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3 15:56:14

엑소멤버들 소속사변경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SM엔터테인먼트
파일:SM엔터테인먼트 로고 가로형.svg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px -11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소속 아티스트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가수
<rowcolor=#F197B4>
ONE 프로덕션
'''''' 보아 소녀시대 aespa
<rowcolor=#F197B4>
PRISM 프로덕션
{{{#!wiki style="margin: -16px -11px" SHINee WayV Raiden LUCAS SMNGG }}}
<rowcolor=#F197B4>
RED 프로덕션
{{{#!wiki style="margin: -16px -11px" 동방신기 Red Velvet }}}
<rowcolor=#F197B4>
NEO 프로덕션
NCT
{{{#!wiki style="margin: -16px -11px" 127 DREAM WISH }}}
<rowcolor=#F197B4>
WIZARD 프로덕션
{{{#!wiki style="margin: -16px -11px" SUPER JUNIOR EXO RIIZE }}}
<rowcolor=#F197B4>
VIRTUAL IP 프로덕션
미분류
nævis 크리스 타오
배우
이재룡 유호정 최종윤 조준영
이철우 제이민 김지우 라미
강인
방송인
김경식 이동우
프로듀서·DJ 연주자
IMLAY Mar Vista 한지희
관련 틀
틀:SM C&C | 틀:키이스트 | 틀:미스틱스토리 | 틀:KMR | 틀:에스팀 }}}}}}}}}

1. 개요2. 과거 소속
2.1. 가수2.2. 기타

1. 개요

대한민국의 연예 기획사 SM엔터테인먼트의 과거 소속 아티스트를 서술한 문서이다.

2. 과거 소속

2.1. 가수

《SM기획》
  • 현진영과 와와 (1990 - 1995) = 현진영이수만이 처음으로 프로듀싱한 가수로 '흐린 기억속의 그대'와 '너는 왜(현진영 GO 진영 GO)'가 대표곡이다. 와와는 현진영의 고정 백댄서들이며 모두 독립하여 가수로 데뷔했다. 1기(클론), 2기(듀스), 3기()이 있다.
  • 한동준 (1991) = '사랑의 서약'과 '너를 사랑해'가 그의 대표곡이다.
  • 김광진 (1991) = 1991년에 한동준의 '그대가 이 세상에 있는 것만으로'를 작사·작곡해줌으로서 프로듀서로 데뷔했으며, 그 해 10월에는 솔로 앨범 'Virgin Flight'을 발매했다. 현재는 금융업을 하는 중.
  • 유영진 (1993 - 2001) = 1993년 SM에서 가수로 데뷔했으며 정규 3집까지 발매했다. 현재 아티스트 전속계약은 맺지 않았지만 SM의 임원이자 대표적인 프로듀서로 여전히 SM소속이다.
  • 메이저 (1994) = 3인조 포크 록 밴드. 타이틀곡인 이른 봄날이 수록된 싱글 음반을 1994년 3월쯤에 발표했다. 이수만이 나름대로 심혈을 기울여 만든 팀으로 알려져 있는데, 노래도 좋은 편이었고 대중의 반응도 좋았지만, 방송국에서 그들의 의상과 헤어스타일을 문제 삼아 출연을 정지시켰고, 단정하게 나오면 풀어주겠다고 해서 이수만이 그들을 설득했지만, 자신의 스타일을 잃게 되어 멤버 전원이 활동을 포기하겠다고 선언하여 공중분해 되었다. 데뷔앨범이 처음이자 마지막 앨범이 되었다.
    • 서연수(보컬 겸 기타) (1994)
    • 임범준(베이스) (1994) = 2018년 TV는 사랑을 싣고를 통해 SM 가수 1호로 불리우는 현진영의 소꿉친구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초등학생 때부터 절친이었으며, 어머니를 일찍 여읜 현진영에게 있어서 임범준의 어머니는 어머니와 같은 분이셨다고.
    • 유한진(드럼) (1994) = 유영진의 동생이며 이후 H.O.T.의 4집 수록곡 ‘The Way That You Like Me’를 시작으로 2022년까지 SM소속 작곡가로 활동했다.
  • J&J (1994) = '미지수야 미지수'라는 타이틀 넘버로 활동한 듀오. 독수리춤으로 컬트적인 인지도가 있었다. 해당 악곡은 J&J가 해체된 이후 H.O.T. 1집에서 <about 女子>라는 넘버로 재사용되었으며, 동일 그룹이 부른 <노을 속에 비친 그대 모습>도 H.O.T. 1집에서 동명의 노래로 재사용되었다.
    • 김주현 (1994)
    • 강준식 (1994)

