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테마 일람''' |
|
|
정크도플 관련 카드군 | ||
워리어 | 싱크론 | 스타더스트 |
정크 워리어 서포트 | 정크 | 스타더스트 드래곤 서포트 |
붉은 용 / 싱크로 / 시그널 카운터 |
스타더스트 | |||||
<nopad> 스타더스트 드래곤 | |||||
<colbgcolor=#d6ecf1> 한국판 명칭 | 스타더스트 | ||||
일본판 명칭 | スターダスト | ||||
영어판 명칭 | Stardust | ||||
속성 | 종족 | 관련 카테고리 | |||
바람 / 빛[1] | 드래곤족 / 전사족 위주[2] |
|
1. 개요
애니메이션 관련 틀 모음 | |||||||||||||||||||||||||||||||||||||||||||||||||||||||||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카드군.
유희왕 5D's의 주인공 후도 유세이가 사용한 스타더스트 드래곤 및 섬광룡 스타더스트를 필두로 한 카드군으로, 스타더스트 드래곤의 강화형이나 서포트 카드들로 구성됐다.
카드군으로서는 마법 / 함정을 포함하지 않고 몬스터만을 지정하고 있다. 이는 성설의 반짝임이 TCG판에서 "Stardust Shimmer"으로 번역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2. 특징
원작 애니메이션에서는 존재하지 않던 카드군으로, 원조인 스타더스트 드래곤과 전용 서포트 몬스터 몇 장이 단발적으로 등장할 뿐이었다. 애니메이션에 등장한 스타더스트 드래곤의 진화체는 다들 "스타더스트"라는 이름이 붙어있지 않으므로 카드군으로 성립시킬 필요성 자체가 없었다.반면 코믹스판에선 스타더스트라는 이름이 붙은 싱크로 몬스터가 여럿 등장했고, 이를 베이스로 9기에 싱크로 몬스터가 카드군화되었다. 그리고 11기에는 애니메이션을 기반으로 한 OCG 지원에서 메인 덱 몬스터가 카드군으로 지정되었다. 같은 스타더스트로 묶이지만, 이런 배경 탓에 두 카드군은 취급이 상당히 다르다.
2.1. 메인 덱 몬스터
"스타더스트" 메인 덱 몬스터의 공통 효과 | |
①: 이 카드가 패 / 묘지에 존재할 경우, (고유 조건)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제외된다. | |
스타더스트 싱크론 | 자신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싱크로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
스타더스트 트레일 |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릴리스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
스타더스트 브룸 | 자신 필드에 레벨 8 이상의 드래곤족 싱크로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
2021년 던 오브 마제스티에서 정립된 카드들로, 샤오롱과 팬텀을 계승한 메인 덱 몬스터가 대거 등장하였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패나 묘지에서 자신의 효과로 특수 소환할 수 있으며, 필드의 몬스터를 릴리스하는 기믹으로 연결되어있다.
싱크론 서포트를 받는 스타더스트 싱크론로 일루미네이트에 접속하면 덱에서 묘지로 덤핑할 수 있어서 튜너든 비튜너든 필요한 카드를 필요한 순간에 보급이 가능하다. 11기 이후 정크도플 덱은 어떤 커스텀이 들어가도 웬만하면 스타더스트 파츠는 들어가니 덱의 핵을 맡고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2.2. 싱크로 몬스터
스타더스트 드래곤 및 섬광룡 스타더스트를 필두로 한 싱크로 몬스터들. 2014년에 뒤늦게 OCG화된 슈팅 스타가 원작과 달리 스타더스트 원본이 아니라 "스타더스트" 몬스터로 서포트 범위를 넓게 잡으면서 처음으로 카드군화가 성립되었다.파괴를 무효로 하거나 막아내는 효과가 기본 베이스이고 진화함에 따라 각기 다른 퍼미션 효과가 추가되는 것이 특징. 기본 베이스가 되는 스타더스트 드래곤과 섬광룡 스타더스트가 준수한 효과와 소재 제약이 없는 레벨 8 싱크로 몬스터라는 것 때문에 싱크로 초기에는 싱크로 몬스터의 표본이었고, 그 특유의 효과 덕분에 파괴 카드의 사용률을 떨어트릴 정도로 듀얼 메타를 크게 뒤흔들었지만, 인플레이션이 가속화됨에 따라 오늘날에는 그저 어느 정도 준수한 수준의 성능을 가진 주인공 카드로서 남아있다.
유세이의 에이스 몬스터 스타더스트 드래곤이 속하는 대표적인 카드군이지만, 정작 이 카드군은 애니메이션 지원과는 상당히 동떨어져있다. 왜냐하면 슈팅 스타 드래곤을 비롯한 스타더스트 드래곤의 진화체는 하나 같이 "스타더스트"라는 이름이 붙어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 카드군의 본질은 코믹스판에서 유세이가 사용한 몬스터들에 가깝다. 본 카드군의 대부분은 섬광룡 스타더스트 계열 진화체가 차지하고 있으며, 애니메이션 계열 카드 중 이 카드군의 수혜를 입을 수 있는 것은 스타더스트 드래곤과 스타더스트 워리어 단 2장뿐이다.
