신을 소재로 싱크로 소환할 경우에 패의 튜너 1장도 싱크로 소재로 할 수 있기에 방해도 극복하기 쉽다.
2개의 효과도 강력하고, 전개를 서포트하는 효과와 싱크로 소재가 된 후에 상대의 포진이나 덱을 공략하는 효과가 연쇄하여 하이 템포의 비트를 새긴다!
싱크로 몬스터 중 레벨 5의 2체는 파워 업 하는 효과를 가진 어태커.
「레드씰」은 서로의 메인 페이즈에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카드를 무효로 하는 효과, 「리믹스」는 상대 턴에 자신을 릴리스해 묘지의 동료 2체를 끌어올려 싱크로 소환으로 잇는 효과를 가지고 있어서 상대를 방해!
그리고 레벨 6의 「라우드니스 워」는 동료를 지키는 효과와 동료가 가진 방해 효과를 이용하면서 템포를 킵.
전개를 서포트하는 마법 카드와 방해를 끌어내는 함정 카드도 풀 활용!
싱크로 소환과 포진 공략으로 새겨진 비트를 바꿔가며 승리를 향해 달려나가라!!
등장하는 몬스터는 싱크로 몬스터도 포함하여 모두 튜너 몬스터.
4체의 효과 몬스터와 레벨 4의 싱크로 몬스터 「트랙메이커」는 2개의 효과 이외에도 필드의 자신을 소재로 싱크로 소환할 경우에 패의 튜너 1장도 싱크로 소재로 할 수 있기에 방해도 극복하기 쉽다.
2개의 효과도 강력하고, 전개를 서포트하는 효과와 싱크로 소재가 된 후에 상대의 포진이나 덱을 공략하는 효과가 연쇄하여 하이 템포의 비트를 새긴다!
효과 ①(전개 서포트) | 효과 ②(싱크로 소재시의 방해) | |
(레벨 2)믹스 | 덱/묘지의 동료(레벨 3)를 패로 | 몬스터 1장을 파괴 |
(레벨 2)클립 | 상대 메인 페이즈에 패에서 기습&싱크로 소환 | 엑스트라 덱 1장을 제외 |
(레벨 3)레코 | 덱/묘지의 동료(레벨 2)를 패로 | 마법/함정 1장을 파괴 |
(레벨 3)큐 | 패/덱/묘지의 동료 1체를 특수 소환 | 덱 위에서 2장을 넘겨 1장 제외 |
(레벨 4)트랙메이커 | 덱의 관련 카드 1장을 패로 | 카드 1장을 패로 되돌린다. |
「레드씰」은 서로의 메인 페이즈에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카드를 무효로 하는 효과, 「리믹스」는 상대 턴에 자신을 릴리스해 묘지의 동료 2체를 끌어올려 싱크로 소환으로 잇는 효과를 가지고 있어서 상대를 방해!
그리고 레벨 6의 「라우드니스 워」는 동료를 지키는 효과와 동료가 가진 방해 효과를 이용하면서 템포를 킵.
전개를 서포트하는 마법 카드와 방해를 끌어내는 함정 카드도 풀 활용!
싱크로 소환과 포진 공략으로 새겨진 비트를 바꿔가며 승리를 향해 달려나가라!!
승리로 가는 길 「킬러튠」
1. S 소재가 되는 튜너 2장을 준비하자!
레벨 4 이하의 「킬러튠」몬스터는 패의 튜너 1장을 S소재로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동료를 패에 더하는 「믹스」나 「레코」, 동료를 특수 소환할 수 있는「큐」를 활용해, 튜너를 2장 갖추는 것이다!
2. S 몬스터를 S 소환해서 상대 턴의 준비를 하자!
S 소재가 갖추어지면 드디어 S 소환이다!
덱에서 「킬러튠」카드를 패에 더하는 「트랙메이커」나 상대 턴의 S 소환을 할 수 있는 「리믹스」를 S 소환해, 상대 턴에 대비하자!
「주크조인트」를 사용하면 한층 더 전개를 실시할 수도 있다!
3. 상대 턴에 S 소환을 실시해, S 소재가 된 「킬러튠」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하자!
상대 턴에는, 상대의 움직임에 맞추어 「클립」이나 「리믹스」, 「킬러튠 싱크로」의 효과로 S 소환을 실시한다.
이 때 레벨 4 이하의 「킬러튠」몬스터를 S 소재로 하면, 「자신이 S 소재로서 묘지에 보내졌을 때의 효과」로 상대에게 방해를 실시할 수 있다!
4. S 몬스터나 함정 카드의 효과로 더욱 상대를 방해해, 승리를 잡자!
「레드씰」은 높은 공격력과 상대를 방해하는 2개의 효과를 가진 이 덱의 에이스!
또, 「라우드니스워」와 「플레이리스트」는 「킬러튠」몬스터의 「자신이 S 소재로서 묘지에 보내졌을 때의 효과」를 적용해, 상황에 따라 상대의 급소를 정확하게 찌를 수 있는 것이다!
이 카드들을 구사하여 플로어를 고조시켜 승리의 튠을 울려보자!
1. S 소재가 되는 튜너 2장을 준비하자!
레벨 4 이하의 「킬러튠」몬스터는 패의 튜너 1장을 S소재로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동료를 패에 더하는 「믹스」나 「레코」, 동료를 특수 소환할 수 있는「큐」를 활용해, 튜너를 2장 갖추는 것이다!
2. S 몬스터를 S 소환해서 상대 턴의 준비를 하자!
S 소재가 갖추어지면 드디어 S 소환이다!
덱에서 「킬러튠」카드를 패에 더하는 「트랙메이커」나 상대 턴의 S 소환을 할 수 있는 「리믹스」를 S 소환해, 상대 턴에 대비하자!
「주크조인트」를 사용하면 한층 더 전개를 실시할 수도 있다!
3. 상대 턴에 S 소환을 실시해, S 소재가 된 「킬러튠」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하자!
상대 턴에는, 상대의 움직임에 맞추어 「클립」이나 「리믹스」, 「킬러튠 싱크로」의 효과로 S 소환을 실시한다.
이 때 레벨 4 이하의 「킬러튠」몬스터를 S 소재로 하면, 「자신이 S 소재로서 묘지에 보내졌을 때의 효과」로 상대에게 방해를 실시할 수 있다!
4. S 몬스터나 함정 카드의 효과로 더욱 상대를 방해해, 승리를 잡자!
「레드씰」은 높은 공격력과 상대를 방해하는 2개의 효과를 가진 이 덱의 에이스!
또, 「라우드니스워」와 「플레이리스트」는 「킬러튠」몬스터의 「자신이 S 소재로서 묘지에 보내졌을 때의 효과」를 적용해, 상황에 따라 상대의 급소를 정확하게 찌를 수 있는 것이다!
이 카드들을 구사하여 플로어를 고조시켜 승리의 튠을 울려보자!