《SM엔터테인먼트》
  • H.O.T. (1996 - 2001) = 임원인 강타만 현재까지 SM과 전속계약을 맺고 있으며 팀은 2001년 해체하였다.
    • 장우혁 (1996 - 2001) = 예전 미디어 → 스펀지 엔터테인먼트 → WH CREATIVE(1인 기획사)
    • 토니 안 (1996 - 2001) = 예전 미디어 → TN 엔터테인먼트(개인 설립) → IOK 컴퍼니[1] → 우리들 컴퍼니(개인 설립) → AL 엔터테인먼트[2] → 티엔엔터테인먼트[3]
    • 이재원 (1996 - 2001) = 예전 미디어 → 아이핌 → 무소속 → IOK 컴퍼니 → 무소속
    • 문희준 (1996 - 2004) = 한 차례 재계약 후에 SM을 떠났다. PS 엔터테인먼트(1인 기획사) → iHQ → 라인 엔터테인먼트 → 코엔스타즈 → IOK 컴퍼니 → 티엔엔터테인먼트
  • S.E.S. (1997 - 2002) = 2017년 20주년 기념으로 SM에서 스페셜앨범을 발매하였으나 SM소속은 아니었다.
    • 바다 (1997 - 2002) = 웅진 미디어 → 디오션 엔터테인먼트 → 마이 엔터테인먼트 → 웨이브나인
    • 유진 (1997 - 2002) = C9 엔터테인먼트 → 인컴퍼니
    • (1997 - 2005) = 한 차례 재계약 후에 SM을 떠났다. CMG(컬쳐마케팅그룹) → 무소속 → 다이아몬드 뮤직 [4] → 무소속
  • 신화 (1998 - 2003) = 신화컴퍼니.[5]
  • 배드 보이스 써클 (1998) = 펑크 록 밴드. 1998년 여름쯤에 활동했으나 1장의 앨범만 내고 해체했다.
    • 최일권(보컬 겸 기타) (1998)
    • 여인택(베이스) (1998)
    • 신태권(드럼) (1998) = 본명 박노철. 스나이퍼 사운드에서 가수로 활동하다가 2011년 1월에 쇼파르뮤직을 설립해 후배 가수들을 양성하던 중 폭행 사건으로 징역 6개월, 집행유예 2년, 사회봉사 80시간을 선고 받았다.
  • 플라이 투 더 스카이 (1999 - 2005) = PFull 엔터테인먼트 → H2 미디어[13] → 무소속
    • 환희 (1999 - 2005) = PFull 엔터테인먼트 → 키이스트, H엔터컴[14] → H2 미디어 → BT엔터테인먼트
    • 브라이언 (1999 - 2005) = PFull 엔터테인먼트 →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 → 젤리피쉬 엔터테인먼트 → B You Ent → HICC → 비스킷엔터테인먼트
  • M.I.L.K. (2001 - 2003) = 2001년 데뷔 후, 1집 활동을 끝낸 후 2집 준비하다가 한 멤버의 무단이탈로 2003년 해체하였다.
    • 배유미 (2001 - 2003) = 과거 SUM 엔터테인먼트로 이적했다가 2006년 연예계 은퇴.
    • 박희본 (2001 - 2008) = 눈컴퍼니 소속.
    • 서현진 (2001 - 2008) = 매니지먼트 숲 소속.
    • 김보미 (2001 - 2008) = 영화와 연극을 오가며 이어가고 있었다. 그러나 2018년 부터는 활동이 뜸해졌다가 2021년에 웹드라마에 출연하였다.
  • 추가열 (2001 - 2008) = 민트박스 엔터프로 소속이며 한국음악저작권협회 회장이다. SM에서는 포크 앨범만을 발매하였지만 트로트 가수이기도 하다.
  • 블랙비트 (2002 - 2008) = 1장의 앨범만을 냈지만 신인상을 수상했다. 퍼포먼스 댄스 그룹이라는 홍보문구로 데뷔했다. 2003년부터 2집 준비하다가 아무 소식이 없어 2008년 해체하였다.
    • 이소민 (2002 - 2008) = 그룹 '더 블랙' 멤버로 활동을 이어가고 있었다.
    • 정지훈 (2002 - 2008) = 엔터102 소속. 현재 그룹 'WE'의 멤버 '강한'이라는 예명으로 활동 이어가고 있다.