이는 9기 시절 애니메이션 테마 지원 기조와도 얽힌 문제인데, 당시에는 애니메이션 자체에 집중하여 오마쥬한 카드를 내기보다는 코믹스 카드를 OCG화하면서 그 카드군 명칭을 사용하라는 기조를 내세웠기 때문이다.[3] 마찬가지로 애니메이션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는데 코믹스의 영향으로 정립된 카드군으로는 정크 메인 몬스터들이 있다. 이 두 카드군은 스트럭처 덱 싱크론 익스트림을 기점으로 애니메이션 관련 지원에도 섞이게 되었다.
문제는 10기 말(실질적으로 11기)의 레전드 듀얼리스트 팩 6을 기점으로 본 카드군의 취급이 상당히 박해졌다. 싱크로 체이스 등에서 '싱크론/워리어/스타더스트' 싱크로 몬스터를 공통으로 지원하는 컨셉으로 굳어진 것이다. 이는 달리 말하면 액셀 싱크론이나 스타더스트 차지 워리어처럼 전개용 징검다리 파츠에 대해서만 지원을 집중하고 쉬프르 등의 결과물성 카드, 즉 기존까지 지원이 집중되었던 코믹스 출신 카드에 대한 지원이 끊긴다는 것을 의미했다.
11기 던 오브 마제스티에서는 싱크로 몬스터에 대한 서포트는 "스타더스트 드래곤"의 카드명이 쓰여진 싱크로 몬스터라는 새로운 분류가 등장해 그쪽에 대해서만 집중적인 지원이 이루어졌다. 아무래도 이 카드군에 속하는 몬스터는 코믹스판이나 OCG 오리지널 카드가 대부분이다보니, 유세이의 '에이스 몬스터'로서의 지위를 받기에는 걸맞지 않다는 취지로 보인다.
한편 서포트 마함은 오래 전부터 카드군화 지정이 되지 않아 서치할 방법이 없었고[4], 이후 서포트 마함으로 "스타더스트 드래곤"의 카드명이 쓰여진 마법 / 함정 카드라는 범위가 별개로 등장하면서 버려지고 말았다.
3. 효과 몬스터 (튜너)
3.1. 레벨 4
3.1.1. 스타더스트 싱크론
4. 효과 몬스터
4.1. 레벨1
4.1.1. 스타더스트 샤오롱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스타더스트 샤오롱,
일어판 명칭=スターダスト・シャオロン,
영어판 명칭=Stardust Xiaolong,
레벨=1, 속성=빛, 종족=드래곤족, 공격력=100, 수비력=100,
효과1=①: 이 카드는 1턴에 1번만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자신이 "스타더스트 드래곤"을 싱크로 소환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공격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 [ 원작 효과 ]
한글판 명칭 스타더스트 샤오롱 일어판 명칭 スターダスト・シャオロン 영어판 명칭 Stardust Xiaolong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1 빛 드래곤족 100 100 자신 필드 위에 "스타더스트 드래곤"이 존재할 경우,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이 카드를 자신 필드 위에 앞면 공격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55화 '동료들의 마음, 구세룡 세이비어 드래곤'에서 첫 등장. 등장한 에피소드는 55, 62, 63, 64, 79, 130, 144화.
원작 효과는 필드에 스타더스트 드래곤이 존재하기만 하면 묘지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었다. 레벨과 효과를 보면 알겠지만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과 포뮬러 싱크론을 소환하기 딱 좋아서, 세이비어와 슈팅 스타 드래곤 둘을 소환하는 데에 많이 쓰였다.
광속의 스타더스트에서 OCG화. 필드에 스타더스트가 있기만 하면 묘지에서 특수 소환 가능하던 원작과 달리, 스타더스트 드래곤을 싱크로 소환했을 때만 묘지에서 불러올 수 있도록 너프됐다. 대신 1턴에 1번 전투로 파괴되지 않는다는 효과가 추가돼, 소환돼도 1턴 버틸 수 있게 버프도 받았다. 물론 전투만 내성이라 구세룡을 바로 소환할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한다. 하나된 마음의 용이 레벨 1 드래곤족 몬스터를 덱에서 부를 수 있기에 그 효과로 덱에서 부르기도 좋다.
원 포 원으로 이 카드를 버리고 구세룡 세이비어 드래곤을 특수 소환하면 묘지에서 자체 효과로 특수 소환할 수도 있어 편리하다.
