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9 21:10:08

거대전함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현실의 거대전함}}}에 대한 내용은 [[거함거포주의]]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거함거포주의#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거함거포주의#|]]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현실의 거대전함: }}}[[거함거포주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거함거포주의#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거함거포주의#|]]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테마 일람'''
[ㅇ]
[A~Z, 특수문자]
파일:드용 이그니스터.jpg
[ruby(@, ruby=앳)]이그니스터
[ 각주 ]
● 기준은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데이터베이스의 덱 검색 사이트의 등록 카테고리다.
● 한국어판 미발매 테마들은 비공식 번역명으로 작성한다.
TCG 선행 테마영문판 DB 덱 검색에 카테고리가 등록되어 있으면 영판명 그대로 작성한다.
● 이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테마의 경우는 카드군 분류, 서포트 카드군 분류 혹은 지정되지 않는 카드군 분류 참조.
거대전함
파일:거대요새 제로스.jpg
거대요새 제로스
한글판 명칭 거대전함
일어판 명칭 [ruby(巨大戦艦, ruby=きょだいせんかん)]
영어판 명칭 B.E.S.
속성 종족 관련 카테고리
다속성 기계족 효과
통상 소환
특수 소환

1. 개요2. 설명3. 성능
3.1. 버스트 프로토콜 이후3.2. 장점3.3. 단점
4. 유희왕 듀얼링크스5. 효과 몬스터
5.1. 레벨 5
5.1.1. 거대전함 크리스탈 코어
5.2. 레벨 6
5.2.1. 거대전함 빅 코어5.2.2. 거대전함 테트란5.2.3. 거대전함 빅코어 MK-Ⅱ
5.3. 레벨 7
5.3.1. 거대전함 커버드 코어
5.4. 레벨 8
5.4.1. 거대전함 빅 코어 MK-Ⅲ
5.5. 레벨 9
5.5.1. 거대전함 블래스터캐논 코어
5.6. 레벨 10
5.6.1. 거대전함 델린저 코어
5.7. 레벨 11
5.7.1. 초거대전함 메탈 슬레이브
6. 서포트 마법 카드
6.1. 보스 러시6.2. 거대요새 제로스6.3. 보스 온 퍼레이드
7. OCG화되지 않은 카드
7.1. 어썰트 코어7.2. 실드리커버리
8. 같이 쓰면 좋은 카드
8.1. 같이 쓰면 좋은 테마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기계족 테마군.

2. 설명

초시공 전투기와 마찬가지로 그라디우스 시리즈에 나온 빅 코어 직계 시리즈를 포함한 코어 계열 보스들을 OCG화한 것으로, 그라디우스와 유희왕이 둘 다 코나미 판권이라 출시가 가능한 테마라 할 수 있다.

정식 테마군으로 분류된 테마 중에선 유일한 콜라보 테마군이라는 것이 특징이기에, 이 덱을 굴리는 사람은 보통 셋 중 하나로 갈린다.
  • 첫번째는 초시공 전투기 덱과 마찬가지로 그라디우스 시리즈에 대한 추억 또는 애정으로 만들어서 쓰는 사람들이다.
  • 두번째는 일부러 약체 비주류 덱으로 이겨보는 막장 플레이 수준의 도전을 하고 있는 부류다.
  • 마지막 세번째로는 가끔씩 거대전함이라는 테마군 이름 때문에 흥미가 생겨 입문하는 사람이 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는 빛의 결사에 들어간 학생 중 하나인 슈팅 게임의 달인이자, 듀얼 전에 그라디우스 시리즈로 보이는 게임을 하고 있던 긴 류세이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에서 사용했다. 보스 러시와 사이버 소환 블래스터의 콤보로 거대전함을 계속 소환하며 쥬다이에게 데미지를 줬지만, 쥬다이의 네오 스페이시언 그랜드 몰의 효과로 빅 코어가 패로 되돌아가자 통상 소환 불가라는 보스 러시의 디메리트에 역으로 당해 패배했다. 그리고 이 듀얼 덕분에 테트란과 크리스탈 코어, 빅 코어는 TV 방송에 등장했다. 다만 빅 바이퍼가 듀얼몬스터즈 시절에 이미 등장했고, 지금은 둘 다 약체들이라 안 쓰여서 그런지, TVA에서 그라디우스 원작 재현을 하는 풍경은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

영어명은 '거대전함' 대신 'B.E.S.'가 들어가며, 이는 'Bacterion Empire Ship'의 약자로 이들이 소속된 박테리안 군의 전함을 말한다. 맨 처음 나온 빅 코어는 이게 안 들어가고 그냥 'Big Core'였으나 OTS 토너먼트 팩 4에서 카드명이 에라타됐다. 카드의 일러스트들은 그라디우스 V에 나온 경우 거기 나온 모습에 준하며 아닐 경우 2D 시절의 알록달록한 모습으로 그려졌는데, 예외적으로 빅 코어 MK-Ⅱ는 그라디우스 V에 등장했음에도 2스테이지의 1차 보스러시 구간에서 테트란 다음으로 등장했던 경력 때문에 그라디우스 V 모습을 완전히 재현하면 배경 그래픽이 겹치니까 그랬는지, 2D 시절의 알록달록한 모습으로 수록됐다.

일러스트에서 빅 바이퍼가 등장할 때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항상 보스의 안전지대에 들어간다는 기묘한 전통이 있다. 본래는 그라디우스 시리즈가 탄막 게임의 시조는 맞더라도 탄막 슈팅 자체는 아니었던 관계로, 안전지대의 의미는 한번 들어가면 가만히 있어도 죽을 일이 없는, 버그성 생존 구역을 지칭했지만, 빅 코어 Mk-III 때 꼼수에 가까운 생존 지대를 포함하기 시작했고, 블래스터 캐논 코어가 추가되며 비교적 현대적인 뜻인 일부러 만들어둔 피난 구역이란 뜻도 포함되기에 아케이드 게임이었던 종/횡스크롤 슈팅 게임들의 역사를 반영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2019년의 마지막 지원이었던 블라스터 캐논 코어의 출시 이후로 2024년까지는 그 누구도 관심을 주지 않는다 해도 무방한 테마였지만, 3주년을 맞이한 마스터 듀얼에서 새로 만든 섬도희 스토리 내의 상대 듀얼 덱에 무려 거대전함 덱을 넣어줌으로써 코나미 내 유희왕 제작진들이 아직 이 테마를 완전히 망각한 건 아니라는 걸 보여줬다.

2025년 3월 27일 닌텐도 다이렉트에서 그라디우스 40주년 신작인 샐러맨더 III가 출시된다는 소식이 공개되어, 새로운 지원이 나올 가능성이 생겼다. 이후 코나미 측에서 토너먼트 팩에 빅토리 바이퍼와 크리스탈 코어의 재록 등 신규 지원이 나올 거라는 암시를 계속해서 던져댔으며, 결국 버스트 프로토콜에서 6년만에 신규 지원을 받게 되었다.

3. 성능

13기 이전 거대전함들의 공통 효과
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1]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에 카운터를 n[2]개 놓는다.
②: 이 카드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③: 이 카드가 전투를 실행한 데미지 스텝 종료시에 발동한다. 이 카드의 카운터를 1개 제거한다. 제거할 수 없을 경우 이 카드를 파괴한다.[3]
프로미넌스 드래곤, 델타트라이, 트라이곤, 플린트 록, 블루 썬더 T45, 스페이스 맘보, 커맨더, 포스 필드, 화려한 잠입공작원, 뱀파이어 킬러, 이츠 시리즈, 게츠 후우마, 봉인 마법의 전승자, 오샤레온 등의 사례를 통해 증명되어 있듯, 자사의 다른 게임을 유희왕의 카드로 내면 미묘하게 약하게 내는 코나미인지라 거대전함의 테마덱은 로망 덱 중에서도 상당히 약한 편이다.

그나마 코나미산 게임 출신이면서도 강한 카드가 있던 사례로 용골귀가 과거에는 언데드족의 어태커로써 황금기를 누린 적이 있고, 상기한 초시공전투기 덱이 북미에서는 꽤 좋은 평가를 받은 역사가 있으며, DDR도 나름 괜찮게 쓰여있고, 나무위키 내에서도 원작 설정 상으로는 이 전함들과 완전히 동종 몬스터라 할 수 있는 더커이스터섬 모아이 & 모아이 요격포는 그럭저럭 무난하게 서술되어 있지만, 이건 이 녀석들이 예외적인 경우고, 현 메타에서 동떨어져 밑바닥을 기어다니고 있다는 사실이 어딜 가진 않기에 현재로선 거의 무의미한 비교라 할 수 있으며, 브레인 골렘야망의 고퍼처럼 가치가 폭락할 가능성만 잔뜩 포진하고 있는 신세다.

이 몬스터들의 특징은 일반 소환에 성공하면 카운터를 얻고, 전투하면 파괴되는 대신 카운터를 하나씩 제거한다는 것. 즉 게임 내의 코어를 보호하는 코어 덮개를 카운터로 재현하고 있다. 물론 카운터 없는 상태로 전투하면 파괴된다. 또한 대부분의 몬스터에게 특수 소환할 경우 카운터가 쌓이지 않는 단점이 있다.

덱의 전략은 기본적으로 보스 러시를 이용해 매 턴 상급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면서 상대를 압박하는 방식이였으나, 거대요새 제로스가 추가된 이후로는 거대요새 제로스까지 섞어서 내턴에는 제로스를 통한 거대전함을 특수 소환하고, 자신 / 상대 턴에는 보스 러시로 해당 턴에 전함이 파괴되면 엔드 페이즈시에 새로운 거대전함을 불러내서 실제 보스 러시 또는 보스 재생실 시스템과 비슷한 방식으로 상대를 제압해나간다.

과거에는 순수 거대전함 덱을 짠다고 하기에는 소환이 매우 어려워서 덱으로써 기능을 할 수가 없었으며, 다른 테마에 소수 섞어넣기에도 마뜩찮은 꽝카드 취급까지 받았지만, 필드마법 거대요새 제로스의 추가 이후로 드디여 순수 거대전함 "덱"이라는 명칭을 달 수 있게 된 것이다. 그에 더해서 간단한 특소 효과로 안정성을 높힌 거대전함 블래스터캐논 코어와 거대전함의 간단한 특소 능력에 더해서 자신을 제외해서 묘지에 존재하는 모든 거대전함을 덱으로 되돌리는 효과로 지속전투능력을 매우 향상시킨 거대전함 빅코어 MK-III의 등장으로 인해 점점 덱의 성능이 향상되고는 있다. 하지만 블래스터캐논 코어는 특소를 제외하면 그냥 거대전함 빅코어의 공수 업그레이드 버전에 불과하고, 빅코어 MK-III도 묘지 카드를 재생하는 것 이외에는 별 게 없는, 나사가 많이 빠진 성능으로 인해 몇 없는 거대전함 유저들의 속을 썩게 만들고 있다.

거대전함 사용자 자체가 적은 덕분에 주력 카드 거대요새 제로스의 효과를 모르는 사람이 훨씬 많아서 더욱 잘 먹히는 전술로, 보스 러시 타입 거대전함 덱을 스킬 드레인과 연계하는 방법이 있다. 어차피 카운터가 없는 거대전함은 크리스탈 코어만 빼고 효과가 없는 거나 마찬가지인 데다, 디메리트인 자괴 효과가 죽어버리기 때문. 게다가 보스 러시의 효과는 자괴 이외의 효과에도 얼마든지 대응되기에, 상대 입장에서 보면 튼튼한 거대전함이 쓰러지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덤으로 귀찮은 효과 몬스터까지 봉할 수 있으니 좋다. 물론 보스 러시 타입 한정이고, 일반 소환 타입이라면 부적절하다. 높아 봐야 공격력 2500만으론 한계가 있다.