    • 황상훈 (2002 - 2008) = SM의 퍼포먼스 디렉터 및 콘서트 연출가
    • 심재원 (2002 - 2008) = SM의 퍼포먼스 디렉터 및 콘서트 연출가
    • 장진영 (2002 - 2008) = SM 보컬 디렉터
  • 신비 (2002)= 2002년 데뷔 후, 1집 활동을 끝낸 후 2집 준비중 해체.
    • 유수진 = 연예계 은퇴. 2013년 결혼하였다.
    • 유나 = 연예계에서 은퇴 후 변호사으로 전향 이후 현 법무법인 세종 소속 변호사.
    • 오상은 = 2007년 태일런스미디어에서 솔로 데뷔 후 니모라는 예명으로 활동 하였다가, 현재는 뮤지컬 배우로 활동중이다.
  • 이삭 N 지연 (2002 - 2004) = 김이삭과 이지연 2인으로 구성된 여성 2인조 그룹. 2002년 데뷔 후 1집 활동하다가 반응을 얻지 못해 끝내 2004년 해체하였다. 이 중에서 이지연은 린아라는 예명으로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로 재데뷔했다.
    • 이삭 (2002 - 2013) = 현재 라디오 DJ로 활동하고 있다.
    • 지연 (2002 - 2023) = 뮤지컬 배우. 무소속.
  • 동방신기 (2003 - 현재) = 3명의 멤버가 탈퇴하였으며 남은 2명의 멤버가 현재에도 동방신기로 활동 중이다.
  • TraxX (2004 - 2019) = 멤버 전원이 SM과의 계약이 종료되었으며 사실상 해체되었다.
  •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 (2005 - 2011) = 국내와 일본에서 활발히 활동하다가, 2009년 스테파니가 허리부상으로 팀활동에 불참하였고 2010년 SM 콘서트에는 스테파니를 제외한 전 멤버가 천상지희의 이름으로 나왔다. 2011년 다나와 선데이가 유닛으로 나온 것이 마지막 천상지희 활동이다. 린아를 끝으로 전 멤버가 SM을 떠났다.
  • SUPER JUNIOR (2005 - 현재)
    • 한경 (2005 - 2009) = 슈퍼주니어-M의 리더였다. 2009년에 소속사와의 전속 계약 갈등으로 팀을 탈퇴하면서 SM을 떠났다.
    • 기범 (2005 - 2015) = SUPER JUNIOR의 멤버였지만 3집부터는 팀 활동을 하지 않고 개별 활동에 매진하다가 2015년 8월 20일 계약이 만료되었다. 공식적으로 탈퇴라고 하지는 않았지만, 이제까지의 행보[15]와 계약 만료를 감안하면 사실상 탈퇴라고 봐도 된다.
    • 은혁 (2005 - 2023) = 오드 엔터테인먼트(ODE.ent) 설립[A]
    • 동해 (2005 - 2023) = 오드 엔터테인먼트(ODE.ent) 설립[A]
    • 규현 (2006 - 2023) = 안테나 뮤직[A]
    • SUPER JUNIOR-M
      • 헨리 (2008 - 2018): 슈퍼주니어-M 멤버로 현재는 1인 기획사로 활동.[19]
  • 장리인 (2006 - 2017) = 이지 엔터테인먼트
  • 소녀시대 (2007 - 현재)
  • SHINee (2008 - 현재)
  • f(x) (2009 - 2019) = 현재 sm에 남은 멤버가 없다.
    • 엠버 (2009 - 2019) = 스틸 울 엔터테인먼트
    • 루나 (2009 - 2019) = 휴맵컨텐츠 → Grida Entertainment
    • 크리스탈 (2009 - 2020) = 에이치앤드엔터테인먼트(H& Entertainment) → Beasts And Natives Alike
    • 빅토리아 (2009 - 2021) = 중국에서 차린 공작소와 협업관계를 맺었으나 2021년 4월 협업관계가 종료되었다는 공식입장이 발표 되었다.
  • EXO (2012 - 현재)