레벨 4 이하의 "킬러튠" 몬스터의 공통 효과 | ||
필드의 이 카드를 소재로서 싱크로 소환할 경우, 패의 튜너 1장도 싱크로 소재로 할 수 있다. ①: (고유 효과) ②: 이 카드가 싱크로 소재로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고유 효과) | ||
<rowcolor=#FF625B> 카드명 | ②의 효과 | |
<colbgcolor=#f0dc84><colcolor=#FF625B> 클립 | <colbgcolor=#FFF>②: 상대의 엑스트라 덱의 뒷면인 카드를 무작위로 1장 제외한다. | |
큐 | ②: 상대의 덱 위에서 카드를 2장 넘기고, 그 중에서 1장을 제외하고, 나머지 1장을 덱 맨 위나 맨 아래로 되돌린다. | |
믹스 | ②: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파괴한다. (대상 지정) | |
레코 | ②: 상대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파괴한다. (대상 지정) | |
트랙메이커 | ②: 상대 필드의 카드 1장을 패로 되돌린다. |
전원이 튜너로 구성되어 있는 테마로 그야말로 튜너 비트를 현대화한 테마다[2]. 튜너 뿐이면 일반적으로 싱크로를 못 하는데, 그래서 킬러튠 싱크로 몬스터는 공통적으로 튜너와 튜너로만 싱크로할 수 있게 했다. 다만 그걸 감안해도 일반적으로 비튜너가 요구되는 범용 싱크로 몬스터를 소환하기는 매우 힘들다는 애로사항이 꽃핀다. 비튜너가 하나만이라도 있다면 그 몬스터를 킬러튠 싱크로의 소재로서 할 수 없다는 단점도 있다.
그런 단점을 보완하는 것이, "필드의 이 카드를 소재로 싱크로 소환할 때, 패의 튜너 1장을 소재로 할 수도 있다"라는 공통 효과 외 텍스트. 메인 덱 몬스터 전원과 트랙메이커에게 붙여진 이 텍스트 덕분에 패의 튜너를 소환할 필요를 조금은 덜었으며, 서치만 해도 싱크로 소환이 가능하다. 킬러튠은 서치할 방법이 매우 많기 때문에 킬러튠 기믹에서 킬러튠을 싱크로 소환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심지어 이 튜너에는 딱히 제약 같은 건 없어서 요괴소녀나 이펙트 뵐러같이 패 트랩으로 채용되는 튜너들까지 알뜰살뜰하게 공격권으로 쓸 수 있다.
이 패의 튜너 1장을 소재로 할 수 있다는 것은 효과 외 텍스트이기 때문에 스드, 뵐러, 포영을 맞아도 패에 튜너만 있으면 싱크로 튜너를 싱크로 소환할 수 있어서 공격권이 된다. 또한 패의 튜너 1장을 소재로 할 수 있는 효과는 킬러튠 하급 튜너 각각 1장씩 적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필드의 킬러튠 하급 튜너 2장 이상을 싱크로 소재로 할 경우 패의 튜너도 2장 이상 싱크로 소재도 할 수 있다.공식DB 재정(일본어 선택 필요) 예를 들어 필드의 믹스, 큐를 싱크로 소재로 할 경우 그 필드의 2장만으로 레벨5의 리믹스를 꺼낼 수도 있지만 패의 레벨3 튜너를 1장 더 써서 비서스=암리타라를 꺼낼 수도 있고, 거기에 패의 레벨2 튜너를 1장 더 추가한 4장의 튜너로 마나둠 프라임하트를 꺼낼 수도 있는 것이다.
다만 환영왕 하이드 라이드나 휠 싱크론처럼 싱크로 소재로 쓸 때 비튜너로 취급 가능한 튜너의 경우, 비튜너로 취급할 경우에는 튜너로는 취급되지 않아 패에서 소재로 사용할 수 없게 되므로 채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필드의 킬러튠 레코(레벨3) + 패의 휠 싱크론(레벨5)로 튜너+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을 요구하는 스타더스트 드래곤을 싱크로 소환할 수는 없다는 얘기.
디메리트는 큐나 마함에 붙여 있는 "턴 종료시까지 튜너 몬스터밖에 소환할 수 없다". 링크 몬스터나 엑시즈 몬스터에 튜너가 있을 리 만무하므로 이들을 쓸 수 없다는 점은 유의. 싱크로 몬스터도 싱크로 몬스터의 튜너밖에 소환할 수 없으며, 대개 그런 싱크로 튜너도 비튜너가 요구되므로 결과적으론 킬러튠으로만 싸워야 한다.
또한 몇몇 몬스터가 상대 필드나 묘지에 튜너가 있을 것을 조건으로 하는데, 상대가 싱크로 소환 테마라면 당연히 필드나 묘지에 튜너가 있을 것이며, 다른 테마도 요괴소녀나 이펙트 뵐러 등 튜너인 패 트랩을 던지는 일이 많으므로 조건 충족이 그렇게까진 어렵지 않을 것이다. 다만 반대로 따지면 상대가 킬러튠이라는 걸 의식하고 해당 패 트랩들을 사이드 덱의 다른 카드와 교체하는 식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이 난점.
이러한 단점으로 인해, '싱크로 튜너'라는 컨셉만 공개되었을 때 섞어 쓸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되었던 정크도플 등 액셀 싱크로 소환 관련 전개 덱들과 섞어 쓰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다만 턴 전체에 적용되는 맹세 효과가 아니라 효과 발동 후에 적용되는 디메리트이므로, 해당 디메리트가 있는 효과를 쓰기 전에 비튜너나 링크 등을 사용한 용병의 전개를 노려볼 수도 있긴 하다. 실제로 따로 소재용 비튜너를 넣지 않더라도 증식의 G로 레벨2, 마루챠미 시리즈로 레벨4 비튜너를 준비할 수 있기 때문에 마무리용으로 비튜너 몬스터를 요구하는 최상급 싱크로 몬스터를 일부 채용하기도 한다.
디메리트가 적용되기 전이면 다수의 튜너를 공급하거나 추가 견제를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아예 비튜너를 제공해줄 수 있는 덱들과 반반 섞어서 전개력을 높이는 구축도 연구되고 있다. 상대 견제에 체인해 전개가 가능한 패 트랩 역할을 하면서 레벨 5 비튜너 공급을 해줄 수 있는 K9이나[3] 6~7 싱크로로 비튜너의 연속적인 공급이 가능한 로즈 드래곤이 대표적인 예시.