그래서 보통은 령사처럼 스킬 드레인을 포함한 강력한 견제카드들을 대량으로 때려박은 메타비트 전함덱이 대부분이고, 이것이 사실상 순수 거대전함 덱으로 취급받고 있다.

메타비트가 아닌 거대전함 덱은 다른 테마를 메인으로 쓰고, 거대전함은 거기에 묻어가는 형식으로 대충 플랜 C 정도로만 써먹는 경우다.

상당히 안 좋은 성능의 메인 몬스터, 특정 카드에 심하게 의존하는 덱 파워, 주로 메타비트 마함을 채용하는 덱 구축 방식, 구시대 출신 테마라는 점에서 령사와 상당한 유사성을 띄고 있으며, 덱의 핵심을 담당하는 필드 마법, 보스 몬스터 컨셉, 고레벨의 메인 몹이란 점에서는 제너레이드와도 여러모로 비슷한 점이 많다.

다만 령사는 이른바 아이돌 카드군의 일종이라 그런지, 코나미도 인지할 정도의 압도적 인기를 소유한 테마고, 제너레이드는 메인 몬스터들의 체급이 무거운만큼 그에 상응하는 강력한 효과들로 무장했다는 것이 큰 차이점이라 성능도, 인지도 및 인기도 전부 바닥을 기어다니는 거대전함은 그야말로 "낭만 또는 추억 보정 빼고는 진짜로 아무것도 없다."라 평해도 할 말 없다.

출시 초기부터 어드밴스 소환 타입으로 밀고 나가기 위해 거대전함과 가장 잘 섞일 수 있는 어드밴스 소환 테마군인 제왕과 연계하여 좋은 성능을 선보이는 전략을 짜는 수도 있었다. 제왕은 거대전함과 달리 서치 능력이 좋아서 각종 내성을 부여하는 카드들을 서치해서 발동하면 제왕도 거대전함도 같이 내성을 획득하니까 옛날 추억과 성능을 둘다 챙길 수 있게 된다.

보스 러시가 일반 소환만 제한하고 특수 소환은 제한하지 않는다는 걸 이용하면 펜듈럼 소환보급 부대를 사용해 덱을 만들어 볼 수도 있다. 거대전함이 자괴하면서 보급부대의 효과로 드로우를 하고,보스러시의 효과로 또 다른 거대전함을 특수 소환할 수 있기 때문. 다이렉트 어택은 배틀 페이더 등으로 막아내면 OK.

여담으로 SNo.39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은 전투로든 효과로든 거대전함을 파괴할 수는 없다. 전투로 파괴되지 않는 것은 지속효과라서 죽창에 의해 무효되지 않는데, 그 대신에 전투 후 거대전함이 카운터를 제거하는 효과 발동을 라이트닝이 막아버리기 때문이다. 그래서 분명 공격은 맞았는데 카운터도 하나 안 날아가고 전함도 안 터지는 괴상한 상황이 돼버린다. 대신 거대전함이 공격 표시인 경우 전투 대미지를 줄 수 있어 이를 노려야 한다. 한편 유토피아 더 라이트닝의 뒤를 잇는 죽창인 잭나이츠 파라디온 아스트람이나 바렐스워드 드래곤 등은 마찬가지로 전투 파괴는 못하지만 전투 대미지로 간단하게 압살할 수 있으며, 카운터 제거도 정상적으로 할 수 있다.

3.1. 버스트 프로토콜 이후

13기에는 그라디우스 40주년 기념으로 버스트 프로토콜에서 3장의 신규 지원[4]을 받았다.

신규 거대전함들은 기존에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던 전투 내성과 카운터가 없으면 자괴하는 디메리트가 삭제되었으며 카운터를 제거해 서치, 전개, 견제를 할 수 있는 효과를 달고 나왔다. 뿐만 아니라 원작에서 주인공 기체였던 초시공 전투기와 연계가 가능하도록 나와 상대 필드에 전투기를 던져주는 것으로 선턴엔 전개가 불가능했던 기존 거대전함 몬스터들의 디메리트를 보완하고 보스러시를 직접 앞면표시로 깔아 통상 소환한 턴 발동 불가인 보스러시의 디메리트 역시 보완했다. 이전부터 초시공 전투기와 섞어 쓰던 사람도 극소수 있긴 했지만, 본격적으로 연계할 수 있게 된만큼 둘을 합쳐 그라디우스 덱을 짜서 승리하는 것도 불가능의 영역에선 벗어났다.

처음 지원 공개 시에는 마스터 듀얼듀얼링크스에도 동시 실장된다는 소식 때문에 성능을 우려하는 사람들이 많았으나 막상 그럭저럭 나쁘지 않은 성능으로 나와 확실하게 강화가 이루어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다만 13기 지원 이후에도 제로스의 떡내성을 믿고 버티는 컨셉은 그대로인지라 메타비트형 덱이라는 특징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신규 지원들의 성능이 나쁘지 않기에 기계족GS에서 용병으로 사용하려는 움직임이 보이는 중이다.[5]

3.2. 장점

  • 조건부 강력한 내성
    신규 지원 카드 델린저 코어와 메탈 슬레이브를 제외한 나머지 거대전함 몬스터들은 자신에게 카운터가 존재하는 한, 전투 파괴 내성을 보유하며 필드 마법 거대요새 제로스가 깔려있을 경우엔 상대 효과로 인한 파괴 내성, 상대카드 효과의 대상 내성까지 보유한 막강한, 그야말로 거대전함이라는 이름이 어울리는 전함이 제작된다. 한발짝 더 나아가 제로스에 더불어 스킬 드레인까지 존재할 경우, 카운터 쌓기 / 제거 효과 뿐만이 아니라 그로 인한 자괴효과까지 막아버려서 카운터가 없는 상태로도 필드에 계속 유지시킬 수 있는데, 이 시점에서의 거대전함은 사실상 준 절대 내성의 몬스터가 된다.
  • 나름 준수한 유지력
    거대요새 제로스가 있다면 일반소환이 조건인 거대전함인 크리스탈 코어, 빅코어, 커버드 코어는 2번까지 전투에서 버틸 수 있으며, 테트란이 본인 효과를 사용했을 경우 1회용 벽이 되지만 대신 마함 하나를 해체할 수 있고, 특수 소환이 조건인 거대전함인 빅코어 MK-II, 빅코어 MK-III, 블래스터캐논 코어는 5번까지 전투로 파괴되지 않기 때문에 상대 입장에선 꽤나 귀찮은 벽이 생긴다. 이 중 빅코어 MK-III와 블래스터캐논 코어는 일소로도 카운터를 쌓을 수 있기에 보기보다 든든하며, 심지어 효과로 파괴하려 해도 먼저 거대전함에게 강력한 내성을 부여하는 제로스부터 파괴를 해야 하니 상대 입장에서는 그로 인한 아드 손실도 신경쓰일 수밖에 없다.
  • 영속류와 도미나스 카드들의 사용에 부담이 덜함
    거대전함은 필드 마법인 제로스의 떡내성을 믿고 싸우는 덱으로 13기 이전의 거대전함들은 카운터가 사라지면 자괴하는 디메리트만 가지고 있기에 스킬드레인, 능력흡수석 같은 영속류나 특정 속성의 효과 발동을 막는 도미나스 시리즈와의 궁합이 좋기에 부담없이 투입이 가능하다. 여기에 기계족 통일 덱이라 군웅할거를 투입하거나 도미나스 시리즈와 연계할 수 있는 열왕시편을 풀투입 가능한 것도 장점. 다만 13기에 나온 거대전함 2장은 각각 빛/어둠 속성이라 도미나스 시리즈와 연계하기엔 살짝 애매해진 감이 있다. 반면 무효 계열 영속은 해당카드들의 효과를 먼저 쓰고 난 후에 쓰면 되기에 여전히 궁합이 괜찮다. 특히 능력흡수석은 이 쪽에서 효과를 사용해 카운터를 쌓아 상대 효과만 막는 용도로 쓸 수 있게 되었다.
  • 상당한 정보의 불균형[마스터듀얼]
    사실 거대전함 개개인의 효과는 없다시피 하고 오직 제로스에 의존하는 테마라 그리 띄는 장점은 아니지만, 상당한 약체 테마는 보통 사람들이 관심을 주지 않기에 제로스가 발동되어 있는데 번개같은 비대상 파괴효과를 거대전함 몬스터에게 써버려 허무하게 카드 한 장 날려먹는 유저의 경우가 적지 않다. 당장 버스트 프로토콜이 공개되기 몇 년 전에도 스킬 드레인과 거대요새 제로스의 조합이 어떤 결과물을 낳는지 모르는 상태에서 빙검룡 미라제이드같은 에이스 몬스터의 싹쓸이 효과 같은 걸 무작정 고집하다가 망하는 광경을 볼 수 있었다. 사례 #1
    신규 지원이 나온 이후에도 타 테마와 비교하면 여전히 매우 약해서 이 웃픈 장점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3.3. 단점