샤오롱은 중국어로 "小龍(작은 용)"이란 뜻이다. 이름에 중국어가 쓰인 만큼 동양풍의 용 모습이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광속의 스타더스트 | SOVR-KR002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듀얼리스트 팩 -유성 편 3- | DP10-KR003 | 노멀 | 한국 | |
STARDUST OVERDRIVE | SOVR-JP002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デュエリストパック -遊星編3- | DP10-JP003 | 노멀 | 일본 | |
DUELIST EDITION Volume 4 | DE04-JP043 | 노멀 | 일본 | |
Stardust Overdrive | SOVR-EN002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Duelist Pack: Yusei 3 | DP10-EN003 | 노멀 | 미국 | |
King's Court | KICO-EN033 | 레어 | 미국 |
4.1.2. 스타더스트 팬텀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스타더스트 팬텀,
일어판명칭=スターダスト・ファントム,
영어판명칭=Stardust Phantom,
속성=빛, 레벨=1, 공격력=0, 수비력=0, 종족=마법사족,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이 카드가 상대에 의해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자신 묘지의 "스타더스트 드래곤"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 필드의 드래곤족 싱크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는 1턴에 1번만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으며\, 이 효과를 적용한 데미지 스텝 종료시에 공격력 / 수비력을 800 내린다.)]
1의 효과는 상대에 의해 파괴되면 묘지의 스타더스트 드래곤을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하는 효과.
2의 효과는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 필드의 드래곤족 싱크로 몬스터 1장에게 1회용 전투 내성을 부여하는 효과. 이 효과를 적용한 대미지 스탭 종료시에는 능력치를 800 내린다.
스타더스트 관련 몬스터 중 유일한 마법사족 몬스터다.
1번 효과는 스타더스트 플래시의 하위 호환이기 때문에 이 카드를 굳이 쓸 이유는 없다.
애니 129화에서 삼극신과 싸우면서 사용. 전투 내성 효과는 스타더스트 드래곤 한정이었으며 그 대신 1턴 동안 계속 사용 가능했다.
이 카드의 등장시 해럴드는 "내가 신으로 그걸 공격해서 부수고 그 효과로 스타더스트가 부활하면, 나머지 두 신의 공격을 버틸 수 있겠지. 그러니 난 효과로 스타더스트 팬텀을 파괴하겠다!"라며 효과로 이 카드를 파괴하고 수비 표시로 부활한 스타더스트를 집중 공격했다.
원래 스타더스트 드래곤의 수비력으로는 2번밖에 못 쓰기에 마지막 극신성제 오딘의 공격에 스타더스트 드래곤이 파괴될 것으로 예상됐으나 유세이는 패에 있던 아성의 가디언으로 스타더스트의 수비력을 올려 3번째 파괴 내성을 써서 버틴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스톰 오브 라그나로크 | STOR-KR003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STORM OF RAGNAROK | STOR-JP003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Storm of Ragnarok | STOR-EN003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4.1.3. 스타더스트 브룸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스타더스트 브룸,
일어판명칭=スターダスト・ヴルム,
영어판명칭=Stardust Wurm,
속성=빛, 레벨=1, 종족=드래곤족, 공격력=0, 수비력=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패 / 묘지에 존재하고\, 자신 필드에 레벨 8 이상의 드래곤족 싱크로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제외된다.,
효과2=②: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묘지에서 "스타더스트 브룸" 이외의 드래곤족 / 빛 속성 / 레벨 1 몬스터를 2장까지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밸류어블 북 EX2 부록으로 발매된, 던 오브 마제스티의 후속 지원 카드. 이름의 유래는 린트부름.
①의 효과는 필드에 레벨 8 이상의 드래곤족 싱크로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패 / 묘지에서 특수 소환되는 효과. 레벨 8 이상의 드래곤족 몬스터는 스타더스트 드래곤을 포함해 레드 데몬 싱크로 몬스터,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 세이비어 싱크로 몬스터 등 차고 넘친다. 이를 통해 스타더스트 일루미네이트를 통해 이 카드를 불러내어 포뮬러 싱크론이나 저레벨 싱크로 튜너 몬스터들 혹은 전개에 사용할 비튜너 역할을 해주는 역할로 사용되고는 한다.
②의 효과는 자기 자신을 릴리스하고 패 / 묘지에서 빛 속성 / 레벨 1 / 드래곤족 몬스터를 2장까지 특수 소환할 수 있는 효과. 크림즌 레조네이터의 스타더스트 버전인 샘으로 구세룡 세이비어 드래곤과 스타더스트 샤오롱을 특수 소환하면 최대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까지 소환 가능하다. 아마 슈팅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에 밀려 찬밥 신세를 받고 있는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의 싱크로 소환을 쉽게 하기 위해서 들고 나온 듯.
2번 효과의 대상이 되는 몬스터들은 다음과 같다.
본래는 루머를 통해서 존재가 알려졌던 몬스터이며, 이름도 유출된 이름 그대로이다. 번역명은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 2023년 5월 10일에 선행 업데이트 되면서 먼저 밝혀졌다.