그러나 비튜너 용병을 채용하든 말든 결국 튜너 제약 때문에 결과물로서 내놓을 수 있는 카드의 폭이 매우 좁아서 전개 덱으로서는 성립하기 어렵다. 다른 테마와 섞어서 전개력을 올리는 상술한 경우들도 킬러튠으로 전개를 시작하면 결국 순수 킬러튠과 다를 바 없는 낮은 고점의 결과물밖에 낼 수 없다. 때문에 상대가 뚫을 수 없는 선공 빌드를 세우기보다는, 패 트랩으로 상대를 최대한 방해하면서 클립과 큐를 싱크로 소재로 최대한 우려먹으며 상대 전개의 질을 떨어뜨리는 운영 타입의 순수 킬러튠 구축이 주류로 자리잡게 되었다. 서치를 포함한 1핸드 초동이 풍부하고 상대 턴에 싱크로 소환이 가능한 점을 살려 높은 저점을 세울 수 있기 때문에 실제로 운영 덱으로서 굴리는 게 가장 유효한 전략이다.
이렇다 보니 팬텀 리벤저스 발매 시점에선 기대보다 애매한 성능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래도 어디까지나 전개 덱이라는 기대에서 어긋났을 뿐 충분히 입상이 가능한, 못해도 2~3티어 덱 정도의 성능이라는 게 중론이다. 레드씰의 상대 몬스터 레벨 변경 효과 때문에 야미 등 전개 과정에서 레벨이 중요한 덱들 상대로 상성상 어느 정도 유리하다는 것 또한 장점으로 꼽힌다.
2.1.1. 장점
- 매우 높은 1핸드 초동률
일단 테마 내 서치 마법인 킬러튠 싱크로가 1턴에 2장까지 발동 가능한 파격적인 명칭 턴 제약을 지닌데다, 서치 후 바로 싱크로 소환까지 연결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또한 덱에서 자신과 레벨이 다른 튜너를 서치해 바로 레벨 5 싱크로가 가능한 믹스와 레코는 각각 리믹스, 레드씰에 의해 소재로서 명칭 지정이 되어 있기 때문에 싱크로 오버테이크로 서치/특수 소환/샐비지가 가능하다. 그리고 킬러튠 싱크로와 싱크로 오버테이크는 듀얼리스트 제네시스로 서치가 가능하다. 믹스는 전사족이어서 증원에도 대응되고, 레코는 악마족 튜너라 지박수인 스톤 스위퍼로 서치 되는 건 덤. 여기에 큐는 패/덱/묘지에서 아무 튜너나 특수 소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큐 역시도 1핸드 초동으로 기능한다.
- 상대 턴 싱크로 덕분에 간략하고 높은 저점
킬러튠 전개의 파워는 결과물로 나오는 싱크로 몬스터보다는 싱크로 소재로 쓰인 몬스터들의 견제 효과에서 나온다. 때문에 클립, 리믹스, 킬러튠 싱크로 등 상대 턴에 싱크로 가능한 카드들이 많다. 따라서 자신의 턴에는 2~4특소 정도로 전개를 멈추더라도 상대 턴에 싱크로 소환을 하는 것으로 충분한 견제를 날릴 수 있다.
- 튜너 패 트랩의 더미 아드 방지
킬러튠 하급 튜너들은 공통적으로 패의 튜너 1장을 같이 싱크로 소재로 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이 덕분에 유령토끼나 부유벚꽃 등 상대에 따라 발동각이 잘 나오지 않는 패 트랩도 싱크로 소재로 쓰는 것으로 낭비 없이 활용이 가능하다. 패의 아무 몬스터를 융합 소재로 할 수 있는 드래곤테일과 비슷한 장점.
2.1.2. 단점
- 튜너만 특수 소환 가능한 제약, 그로 인한 낮은 자유도와 고점
비록 일부 카드에만 있고 제약이 걸리기 전에 비튜너가 특수 소환이 가능한 제약이라고 하나, 이 제약 때문에 꺼낼 수 있는 몬스터가 지나치게 한정되어 있다. 엑시즈나 링크 같이 튜너와 거리가 먼 소환법은 둘째치고, 싱크로 소환조차 대다수의 싱크로 튜너 몬스터가 튜너+튜너 이외의 몬스터를 요구하기 때문에 튜너 비중이 매우 높은 킬러튠에선 꺼내기 어렵다. 비튜너 역할을 해줄 메인 덱 몬스터도 이 제약이 걸리면 특수 소환이 안 되기 때문에 쉽게 넣을 수 없다. 이로 인해 용병으로 채용 가능한 몬스터가 매우 크게 한정되며, 사실상 타점이나 자체 효과가 상대적으로 빈약한 킬러튠 싱크로 몬스터밖에 쓸 수 없다. 그나마 증식의 G나 마루챠미 같은 비튜너 패 트랩을 소재로 용병 카드를 싱크로 소환하는 정도. 이로 인한 엑스트라 덱의 빈 자리를 부유벚꽃이나 초융합에 쓸 저격용 카드로 채우기도 한다.
- 묘지 견제에 취약
킬러튠은 하급 몬스터를 싱크로 소재로 쓰는 것을 반복하며, 싱크로 소재로서 묘지로 보내졌을 때 발동하는 효과로 상대를 견제/방해하는 운영덱이다. 때문에 묘지로 보내진 하급 몬스터를 재활용하지 못하게 하는 무덤의 지명자 등의 묘지 견제 효과나, 아예 싱크로 소재로 써도 묘지로 보내지지 않는 디멘션 어트랙터 같은 차원계 제외 효과에 취약하다. 레드씰의 무효 효과나 라우드니스워의 효과 복사 등도 묘지의 튜너를 제외하고 발동하는 효과라 킬러튠 덱에서 묘지 자원의 의미는 매우 크다.
3. 효과 몬스터 (튜너)
3.1. 레벨 2
3.1.1. 킬러튠 믹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 명칭=킬러튠 믹스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キラーチューン・ミクス,
영어판 명칭=Kewl Tune Mix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레벨=2, 속성=바람, 종족=전사족, 공격력=100, 수비력=2000,
효과외1=필드의 이 카드를 소재로서 싱크로 소환할 경우\, 패의 튜너 1장도 싱크로 소재로 할 수 있다.,
효과외2=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 / 묘지에서 레벨 2 몬스터 이외의 "킬러튠"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싱크로 소재로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①의 효과는 소환시 레벨 2 몬스터 이외의 킬러 튠의 서치/샐비지. 싱크로 몬스터를 샐비지하거나, 아니면 단순히 레코를 서치하여 레벨 5 싱크로를 준비하면 된다. 자체적으로 패에 소재를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1핸드 초동으로 기능하며, 전사족이라 증원에 대응한다.
②의 효과는 소재로 보내졌을 경우 상대 필드 몬스터 1장 파괴. 클립 등의 효과로 상대 턴에 싱크로하면 그 파괴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름의 모티브는 믹싱.
수록 시리즈 |
2025-08-23 |
DBPR-JP031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3.1.2. 킬러튠 클립
파일:キラーチューン・クリップ.jpg[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 명칭=킬러튠 클립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キラーチューン・クリップ,
영어판 명칭=Kewl Tune Clip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레벨=2, 속성=어둠, 종족=번개족, 공격력=800, 수비력=1000,
효과외1=필드의 이 카드를 소재로서 싱크로 소환할 경우\, 패의 튜너 1장도 싱크로 소재로 할 수 있다.,
효과외2=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패에 존재할 경우\, 상대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싱크로 몬스터의 튜너 1장의 싱크로 소환을 실행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싱크로 소재로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의 엑스트라 덱의 뒷면인 카드를 무작위로 1장 제외한다.)]