  • 너무 많은 한계점
    구 테마인데다가 앞서 말했듯 코나미산 게임 관련 카드는 출시 직전 메타보다 약하게 내는 전통까지 합쳐져서 여러 방면에서 난감한 단점이 수두룩하다. 이는 13기 지원 후에도 기존의 거대전함 카드들을 계속 써야하기에 크게 해결되지 못했다.
    • 상급 몬스터 치고 낮은 타점
      출시 초기부터 거대전함 시리즈가 가진 고질적 단점으로 지목됐던 항목 중 하나로, 몬스터 카드들이 전부 레벨에 비해 기본 스탯이 낮다. 13기 지원 이전까지만 해도 공격력이 가장 높았던 게 빅코어 MK-III가 가진 2700이며 제로스를 깔아도 3200이 최대였다. 그나마 13기에 지원받은 메탈 슬레이브는 최초로 3000을 초과하는 타점을 들고 나와 제로스를 깔면 3600의 타점이 가능해지긴 했으나, 함께 나온 델린저 코어는 여전히 레벨이 10임에도 공격력이 1900밖에 되지 않아 전투에 참여하기 힘들고, 미쳐 날뛰는 현 메타를 생각하면 절대로 높은 스펙이라 할 수는 없다.
      그렇기에 킬각이 잡힌다면 주저없이 기회를 잡아 내가 먼저 죽기 전에 기계족의 각성제 리미터 해제로 상대 목을 어떻게든 빨리 따버리던가, 기계족 전용 타점 서포트인 기계장치의 밤-클락 워크 나이트-로 서포트 해주는 수 밖에 없다. 다만 상대가 마법이나 함정을 무효화 또는 파괴하는 수단이 많다면 이마저도 못 쓰게 될 확률이 높아진다.
    • 테마 몬스터의 내성효과 처리에 체인을 걸수 있기에 불안정한 필드 유지력
      구형 거대전함의 전투 내성은 카운터가 존재할 때 발동하며, 전투를 한 이후에는 카운터를 하나 제거하는 효과가 강제로 발동된다. 여기서 상대는 몬스터를 견제하는 퍼미션을 꺼내놓았을 경우, 거대전함 몬스터의 공격 이후 발동되는 카운터 제거 효과에 체인을 걸어 무효로 하고 파괴할 수 있는 기회가 언제든지 열려있는 거다. 그렇게 체인을 걸어서 파괴하면 가뜩이나 거대전함은 소환에도 차질이 많아서 아드 하나하나가 생명줄인데 그걸 날려먹으니 승리로부터 멀어질 수밖에 없다. 필드 마법 제로스가 있다면 어느 정도는 안심이 되긴 하지만, 없을 때는 하염없이 위험에 노출된다. 그나마 13기에 나온 신형 거대전함들은 이 카운터 제거 효과가 삭제되었기에 어느정도 개선은 되었으나 구형 거대전함들을 여전히 써야하기에 완전히 해소되진 못했다.
    • 너무 심각할 정도로 수준이 떨어지는 테마 몬스터들의 성능
      신규 지원인 델린저 코어와 메탈 슬레이브를 제외한 나머지 거대전함 몬스터들의 개개인의 효과는 너무 별로여서 없느니만 못하며, 이는 게임을 자신에게 유리하게 이끌어가기가 매우 힘들고, 결국 강력한 성능의 범용 견제 카드들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요인이 되어 버린다. 그나마 비대상 마함 파괴를 할 수 있는 테트란, 자신의 필드가 비었을 때 바로 꺼낼 수 있는 블라스터 캐논 코어가 있다는 것이 다행인 수준이다.
    • 모든 몬스터 카드가 상급 몬스터라서 발생하는 심각한 패말림
      거대전함의 엔진을 담당하는 보스 러시가 발동되어 있는 동안에는 통상 소환을 틀어막아버려서 일반 소환이 가능한 하급 몬스터 지원이 당연하게 불가능해진다. 테마군 내의 몬스터는 전부 상급 몬스터밖에 없으며, 덱에서 직접 덤핑하고 특수 소환이 가능한 메탈 슬레이브를 제외하면 패에 다른 거대전함이 있어야만 제 기능을 하는 델린저 코어나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필요한 빅코어 MK-III와 블래스터캐논 코어 밖에 없기에 선턴 전개력이 떨어지고 패말림이 상당히 심하다. 자신에게 제로스가 없다면 거대전함 몬스터를 전개하기가 매우 까다로우며 그러다보니 자연스럽게 필드마법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아질수밖에 없고, 이는 후술할 단점으로 이어지게 된다.
    • 심각한 수준으로 극단적인 필드 마법 의존도
      상기한 단점 때문에 거대요새 제로스가 핵심이라 할만큼 그 의존도가 지나치게 큰데 막상 그 제로스가 안 잡히면 덱으로서 기능하질 못한다. 이는 13기 지원 후에도 마찬가지이며 상대를 견제할 수 있는 메탈 슬레이브가 나오긴 했지만 이거 1장만으로는 현 환경에서 싸우기 힘들기에 여전히 제로스를 깔아둬야하며 그 제로스 자체가 견제당하거나 덱에 투입한 제로스를 전부 소진하는 순간부터 그대로 덱으로써의 가치는 없어져버린다. 제로스를 회수하는 효과조차 없기에 회생하기도 힘든 편.
    • 아주 비싼 가격[마스터듀얼]
      덱이라는 것이 본인 테마 카드들로만 짜는 것은 아닌 만큼, 다양한 서포트 카드들을 통해서 성능을 보충할 수는 있지만, 필수 투입 카드들 가격이 비싸다. 대표적으로 메타비트식 거대전함 덱에서 꼭 필수로 채용되는 카드들은 다음과 같다.

      리미터 해제(UR) = 반드시 3장 풀 투입
      거대요새 제로스(UR) = 반드시 3장 풀 투입
      거대전함 델린저 코어(UR추정) = 3장 풀 투입
      초거대전함 메탈 슬레이브(UR추정) = 3장 풀 투입
      거대전함 블러스터캐논 코어(UR) = 2~3장 투입 권장
      거대전함 빅 코어 MK - III(SR) = 2~3장 투입 권장
      보스 온 퍼레이드(SR이상 추정) = 3장 풀 투입
      보스 러시(SR) = 1~2장 투입 권장
      스킬 드레인(SR) = 반드시 1장 투입[제한]

      보시다시피 범용 카드뿐만 아니라 본인들 소속 카드들도 UR이 많이 들어가기에 상당히 비싼편이다. 그나마 버스트 프로토콜의 신규 지원이 마스터듀얼에 동시 실장되기에 해당 팩인 비트 아웃 더 보스 러쉬를 까면 소속 카드들은 비교적 쉽게 얻을 수 있어서 예전보다는 부담이 덜해진 편. 다만 그래도 신규 지원 카드들 역시 높은 레어도로 발매될 가능성이 높기에 여전히 가격은 비싸지만 성능은 좋지 못한 덱으로 통하고 있다.

4. 유희왕 듀얼링크스

V의 대사에 미 OCG화된 거대전함 1장을 제외한 모든 카드 대사가 들어가 있음에 따라,[9] 상급 거대전함 몬스터들도 대부분 V의 파밍 보상에 들어가게 되었고 그 결과 거대전함 상급 몬스터를 얻는 것은 어렵지 않으나 정작 테마의 핵심인 제로스가 없었기에 여기서도 상황은 좋지 않았었다.

그러던 중 버스트 프로토콜의 신규 지원이 듀얼링크스에도 동시 실장으로 확정되며 스트럭처 덱 "코어 오브 샐러맨더"가 발매되었다.[10] 핵심인 제로스는 물론 필요한 카드를 얻는 것이 쉬워졌으며 제로스와 보스 온 퍼레이드를 깔아주는 2종의 스킬을 얻어 이제서야 어느정도 쓸만한 테마가 되었다.

5. 효과 몬스터

5.1. 레벨 5

5.1.1. 거대전함 크리스탈 코어

파일:巨大戦艦 クリスタル・コア.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거대전함 크리스탈 코어,
일어판 명칭=<ruby>巨大戦艦<rp>(</rp><rt>きょだいせんかん</rt><rp>)</rp></ruby> クリスタル・コア,
영어판 명칭=B.E.S. Crystal Core,
레벨=5, 속성=물, 종족=기계족, 공격력=2100, 수비력=1000,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에 카운터를 3개 놓는다.,
효과2=②: 이 카드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3=③: 1턴에 1번\, 상대 필드의 앞면 공격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의 앞면 공격 표시 몬스터를 앞면 수비 표시로 한다.,
효과4=④: 이 카드가 전투를 실행한 데미지 스텝 종료시에 발동한다. 이 카드의 카운터를 1개 제거한다. 제거할 수 없을 경우\, 이 카드를 파괴한다.)]

모티브는 그라디우스 II의 3스테이지 보스였던 크리스탈 코어.

전설의 도시 아틀란티스와 함께 쓰면 릴리스 없이 소환할 수 있기에 거대전함 덱이 아닌 이쪽 덱에서도 쓸 수 있었다. 아틀란티스 주축 덱에선 릴리스 없이 소환되는 놈이 수비력 2300 미만을 전부 파괴할 수 있었기에 이놈만 따로 훌륭한 전력으로 이용할 수 있었다.

다만 수비 표시란 개념이 없는 링크 몬스터들이 대거 등장하면서 표시 형식 변경 효과가 약간 빛을 바랜 것은 아쉬운 점.

일러스트를 보면 빅 바이퍼가 원작에서의 안전지대로 돌입하는 걸 보아 곧 격침될 듯하다.

공격명은 '암 레이저(アーム・レーザー)'.
수록 시리즈
2005-05-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RV-JP021 | サイバネティック・レボリューション [ CYBERNETIC REVOLUTION ]
2007-09-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EE04-JP021 | EXPERT EDITION Volume 4
2022-04-2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R02-JPB04 | デュエルロワイヤル デッキセットEX -ROUND2- (伝説の都 アトランティス)
2025-10-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5TP-JP304 | トーナメントパック 2025 Vol.3
2005-08-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RV-EN021 | CYBERNETIC REVOLUTION
2007-05-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P03-EN015 | CHAMPION PACK GAME THREE
2007-11-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R04-EN021 | DARK REVELATION Volume 4
2007-02-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RV-KR021 | 사이버 혁명
2008-09-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HGP04-KR021 | 하이 그레이드 팩 Vol.4

5.2. 레벨 6

5.2.1. 거대전함 빅 코어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207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거대전함 빅 코어,
일어판 명칭=<ruby>巨大戦艦<rp>(</rp><rt>きょだいせんかん</rt><rp>)</rp></ruby> ビッグ・コア,
영어판 명칭=B.E.S. Big Core,
레벨=6, 속성=어둠, 종족=기계족, 공격력=2300, 수비력=1100,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에 카운터를 3개 놓는다.,
효과2=②: 이 카드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3=③: 이 카드가 전투를 실행한 데미지 스텝 종료시에 발동한다. 이 카드의 카운터를 1개 제거한다. 카운터가 없는 상태에서 전투를 실행했을 경우\, 대신에 이 카드를 파괴한다.)]

공격력 2300 갖고는 제왕도 못 잡는다. 옛날에 나온 카드라, 다른 거대전함 카드와 달리 카운터를 제거하고 나오는 부가효과가 전혀 없는 게 치명적인 단점.

어둠을 흡수하는 마법 거울과 함께 쓰면 카운터를 제거하는 효과나 자괴효과가 없어지고 지속 효과인 전투 파괴 내성만 남지만, 거대전함 중 어둠 속성은 이것뿐이라 덱의 안정성이 떨어진다. 그렇다고 DNA 이식 수술을 쓰자니 다른 거대전함들의 부가효과가 전부 없어지므로 이것도 난감하다. 어차피 효과에 의한 제거가 판치는 환경에선 전투에 의한 자괴 이전에 날아가는 경우도 많으니, 크리스탈 코어와의 연계를 통해 상대 몬스터들을 쓰러뜨리는 데 주력하는 게 최선.

상술했듯이 영어판에선 이름에 B.E.S.가 없었다가 OTS 토너먼트 팩 4에 재록되면서 에라타됐다.

여담으로 일러스트 상 네 개의 레이저포 위치가 그라디우스 때와 비교해 잘못 재현된 부분이 있는데, 전방으로 쏘아지는 빔 포 두 개가 생략된 그림이다.
수록 시리즈
2004-11-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S-JP030 | ライズ・オブ・デスティニー [ RISE OF DESTINY ]
2005-12-0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EE3-JP090 | EXPERT EDITION Volume.3
2005-03-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S-EN030 | RISE OF DESTINY
2006-11-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R3-EN090 | DARK REVELATION Volume 3
2017-04-0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OP04-EN016 | OTS TOURNAMENT PACK 4
2006-05-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DS-KR030 | 운명의 시작
2008-07-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HGP3-KR090 | 하이 그레이드 팩 Vol.3

5.2.2. 거대전함 테트란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531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거대전함 테트란,
일어판 명칭=<ruby>巨大戦艦<rp>(</rp><rt>きょだいせんかん</rt><rp>)</rp></ruby> テトラン,
영어판 명칭=B.E.S. Tetran,
레벨=6, 속성=바람, 종족=기계족, 공격력=1800, 수비력=2300,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에 카운터를 3개 놓는다.,
효과2=②: 이 카드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3=③: 이 카드가 전투를 실행한 데미지 스텝 종료시에 발동한다. 이 카드의 카운터를 1개 제거한다. 카운터가 없는 상태에서 전투를 실행했을 경우\, 대신에 이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4=④: 1턴에 1번\, 이 카드의 카운터를 1개 제거하고\,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모티브는 사라만다 2스테이지에서 첫 등장해 시리즈의 인기 보스가 된 테트란.