수록 시리즈 |
2022-03-18 |
VX02-JP002 | 公式カードカタログ ザ・ヴァリュアブル・ブックEX2 同梱 |
2023-05-17 |
23PP-KRB03 | 프리미엄 팩 2023 2nd WAVE |
2023-07-28 |
DUNE-EN094 | DUELIST NEXUS |
4.1.4. 스타더스트 더스튼
4.2. 레벨 4
4.2.1. 스타더스트 트레일
#!if 문서명2 != null
, [[싱크론]]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스타더스트 트레일,
일어판 명칭=スターダスト・トレイル,
영어판 명칭=Stardust Trail,
레벨=4, 속성=빛, 종족=드래곤족, 공격력=500, 수비력=20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패 / 묘지에 존재하고\,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릴리스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제외된다.,
효과2=②: 이 카드를 싱크로 소재로서 "워리어"\, "싱크론"\, "스타더스트" 싱크로 몬스터 중 어느 것을 싱크로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에 "스타더스트 토큰"(드래곤족 / 빛 / 레벨 1 / 공 0 / 수 0) 1장을 특수 소환한다.)]
①의 효과는 몬스터가 릴리스되었을 경우 특수 소환하는 유발 효과. 가장 쉽게 연계를 떠올릴 수 있는 몬스터는 스타더스트 싱크론으로, 스타더스트 싱크론의 효과 발동 후 트레일을 특수 소환하면 레벨 8 싱크로까지 연결할 수 있다. 이외에는 버스터 모드 파츠와 같이 쓰게 된다면 버스터 스나이퍼의 릴리스 효과에 맞춰서 나와서 사이킥 리플렉터에 체인 1, 이 카드가 체인 2를 만들어주면서 레벨 4 비튜너와 레벨 1 비튜너 토큰까지 만들어주는 초동의 역할로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자주 쓰이는 용도는 아니지만 스타더스트 드래곤의 릴리스 효과 발동 후 필드를 비지 않게 채워주는 역할 정도까지도 생각해볼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세 종류의 카드군 싱크로 몬스터의 소재가 되었을 경우 토큰을 생성하는 유발 효과. 도플 워리어의 다운그레이드 비슷한 효과라서 추가 싱크로 소환으로 연결할 수 있다. 특히 스타더스트 드래곤이 있다면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이나 슈팅 스타 드래곤으로 연결할 수 있어 유용한 효과. 이 경우 스타더스트 샤오롱을 완벽히 대체할 수 있다.
|
설정화 |
일러스트는 하나된 소망에서 나온 스타더스트 드래곤을 상징하던 여성을 몬스터화한 것이다. 하나된 소망에서 나온 오색의 유성들도 나와 있다. 모습이 이자요이 아키를 닮아 pixiv에 나오는 팬아트에는 으레 이자요이 아키 태그가 붙고는 한다. 한편 본래의 스타더스트 드래곤의 눈동자는 금안 혹은 황안인데 반해, 이쪽은 자안의 눈동자를 가지고 있다.# 공개 이후 팬들 사이에서는 이 카드와 이 카드의 여성을 사실상 스타더스트 드래곤 본인으로 취급하고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DAWN OF MAJESTY | DAMA-JP003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던 오브 마제스티 | DAMA-KR003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Dawn of Majesty | DAMA-EN003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4.3. 레벨 8
4.3.1. Sin 스타더스트 드래곤
4.4. 레벨 10
4.4.1. 스타더스트 드래곤/버스터
5. 싱크로 몬스터
5.1. 레벨 6
5.1.1. 스타더스트 어썰트 워리어
5.1.2. 스타더스트 차지 워리어
5.2. 레벨 8
5.2.1. 스타더스트 드래곤
본 카드군의 시초.5.2.2. 섬광룡 스타더스트
5.2.3. 액셀싱크로 스타더스트 드래곤
5.3. 레벨 10
5.3.1. 진섬광룡 스타더스트 크로니클
5.3.2. 스타더스트 워리어
5.3.3. 스타더스트 디비니티
매치킬 몬스터. 공식전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5.4. 레벨 12
5.4.1. 성광신룡 스타더스트 쉬프르
6. 마법 카드
"스타더스트"라는 이름이 붙은 카드는 몬스터만 카드군으로 지정되어있어서 마법 / 함정은 기본적으로 포함되지 않는다. 다만 이론상 매지컬 실크햇으로 몬스터 취급으로 소환된 후 앞면이 되면 슈팅 소닉의 발동 조건이 될 수는 있다.6.1. 스타더스트 일루미네이트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스타더스트 일루미네이트,
일어판 명칭=スターダスト・イルミネイト,
영어판 명칭=Stardust Illumination,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덱에서 "스타더스트"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낸다. 자신 필드에 "스타더스트 드래곤" 또는 그 카드명이 쓰여진 싱크로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묘지로 보내지 않으며 특수 소환할 수도 있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 필드의 "스타더스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레벨을 턴 종료시까지 1개 올리거나 내린다.)]
스타더스트의 서포트 마함 중에서 가장 실용적으로 투입되는 카드.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카드 자신은 "스타더스트" 카드군의 서포트를 받을 수 없으나, "스타더스트 드래곤"의 카드명이 쓰여진 카드로서 서포트를 받아 스타더스트 싱크론으로 서치할 수 있다. 또한 엑스트라 덱 몬스터가 아닌 메인 덱 몬스터의 서포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전혀 다른 성질을 가지고 있다.