①의 효과는 상대 턴에 불쑥 튀어나와 싱크로하는 효과. 룰 효과 덕분에 패의 튜너를 소재로 쓸 수 있으므로 패의 튜너만 충분하다면 기습적으로 싱크로 소환을 노릴 수 있다. 이미 필드에 있는 몬스터에 튜닝하여 다른 싱크로 튜너를 꺼낼 수도 있다. 상대 턴에 발동하는 효과인 만큼 후공 0턴 움직임도 노려볼 수 있는데, 레코를 통해 레드씰을 꺼내면 1무효화를, 믹스를 통해 트랙메이커를 꺼내면 믹스 효과로 1파괴를 추가로 노려볼 수 있다. 레벨4 튜너가 별도로 요구되지만 라우드니스워를 꺼내면 상대의 효과 발동을 트리거로 엑스트라 덱을 1장 더 제외할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엑스트라 덱 무작위 제외. ①의 효과로 상대 턴에 싱크로 소환해 발동시키면 상대의 전개에 견제를 걸 수 있다.
이름의 모티브는 클리핑.
수록 시리즈 |
2025-08-23 |
DBPR-JP032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3.2. 레벨 3
3.2.1. 킬러튠 레코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 명칭=킬러튠 레코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キラーチューン・レコ,
영어판 명칭=Kewl Tune Reco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레벨=3, 속성=화염, 종족=악마족, 공격력=1500, 수비력=800,
효과외1=필드의 이 카드를 소재로서 싱크로 소환할 경우\, 패의 튜너 1장도 싱크로 소재로 할 수 있다.,
효과외2=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 / 묘지에서 레벨 3 몬스터 이외의 "킬러튠"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싱크로 소재로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상대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①의 효과는 믹스랑 레벨만 빼고 똑같다. 믹스/클립을 서치하여 싱크로 소환을 준비하거나 싱크로 몬스터를 샐비지하면 된다. 이쪽도 초동으로, 스탯상 지박수인 스톤 스위퍼라는 서치 카드가 있다.
②의 효과도 믹스가 몬스터 파괴면 이쪽은 마함 파괴.
|
설정화 |
이름의 모티브는 레코드.
수록 시리즈 |
2025-08-23 |
DBPR-JP033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3.2.2. 킬러튠 큐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 명칭=킬러튠 큐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キラーチューン・キュー,
영어판 명칭=Kewl Tune Cue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레벨=3, 속성=빛, 종족=천사족, 공격력=900, 수비력=1900,
효과외1=필드의 이 카드를 소재로서 싱크로 소환할 경우\, 패의 튜너 1장도 싱크로 소재로 할 수 있다.,
효과외2=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덱 / 묘지에서 "킬러튠 큐" 이외의 튜너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턴에\, 자신은 튜너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싱크로 소재로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의 덱 위에서 카드를 2장 넘기고\, 그 중에서 1장을 제외하고\, 나머지 1장을 덱 맨 위나 맨 아래로 되돌린다.)]
①의 효과는 소환시 큐 이외의 튜너 특수 소환. 패나 묘지는 물론 덱에서까지 그냥 아무 튜너나 소환해도 상관이 없다는 점이 강점이다. 킬러튠 몬스터들을 소재로 해서 그 효과를 격발시키는 것도 좋지만, 테마 외의 범용 튜너를 소환할 수 있어 활용의 폭이 넓다. 특히 레드 노바의 경우 레벨 1이라서 이 카드와 함께 킬러튠 트랙메이커를 소환할 수 있는데다가, 튜너 2장 이상을 소재로 싱크로시 화염 속성 악마족을 불러내는데 거기에 킬러튠 레코가 포함이 되기에 매우 좋은 궁합을 보여준다.
다만 발동 후 튜너밖에 소환할 수 없게 되므로 사실상 킬러튠으로만 싸워야 한다. 그리고 일반 소환에만 대응되므로 막히면 패에 다른 튜너를 써서 전개해야 하며, 그렇게 전개할 경우 큰 빌드가 나올 수 없다는 점은 흠. 그래도 일단 이 카드와 레드 노바가 통과만 된다면 트랙메이커 주크조인트 콤보로 킬러튠 튜너가 줄줄이 튀어나와 킬러튠 싱크로 몬스터를 2장 이상 꺼내두는 고점 빌드를 노릴 수 있다. 그리고 이 카드 이외의 다른 초동으로 들어가더라도 트랙메이커만 거칠 수 있다면 주크조인트의 추가일소효과를 통해 이 카드를 연계시킬 수 있다.
그 외에도 높은 타점과 컨트롤 탈취 효과를 지닌 옥락조나 마함 발동 횟수 제한을 거는 나츄르 로즈윕 등을 꺼내는 것도 고려됐지만, 정직하게 레드 노바나 다른 킬러튠 몬스터를 꺼내서 전개를 하는 것에 비해 안정성도 고점도 떨어지기 때문에 채용되지 않고 있다. 레드 노바가 고점 전개용으로 메인 덱에 1장만 채용되는 게 일반적이고, 아주 가끔 섬도희나 루닉 같은 마법 카드 위주의 덱을 경계해서 로즈윕 1장을 사이드 덱에 넣는 정도다. 휠 싱크론으로 비서스=암리타라를 뽑아 리프레이밍을 장전하거나, 비서스=삼사라를 넣어 상대 턴에 실비아를 날리는 플랜도 있으나, 패에 큐와 다른 킬러튠 초동이 잡혀야 된다는 한정적인 상황에나 쓸만하기에 마찬가지로 비주류.
②의 효과는 상대 덱탑 조작. 상대 전략에 필요한 카드를 제외하거나 덱 맨 아래로 되돌리고, 필요없는 카드를 맨 위로 넘겨버릴 수 있다.
모티브는 대사·동작·음악 등의 시작을 지시하는 신호를 의미하는 큐(cue), 여기서는 음악의 시작을 나타내는 의미로 쓰였으며, 그 의미에 맞게 이 카드로 일반소환을 해서 시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수록 시리즈 |
2025-08-23 |
DBPR-JP034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4. 싱크로 몬스터 (튜너)
4.1. 레벨 4
4.1.1. 킬러튠 트랙메이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튜너=, 효과=,
한글판 명칭=킬러튠 트랙메이커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キラーチューン・トラックメイカー,
영어판 명칭=Kewl Tune Trackmaker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레벨=4, 속성=빛, 종족=기계족, 공격력=0, 수비력=2500,
소재="킬러튠" 튜너 + 튜너 1장 이상,
효과외1=필드의 이 카드를 소재로서 싱크로 소환할 경우\, 패의 튜너 1장도 싱크로 소재로 할 수 있다.,
효과외2=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킬러튠"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싱크로 소재로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카드 1장을 패로 되돌린다.)]