소환에 성공하면 스펠 스피드 1의 싸이크론을 3개 지니게 되지만, 능력치가 상급치곤 별로라 도무지 믿을 수 없는 몬스터. 그나마도 전투만 하면 카운터가 날아가는지라 3개를 마함제거용으로 다 써보기도 힘들다.

보스 러시를 쓸 경우 카운터가 놓이지 않아 효과를 쓸 수도 없는데 능력치도 영 아닌지라 장수를 줄이는 게 좋고, 사황제의 능묘 주축으로 갈 경우엔 그나마 좀 쓸만해진다. 거대전함 덱 이외에선 크리스탈 코어가 아틀란티스 덱에서 노는 것과 비슷하게 시조신조 시무르그를 쓰는 덱에서 마함제거용으로 쓰는 것도 일단 가능하다. 하지만 거대요새 제로스의 효과로 보스 러시로 덱에서 나오더라도 마함 하나를 부술 수 있고, 어차피 필드에서 1턴 이상 버티기 힘든 환경이므로 하나 부수고 파괴돼도 괜찮을 것이다.

일러스트는 그라디우스 V의 2스테이지 보스 러시 장면을 그대로 재현했다. 그러나 V의 테트란 몸체가 샌드위치처럼 이중으로 되어 있다는 점은 고증되지 않았다.

Sp-최후의 돌격의 일러스트에선 빅 바이퍼에게 박살나는 걸로 등장한다. 공격명은 '암 프레셔(アーム・プレッシャー)'.
수록 시리즈
2005-08-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EEN-JP017 | ELEMENTAL ENERGY
2007-09-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EE04-JP077 | EXPERT EDITION Volume 4
2005-11-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EEN-EN017 | ELEMENTAL ENERGY
2007-11-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R04-EN077 | DARK REVELATION Volume 4
2007-05-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EEN-KR017 | 절대원소의 힘
2008-09-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HGP04-KR077 | 하이 그레이드 팩 Vol.4

5.2.3. 거대전함 빅코어 MK-Ⅱ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1552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거대전함 빅코어 MK-Ⅱ,
일어판 명칭=<ruby>巨大戦艦<rp>(</rp><rt>きょだいせんかん</rt><rp>)</rp></ruby> ビッグ・コアMk-Ⅱ,
영어판 명칭=B.E.S. Big Core MK-2,
레벨=6, 속성=화염, 종족=기계족, 공격력=2400, 수비력=1100,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는 릴리스 없이 일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에 카운터를 3개 놓는다.,
효과3=③: 이 카드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4=④: 이 카드가 전투를 실행한 데미지 스텝 종료시에 발동한다. 이 카드의 카운터를 1개 제거한다. 카운터가 없는 상태에서 전투를 실행했을 경우\, 대신에 이 카드를 파괴한다.)]

커버드 코어 이후 한동안 끊겼던 맥을 이은 빅 코어의 후계기. 그라디우스 II 6스테이지 보스였던 빅 코어 MK-Ⅱ의 카드화. 다만 해당 카드 출시 후에는 무려 9년동안이나 지원이 없었다가 빅 코어 MK-III와 거대요새 제로스라는 막강한 지원카드를 받아냈다.

공격력이 2400이라 상급 몬스터와 어느 정도 싸울 수 있다. 또한 자신 필드에 몬스터가 없다면 릴리스 없이 일반 소환 가능하다. 특이하게 특수 소환할 때에서야 카운터가 올라오는 거대전함이다.

다만 기존의 거대전함들과는 정반대로 일반 소환할 경우엔(자체 효과로 릴리스 없이 일반 소환할 경우도 포함) 카운터가 놓이지 않아 1회용 카드가 되어버리므로 급할 때가 아니라면 특수 소환을 노리거나 다른 몬스터 소환 소재로 쓰는 게 좋다. 보스 러시 타입이라면 반드시 3장 투입, 일반 소환 타입이라면 수를 줄이는 게 바람직하다. 그나마 지원이 보스 러시를 보조할 수 있도록 나왔고, 자체 효과로 제물 없이 소환하더라도 필드 아래에선 공격력 2900의 출중한 전투능력을 가지고 카운터 1개를 얻을 수 있으니, 보스 러시 주축 거대전함 덱의 No.2 자리를 꿰어찰 수 있다.

화염 속성임을 이용해 릴리스 없이 일반 소환하고 화령술-「홍」으로 날리면 2400 데미지가 들어가므로 번 계열 덱에서 탄환 목적으로도 써먹을 수 있다.

생긴 게 영 동떨어져서 그렇지 일단 화염 속성 레벨 6 몬스터라 헤이즈비스트 바질리코크의 소환에 사용할 수 있다. 어차피 종족이 따로 노는 헤이즈비스트들이라 기계족이란 건 문제도 안 되고 마침 릴리스 없이 일반 소환 가능한지라 헤이즈비스트 그리프스와의 연계로 써먹을 수 있긴 한데 이쪽으로는 헤이즈비스트 사베라스나 라바르 란스로드 등의 쟁쟁한 경쟁자가 많아서 힘들다. 장점이라고는 타점이 저들보다 높다는 것 정도. 근데 그것도 어차피 몬스터 소환 소재로 쓴다면...

일러스트를 보면 빅 바이퍼가 빅코어 MK-Ⅱ를 향해 돌격하는 모습이 보이는데, 빅 바이퍼가 돌격하는 곳은 그라디우스 II에서 빅코어 MK-Ⅱ전의 안전지대다. 이놈도 크리스탈 코어처럼 곧 파괴될 운명이란 소리다.

수륙양용 버그로스 MK-3 이후 이름에 Mk(마크)가 들어간 두 번째 카드다. 한글판에선 어째 이 카드만 빅코어로 붙여 썼다.

여담으로 도색은 II의 것이지만, 전체적인 외형은 V의 것이고, 코어 부위들의 모양은 오토메디우스 버전에 근접할 정도로 작고 짧은 하이브리드형에 가까운 모양이다. 추진기의 갯수가 네 개로 그려진 것이 근거로, 원래 그라디우스 II의 컨셉 아트에는 추진기가 여섯 개로 되어 있었다.
수록 시리즈
2008-11-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RMS-JP030 | クリムゾン・クライシス [ CRIMSON CRISIS ]
2009-03-0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RMS-EN030 | CRIMSON CRISIS
2009-05-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RMS-KR030 | 심홍의 위기

5.3. 레벨 7

5.3.1. 거대전함 커버드 코어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531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거대전함 커버드 코어,
일어판 명칭=<ruby>巨大戦艦<rp>(</rp><rt>きょだいせんかん</rt><rp>)</rp></ruby> カバード・コア,
영어판 명칭=B.E.S. Covered Core,
레벨=7, 속성=땅, 종족=기계족, 공격력=2500, 수비력=800,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에 카운터를 2개 놓는다.,
효과2=②: 이 카드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3=③: 이 카드가 전투를 실행한 데미지 스텝 종료시에 발동한다. 코인 토스를 1회 실행하여\, 앞뒷면을 맞춘다. 못 맞춘 경우\, 이 카드의 카운터를 1개 제거한다. 카운터가 없는 상태에서 전투를 실행했을 경우\, 대신에 이 카드를 파괴한다.)]

모티브는 그라디우스 II 보스 러시 스테이지의 마지막 보스로 등장했던 커버드 코어. 이 카드 이후 한동안 거대전함 카드의 명맥이 끊겼다. 그렇게 끊기다가 3년만에 빅코어 MK-II가 등장했다.

카운터가 2개로 줄어든 대신 원작의 커버를 재현하는 코인 토스로 카운터를 보존할 수 있다. 거대전함만으로 덱을 짤 경우, 빅 코어 MK-Ⅲ 다음으로 공격력이 높으니 그 이상의 공격력을 가진 몬스터에 대한 대처법을 생각해야 하는데, 그런 몬스터들이 넘쳐나서 문제. 크리스탈 코어의 수비표시 전환 능력과 병용하거나, 공격력을 올릴 수단(특히 상대가 링크 몬스터라면)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효과도 효과지만 이 카드의 가장 큰 문제는 역시 릴리스가 둘이나 필요한 최상급 몬스터인 주제에 특수 소환하면 그냥 공격력 2500짜리 1회용 어태커가 되어버린다는 것. 덱이 매우 무거워지며, 그나마 사황제의 능묘를 써서 보조해도 이놈만 라이프를 2000이나 빨아먹는다. 어차피 크리스탈 코어의 도움을 받을 거라면 공격력은 좀 낮더라도 빅 코어나 빅 코어 MK-Ⅱ를 쓰고 말겠다는 생각으로 장수를 줄이는 경우도 있다.

카운터가 하나라도 있을 때만 코인토스를 하므로 보스 러시로 불러낼 경우엔 카운터 소멸을 방지하는 효과를 못 쓴다.

여담으로 그라디우스 II의 컨셉 아트를 보면 커버드 코어는 상당히 통통한, 공 모양에 가까운 전함이었다. 하지만 여기서는 그라디우스 V 스타일인 원반 모양의 전함으로 그려졌다.
수록 시리즈
2005-11-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OI-JP013 | シャドウ・オブ・インフィニティ [ SHADOW OF INFINITY ]
2007-09-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EE04-JP133 | EXPERT EDITION Volume 4
2006-02-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OI-EN013 | SHADOW OF INFINITY
2007-11-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R04-EN133 | DARK REVELATION Volume 4
2007-07-0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OI-KR013 | 무한의 그림자
2008-09-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HGP04-KR133 | 하이 그레이드 팩 Vol.4

5.4. 레벨 8

5.4.1. 거대전함 빅 코어 MK-Ⅲ

파일:card10004648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거대전함 빅 코어 MK-Ⅲ,
일어판 명칭=<ruby>巨大戦艦<rp>(</rp><rt>きょだいせんかん</rt><rp>)</rp></ruby> ビッグ・コアMk-Ⅲ,
영어판 명칭=B.E.S. Big Core MK-3,
레벨=8, 속성=빛, 종족=기계족, 공격력=2700, 수비력=1900,
효과1=①: 상대 필드에만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에 카운터를 3개 놓는다.,
효과3=③: 이 카드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4=④: 이 카드가 전투를 실행한 데미지 스텝 종료시에 발동한다. 이 카드의 카운터를 1개 제거한다. 제거할 수 없을 경우 이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5=⑤: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의 "거대전함" 몬스터를 전부 덱으로 되돌린다.)]

모티브는 빅 코어 Mk-III.

사이버 드래곤류 특수 소환 효과가 있으며, 하나의 소환 방법으로만 카운터가 쌓이는 기존의 거대전함들 사이에서 최초로 일반 소환과 특수 소환 어느 쪽으로 소환하든 카운터가 쌓인다. 공격력도 2700으로 웬만한 최상급보단 좀 떨어지지만 커버드 코어보단 낫다. 여기에 필드 마법의 공격력 증가까지 받으면 3200이 되므로 웬만한 상대와의 전투로는 안 진다. 다른 거대전함이 대부분 못 써먹으므로 3장 채워넣게 될 것이다.