①의 효과는 스타더스트 메인 덱 몬스터를 덱에서 묘지로 보내는 효과. 묘지 소생이 가능한 트레일, 싱크론을 보내고 특수소환 하는 초동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타더스트 드래곤 싱크로 몬스터가 존재하면 중간 과정을 생략하고 특수 소환이 가능하다.
②의 효과는 묘지에서 이 카드를 제외하는 것으로 사용할 수 있는 레벨 조정 효과. 싱크로 소환시의 레벨 조정이 주 사용처가 될 것이다.
일러스트는 원작에서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을 소환하는 장면에서 따왔다. 스타더스트 드래곤 → 스타더스트 샤오롱 → 구세룡 세이비어 드래곤 순서대로 화면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면서 싱크로 소환을 준비하는 장면이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DAWN OF MAJESTY | DAMA-JP051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7. 함정 카드
7.1. 스타더스트 리 스파크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스타더스트 리 스파크,
일어판 명칭=<ruby>星墜つる地に立つ閃珖<rp>(</rp><rt>スターダスト・リ・スパーク</rt><rp>)</rp></ruby>,
영어판 명칭=Stardust Re-Spark,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특수 소환된 상대 몬스터의 직접 공격 선언시\, 그 공격력이 자신의 LP 수치 이상일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그 공격을 무효로 하고\, 자신은 1장 드로우한다. 그 후\, 자신 엑스트라 덱 / 묘지에서 "스타더스트"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한자식 표기를 번역하면 '별이 떨어지는 땅에 솟구친 섬광'이란 뜻이다.
발동 가능한 상황이 사실상 특수 소환된 상대 몬스터의 직접 공격으로 패배 직전인 만큼 효과도 뛰어나다. 공격 무효화, 1장 드로우에, 섬광룡 스타더스트, 스타더스트 드래곤, 스타더스트 워리어 등의 강력한 몬스터까지 덤으로 얹어준다. 다만 발동 조건이 심각하게 까다로운 데다, 소생 제한이 있는 크로니클이나 쉬프르는 소환할 수 없어서 쓰기 어렵다.
유희왕 5D's 코믹스 60화에서 유세이가 사용, 궁극신의 직접 공격에 발동해 섬광룡 스타더스트를 특수 소환해 몬스터 효과로 자신을 지켜 전투 데미지를 막았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프리미엄 팩 Vol.10 | PP10-KR020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PREMIUM PACK 17 | PP17-JP020 | 노멀 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Premium Gold: Return of the Bling | PGL2-EN020 | 골드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7.2. 스타더스트 플래시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스타더스트 플래시,
일어판 명칭=<ruby>星屑の残光<rp>(</rp><rt>スターダストフラッシュ</rt><rp>)</rp></ruby>,
영어판 명칭=Stardust Flash,
효과1=①: 자신 묘지의 "스타더스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애니메이션 57화에서 등장한 게 미국에서 선행 발매됐다.
첫 등장 당시 유세이의 설명에 따르면 OCG와 효과가 달랐다. 원래는 스타더스트 드래곤의 부활 효과를 턴의 엔드 페이즈가 아니라 이 카드를 발동하므로서 발동할 수 있게 하는 카드였는데, 그냥 묘지의 스타더스트 몬스터 1장을 소생시키는 카드로 상향되었다.
자신 필드의 "스타더스트 드래곤"이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자신을 릴리스한 경우, 그 효과를 적용한 턴에 그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릴리스한 "스타더스트 드래곤"을 묘지에서 특수 소환한다. |
OCG화 버전은 위의 텍스트를 보면 알겠지만 스타더스트 카드군을 대상으로 하는 소생 카드가 되었다. 물론 버스터, 크로니클, 쉬프르는 소환 제약이 있어 이 카드로 못 불러내므로 주의해야 한다.
본래 한자로 "성설의 잔광"이라고 쓰고 루비로 스타더스트 플래시라고 읽는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엑스트라 팩 2015 | EP15-KR080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EXTRA PACK 2015 | EP15-JP041 | 슈퍼 레어 | 일본 | 일본 최초 수록 |
Legendary Collection 5D's | LC05-EN003 | 울트라 레어 | 미국 | 세계 최초 수록 |
7.3. 스타더스트위시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 명칭=스타더스트위시,
일어판 명칭=<ruby>星屑の願い<rp>(</rp><rt>スターダストウィッシュ</rt><rp>)</rp></ruby>,
영어판 명칭=Stardust Wish,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스타더스트" 싱크로 몬스터가 자신의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릴리스되었을 경우\, 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이 효과의 발동에 대하여\, 상대는 마법 / 함정 /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의 ①의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공격 표시일 경우\,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스타더스트 싱크로 몬스터를 지원하는 카드로, 대응하는 싱크로 몬스터는 스타더스트 드래곤과 스타더스트 워리어 2장. 카드명은 성설의 염원이라 쓰고 스타더스트위시라 읽는다.