레벨 4의 하급이라 그런지 다른 킬러튠 싱크로랑 달리 메인 덱 몬스터와 비슷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다만 3+1이든 2+2든 큐를 일반소환하는 것 이외에는 원핸드로 갖춰지지 않아, 아무 튜너나 덱 특소가 가능한 큐를 거치지 않는다면 소재 마련하기가 좀 번거롭다.[4] 일단 킬러튠 내에서도 레벨 2 튜너는 믹스와 클립 2종이 있고, 레벨 1 튜너는 패 트랩인 이펙트 뵐러로 채울 수 있어서 일단 2핸드로 꺼내는 건 어렵지 않다.
①의 효과는 소환시 킬러튠 카드 서치. 몬스터나 싱크로를 서치하여 추가 싱크로를 행하거나, 필드 마법을 서치하여 보강할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소재시 대상 비지정 바운스로, 믹스보다 더 강력한 제거기로써 활용될 수 있다.
이름의 모티브는 반주를 만들고 편곡하는 사람인 트랙 메이커. 멜로디와 가사를 만드는 사람은 탑 라이너라고 한다.
수록 시리즈 |
2025-08-23 |
DBPR-JP035 |[[노멀| N ]]노멀 |
4.2. 레벨 5
4.2.1. 킬러튠 리믹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튜너=, 효과=,
한글판 명칭=킬러튠 리믹스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キラーチューン・リミックス,
영어판 명칭=Kewl Tune Remix,
레벨=5, 속성=어둠, 종족=전사족, 공격력=1500, 수비력=2000,
소재="킬러튠 믹스" + 튜너 1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의 필드나 묘지에 튜너가 존재하는 한\, 이 카드의 공격력은 1500 올린다.,
효과2=②: 상대 턴에\,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에서 싱크로 몬스터 이외의 튜너 2장을 고르고\, 그 중의 1장을 패에 넣고\, 나머지 1장을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싱크로 몬스터의 튜너 1장의 싱크로 소환을 실행할 수 있다.)]
믹스가 강화한 형태. 소재로 믹스가 반드시 요구된다. 자연스레 나머지 소재는 레벨 3 튜너가 요구.
①의 효과는 상대 필드/묘지에 튜너가 존재할 때 공격력을 1500 올리는 지속 효과. 이 효과가 적용받으면 리믹스의 공격력은 3000이 되어 앵간한 상급 몬스터도 때려잡을 정도는 된다. 다만 상대에 의존하는 효과이므로, 상대가 싱크로를 쓰는 덱이 아닌 이상 우라라 같은 범용 튜너 패 트랩을 소모했을 경우에나 유효한 효과다. 다행히 해당 패 트랩들의 채용률이 매우 높은 편이라 아예 적용되지 않을 경우는 거의 없다.
②의 효과는 묘지의 튜너 1장은 샐비지, 1장은 소생한 뒤 싱크로하는 효과. 이 효과로 킬러튠을 소생하면 패 싱크로를 통해 재빠르게 기습적인 소환이 가능하다. 특히 믹스와 레코를 이용하면 효과적인데 이 카드를 소환하는 과정에서 믹스와 레벨 3 튜너는 묻어지게 되므로, 그 몬스터가 레코였다면 레드씰을 소환, 믹스와 레코의 상대 필드 카드 파괴 효과를 쓰면서 추가적으로 1퍼미션을 확보할 수 있다.
참고로 ②의 효과로 실행하는 싱크로 소환은 반드시 실행하지 않아도 되는 선택 효과고, 싱크로 소환을 하더라도 반드시 그 효과로 패에 넣거나 특수 소환한 튜너를 소재로 써야할 필요가 없다. 그냥 적당한 튜너를 소생/샐비지하고, 원래부터 필드/패에 있던 다른 튜너를 소재로 써도 된다는 것. 따라서 믹스/레코를 소생시키고 남겨두는 것으로 서치/샐비지 효과를 발동할 수도 있고, 이펙트 뵐러나 요괴소녀 등 튜너인 패 트랩을 샐비지해 패 트랩으로써 재활용하는 등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인 셈이다.
이름의 모티브는 리믹스.
수록 시리즈 |
2025-08-23 |
DBPR-JP036 |[[노멀| N ]]노멀 |
4.2.2. 킬러튠 레드씰
유희왕 OCG의 덱 빌드 팩 커버 카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0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nopad> 스피릿 워리어즈 | <nopad> 다크 세이비어즈 | <nopad> 히든 서머너즈 |
그림자 여섯 무사-리한 마탄환의 악마 자미엘 홍천후 아르시엘 | 알담피르-뱀파이어 쉐리단 공아단의 영웅 라팔 섬도희-카가리 | 염황신-네프티스 프랭키즈 하우스버틀러 우아함의 마요괴-요호 |
<nopad> 인피니티 체이서즈 | <nopad> 미스틱 파이터즈 | <nopad> 시크릿 슬레이어즈 |
무한기동 어스셰이커 주안의 왕 자라키엘 위치크래프트마스터 베르 | 염참기 파이널시그마 영원의 제너레이드 오르무간드 드래곤메이드 하스키 | 황금경 엘드리치 아다마시아 라이즈-드라가이트 육화성 티어드롭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1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nopad> 제네시스 임팩터즈 | <nopad> 에인션트 가디언즈 | <nopad> 그랜드 크리에이터즈 |
드라이트론-메테오니스=DRA 마기스토스 드래곤 바흐람 Evil★Twins 키스킬 리일라 | 베어루크티-셉텐=트리온 명세계신-오그도어비스 도도레미코드 쿨리아 | Uk-P.U.N.K. 어메이징 드래곤 성전의 수견사 / 유적의 마광전사 / 방랑의 그리폰라이더 엑소시스터 미카에리스 |
<nopad> 택티컬 마스터즈 | <nopad> 어메이징 디펜더즈 | <nopad> 와일드 서바이버즈 |
밸리언츠의 취-마모나카 루닉의 샘 백은 성의 라뷰린스 | R-ACE 터뷸런스 엑스퓨어리 하피니스 오오히메의 미캉코 | 초월룡 메테오로스 VS 카이저 바리우스 바그리엘 드 누밸즈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2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nopad> 밸리언트 스매셔즈 | <nopad> 크로스오버 브레이커즈 | <nopad> 저스티스 헌터즈 |
명해합룡-메멘토랄 테쿠틀리카 센츄리온 에메트VI 데모네 바르모니카 / 안젤로 바르모니카 | 라이제올 데드네이더 M∀LICE<Q>HEARTS OF CRYPTER 창성룡화-광파 | 드래곤테일 알자리온 야미★스내치 캡시☆야미 / 쿠키☆야미 / 롤리포☆야미 K9-17호 "Ripper"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3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nopad> 팬텀 리벤저스 | ||
헤카톤케일 자우저 에니아크래프트-Atoriϝ.MAR 킬러튠 레드씰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튜너=, 효과=,
한글판 명칭=킬러튠 레드씰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キラーチューン・レッドシール,
영어판 명칭=Kewl Tune RS,
레벨=5,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1700, 수비력=2400,
소재="킬러튠 레코" + 튜너 1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③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공격력은\, 서로의 묘지의 튜너의 수 × 300 올린다.,
효과2=②: 원래 공격력이 1700 이하인 상대 필드의 몬스터 레벨은 1개 올라간다.,
효과3=③: 자신 / 상대의 메인 페이즈에\, 자신 묘지에서 튜너 1장을 제외하고\,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의 효과를 턴 종료시까지 무효로 한다.)]