거대전함 덱을 짜게 된다면 보스 러쉬의 능력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다른 거대전함 카드들도 최소 2장에서 3장까지 꽉꽉 넣게 된다. 거대전함 덱은 기본적으로 거대요새 제로스를 깐 뒤에 보스 러쉬를 까는 게 필수이기 때문에 어드밴스 소환이 불가능하니 몬스터 보충을 위해서는 모든 거대전함 몬스터를 최대한으로 넣어서 쓰는 수밖에 없지만, 후술할 블래스터 캐논 코어와 함께 이 빅코어 마크 쓰리가 그나마 써먹기 제일 유용하다고 평가받는다.

묘지에서 제외해 묘지의 다른 거대전함들을 전부 덱에 재충전하는 효과도 있어서 보스 러시 주축 거대전함 덱의 아드 소모를 보충해주는 기능도 탑재. 제로스의 서치 효과도 그렇고 보스 러시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을 냈다.

일러스트에선 빅 바이퍼가 반사 레이저를 피해 돌진하는데, 지금까지의 빅 바이퍼가 돌진한 일러스트를 보면 커다란 빈틈이 있었던 그라디우스 V에서의 MK-3과 전투하는 듯 하다. 그라디우스 V에선 빅 바이퍼의 판정이 작아져서 반사 레이저를 발사하는 포대의 뒤에 작게 공간이 있었고, 공격을 피할 겸 프리즈 옵션 또는 스프레드 봄을 쓴다면 극딜 넣기에도 좋은 위치였기 때문. 하지만 색상은 V 버전이 좀 칙칙해서 그런지, 그라디우스 III의 것과 더 유사하다.

또한 빅 바이퍼의 위치가 "안전지대"를 노린다고 할 때의 안전 지대가 버그성 빈틈만을 지칭한다는 규칙이 깨지기 시작한 일러스트이기도 하다.
수록 시리즈
2017-01-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ACR-JP032 | マキシマム・クライシス [ MAXIMUM CRISIS ]
2017-05-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ACR-EN032 | MAXIMUM CRISIS
2017-04-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ACR-KR032 | 맥시멈 크라이시스

5.5. 레벨 9

5.5.1. 거대전함 블래스터캐논 코어

파일:巨大戦艦 ブラスターキャノン・コア.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거대전함 블래스터캐논 코어,
일어판 명칭=<ruby>巨大戦艦<rp>(</rp><rt>きょだいせんかん</rt><rp>)</rp></ruby> ブラスターキャノン・コア,
영어판 명칭=B.E.S. Blaster Cannon Core,
레벨=9, 속성=땅, 종족=기계족, 공격력=2500, 수비력=30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방법에 의한 특수 소환은 1턴에 1번밖에 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 필드의 몬스터의 수가 자신 필드의 몬스터보다 많을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에 카운터를 3개 놓는다.,
효과3=③: 이 카드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4=④: 이 카드가 전투를 실행한 데미지 스텝 종료시에 발동한다. 이 카드의 카운터를 1개 제거한다. 제거할 수 없을 경우 이 카드를 파괴한다.)]

거대요새 제로스와 빅 코어 마크 쓰리 이후로 2년 동안 또 감감 무소식이였던 거대전함의 새로운 지원카드. 간단한 특소와 거대전함 고유의 내성효과를 빼면 아무것도 없는 정말 환상적인 카드지만 그 간단한 특소 능력덕분에 나름대로 거대전함의 안정성을 높혀주긴 한 카드다. 그리고 거대전함 테마는 해당 지원 이후로 5년째 감감무소식이다가, 13기 정규 부스터 팩 버스트 프로토콜에서 그라디우스 시리즈 40주년 기념으로 뛰어난 지원 카드 4장을 받아내는데 성공했다.

모티브는 그라디우스 V의 5스테이지 보스인 블래스터 캐논 코어.

자체 특수 소환 능력을 지닌 거대전함으로, 그 특성상 거대전함 덱뿐만 아니라 레벨 9를 활용하는 덱 전반에 투입할 수 있어, 용병으로 불려 나가는 일이 종종 있다. 가령, 성유물의 태도를 이용해 패 2장으로 No.92 위해신룡 Heart-eartH Dragon 같은 9×3 엑시즈나 성신기 데미우르기어의 소환이 가능. 그 외에도 어쨌든 땅속성 기계족이기 때문에 Earth Machine, 이른바 땅기계 덱이나 심지어 비크로이드 덱에 투입되기도 한다.

일러스트는 거대 빔포 일제 발사로 운석들을 전부 부수는 패턴을 묘사하고 있으며, 역시나 빅 바이퍼는 이 패턴 도중에 형성되는 빈틈으로 날아들어가고 있고, 이 블래스터 캐논 코어는 패턴에 버그가 없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인지 손 놔도 죽을 일이 없는 예전의 안전지대가 아닌, 일부러 이쪽으로 피하라고 만든 현대적인 안전지대로 갔다.

이 전함이 등장한 그라디우스 V가 탄막 게임 수준의 총알 밀도를 보여주는 게임이었단 걸 생각하면 시대의 변화와 함께 안전지대라는 단어의 의미가 서서히 현대적으로 변한 것도 같이 구현했다 할 수 있다. 또한 네 개의 코어 덮개가 전부 파괴된 것으로 보아, 크리스탈 코어와 빅코어 마크 II, 마크 III처럼 잠시 후 격추될 것으로 보인다.
수록 시리즈
2019-04-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IRA-JP023 | ライジング・ランペイジ [ RISING RAMPAGE ]
2019-07-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IRA-KR023 | 라이징 램페이지
2019-07-2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IRA-EN023 | RISING RAMPAGE
2020-08-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20-EN111 | 2020 TIN OF LOST MEMORIES

5.6. 레벨 10

5.6.1. 거대전함 델린저 코어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거대전함 델린저 코어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ruby>巨大戦艦<rp>(</rp><rt>きょだいせんかん</rt><rp>)</rp></ruby> デリンジャー・コア,
영어판 명칭=B.E.S. Dellinger Core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레벨=10, 속성=빛, 종족=기계족, 공격력=1900, 수비력=30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패의 다른 "거대전함" 몬스터 1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이 카드에 카운터를 3개 놓는다.,
효과2=②: 자신 / 상대 메인 페이즈에\, 이 카드의 카운터를 1개 제거하고\,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3=● "보스 러시" 또는 그 카드명이 쓰여진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덱에서 패에 넣는다.,
효과4=● 자신 묘지에서 레벨 9 이하의 "거대전함"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모티브는 그라디우스 III의 아케이드판 10스테이지 또는 슈퍼패미컴/SNES판 7스테이지인 보스 러시 스테이지의 마지막 보스로서 등장하는 델린저 코어.[11] 후술할 효과들도 원작의 보스 러시 상황을 재현할 수 있는 효과들로 나왔다.

①번 효과는 패의 다른 "거대전함" 몬스터를 보여주는 것으로 패에서 특수 소환하고, 자신에게 카운터 3개를 쌓는 효과. 13기 카드답게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있어야만 특수 소환되던 이전 거대전함들과는 달리 선턴에도 부를 수 있게 되었다. 다만 패에 다른 거대전함이 있어야하기에 이 카드 혼자만 잡히면 기능하지 못한다는 점이 단점.

②번 효과는 카운터 하나를 소비해서 보스 러시가 기재된 마함을 서치하거나 혹은 자신 묘지의 레벨 9 이하의 거대전함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를 지녔다. 핵심 카드인 제로스나 신규 지원인 보스 온 퍼레이드를 서치해올 수 있으며 ①의 효과로 보여준 거대전함 몬스터도 제로스의 효과로 전개하거나 보스 온 퍼레이드의 코스트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런 유형의 카드들이 으레 그래왔듯 현재 보스 러시가 기재된 함정 카드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12] 묘지 부활 효과는 레벨 제한이 붙긴 했지만 자신과 메탈 슬레이브를 제외한 모든 거대전함[13]을 부활시킬 수 있으며 이미 제로스와 보스 온 퍼레이드가 잡힌 상황이라면 이 쪽을 노리게 될 것이다.

후술할 메탈 슬레이브와 마찬가지로 기존 거대전함이 가지고 있던 전투 내성과 전투시 카운터를 제거하고 카운터가 없으면 자괴하는 효과가 전부 짤렸다. 전투로 파괴될 가능성이 생겼으나 자괴 디메리트가 사라진 점은 좋은 점.

카드 능력치에서 수비력은 꽤 높게 나왔지만 공격력은 자신보다 레벨이 낮은 다른 거대전함과 비교해도 상대적으로 낮게 나온 편. 원작에서 팔을 완전히 접은 상태에선 시리즈 특유의 옵션 박기를 시도해도 공격이 잘 안 먹혔다 보니 방어력을 높게 잡고, 필드에 버티면서 전투가 아닌 효과로 이득을 보는 카드인 만큼 일부러 자신보다 앞에 나오던 거대전함들보다도 공격력을 낮게 책정한 것으로 보인다. 이 카드가 다른 거대전함을 계속 소환해 자신이 싸우기 전에 상대를 끝내도록 유도하는 설계인 것을 감안하면 어떤 의미로는 원작의 보스 러시 구도를 재현한 셈. 그 와중에 기본 공격력이 1900인 이유는 원작에서 빅 바이퍼에 2레벨 사이클론 레이저를 달아준다 해도, 옵션 없이 잡아내는 건 굉장히 어려운 보스였다는 걸 유희왕 식으로 재해석하여 초시공전투기 빅 바이퍼에 사이크론 레이저를 두 장 장착한 공격력 수치가 1800이란 점을 염두에 두고 겸사겸사 재현한 것으로도 추정된다.

여담으로 일러스트에서 빅 바이퍼가 나오면 해당 전함의 안전지대로 간다는 전통이 이 카드로 완전히 깨졌다. 델린저 코어는 탄막 슈팅이란 개념이 탄생하기 이전인, 현실 시간 1989년에 나온 전함인데다 버그성 안전지대마저 전혀 없었기 때문.[14] 일러스트의 구도는 원작에서 팔을 펼치고 일제포격을 하는 패턴을 재현한 것.
수록 시리즈
2025-10-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PRO-JP021 | バースト・プロトコル[ BURST PROTOCOL ]

5.7. 레벨 11

5.7.1. 초거대전함 메탈 슬레이브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초거대전함 메탈 슬레이브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ruby>超巨大戦艦<rp>(</rp><rt>ちょうきょだいせんかん</rt><rp>)</rp></ruby> メタル・スレイブ,
영어판 명칭=S.B.E.S. Metal Slave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레벨=11, 속성=어둠, 종족=기계족, 공격력=3100, 수비력=31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패 / 덱에서 레벨 10 이하의 "거대전함" 몬스터를 5장까지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같은 이름의 카드는 1장까지\).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이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묘지로 보낸 수만큼 이 카드에 카운터를 놓는다.,
효과2=②: 자신 / 상대 턴에\, 이 카드의 카운터를 1개 제거하고\, 자신 필드의 "거대전함" 몬스터를 포함하는 필드의 앞면 표시 카드 2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동일한 체인 위에서는 1번까지\). 그 카드를 파괴한다.)]