2.2. 기타

  • 고아라 = 아티스트 컴퍼니 → 킹콩 by 스타쉽
  • 기도훈 = 포스타컴퍼니
  • 김미진 = KBS 14기 공채 개그우먼.
  • 김민종 = 2006년 11월 ~ 2023년 6월 30일. 현재 무소속.
  • 김영철 = 미스틱스토리 소속, 개그맨. SM 출신이어서 '보아요' 드립을 보아에게 직접 허락을 받았다고 하며 신화창조 5기 팬미팅의 사회를 맡기도 했다.
  • 김완기, 전환규 = 해피스타 엔터테인먼트 소속. 전환규는 롯데홈쇼핑 쇼호스트이기도 하다.
  • 김지훈 = 빅픽처 엔터테인먼트 소속. 남아이돌 그룹 연습생으로 있으면서 이연희와 함께 2000년대 초반 SM 가수들의 뮤직비디오에 자주 출연했다. 하지만 준비하던 팀의 데뷔는 무산되었고, 결국 법적 다툼 끝에 SM과 결별.
  • 박명수 = 거성 엔터테인먼트 대표. SM 1기 출신이지만 계약을 한 뒤 몰래 행사뛰다 걸려서 이수만에게 혼자 하라고 퇴출당했다고 하며, 퇴출 전에는 예뻐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할명수에서 NCT, aespa와 좋은 케미를 보여주었고 박명수의 라디오쇼에서 2023년 아티스트들이 상처받지 않는 방향으로 사태가 잘 해결되길 바란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 손지창 = 같은 회사에 있는 김민종과 2009년 '더 블루'를 재결성하여 활동하기도 했다.
  • 솔희 = SM의 레이블 All Know Music에서 데뷔. 현재는 무소속.
  • 신동엽 = 씨피엔터테인먼트 소속. 1990년대 중반 SM엔터테인먼트 소속이었다.[25] 2012년 SM엔터테인먼트의 자회사인 SM C&C로 SM에 돌아와 11년간 전속계약을 유지하다가 2023년 계약이 종료되었다.
  • 자이언트 핑크 = SM이 레이블 All Know Music을 인수하면서 SM소속이 되었다. 현재는 티엔엔터테인먼트.
  • 아유미 - 이토 유미라는 다른 예명으로 활동, SM과 전속계약을 했지만 SM에서 음반을 발매한 적은 없다. 현재 에이벡스 리듬존 소속. 대한민국 활동은 2019년부터 본부이엔티와 계약.
  • 오연수
  • 유준상 = 나무엑터스 소속. 군 복무를 같이했던 유영진과의 인연으로 한동안 SM에 소속되었다.
  • 윤다훈
  • 이연희 = VAST엔터테인먼트사람엔터테인먼트
  • 이홍렬 = 비디오스타에서 자신이 " SM 1기"이라고 말했다. 보통 이런 "SM 1기" 연예인들은 이수만이 키워낸 케이스는 아니고, 이수만의 회사 설립 때 소속되었던 연예인들이다.
  • 표인봉[26]
  • 함효주 = 2013년 6월 8일 향년 29세로 사망했다.
  • 홍록기 = 생각엔터테인먼트 소속

[1] 흡수합병[2] 그랑앙세와 우리들 컴퍼니와 합병.[3] 2022년 AL 엔터테인먼트가 해체되면서 전속계약.[4] 일본 소속사[5] 신화의 상표권은 준미디어 (구 오픈월드Ent.)가 SMEnt.에서 완전히 넘겨받았다. 상표권 소송 관련으로 2014년 9월 신화 컴퍼니에서 신컴 엔터테인먼트로 회사명을 변경하였다가 2015년 5월 29일자로 상표권이 신화에게 양도된 후 다시 신화컴퍼니로 복귀되었다.[6] 2014년 4월 계약 만료 후 무소속이다가 같은 해 10월 신생 연예 기획사인 씨아이 ENT.와 전속 계약을 체결, 2018년 10월에 계약이 만료되었다.[7] 매니저였던 현태학과 같이 차린 1인 소속사라고 한다.[8] 1인 소속사[9] 회사가 설립된 2009년부터 지금까지 10년째 인연을 이어오고 있다.[10] 전진 입대 직전 무한도전을 비롯한 과도한 스케줄을 잡아서 말이 많았다. 오픈월드Ent. 대표가 아이돌 연습생 성폭행 사건에 연루되어서 소속사가 폭망당했다는 상태. 그 후 오픈월드엔터테인먼트에서 준미디어로 상호명을 변경하였다. 2012년 6월로 계약이 만료.[11] 개인 활동을 위해 2007년 본인이 설립한 1인 기획사[12] 1인 기획사[13] 그룹 활동은 잠정중단 상태였으나 2014년 9집으로 컴백했다.플투스 활동은 H2 미디어에서 주관한다.[14] 연기분야는 키이스트, 가수 분야는 H엔터컴 관여.[15] 기범 자신은 가수보다는 연기자 활동이 목표였고, 슈퍼주니어가 원래 멤버 충원에 유동적이었던 당초 계획과는 달리 규현의 합류 후 멤버가 고정되면서 더 이상 슈퍼주니어 활동에 미련을 두지 않았다.[A] 그룹 활동에 한해 SM과 전속계약.[A] [A] [19] 현재 음악가로서의 레이블로는 AXIS 소속.[20] 1인 소속사 협업[21] 계약만료 후 1년 정도 1인 소속사로 활동하다가 나무엑터스로 이적하였다.[B] 그룹 활동은 SM에서 함께한다.[B] [B] [25] H.O.T.가 정식 데뷔 전에 스피드 012 콘서트 무대에 섰는데 같은 소속사인 신동엽이 이 콘서트의 MC였기 때문이다.[26] SM엔터테인먼트의 자회사 중 하나인 SM아트컴퍼니의 대표이기도 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23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23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