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1 20:51:01

엑톤파크

엑톤파크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krawci.png 한국 리딩 사이어(3세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
1985
Coal King
1986
Ivor Prince
1987
Zivato
1988
Piccadilly Lane
1989
킹스키
1990
밀림호
1991 · 1992
천하제일
1993
밀림호
1994
킹스키
1995
밥타이즈
1996
Shoreward
1997
Fiesta Star
1998
글로리화이
1999
피어슬리
2000
사일런트워리어
2001
사이코배블
2002
피어슬리
2003
컨셉트윈
2004
디디미
2005
컨셉트윈
2006
더그룸이즈레드
2007
포트스톡턴
2008
디디미
2009
크릭캣
2010
크릭캣
2011
비카
2012
메니피
2013
포리스트캠프
2014~2017
메니피
2018
엑톤파크
2019
컬러즈플라잉
2020
한센
2021
테이크차지인디
2022
메니피
2023
투아너앤드서브
2024
한센
}}}}}}}}} ||

파일:krawci.png 한국 리딩 사이어(4세이상) {{{#!wiki style="margin:0 -11px -5px;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
1985
Blagoslav
1986
Arctic Symbol
1987
Shadoof
1988 · 1989
Radanthe
1990
Tumbledownwind
1991
Mr. Independent
1992
천하제일
1993
Kampala
1994
밀림호
1995 · 1996
밥타이즈
1997
Crested Wave
1998
킹스뷰우
1999
글로리화이
2000
피어슬리
2001
디디미
2002
사이코배블
2003
사일런트워리어
2004~2006
컨셉트윈
2007
더그룸이즈레드
2008
컨셉트윈
2009
더그룸이즈레드
2010
컨셉트윈
2011
크릭캣
2012
엑스플로잇
2013
비카
2014~2017
메니피
2018
엑톤파크
2019
메니피
2020
엑톤파크
2021
메니피
2022 · 2023
머스킷맨
2024
투아너앤드서브
}}}}}}}}} ||

파일:krawci.png 한국 리딩 사이어 {{{#!wiki style="margin:0 -11px -5px;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word-break: keep-all"
<tablewidth=100%>
1985
Blagoslav
1986
Ivor Prince
1987
Shadoof
1988
Piccadilly Lane
1989
Radanthe
1990
Captain Stardust
1991
킹스키
1992
천하제일
1993
Pine Circle
1994
밀림호
1995~1996
밥타이즈
1997
Crested Wave
1998
프로포슈어
1999
피어슬리
2000 · 2001
디디미
2002
사이코배블
2003
사일런트 워리어
2004~2006
컨셉트윈
2007~2009
디디미
2010
크릭캣
2011
엑스플로잇
2012~2017
메니피
2018
엑톤파크
2019
메니피
2020
한센
2021
메니피
2022
머스킷맨
2023 · 2024
한센
}}}}}}}}} ||
파일:엑톤파크.jpg
이름 Ecton Park
엑톤파크
출생 1996년 2월 9일
죽음 2022년 12월 1일 (26세)
성별 수컷
털색 밤색(Chestnut)
아비 포티나이너(Forty Niner)
어미 데어링 댄지그(Daring Danzig)
외조부 댄지그
생산자 E. A. 콕스 주니어
마주 마크 H. 스탠리
조교사 W. 엘리엇 월든 (켄터키)
성적 23전 6승 (6-4-6-7)
총상금 1,503,825달러
주요
우승
G1 슈퍼 더비(1999)
G2 짐 댄디 스테이크스(1999)
주요 수상 2018년 한국 리딩사이어
주요 자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스터파크(200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인디밴드(201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천년동안(201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트리플나인(201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가온챔프(201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위시미(2017)
상세 정보 Equibase
파일:한국마사회 로고.svg | HORSEPIA

1. 개요2. 혈통3. 생애
3.1. 경주마 시절3.2. 종마 시절
3.2.1. 주요 자마3.2.2. 주요 브루드메어 사이어(BMS) 산구
4. 경주 성적

[clearfix]

1. 개요

미국의 경주마다. 한국으로 건너가 종마생활을 하였다. 메니피와 함께 2010년대 가장 많은 영향을 주며 종마생활로 대성하였다.