모티브는 사라만다(MSX) 버전에 등장하는 최종 보스 메탈 슬레이브. 최초로 나온 레벨 11의 메인 덱 기계족 몬스터이자, 유희왕 듀얼링크스의 스트럭쳐 팩인 코어 오브 사라만다의 표지 몬스터이기도 하다.

①의 효과는 패나 덱에서 최대 5장까지 레벨 10 이하의 거대전함을 묘지에 묻어버리는 것으로 패에서 특수 소환하고, 그 매수만큼 카운터를 놓는 효과. 무려 코스트 덤핑을 5장이나 하게 되는 것인데, 이렇게 파격적인 효과를 줬다는 점에서 짐작할 수 있겠지만 거대전함엔 딱히 덤핑 반응 및 묘지가 많아서 좋은 효과가 없어서 써먹을 구석은 적다. 그래도 빅 코어 MK-Ⅲ에는 묘지 회복 효과가 있으므로 해당 카드를 포함시키면 거대전함이 덱에서 전부 고갈나서 덱이 정지하는 불상사는 방지할 수 있다. 같이 나온 델린저 코어의 효과도 묘지에서 거대전함을 소환하는 만큼 '메탈 슬레이브를 보여주고 델린저 코어 소환-메탈 슬레이브 소환-델린저 코어로 묘지에서 거대전함 소환' 같은 연계를 시도할 수도 있다.

②의 효과는 자신/상대 턴에 카운터를 1개 제거하여 자신의 거대전함을 포함한 카드 2장을 파괴하는 효과. 드디어 나온 프리체인 견제 효과로 자신 쪽은 보스 러시와의 연계로 디스 아드를 상쇄시킬 수 있다. 턴 제약이나 명칭 제약도 없기에 카운터를 많이 쌓았다면 거대전함의 수만큼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다.

델린저 코어와 마찬가지로 전투 내성과 카운터가 없으면 자괴하는 효과가 짤렸으며, 최종 보스 출신에 등장할 때마다 화면 안에 다 들어오지 않는 커다란 크기로 나온 경력마저 반영했는지 유일하게 이름 앞에 "초"가 붙었고 능력치도 3000을 초과한다. 제로스를 깔아두면 3600에 효과 내성이 붙고 견제 효과도 있기에 꽤 강력한 편. 보통 이런 초대형 몬스터들은 말림패가 되기 마련이지만, 이 카드는 오히려 선턴에 혼자만 잡혀도 묘지 자원을 쌓으며 전개할 수 있는 몬스터라 3장을 꽉 채워 넣어도 부담이 덜하다. 다만 최종 보스란 것을 반영했는지 레벨이 너무 높아 델린저 코어의 부활효과나 자신의 묘지 덤핑 코스트에서 이 카드만 제외되는 만큼 이 점을 조심해야 한다.
수록 시리즈
2025-10-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PRO-JP022 | バースト・プロトコル[ BURST PROTOCOL ]

6. 서포트 마법 카드

"보스 러시"의 카드명이 쓰여진 카드라는 분류로 지정되어 있다. 이는 원본인 그라디우스 시리즈에서 사라만다 이후로 보스 러시 스테이지가 종종 등장했던 것을 고증한 부분.

6.1. 보스 러시

파일:ボスラッシュ.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 명칭=보스 러시,
일어판 명칭=ボスラッシュ,
영어판 명칭=Boss Rush,
효과외1=자신이 통상 소환하고 있지 않은 턴에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은 통상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자신 필드 앞면 표시의 "거대전함" 몬스터가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그 턴의 엔드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거대전함"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그라디우스 시리즈에 전통으로 존재하는 보스 러시 스테이지를 그대로 재현한 카드. 일러스트에선 이 카드 발매 당시 이미 나왔던 3종류인 빅 코어, 크리스탈 코어, 테트란이 한데 몰려오고 있다.

엔드 페이즈에 부를 수 있는 거대전함의 수는 깔아놓은 보스 러시의 장수만큼이다. 만약에 보스 러시가 2장 깔려 있다면 거대전함이 하나 파괴됐을 때 거대전함 둘을 불러올 수 있다는 것. 반면 보스 러시가 1장만 깔려 있다면 그 턴에 거대전함이 2장이 파괴되건 5장이 파괴되건 1장만 불러올 수 있다.

즉 보스 러시를 쓴다면 반드시 한번에 여러 장을 깔아 상급 몬스터의 압도적인 물량공세로 상대를 밀어붙이지 않으면 힘들다. 듀얼의 속도가 빨라지고 거대전함 혼자서는 이길 수 없는 몬스터들이 튀어나오기 쉬워지면서 다른 소환이 전부 막힌 상태에서 1장씩 나오는 1회용 거대전함으로는 어지간한 재미덱조차도 못 이긴다. 일단 스킬 드레인과 함께라면 필드에서 버티는 것 정도는 가능하겠지만.

거대전함이 파괴되는 방식은 상관없기에 보스 러시의 효과로 소환된 몬스터를 격류장 등으로 파괴한 경우, 보스 러시의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바로 또 소환할 수 있으니 써주자.

문제는 안 그래도 쓰기 불편한데 이 카드가 나와있는 동안엔 통상 소환이 불가능해진다는 심각한 디메리트. 덱의 거대전함이 다 떨어지기 전에 승부를 보지 못하면 끝장난다. 또한 파괴에만 대응되기에 애니에서처럼 네오 스페이시언 그랜드 몰에게 맞고 패로 바운스되면 일반 소환도 못하고, 전함도 안 나오는 상당히 뭣같은 상황이 펼쳐진다. 그 외에도 기타 제거묘지로 보내는 효과 등에도 매우 취약하다.

이후에 나온 거대요새 제로스는 대상 지정 내성과 파괴 내성을 거대전함에게 부여해주기에 이 카드의 입지는 점점 줄어들고 있다. 안 그래도 파괴돼야 발동되는데 전투 파괴하기 힘든 거대전함의 효과 파괴를 막아주어 더더욱 쓸 타이밍은 안 나온다. 게다가 제로스는 타점까지 올려줘서 전투로 파괴하기 한층 더 힘들어지는 건 덤. 그래도 제로스로 서치할 수 있는 만큼 말리지 않게 덱에 1장만 보험용으로 넣어놓으면 쓸 때가 보일지도.

13기 지원 후에는 그래도 채용 가치가 생겼는데 보스 온 퍼레이드가 이 카드를 덱에서 직접 앞면표시로 놓아주기에 통상소환을 한 턴에도 깔 수 있게 되었으며 메탈 슬레이브의 견제 효과가 자신의 거대전함을 파괴해야하기에 이 카드의 리쿠르트 효과를 쓰기 좋아졌다.

NDS용 유희왕 5D's 스타더스트 엑셀러레이터에선 이 카드가 나오긴 하지만 정작 거대전함이 빅 코어 MK-Ⅱ뿐이라 사실상 제대로 못 쓴다.
수록 시리즈
2005-08-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EEN-JP047 | ELEMENTAL ENERGY
2007-09-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EE04-JP107 | EXPERT EDITION Volume 4
2017-01-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AT17-JP006 | アドバンスド・トーナメントパック2017 Vol.1
2005-11-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EEN-EN047 | ELEMENTAL ENERGY
2007-11-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R04-EN107 | DARK REVELATION Volume 4
2007-05-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EEN-KR047 | 절대원소의 힘
2008-09-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HGP04-KR107 | 하이 그레이드 팩 Vol.4
2017-03-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AE10-KR013 | 어드밴스드 이벤트 팩 2017 Vol.1

6.2. 거대요새 제로스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636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 명칭=거대요새 제로스,
일어판 명칭=<ruby>巨大要塞<rp>(</rp><rt>きょだいようさい</rt><rp>)</rp></ruby>ゼロス,
영어판 명칭=B.E.F. Zelos,
효과1=①: 이 카드의 발동시의 효과 처리로서\, 덱에서 "보스 러시" 1장을 패에 넣을 수 있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거대전함"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500 올리고\, 상대 효과의 대상이 되지 않으며\, 상대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3=③: 1턴에 1번\,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거대전함"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4=④: 자신 필드에 "거대전함" 몬스터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에 발동한다. 그 몬스터에\, 자신의 효과로 사용하는 카운터를 1개 놓는다.)]

뜬금없이 맥시멈 크라이시스에서 반갑게 나온 거대전함 서포트 카드. 거대전함이 구 테마인 것을 의식해 4개 효과가 전부 버릴 것이 없는 상당히 강력한 카드로 나왔다. 의식의 밑준비붉은 눈 인사이트처럼 약한 테마에 주는 강력한 지원. 거대전함의 절대적 초동 카드 및 승리의 필수조건이라 할만큼 테마군 내에서 이 카드의 중요도는 어마무시하게 높다. 그렇기에 필드 마법이 없으면 거대전함의 덱 파워는 급격히 떨어진다. 필드 마법을 최대한 빨리 발동하고 지킬 방법이 필요하다.

①의 효과는 발동시 처리의 서치 효과. 심플하게 보스 러시를 덱에서 1장 가져온다. 사황제의 능묘가 보스 러시의 자리를 대신 꿰차고 있었지만, 사황제의 능묘와 이 카드는 같은 필드 마법이라 공존할 수가 없다는 점 때문에 넣은 효과로 보인다. 다만 구 테마 지원임에도 불구하고 묘지에서 샐비지를 못 하는 건 아쉽다.

②의 효과는 레벨에 비해 낮은 거대전함의 타점을 올리고 효과 파괴와 대상 지정을 막아주는 효과. 안 그래도 전투 파괴가 안 되는 거대전함이라, 이 카드가 필드에 있는 한 사실상 거의 무적이다.

③의 효과는 거대전함을 패에서 특수 소환하는 효과. 덱의 모든 몬스터가 상급인데도 제물을 마련해 소환하기엔 애매한 성능을 가진 녀석들이라 달린 것도 있지만, 사실 보스 러시의 어이없는 디메리트를 상쇄하기 위한 효과다. 몬스터의 반 이상이 일반 소환으로만 카운터가 쌓이기에, 이 효과에서 그쳤다면 나사가 하나 빠진 카드로 보이지만...

④의 효과는 ③의 효과를 보조해주듯 소환만 하면 카운터를 하나 추가해주는 효과. 강제 효과라 타이밍을 놓칠 일이 없다. 안 그래도 특수 소환시 카운터가 쌓이지 않는 거대전함이 꽤 많기에, 야박해 보이는 카운터 수이면서도 이 카운터 하나가 엄청난 차이를 만들어낸다. 일반 소환해야만 카운터가 쌓이는 녀석들도 특수 소환해서 1번은 효과를 쓸 수 있게 해주고, 일반 소환하면 카운터가 4개가 되므로 진정한 원작 고증이 된다. 이 효과로 가장 이득을 보는 거대전함은 테트란으로, 기껏 다른 전함들을 부셔놨더니 엔드 페이즈에 보스 러시로 덱에서 튀어나와서 마함을 하나 부순다. 패에 잡히지 않더라도 원할 때 보스 러시로 덱에서 꺼낼 수 있는 싸이크론이란 건 상당한 활용성을 지닐 수 있다.

모티브는 초대 그라디우스의 마지막 스테이지 배경인 요새 제로스인 듯 하나, 사라만다의 요소가 섞여 있다. 일러스트는 스테이지 최후반부에 해당하는 곳을 묘사한 건데, 가장 안쪽에 작게 보이는 최종보스 '마더 컴퓨터'가 있는 방 바로 앞까지 빅 바이퍼가 이미 침공한 상태. 거대전함에 힘을 크게 실어주는 카드 성능과는 정 반대로 일러스트는 박테리안 군의 패망 직전을 그리고 있다.