덱 빌드 팩 팬텀 리벤저스의 커버 카드. 킬러튠의 에이스 몬스터로 레코가 강화된 형태. 이쪽도 레코가 무조건적으로 요구된다. 자연스레 나머지 소재는 레벨 2 튜너가 될 것이다.
①의 효과는 타점 증가. 이 카드의 소환에는 적어도 튜너 2장이 요구되므로, 상대가 튜너를 아예 쓰지 않았다는 가정 하에 기본 공격력은 2300 정도다. 물론 그렇게까지 타점이 높다고 보긴 힘들다. 어디까지나 덤인 효과. 다만 자원을 매우 많이 쌓았을 후반에는 공격력이 커졌을 것이라 의외의 타점 카드로 활약은 가능하다.
②의 효과는 1700 이하의 상대 필드의 몬스터 레벨을 1 올리는 효과. 하급 몬스터의 싱크로 소환/엑시즈 소환을 방해할 수 있다.
③의 효과는 튜너 1장을 제외하고 염마룡 레드 데몬 어비스식 퍼미션을 발휘하는 효과다. 특성상 니비루 같은 패에서 발동하는 효과는 전혀 막지 못하지만, 필드에 내려오는 마함과 필드 몬스터 발동은 틀어막을 수 있다. 돌파용 카드인 명왕결계파 같은 것도 명왕결계파에 마법/함정 카드의 체인을 걸고 이 효과를 발동하는 방식으로 막아낼 수 있다. 물론 타점은 300 감소하게 된다. 테마 내에서 제외된 튜너를 재활용할 수단이 없다는 것도 주의.
이름의 모티브는 RCA 레코드(당시 RCA Victor 명의)의 프리미엄 브랜드인 레드 씰, 유명 클래식 음악가의 음반을 고음질로 녹음해 고가로 판매했다. 레코드판도 붉은색이다. 오른팔의 무기를 잘 보면 레코드 플레이어의 바늘처럼 생겼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수록 시리즈 |
2025-08-23 |
DBPR-JP037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4.3. 레벨 6
4.3.1. 킬러튠 라우드니스워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튜너=, 효과=,
한글판 명칭=킬러튠 라우드니스워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キラーチューン・ラウドネスウォー,
영어판 명칭=Kewl Tune Loudness War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레벨=6, 속성=빛, 종족=기계족, 공격력=0, 수비력=3000,
소재=튜너 + 튜너 1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의 다른 튜너는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으며\, 상대는 그 몬스터들을 효과의 대상으로 할 수 없다.,
효과2=②: 상대가 효과를 발동했을 때\, 자신 묘지에서 "킬러튠"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제외한 몬스터의\, 자신이 싱크로 소재로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하는 효과를 적용한다.)]
킬러튠에서 가장 레벨이 높은 싱크로 몬스터, 레벨이 6이라 레코 2장 혹은 트랙메이커+레벨 2 튜너 등으로 소환할 수 있다. 속성/종족과 스테이터스, 그리고 가운데에 작게 보이는 트랙메이커가 앉아있는 기계를 보면 트랙메이커가 강화한 형태이다.
①의 효과는 튜너들에게 효과 파괴/대상 지정 내성을 부여하는 효과. 즉 대상 비지정 비파괴 효과 혹은 전투 파괴를 강요한다. 이 카드에는 내성이 없다는 점은 유의. 이 점은 두 장 세워놓으면 해결이 된다.
②의 효과는 킬러튠의 싱크로 소재로서의 효과를 대신 발동하는 효과. 믹스의 몬스터 파괴, 레코의 마함 파괴, 클립의 엑덱 무작위 제외, 트랙메이커의 대상 비지정 바운스를 쓸 수 있다. 물론 테마 내에서 제외된 튜너를 재활용할 수단이 없으니 리믹스 등으로 재활용할 묘지 자원은 남겨놓을 수 잇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이름의 모티브는 음량을 과도하게 높히는 경쟁적 현상인 라우드니스 워.
수록 시리즈 |
2025-08-23 |
DBPR-JP038 |[[노멀| N ]]노멀 |
5. 마법 카드
5.1. 속공 마법
5.1.1. 킬러튠 싱크로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킬러튠 싱크로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キラーチューン・シンクロ,
영어판 명칭=Kewl Tune Synchro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2장까지 발동할 수 있다.,
효과1=①: 덱에서 "킬러튠 싱크로" 이외의 "킬러튠"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그 후\, 싱크로 몬스터의 튜너 1장의 싱크로 소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카드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튜너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킬러튠을 서치하고 싱크로 튜너를 싱크로 소환하는 효과를 가진 속공 마법 카드.
튜너 특소 제약이 걸린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1턴에 2장까지 발동 가능하다는 파격적인 성능의 서치 카드로, 속공 마법이기 때문에 드로우 페이즈에 발동하여 드롤 & 로크 버드를 사실상 무시할 수 있고, 뵐러나 포영도 싱크로 소환 소재로 씀으로서 대상 회피가 가능하며, 하루 우라라에 막혀도 2장째가 패에 있다면 다시 발동해 서치 및 전개로 이어갈 수 있어 반쯤 무의미하게 만들 수 있다. 거기에 발동 제약이기 때문에 발동무효 퍼미션을 맞으면 또다시 쓸 수 있다는 것도 강점이다.
수록 시리즈 |
2025-08-23 |
DBPR-JP039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5.2. 필드 마법
5.2.1. 주크조인트 "킬러튠"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 명칭=주크조인트 “킬러튠”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ジュークジョイント“<ruby>Killer Tune<rp>(</rp><rt>キラーチューン</rt><rp>)</rp></ruby>”,
영어판 명칭=Juke Joint "Kewl Tune"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③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은 통상 소환 외에도 1번만\, 자신 메인 페이즈에 튜너 1장을 일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상대의 필드나 묘지에 튜너가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의 "킬러튠 라우드니스 워"의 공격력은 3300 올린다.,
효과3=③: 자신 필드의 튜너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킬러튠" 몬스터 1장을 고르고\, 패에 넣거나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튜너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①의 효과는 튜너 1장의 소환권을 획득하는 효과. 킬러튠 몬스터들은 자체 특수 소환이 없어서 필드에 나오자마자 견제당하면 매우 취약한데, 이것을 보완해준다.