자신을 릴리스하고 효과를 발동하는 스타더스트 싱크로 몬스터를 체인 불능으로 소생시키고, 공격 표시인 경우 전투 파괴 내성을 부여한다. 해당 스타더스트들의 퍼미션 효과를 1턴에 1번 더 쓸 수 있게 하는, 효과 자체만 보면 강력한 지원. 릴리스한 후 즉시 소생시키므로 공격이나 벽 역할로 내세울 수 있는 데다 같은 턴에 2번째 발동을 노릴 수도 있다. 이 효과는 체인을 받지 않으므로 싸이크론이나 저택 와라시, 무덤의 지명자의 방해를 걱정할 필요도 없다.[5] 이 효과로 소생한 스타더스트는 공격 표시일 동안 전투 내성을 가지기에 전투 파괴에 의한 제거 걱정도 덜게 된다. 또한 지속 함정이라 매턴 효과를 쓴다는 것도 강점. 스타더스트 워리어는 몬스터의 전개가 막히기에 소생의 트리거가 발생하기 쉽고 억제력도 크게 오른다.
하지만 이 카드로 소생하지 않으면 전투 파괴 내성은 얻을 수 없어 스타더스트를 릴리스할 수 없는 상태에서 공격을 받으면 그대로 전투 파괴를 받게 된다. 또한 공격 표시가 아니면 내성을 얻지 못하므로 바렐스워드 드래곤 등의 효과로 수비 표시가 되면 그대로 전투로 파괴된다. 효과 자체에 약점은 적지만 결점이 많고, 싱크로 몬스터를 요구하므로 패나 필드에 남아돌기 쉽다. 스타더스트를 소생시키는 것뿐이라면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나 전선복귀 등 대체할 카드도 많다. 결국 유토피아 몬스터나 같은 날에 발매된 유토피아 더블보다는 실전성이 떨어져 평은 안 좋다.
일러스트는 유희왕 5D's에서 후도 유세이가 이자요이 아키를 구하기 위해 블랙 로즈 드래곤과 맞선 스타더스트의 모습을 묘사한 것으로 보인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크로니클 바인더 | CHBI-KRB15 | 울트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20th ANNIVERSARY DUELIST BOX | 20TH-JPB15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Duel Power | DUPO-EN007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7.4. 스타더스트 미라지
엘리멘틀 미라지 함정 카드 시리즈 | ||
엘리멘틀 미라지 | 데스티니 미라지 | 스타더스트 미라지 |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스타더스트 미라지,
일어판 명칭=スターダスト・ミラージュ,
영어판 명칭=Stardust Mirage,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레벨 8 이상의 드래곤족 싱크로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전투 또는 상대 효과로 파괴되어 자신 묘지로 보내진 몬스터를 가능한 한 특수 소환한다.)]
- [ 원작 효과 ]
한글판 명칭 스타더스트 미라지 일어판 명칭 スターダスト・ミラージュ 영어판 명칭 Stardust Mirage 일반 함정 자신 필드 위에 "스타더스트 드래곤"이 존재할 때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파괴된 몬스터를 전부 파괴되었을 때와 같은 표시 형식으로 필드로 되돌린다.
극장판 유희왕 시공을 초월한 우정에서 나온 카드로, 패러독스가 Sin 트루스 드래곤으로 주인공들의 필드를 전멸시켰으나, 유세이가 이 카드로 파괴된 카드들을 모조리 되살렸다. 그 이후, 패러독스는 네오스 스파이럴 포스와 블랙 스파이럴 포스의 효과로 공격력이 상승한 스타더스트 드래곤의 공격을 받고 패배한다.
엘리멘틀 미라지, 데스티니 미라지를 스타더스트 버전으로 오마쥬한 카드. 엘리멘틀 미라지, 데스티니 미라지의 일러스트를 보면 유리를 깨고 몬스터가 등장하는 일러스트인데, 스타더스트 미라지는 그 깨고나오는 유리를 스타더스트가 만들어내는 일러스트이다.[6] 다만 정작 엘리멘틀 미라지는 여지껏 OCG화되지 않았다.
극장판이 나온지 9년이 흘러서야 OCG화되었는데, 명칭 제약이 붙었고 발동 조건이 레벨 8 이상의 드래곤족 싱크로 몬스터로 완화됐다. 하지만 이는 후일 지원으로 묶인 스타더스트 드래곤/서포트 카드에 포함되지 않아 스타더스트 싱크론으로 서치할 수 없게 되어 하향에 가깝다. 이후 이 카드의 계승형이자 카드군에 포함되는 세이비어 미라지가 발매되었다.