이 카드의 모티브가 된 요새 제로스 스테이지는 그라디우스 초대작에 한정하자면 거대전함이 단 한 척도 등장하지 않는 스테이지지만, 잘 보면 최종 보스가 있는 방 내부에 있는 중핵이 커다란 뇌는 맞지만, 실물 카드로 보면, 봐아아아아 하고 죽는 걸로 나름 인지도 있던 제로스 포스가 있는 것처럼 보이게끔 그려놨다. 사라만다에서 나온 요새는 그라디우스 시리즈 사상 최초로 보스 러시가 발생해 거대전함 빅 코어 세 척을 연달아 상대하는 구간이 있었기에 마법 카드 보스 러시를 서치하는 것도 사라만다의 재현이 된다.

영문 명칭의 'B.E.F.'는 Bacterion Empire Fortress(박테리안 제국 요새)의 약자.
수록 시리즈
2017-01-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ACR-JP062 | MAXIMUM CRISIS
2017-05-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ACR-EN062 | MAXIMUM CRISIS
2017-04-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ACR-KR062 | 맥시멈 크라이시스

6.3. 보스 온 퍼레이드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 명칭=보스 온 퍼레이드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ボスオンパレード,
영어판 명칭=Boss on Parade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발동시의 효과 처리로서\, 덱에서 "거대전함"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1턴에 1번\,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필드의 몬스터 1장을 파괴하고\, 덱에서 공격력 1200 이고 수비력 1000 이하인 기계족 / 빛 속성 몬스터 1장을 자신이나 상대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효과3=③: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 / 묘지에서 "보스 러시" 1장을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로 놓는다.)]

그라디우스 시리즈코어 계열 보스 기체인 거대전함 카드군과 주인공 기체인 초시공 전투기 계열[15] 카드를 동시 지정하는 카드.

①의 효과는 발동 시 거대전함 몬스터를 서치하는 효과. 오래된 역사의 카드군이지만 정작 긴 세월 서치 효과가 없던 거대전함에게 처음으로 주어진 서치 효과이다.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 패 / 필드의 몬스터 1장을 파괴하면서 덱에서 공격력은 정확히 1200이고 수비력은 1000 이하인 기계족 / 빛 속성 몬스터 1장을 자신 또는 상대 필드에 특수 소환하는 효과. 거대전함 내에는 특수 소환할 수 있는 몬스터가 없으므로 초시공 전투기[16]와의 혼합 구축을 요구한다. 같이 등장한 빅 바이퍼 Type-L을 코스트로 사용하면 자체 효과로 부활하기에 2장을 동시에 전개 가능하며 상대 필드에 몬스터를 던져주면 무한포영, 라이트닝 스톰 등 자신 필드에 카드가 없을 것을 요구하는 카드를 상대가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은 물론 상대 필드에 몬스터가 있어야 특수 소환할 수 있는 빅 코어 MK-III와 블래스터캐논 코어의 특소 조건을 충족시키기 쉬워진다.

③의 효과는 묘지에서 제외하고 덱 / 묘지에서 보스 러시 1장을 앞면 표시로 놓는 효과. 하루 우라라를 피해가는 소소한 장점에 더해 통상 소환한 턴에는 발동할 수 없는 보스 러시의 디메리트를 상쇄해주기에 거대요새 제로스를 가져오고자 플래닛 패스파인더를 일소한 턴에도 보스 러시를 준비할 수 있게 해준다.

세 효과 모두 강력한 지원으로 이 카드를 발동 > 델린저 코어를 서치 > 델린저 코어를 특소해 제로스를 서치 > 보스 러시 2장을 세팅하는 전개로 이어갈 수 있다. 다만 이 카드 자신은 보스 러시가 아닌지라 현재로서는 가져올 수단이 델린저 코어를 제외하면 없다는 것이 흠.

거대전함 지원이긴하나 2번 효과만 보고 초시공전투기에서 사용할 수도 있다. Type-L이나 T301을 코스트로 사용하면 실질적으로 노 코스트로 쓸 수 있으며 상대 필드에 초시공 전투기를 던져주는 효과도 전투 파괴를 해야만 옵션 토큰을 낼 수 있는 단점을 보완해준다.

보스 온 퍼레이드라는 명칭은 보스 러시를 다르게 부르는 이름으로, 그라디우스 시리즈에서는 III의 보스 러시 스테이지 BGM들의 제목이 이 명칭으로 되어 있다.[17] 일러스트에서도 해당 스테이지에 등장하는 커버드 코어와 빅 코어 MK-Ⅱ가 공격을 가하고 있다.
수록 시리즈
2025-10-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PRO-JP064 | バースト・プロトコル[ BURST PROTOCOL ]

7. OCG화되지 않은 카드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빛의 결사 편 71화에서 긴 류세이가 사용한 카드들.

7.1. 어썰트 코어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BESAssaultCore-GX04-EN-VG.png 파일:374940883.png
카드 일러스트 유희왕 듀얼링크스
한글판 명칭 돌격 코어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어썰트 코어(유희왕 듀얼링크스)
일어판 명칭 アサルト・コア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유희왕 듀얼링크스)
[ruby(巨大戦艦, ruby=きょだいせんかん)] アサルト・コア (유희왕 태그 포스 시리즈)
영어판 명칭 Armored Core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B.E.S. Assault Core (유희왕 태그 포스 시리즈)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4 기계족 1300 2000
이 카드의 카드명은 룰상 "거대전함"이라는 이름이 붙은 카드로도 취급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상대 필드 위에 몬스터가 존재하고 자신의 필드 위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유희왕 태그 포스 시리즈)
이 카드의 카드명은 룰상 "거대전함"이라는 이름이 붙은 카드로 취급한다. 상대 필드 위에 몬스터가 존재하고, 자신 필드 위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유희왕 듀얼링크스)

그라디우스 시리즈 원작엔 없었던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의 오리지널 거대전함. OCG화되지 않았기에 게임에서만 쓸 수 있다.

일반적인 거대전함의 특성 대신 사이버 드래곤의 특수 소환 효과가 있다. 덕분에 보스 러시에 의해 일반 소환이 막혔을 때도 내보낼 수 있고, 그 보스 러시에 의해 불러내는 것도 일단 가능하다. 보스 러시로 불러내면 이 카드의 능력치 자체가 낮아서 딱히 할 게 없으니 패에서 꺼내 다른 거대전함의 어드밴스 소환 소재로 쓰는 게 더 좋을 듯.

만약 실제로 발매됐다면 크리스탈 코어보다도 더 흥했을 듯한 카드이다. 굳이 거대전함 덱이 아니더라도 기계족판 포톤 스래셔로 쓸 수 있어서 소재나 코스트로 유용했을 것이며, 벽 몬스터로 쓰기 좋다.

가만히 보면 속성이 빛 속성 기계족이라 적들인 초시공 전투기들과 상성이 좋다. 단순히 공유만 하는 게 아니라 이 카드의 특수 소환 효과는 초시공 전투기와 상성이 좋은 단결의 힘의 효과를 증폭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원작에선 이름에 "거대전함"이 안 들어갔으며, 자신 효과로 "거대전함"이란 이름을 갖게 되는 식이었으나 태그 포스에 수록되면서 상향됐다. 듀얼링크스에서는 원작처럼 거대전함이 이름에서 떨어져나갔지만, 룰 상 거대전함으로 취급하기에 사실상 변한 게 없는 것과 마찬가지.

이후 이름과 레벨 / 속성 / 종족이 겹치는 A-어썰트 코어란 별개의 몬스터가 나왔다.

7.2. 실드리커버리

파일:external/images2.wikia.nocookie.net/ShieldRecovery-GX04-EN-VG.jpg 파일:375048173.png
카드 일러스트 유희왕 듀얼링크스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실드리커버리,
일어판 명칭=シールドリカバリー,
영어판 명칭=Shield Recovery,
효과1=필드 위의 "거대전함"이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자신의 효과로 사용하는 카운터를 3개 놓는다.)]

거대전함 몬스터에게 카운터를 추가하는 카드.

어차피 거대전함이 떴다고 하면 상대는 전투보단 효과로 제거할 테니 쓸모없다.

게다가 거대요새 제로스를 깔면 기본적으로 보스 러쉬를 서치해서 세트함과 동시에 거대전함 몬스터들이 소환되면 기본으로 카운터가 1개 추가되고, 일반 소환이 조건인 거대전함들이 1회용으로 쓰이고 파괴되어도 묘지에 있는 거대전함 빅코어 MK-III를 이용해서 전부 덱으로 넣고 보충할 수 있고, 듀얼을 하다가 일찍 거대전함 빅코어 MK-III를 다 써도 이차원에서의 매장 써서 묘지로 돌러낸뒤 묘지에 존재하는 모든 거대전함들을 덱으로 넣어서 다시 쓸 수 있으니 따로 카운터 보충을 할 필요가 전혀 없음으로 이 카드는 나와도 안쓰일 카드가 되어 버렸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빛의 결사 편 71화에서는 긴 류세이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 중 사용. 보스 러시의 효과로 특수 소환하느라 카운터가 없는 거대전함 테트란을 대상으로 발동해서 바로 카운터를 충전했다.

8. 같이 쓰면 좋은 카드

거대전함은 제로스의 떡내성과 메탈 슬레이브의 견제 효과 외에는 딱히 이렇다할 플랜이 없기에 제로스를 끌어 올 수 있는 서치 카드와 각종 무효 계열 카드들을 대량으로 채용해 메타비트 형식으로 굴리는 것이 가장 좋다. 13기 지원 이후로는 전개,서치,견제 효과들이 추가되면서 메타비트형을 고집할지 다른 기계족 테마와 섞을 지를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 플래닛 패스파인더, 테라포밍, 종언의 땅, 메타버스
거대전함은 필드 마법인 거대요새 제로스의 의존도가 상당히 높기에 범용 필드 서치를 채용해 어떻게든 빠르게 끌어와야한다. 델린저 코어 등장 후에는 자체 기믹으로도 서치가 가능해지긴했지만 그래도 서치 수단이 많아서 나쁠 건 없다. 이 중 플래닛 패스 파인더는 일소권을 쓰는 것 때문에 일소한 턴엔 발동 불가인 보스 러시와 충돌이 있었으나 덱에서 직접 보스 러시를 깔아주는 보스 온 퍼레이드가 나오면서 한결 수월해졌다.
  • 스킬 드레인, 능력흡수석
    메타비트 전함덱의 핵심 키카드. 거대전함의 자괴 효과를 막음으로써 내 거대전함을 계속 유지시키고, 상대 필드의 강력한 몬스터의 효과는 봉인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13기 지원 후에는 프리체인 효과를 가진 메탈 슬레이브가 추가되었기에 제한인 스킬드레인에 더해 능력흡수석을 채용해 이 쪽에서 능동적으로 카운터를 쌓아 전체 무력화를 시킬 수 있게 되었다.
1. 보스 온 퍼레이드를 발동해 메탈 슬레이브를 서치.
2. 사이버 드래곤 코어를 소환해서 사이버 리페어 플랜트를 서치 후 코어를 소재로 클락 워크 나이트를 링크 소환.
3. 클락 워크 나이트의 효과 발동. 보스 온 퍼레이드를 코스트로 기계 장치의 밤을 서치하고 리페어 플랜트를 발동해 델린저 코어를 서치.
4. 패의 메탈 슬레이브를 보여주고 델린저 코어를 특수 소환. 카운터를 하나 사용해 제로스를 서치해 발동.
5. 덱의 거대전함을 덤핑 후 메탈 슬레이브를 특수 소환. 묘지의 보스 온 퍼레이드를 제외하고 보스 러시를 세팅. 기장밤을 발동.