②의 효과는 상대 필드나 묘지에 튜너가 있을 때 라우드니스 워의 공격력을 3300 올리는 효과. 킬러 튠 카드들 중에 상대 필드에 튜너를 소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카드는 없지만, 범용 패트랩 중에 하루 우라라 같은 튜너들이 있으니 발동 될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 3300이면 일반적인 최상급 몬스터들을 때려잡을 정도는 된다.
③의 효과는 튜너 1장을 릴리스하고 킬러튠을 패에 넣거나 특수 소환하는 효과. 아무 튜너여도 되므로 패 트랩을 일반 소환해서 써먹거나 할 수도 있다. 다만 튜너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는 제약이 붙는 것은 유의.
이름의 모티브는 미국 남부, 특히 미시시피 주에서 흑인 노동자가 일 끝나고 모여 음악을 즐기던 술집인 주크조인트(Juke Joint), 블루스 음악의 발상지로도 알려져 있다. 클럽의 문이 주크박스처럼 생긴 것도 특징.
수록 시리즈 |
2025-08-23 |
DBPR-JP040 |[[노멀| N ]]노멀 |
6. 함정 카드
6.1. 일반 함정
6.1.1. 킬러튠 플레이리스트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킬러튠 플레이리스트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キラーチューン・プレイリスト,
영어판 명칭=Kewl Tune Playlist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2장까지 발동할 수 있다.,
효과1=①: 자신의 필드 / 묘지의 "킬러튠"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하의 효과를 각각 적용한다. 이 카드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튜너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대상 몬스터의\, 자신이 싱크로 소재로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하는 효과를 적용한다.,
효과3=●대상 몬스터를 패로 되돌린다.)]
킬러튠 몬스터 1장을 샐비지하면서 소재로서의 효과를 발동하는 함정 카드. 공격권이나 싱크로 소재를 마련하는 것은 물론, 파괴나 엑덱 제외 등의 견제를 동시에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견제를 겸하면서 묘지의 몬스터를 재활용 하는 용도의 카드지만, 상대의 필드/묘지 대상 견제를 회피하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름의 모티브는 음악의 재생목록인 플레이리스트.
수록 시리즈 |
2025-08-23 |
DBPR-JP041 |[[노멀| N ]]노멀 |
7. 같이 쓰면 좋은 카드
- 튜너 몬스터인 패 트랩
요괴소녀나 이펙트 뵐러가 대표적인 예시. 효과를 발동할 각이 나오지 않더라도 패에서 싱크로 소재로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무한포영 같은 범용 마법/함정을 빼고 대신 넣기 좋다. 리믹스의 효과로 패로 회수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재활용을 염두에 두고 적은 매수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 팬텀 리벤저스 발매 시점에서 엑스트라 덱의 자리도 좀 남는 편이라 사이드 덱에 부유벚꽃을 넣는 경우도 많다. - PSY프레임기어 γ, 버밀리온 디클레어러
제한이지만 그만큼 강력한 패 트랩. 상술한대로 리믹스의 효과로 묘지에서 건져 재활용을 노릴 수도 있으며, 둘 다 레벨2 튜너라서 클립이나 믹스와 함께 트랙메이커의 소재로 활용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킬러튠 내에서는 3+1에 비해 2+2를 마련하기 어렵기 때문에 은근히 귀중한 포지션. 감마는 비튜너 일반 몬스터인 드라이버를 같이 특수 소환해야 하지만 큐나 킬러튠 마법/함정의 효과로 튜너 제약이 걸리기 전이면 비튜너도 특수 소환이 가능하므로 오히려 고레벨 싱크로를 노릴 수도 있다. 버디클의 패 코스트로 필요한 천사족 몬스터는 큐로 만족시킬 수 있다. 감마를 쓰는 경우엔 마법 무효 버전인 델타를 같이 써서 레벨 2 튜너 풀을 늘리기도 한다.
- 홉 이어 비행대
패에서 발동하는 효과로 상대 메인 페이즈에 싱크로 소환을 시행할 수 있는 공격권 튜너. 상술한 것처럼 애매하게 모자란 레벨 2 튜너이기도 하다. 다만 대상으로 한 1장과 이 카드 2장으로만 싱크로 소환을 해야해서 꺼낼 수 있는 싱크로 몬스터의 폭이 좁고, 초동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것이 단점.
- 레드 노바
본래는 더블 튜닝을 지원하는 카드인데, 킬러튠에서 튜너 2장끼리 싱크로하는 것만으로도 조건이 충족되어버려서 효과가 발동되기에 궁합이 좋다. 싱크로 소재로 쓰일시 덱에서 특수 소환할 화염 / 악마족 카드풀에 킬러튠 레코가 있어 기믹도 연결이 된다. 큐로 소환하기에 충분한 밸류를 가진 튜너이며, 패에 잡히더라도 패 싱크로 소재로 쓰는 것만으로도 효과가 발동하는 우수한 보조 카드. 다만 자체적으로 초동 역할을 해주는 건 아닌데다 킬러튠 자체가 높은 저점을 내세우는 운영덱이라 고점 빌드용인 레드 노바는 1장만 들어간다.
- 싱크로 오버테이크[동팩]
킬러튠 믹스, 레코 등 싱크로 소재로 지정된 튜너를 덱/묘지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둘 다 특수 소환시 자신과 다른 레벨의 킬러튠 튜너를 서치해 전개를 시작할 수 있으므로 무조건 3장 들어간다.
- 듀얼리스트 제네시스
필드나 묘지에 튜너가 필요하지만, 킬러튠 싱크로와 싱크로 오버테이크를 패에 넣을 수 있다. 보통 4장째 킬러튠 싱크로/싱크로 오버테이크 느낌으로 1~2장 채용된다.
- 다수의 튜너로 싱크로 소환 가능한 싱크로 몬스터
비튜너를 1장 요구 하는 대신 튜너를 2장 이상 쓸 수 있거나, 아예 튜너만으로 싱크로 소환이 가능한 몬스터들은 튜너 비중이 매우 높은 킬러튠에서도 꺼내기 쉽다. 암리타라와 프라임하트는 빛 속성 몬스터를 1장 소재로 할 필요가 있지만, 킬러튠 내에서도 큐, 트랙메이커, 라우드니스워 등 빛속성 몬스터가 있어서 소재 마련은 어렵지 않다. - 비서스=암리타라
튜너로만 싱크로 소환 가능한 싱크로 튜너이기 때문에 튜너 제약이 걸린 상황에서도 꺼낼 수 있고, 마나둠 리프레이밍을 서치해 만능 무효 1회를 후열에 장전 하거나 마나둠 브레이크 하트를 서치해 후속 전개 수단을 마련할 수도 있다. 자신 필드 카드 1장을 파괴해야 하지만 싱크로 몬스터 전반의 타점 보조도 가능하다. - 마나둠 프라임하트
비튜너 싱크로 몬스터지만 암리타라처럼 튜너만으로 싱크로 소환이 가능하며, 타점이 불안정한 킬러튠 싱크로 몬스터들[6]을 대신해 킬각을 잡는 용도로, 3000 타점에 소재로한 튜너의 수만큼 공격할 수 있기 때문에 2~3소재로 꺼내도 어지간하면 턴킬을 낼 수 있다. - 크리스트론-그리온간드
비튜너 1장이 요구되지만 상대 필드/묘지의 몬스터를 싱크로 소재 수만큼, 다시 말해 최소 3장을 제외로 제거할 수 있는 강력한 제거 성능을 지니고 있다. 파괴됐을 때 제외된 몬스터를 특수 소환 할 수 있어, 레드씰이나 라우드니스워의 효과 코스트로 제외한 킬러튠 몬스터를 재활용할 수 있는 건 소소한 덤.