참고로 "스타더스트 미라지"는 이 당시에 아직 존재치 않았던 슈팅 스타 드래곤의 공격명이기도 하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레전드 컬렉션 | LEC1-KR010 | 시크릿 레어 울트라 패러렐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20th ANNIVERSARY LEGEND COLLECTION | 20TH-JPC10 | 시크릿 레어 울트라 패러렐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Battles of Legend: Hero's Revenge | BLHR-EN055 |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8. 서포트 몬스터 카드
8.1. 새털라이트 싱크론
8.2. 새털라이트 워리어
9. 서포트 마법 카드
9.1. 네크로이드 싱크로
#!if 문서명2 != null
, [[싱크로(유희왕)]]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네크로이드 싱크로,
일어판명칭=ネクロイド・シンクロ,
영어판명칭=Necroid Synchro,
효과1=①: 튜너 1장과 튜너 이외의 몬스터 2장까지를 자신 묘지에서 제외하고\, 제외한 몬스터의 레벨의 합계와 같은 레벨을 가지는 "스타더스트" 싱크로 몬스터 1장을 엑스트라 덱에서 싱크로 소환으로 취급하여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 [ 원작 효과 ]
한글판 명칭 네크로이드 싱크로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ネクロイド・シンクロ 영어판 명칭 Necroid Synchro 일반 마법 자신 묘지에서 튜너와 튜너 이외의 몬스터를 제외하고 싱크로 소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효과로 싱크로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가 된다.
유희왕 5D's 코믹스 특별편에서 후도 유세이가 잭 아틀라스와의 듀얼 중 사용. 첫턴에 묘지의 레벨 3 정크 디펜더와 레벨 2 정크 아머, 튜너 몬스터인 레벨 3 정크 체인저를 제외하고 섬광룡 스타더스트를 싱크로 소환하였다.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에는 프리미엄 팩 19에서 출시 되었다.
묘지의 몬스터로 "스타더스트" 몬스터를 싱크로 소환할 수 있지만,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가 무효화된다는 게 단점. 즉, 이 카드로 섬광룡 스타더스트 계열을 싱크로 소환할 경우, 달의 서로 뒤집고 반전 소환하거나 아공간 물질 전송장치, 아공간 물질 회송장치 등으로 필드에서 벗어나게 했다가 돌려놓지 않는 이상, 효과는 발동하지 못한다. 다만 스타더스트 워리어의 경우, 전투 / 효과로 파괴되어 필드에서 벗어나면 3번 효과를 발동해 이 카드 이외의 워리어 몬스터를 싱크로 소환 취급해 특수 소환할 수 있어서 이 카드와 궁합이 맞다.
네크로 퓨전의 싱크로 버전으로 볼 수 있다. 소재를 묘지에서 제외하고 소환하는 점도 같다. 다만 범용인 네크로 퓨전과 달리 이 카드는 OCG화되면서 스타더스트 전용이 되었다는 차이점이 있다.
유세이 버전 묘지 싱크로 카드라고 볼 수 있다. 잭 버전으로는 싱크로 콜이 있는데, 둘다 원작에선 범용이었지만, OCG에서 각각 "드래곤족 / 악마족인 어둠 속성 싱크로 몬스터", "스타더스트" 싱크로 몬스터 전용으로 변경되었다. 싱크로 콜은 함정카드라 세트할 필요가 있지만 상대 턴에도 사용이 가능하고, 또 필드에 나머지 몬스터가 갖춰져 있어야 해서 까다로운 대신 아무런 디메리트 없이 싱크로 소환이 가능하다. 네크로이드 싱크로는 일반 마법이라 바로 발동 가능하고 그냥 레벨만 맞춰서 묘지에서 제외하면 되어 간편한 대신 효과가 무효화되고, 대신 일반 마법이라서 자신의 턴에만 쓸 수 있다.
일러스트에 그려진 건 정크 자이언트와 정크 앵커. 레벨 2 튜너 정크 앵커 + 레벨 6 비튜너 정크 자이언트 = 레벨 8 스타더스트 싱크로(스타더스트 드래곤, 섬광룡 스타더스트)를 띄울 수 있다. 물론 효과가 무효가 되니 진섬광룡 스타더스트 크로니클, 성광신룡 스타더스트 쉬프르등을 뽑아 비트하거나, 크로니클을 슈팅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으로 잇는 게 나은 편. 성광신룡의 경우 필드에서 효과가 무효화되었더라도 묘지에서 발동하는 효과는 사용할 수 있기에 고려해볼만하나 정크도플 특성상 엑스트라 덱 자리가 미어터지는지라 실질적인 우선순위는 다소 떨어진다.
이름에 로이드가 들어가는 의외의 카드.[7] 단, 튜너 몬스터와 스타더스트 싱크로 몬스터를 투입한다면, 메가로이드 시티로 서치한 후 그 다음 턴에 발동할 수는 있다.
수록 시리즈 |
2016-12-17 |
PP19-JP012 | PREMIUM PACK 19 |
2023-04-01 |
23TP-JP214 | トーナメントパック 2023 Vol.2 |
2017-03-31 |
DUSA-EN015 | DUELIST SAGA |
2017-06-08 |
PP12-KR012 | 프리미엄 팩 Vol.12 |
9.2. 슈팅 소닉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슈팅 소닉,
일어판 명칭=シューティング・ソニック,
영어판 명칭=Cosmic Flare,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스타더스트" 싱크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그 자신의 싱크로 몬스터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할 경우\, 데미지 스텝 개시시에 그 상대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린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스타더스트" 싱크로 몬스터가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자신을 릴리스할 경우\, 대신에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할 수 있다.)]
스타더스트 드래곤의 공격명을 본뜬 필살기 카드.