위와 같은 방법으로 2핸드로 거대전함 2장과 제로스, 보스러시, 기장밤을 세팅하는 게 가능해졌다. 기장밤은 군웅할거와의 콤보로 상대가 기계족 특화 덱이 아닌 이상 유사 소환락도 가능하며 묘지로 보내지더라도 땅기계인 커버드 코어와 블래스터 캐논 코어, 혹은 퍼미션 요원인 세리온즈 "킹" 레귤러스를 서치하는 용으로 쓸 수 있다.
  • 데먼스미스 + 황혼의 어둠 루체
    위의 전개법에서 남아있는 델린저 코어와 클락 워크 나이트를 소재로 사로스=난나를 뽑으면 데먼스미스 전개로 이어가 황혼의 어둠 루체를 꺼내놓을 수도 있다. 루체는 메탈 슬레이브에 파괴 내성을 입혀줘 다른 거대전함을 자괴시키지 않고도 메탈슬레이브의 턴제없는 제거 효과를 마구마구 쓸 수 있게 해주며 다른 거대전함을 파괴했을 시에는 추가로 다른 카드 1장을 더 파괴시켜주어 궁합이 좋다. 다만 이 쪽은 TCG 선행 발매 카드라 아직 OCG와 마스터듀얼에는 상륙하지 않았기에 발매를 기다려야 쓸 수 있는 점이 단점.[18]
  • 세리온즈 "킹" 레귤러스
    기계족 전용 퍼미션 요원. 메탈 슬레이브의 코스트로 덤핑한 거대전함, 제로스 서치용으로 릴리스한 플래닛 패스 파인더, 클락 워크 나이트 소재로 묘지로 보내진 사이버 드래곤 코어 등을 장착하고 튀어나올 수 있다.
  • 군웅할거
    전원 기계족이라는 특성을 살려서 다종족 덱을 상대로 우위를 점할 수 있다. 상기한 기장밤과의 콤보로 기계족 외의 덱을 상대로 락을 걸어버릴 수 있는 것도 장점.
  • 열왕시편 + 도미나스
    거대전함들은 유발 효과가 강제로 카운터를 제거하고 자괴하는 디메리트 뿐이라 도미나스 시리즈의 효과 발동 봉인이 오히려 이득이다. 전투 내성은 지속 효과라 영향을 받지 않기에 도미나스 시리즈의 강력한 효과는 그대로 쓰면서 이쪽에는 메리트만 가져다주어 궁합이 굉장히 좋다. 도미나스 시리즈를 서치할 수 있는 열왕시편도 필수. 다만 13기 지원 후에는 전개,서치,견제 능력을 가진 빛/어둠 속성의 거대전함들이 추가되었기에 다소 애매해진 감이 있다. 저 둘의 효과를 먼저 쓰고 제약이 걸리면 제로스로 전개한다는 생각으로 쓰거나 아님 아예 다른 견제 카드를 넣는 방식을 선택해야할 듯 하다.
  • 리미터 해제
    기계족 몬스터의 공격력을 2배로 해주기 때문에 부족한 거대전함들의 타점을 보완해주며, 엔드 페이즈에 파괴되는 디메리트가 보스 러시에 대응된다.
  • 클리포트 게니우스
    기계족 두마리를 링크 소재로 요구하는 간단한 소환 조건에, 거대전함에 반드시 필요한 효과중 하나인 상대 카드 효과 무효화를 보유한 카드다. 자신 필드의 카드 1장도 무효화시켜야 한다는 디메리트가 있지만, 보스 러시같이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인 카드에 적용하면 사실상 디메리트가 없는 꼴이다.

8.1. 같이 쓰면 좋은 테마

버스트 프로토콜에서 거대전함 기준으로 매우 강력한 지원을 정식으로는 3장, 간접 지원까지 합치면 네 장씩이나 받아내서 이제는 타 테마의 도움 없이도 운영을 하는것이 가능해졌으나 여전히 문제점은 존재해서 거대전함과 연계가 가능한 테마의 도움을 받는것으로 플레이를 유연하게 풀어나갈수 있게 해주는것이 좋다.
  • 기계족 굿 스터프
    일명 기계GS. 버스트 프로토콜 지원 이후로 자체적인 전개력을 얻긴했지만 다소 부족한 점을 같은 기계족 테마들과 섞음으로서 보완할 수 있다. 특히 고레벨 테마군인 특성 상 머시너즈와의 궁합이 좋은 편이며 무한기동, 열차의 엑시즈 소재로 사용하기에도 편하다. 상기했듯 사드 파츠와 클락 워크 나이트와의 콤보도 가능하기에 무리없이 섞어볼 수 있다.
  • 헤카톤케일
    13기 덱 빌드 팩 팬텀 리벤저스에서 첫 등장한 환상마족 테마. 상대 몬스터를 뺏어온다는 강력한 컨셉으로 인해 거대전함의 절망적인 전개력에 매우 큰 도움을 주며, 이들 전원이 상급에서 최상급 몬스터임에도 매우 간단한 특소 조건으로 인해 용병으로써 너무나도 잘 어울린다. 일소권을 안 쓰기에 보스 러시와 충돌하지 않는 것 또한 장점.
  • 호루스, 천년
    대표적인 용병 테마들. 거대전함들은 제로스나 13기 지원 카드들을 제외하면 선턴 전개 능력이 없기에 전개력이 좋은 이 테마들을 채용해 전개력을 보조하는 것도 좋다. 특히 호루스와 천년의 잠에서 깨어난 원시인은 전부 8렙이라 빅 코어 MK-Ⅲ와 함께 랭크 8 엑시즈가 가능하다. 다만 호루스의 경우 석벽이나 왕의 관이 잡히지 않으면 똑같이 말림패가 되기에 가뜩이나 패말림이 심한 거대전함에게 독이 될 수도 있으니 임세티 3장+다른 호루스 1장 정도만 채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 초시공 전투기(유희왕)
    같은 그라디우스 시리즈 출신 카드들. 버스트 프로토콜 지원이 대놓고 이 둘을 연계하도록 설계되었기에 같이 쓸 수 있다. 다만 9기 이전에 나온 구형 전투기들은 다들 성능이 별로이기에 버프로에서 같이 나온 빅바이퍼 Type-L이나 MK-Ⅲ, 델린저 코어의 타점을 올려줄수 있는 T301 정도만 채용된다.[20]

[1] 빅 코어 MK-II는 특수 소환만, 빅 코어 MK-III 이후에는 특수 소환도 포함[2] 커버드 코어 2개, 나머지 거대전함은 3개.
사실 원작에서 테트란을 제외한 모든 전함의 실드 갯수가 코어 하나 당 네 개였던 걸 생각하면 너프를 먹었다. 특히 빅코어 마크2는 실드 카운터가 원래는 8인 대신 4 줄어들면 공격력이 절반이 되고, 빅코어 마크3은 실드 카운터가 8 줄어들면 공격력이 줄어드는 대신 카운터 최대치가 최소 12에서 최대 16이었어야 한다.
[3] 9기 이후 지원 및 재록 카드의 텍스트. 재록되지 않은 카드들의 마스터 듀얼 텍스트에서는 "카운터가 없는 상태에서 전투를 실행했을 경우\, 대신에 이 카드를 파괴한다"는 효과가 되어있다. 어차피 이 효과에 체인해서 카운터를 추가할 수단이 없으니 별 차이는 없다.[4] 같이 연계되도록 나온 빅바이퍼 Type-L까지 포함하면 4장이며, 특이하게도 두 종류의 몬스터들이 전부 오토메디우스 엑설런트에서 출현한 전적이 있으나, 각자 원본의 모습으로 그려졌다.[5] 같은 팩에 지원받은 마그넷 워리어도 마찬가지로 땅속성GS에서 엔진으로 사용하려는 모습이 보이고 있다.[마스터듀얼] [마스터듀얼] [제한] [9] 심지어는 효과 대사에 공격명까지 들어갔다.[10] 먼 옛날 2007년 즈음에 GX 긴 류세이 출연에 맞춰서 거대전함 스트럭처가 나온다며 합성짤과 함께 가짜 정보가 돈 적 있는데, 포맷은 다르지만 결과적으로 장장 18년만에 실현되는 꼴이 되었다.[11] 이 보스의 명칭이 데린저 권총이냐, 베린저 운석공에서 따왔는데 오타로 저렇게 되었느냐로 서로 의견이 갈린다.[12] 가장 유력한 루트는 원작 애니에서 거대전함 덱을 사용한 긴 류세이의 사용 카드 중 미 OCG화된 경고라는 카드를 보스 러시를 기재하고 출시하는 루트가 있다.[13] 이것도 원작 게임을 최대한 재현한 것인데 다른 거대전함들은 전부 보스 러시에서 등장한 적이 있지만 자신은 보스 러시의 마지막 보스라는 위치라서, 그리고 아케이드 시리즈로 한정하면 보스 러시 스테이지에서 시리즈 최종 보스가 등장한 적은 없기 때문에 메탈 슬레이브도 나오지 못하도록 저런 제한을 둔 것으로 추정된다.[14] 대신 전투기의 위치는 그라디우스 III의 ? 또는 ! 파워업으로 있는 "리듀스"를 써서 본체가 작아진다거나, 오토메디우스 엑설런트처럼 델린저 코어가 발사하는 레이저의 판정이 작아진 게임에서 레이저 회피가 가능한 곳에 있다 보니 원작에서 공격을 피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것은 여전하다.[15] 이쪽은 카드군이 아니지만 공격력을 통해 간접 카드군화했다.[16] 특이하게도 델타트라이도 소환할 수 있는데, 이 델타트라이는 '다른 게임의 주인공 기체를 모티브로 한 보스 기체'라는 특이성 때문에 거대전함이 아니라 초시공 전투기에 가까운 능력치 책정이 되어있는 만큼 이 카드의 리크루트 범위에 포함되면서 소환하는 위치에 따라 주인공 기체로도, 보스 기체로도 취급이 가능한 매우 절묘한 포지션이 되었다.[17] 사실은 Aircraft Carrier라던가 Poison of Snake같이, 전부 전작들의 보스 BGM의 어레인지지만, 아케이드와 슈퍼패미컴 모두 OST 제목이 'Boss on parade' 에 숫자를 매기는 것으로 통일되어 있으며, 그라디우스 오리진스 쪽에선 아예 하나로 다 묶어버렸다.[18] 일단 루체가 없어도 기존에 쓰던 대로 노도대왕, 에볼카이저 라즈, 아폴로우사(마스터 듀얼) 등을 세워놓을 수는 있다.[19] 기계족 퍼미션 요원인 세리온즈 "킹" 레귤러스를 서치하는 용도[20] 반대로 초시공 전투기 쪽이 주력으로 갈 경우 구형 전투기인 빅토리 바이퍼가 메인이기에 구형 전투기들도 써보고 싶다면 이 쪽 위주로 짜보는 걸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