2. 혈통

1대 2대 3대
<colbgcolor=#fff3e4,#331c00>포티나이너
Forty Niner
1985
<colbgcolor=#ffffe4,#323300>미스터 프로스펙터
Mr. Prospector
1970
레이즈 어 네이티브
Raise a Native
골드 디거
Gold Digger
파일
File
1976
톰 롤프
Tom Rolfe
컨티뉴
Continue
데어링 댄지그
Daring Danzig
1990
댄지그
Danzig
1977
노던 댄서
Northern Dancer
파 드 농
Pas de Nom
임페추어스 갤
Impetuous Gal
1975
파일:캐나다 국기.svg
브라이어틱
Briartic
임페추어스 레이디
Impetuous Lady
* 니아크틱 4×4 12.5%
* 네이티브 댄서 4×5 9.375%
* 나스룰라 5×5 6.25%
* 로만(Roman) 5×5 6.25%
주요 반형제[1] 파일:일본 국기.svg 핏 파이터(父 펄핏)(1999)
파일:일본 국기.svg 데어링 하트(父 선데이 사일런스)(2002)
엑톤파크는 댄지그의 자마인 데어링 댄지그(Daring Danzig)에게 태어났으며 포티나이너(Forty Niner)의 마지막 미국 자마다. 모마 데어링 댄지그는 일본에 수입되어 핏 파이터(Pit Fighter), 데어링 하트 등을 낳았고, 둘이 동일하게 국제 G3 1승, 일본 G3 2승의 성적을 거두었다. 이후 데어링 하트는 씨암말로 활동하면서 데어링 택트의 조모가 되었다.[2]

3. 생애

3.1. 경주마 시절

슈퍼 더비(GI)와 짐 댄디 스테이크스(GII)에서 우승한 경력이 있다. 2000년에 두바이 월드컵(G1)에 참가하여 5위를 기록하였으며 퍼시픽 클래식 스테이크스(GI)에서 3위를 한 바 있다. 또한 L등급 대상경주도 2번 우승하는 등 준수하게 활약하였다.

3.2. 종마 시절

이후 2009년초 이시돌목장이 국내로 수입하여 씨수말이 되었다.
엑톤파크 소개영상

씨수말이 된 이후 2010년대 초중반까지 메니피의 자마들과 버금가는 우수한 자마들을 많이 낳았다. 국내에서는 2012년에 첫 종마로서 두각을 보이기 시작했고 2015년에 리딩사이어 2위, 2016년에는 3위를 기록하며 강력한 모습을 보였다. 2017년에는 2세마부분에서 3위 전체에서는 2위를 기록했으며 2018년에는 수년간 한국 경마계를 지배하던 메니피를 물리치고 첫 리딩사이어로 등극하였다.[3] 2020년대에 들어와서는 과거보다는 영향력이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위시미와 같은 대상경주 우승마들이 종종 나오는 편이었다.

이후 2022년 12월 1일에 폐사할때 까지 제주도 성이시돌목장에 있었으며, 목장 측 설명으론 씨수말 전용 방목지에 있는 지라 운이 좋으면 민간인 출입 가능 지역 내 울타리 밖에서 종종 볼 수도 있는, 같은 목장의 관상마 당대불패와 달리 외부인이 접촉할 수 없는 곳에 자리 잡았다고 한다.[4] 2022년 12월 1일 26세에 나이로 폐사하였으며 공고에는 없으나 사인은 고령으로 인한 자연사라고 한다.[5]

3.2.1. 주요 자마

  • 대상경주 우승마만 표기, 굵은 표시는 GI 경주.