①의 효과는 스타더스트 싱크로 몬스터 1장과 전투한 상대 몬스터를 데미지 스텝 개시시 덱으로 되돌리는 강력한 제거 효과. 연속 공격이 가능한 스타더스트 차지 워리어와의 조합도 고려할 만하다.②의 효과는 스타더스트 싱크로 몬스터가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릴리스될 경우, 대신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해주는 효과. 스타더스트 드래곤, 스타더스트 워리어가 효과를 쓰고도 필드에 남아 전투를 할 수 있게 해준다. 덕분에 스타더스트 몬스터가 D.D. 크로우 등 묘지를 저격하는 효과에 당할 위험도 없다.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크로니클 팩 2nd WAVE | 20AP-KR053 | 울트라 패러렐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20th ANNIVERSARY PACK 2nd WAVE | 20AP-JP053 | 울트라 패러렐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Duelist Saga | DUSA-EN036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OTS Tournament Pack 16 | OP16-EN024 | 노멀 | 미국 |
9.3. 싱크로 체이스
10. 서포트 함정 카드
10.1. 슈팅 스타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한글판 명칭=슈팅 스타,
일어판 명칭=シューティング・スター,
영어판 명칭=Shooting Star,
효과1=①: 필드에 "스타더스트"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사용자는 후도 유세이. 루드거 전에서 사용했다.
유희왕 5D's가 끝나고도 한참 동안 OCG화되지 않았다가 TCG에서 발표된 Dragons of Legend에서 수록이 확정되었다. OCG화되면서 "스타더스트"가 카드군으로 지정되었는데, 이 덕에 스타더스트 드래곤 이외에 섬광룡 스타더스트 등도 이 카드의 트리거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참고로 발동 조건이 자신 필드가 아닌 그냥 필드라 상대 필드에 스타더스트 몬스터가 있어도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있다. 다만 스타더스트 드래곤은 자신을 릴리스해서 이 카드의 효과를 무효화하니 발동에 그치면 안되고 스타더스트 드래곤이 묘지로 간다는 걸 이용해야 한다.
스타더스튼의 한국 정발명이 스타더스튼이 되어버리는 바람에 룰이 꼬이게 되었지만 현재는 스타더스트 더스튼으로 정상적인 이름이 되어 걱정할 필요가 없다.
11. 관련 카드
카드명이나 텍스트에 "스타더스트"라는 이름이 들어가지 않아 카드군으로서 직접 연관되진 않지만, 이름이나 외형 등의 설정상으로 스타더스트 드래곤과 관련된 카드들.[1] 예외로 Sin 스타더스트 드래곤과 스타더스트 더스튼은 어둠.[2] 단, 스타더스트 더스튼은 악마족, 스타더스트 팬텀은 마법사족, 스타더스트 싱크론은 기계족, 성설의 거신(스타더스트 디비니티)은 천사족.[3] 대표적인 사례로 엘리멘틀 히어로 지원으로 코믹스 테마인 마스크드 히어로를 출시했던 사례가 있다.[4] 농담거리 수준의 이야기지만 비크로이드가 융합 맹세제약을 걸고 "메가로이드 시티"를 발동해 서치해올 수 있는 네크로이드 싱크로가 그나마 서치할 수 있는 방법이 있긴 한 카드일 지경이었다.[5] 스타더스트를 현 환경에서 못 쓰는 이유가 저택 와라시랑 무덤의 지명자 때문이다. 특히 여러번 쓸 수 있는 무덤의 지명자가 치명적이다. 심지어 버스터 모드 상태에서도 치명적이다.[6] 히어로 쪽 미라지는 "자신 필드 위의 "엘리멘틀 히어로"라고 이름붙은 몬스터가 상대의 카드의 효과에 의해 파괴되었을 때"인 반면, 이 카드는 "스타더스트 드래곤"이 존재할 때"라서 이렇게 일러스트 차이를 둔 것 같다. 스타더스트 자체도 파괴 내성이 있어서 스타더스트가 파괴되었을 때보다는 존재할 때로 만든 듯.[7] 한국, 일본, 영어판 모두 "로이드"라는 이름이 포함되어 카드군 지정에 문제가 없지만, 중국어판 카드는 이 카드의 이름을 의역해서 "死靈同步"로 번역한 관계로 카드군에 지정이 된다. 무엇보다 로이드도 중국어에서는 음역하지 않고 "機人"이라는 이름을 쓰고 있어서 억지로 엮으면 마력의 광대 크러시같은 웃픈 이름이 되기 때문에 카드명을 뜯어 고치는 것도 애매하다. 결국 나중에 에라타로 "이 카드는 룰 상 '로이드' 카드로도 취급한다."가 효과 외 텍스트로 붙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네크로이드 싱크로, version=46,
title2=슈팅 소닉, version2=22,
title3=슈팅 스타(유희왕), version3=23,
title4=스타더스트 샤오롱, version4=11,
title5=스타더스트 브룸, version5=28,
title6=스타더스트 트레일, version6=39,
title7=스타더스트 미라지, version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