- 슈팅 라이저 드래곤
묘지 자원 조달 및 레벨 조정이 가능한 싱크로 튜너. 비튜너가 필요하지만 상대 메인 페이즈에 싱크로 소환하는 효과로 기습 견제까지 가능하다. 레벨 5 비튜너 조달이 가능한 K9을 패 트랩 용병으로 쓸 경우 클립과 함께 상대 턴에 슈팅 라이저 드래곤을 꺼낼 수도 있고, 레벨 2 튜너를 덤핑한 뒤 플뢰르 드 바로네스까지 이을 수 있어서 특히 궁합이 좋다.
- 테세우스의 마서물
남는 엑스트라 덱 자리를 초융합용 융합 몬스터로 채울 경우, 미러전을 대비해서 넣어둘 만한 융합 몬스터. 소재 조건이 튜너 2장이라 어지간해선 상대 킬러튠 2마리를 먹고 나올 수 있으며, 마서물 자체도 튜너라 킬러튠 싱크로 등으로 제약이 걸린 상태에서도 융합 소환할 수 있고 레벨1 튜너로 라우드니스워를, 빛속성 튜너와 함께 비서스=암리타라나 마나둠 프라임하트 등을 꺼낼 수도 있다. 자신의 배틀 페이즈에 자신의 몬스터를 소재로 꺼내서 약간 모자란 킬각을 노리는 용도로도 쓸 수 있다.
- 중력 붕괴
싱크로 덱의 초강력 비대칭 병기. 상대의 소환/특수소환을 무효로 하고 그 이후 소환/특수소환도 틀어막기 때문에 선공에 깔아둔다면 매우 높은 확률로 그대로 턴을 받을 수 있다. 싱크로 몬스터를 코스트로 요구한다는 게 무거운 단점이지만, 킬러튠 싱크로 몬스터들은 범용 싱크로 몬스터들과 비교하면 결과물로서의 스펙이 낮기 때문에 거리낌없이 중력 붕괴의 코스트로 발사하고 큐로 소생시키거나 믹스/레코로 회수하는 게 나을 때가 많다. 다만 서치가 안 되는데다 선공 첫턴이 아니면 세게 박히기 어렵기 때문에 보통은 사이드 덱에 들어간다.
- 환창룡 판타즈메이
링크 전개 중심의 덱을 상대할 때 후공용으로 투입할 만한 사이드 패 트랩. 패 교환 및 대상 효과에 대한 퍼미션도 좋지만, 상대 턴에 노 코스트로 특수 소환할 수 있는 레벨 7 비튜너라는 점도 중요한 포인트다. 레벨 3 튜너가 많은 킬러튠에서 바로네스를 꺼내 돌파각을 보기 쉬워진다.
- 오드아이즈 솔브레이즈 드래곤, 염참기 마그마
접촉의 G에 대한 대응책으로 채용되는 소재 제약이 없는 싱크로 튜너. 튜너만 특수 소환 가능한 제약이 걸린 상태에서 접G가 날아오면 레벨 2 튜너를 써서 레벨 8 싱크로 튜너를 꺼내는 거밖에 할 수 있는 게 없기 때문에 그나마 단독으로 효과 사용이 가능한 둘 중 하나를 채용하는 편이다. 솔브레이즈는 공격력이 2000으로 낮은 편에 펜듈럼 관련 효과는 쓸모가 없지만 묘지에서 자체 소생이 가능해 킬각을 잡는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며, 빛 속성이라 프라임하트의 소재로 쓸 수도 있다. 마그마는 공격력 2500으로 나쁘지 않은 수준에 전투로 몬스터 파괴시 상대 필드 카드를 2장까지 파괴할 수 있는 돌파 효과를 지니고 있다.
- 액셀싱크로 스타더스트 드래곤
PSY프레임기어 γ+PSY프레임 드라이버나 초융합+공명의 날개 가루라 등을 채용할 경우 레벨 8 싱크로를 노려볼 수 있기에 레벨 10 싱크로까지 이을 수 있는 액스덕 파츠를 같이 채용하기도 한다. 같이 쓸 레벨 10 싱크로로는 바로네스나 새털라이트 워리어 등이 채용된다.
- 메타트로니오스
조건만 맞으면 상대 몬스터를 1장 효과 무효로 하면서 개체수 1개를 추가할 수 있는 돌파용 카드. 싱크로 몬스터가 전부 레벨 2 튜너인 야미를 상대로는 자신의 개체수를 포기하는 대신 상대 몬스터를 제외하는 각까지 볼 수 있으며, K9으로 나오는 네필 어사일럼 헤트 나이트의 효과를 무효로 하고 레벨 3 싱크로 튜너인 해마를 꺼내는 식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1] 관련 레딧 게시글 #1, #2,#3.[2] 현재 메인 몬스터와 싱크로 몬스터가 동시에 존재하며, 전부가 튜너인 유일한 테마이다. 싱크로 몬스터의 튜너가 존재하는 다른 튜너 위주 카드군인 싱크론, 천륜 등은 비튜너 몬스터가 존재하며, 튜너만 존재하는 다른 카드군인 레조네이터는 싱크로 몬스터가 없다. 대신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이 전부 낮아, 과거 튜너 비트 덱의 핵심이었던 이지튜닝과는 궁합이 나쁘다.[3] 이 경우 레코를 서치할 수 있는 지박수인 스톤 스위퍼가 레벨 5라서 시너지를 낼 수 있다.[4] 믹스와 레코가 서치 효과를 지니고 있긴 하지만 레벨 2인 믹스는 레벨 2 이외의 킬러튠을 서치해야하고, 레벨 3인 레코는 킬러튠 내에 레벨 1 튜너가 없어서 이 카드에 필요한 소재를 갖출 수 없다.[동팩] 동팩 재록[6] 리믹스는 상대 묘지 의존에 레드씰은 무효 효과를 쓰다보면 타점이 낮아져 킬각을 놓치기 쉽다. 라우드니스워도 상대 묘지 의존인데다 주크포인트까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