3.2.2. 주요 브루드메어 사이어(BMS) 산구

  • 대상경주 우승마만 표기
  • 2010년산
    • 케이탑(아비 메니피) - 과천시장배(2012)
  • 2021년산

4. 경주 성적

  • 거리 단위(미국) - f: 펄롱(1/8 마일, 약 201m), y: 야드(약 0.91m)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529a><rowbgcolor=#00529a><tablebgcolor=#fff,#2d2f34><rowcolor=#fff><width=3%> 경주일 || 경마장 ||
경기명
||<width=3%> 등급 ||
트랙
||<width=3%> 배당[6] ||<width=3%> 인기 || 순위 || 기수 || 1위마
(2위마) ||
<rowcolor=#fff> 1998년 (2세)
11.18 처칠 다운스 메이든 더트 6f 6.80 2 2위 팻 데이 치프 하우컴
12.12 터프웨이 메이든 더트 8f 1.90 1 1위 조 존슨 (빅 라스칼)
<rowcolor=#fff> 1999년 (3세)
1.16 걸프스트림 조건전 더트 8.5f 3.10 3 2위 셰인 셀러스 카사노바 스타
2.21 페어그라운즈 리즌 스타 스테이크스 L 더트 8.5f 4.90 2 1위 (앤서 라이블리)[7]
3.14 페어그라운즈 루이지애나 더비 GII 더트 8.5f 4.10 3 3위 킴벌라이트 파이프
4.10 오클론 아칸소 더비 GII 더트 9f 2.10 1 3위[8] 게리 스티븐스 서틴
5.1 처칠 다운스 켄터키 더비 GI 더트 10f 11.60 8 12위 로비 데이비스 카리스마틱
6.23 처칠 다운스 조건전 더트 8.5f 0.50 1 1위 셰인 셀러스 (하이 그레이더)
7.24 시슬다운 오하이오 더비 GII 더트 9f 2.00 1 2위 스텔라 브러시
8.8 새러토가 짐 댄디 스테이크스 GII 더트 9f 6.50 5 1위 알렉스 솔리스 (레몬 드롭 키드)[9]
8.28 새러토가 트래버스 스테이크스 GI 더트 10f 7.50 5 4위 레몬 드롭 키드
10.2 루이지애나
다운스
슈퍼 더비 GI 더트 10f 3.40 2 1위 (메니피)
11.6 걸프스트림 브리더스컵 클래식 GI 더트 10f 9.60 6 12위 캣 시프[10]
<rowcolor=#fff> 2000년 (4세)
2.12 걸프스트림 조건전 더트 8.5f 0.60 1 3위 제리 베일리 미드웨이 매지스트레이트
3.5 페어그라운즈 뉴올리언스 핸디캡 GIII 더트 9f 2.90 2 3위 앨런스 웁
3.25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나드 알시바
두바이 월드컵 G1 더트 2000m 미발매 5위 크리스 매캐런 두바이 밀레니엄
5.20 핌리코 윌리엄 도널드 섀퍼 핸디캡 L 더트 9f 0.90 1 1위 팻 데이 (더 그룸 이스 레드)[11]
6.17 처칠 다운스 스티븐 포스터 핸디캡 GII 더트 9f 1.50 1 2위 골든 미사일[12]
7.5 프레리 메도스 프레리 메도스 콘허스커 핸디캡 GIII 더트 9f 0.50 1 3위 서 베어[13]
8.26 델마 퍼시픽 클래식 스테이크스 GI 더트 10f 6.20 4 3위 켄트 데저모 스키밍[14]
9.16 벨몬트 우드워드 스테이크스 GI 더트 9f 10.70 4 5위 크리스 매캐런 레몬 드롭 키드
<rowcolor=#fff> 2001년 (5세)
4.27 킨랜드 벤 알리 스테이크스 GIII 더트 9f 2.60 2 4위 팻 데이 브로큰 바우
5.19 호손 호손 골드 컵 핸디캡 GII 더트 10f 2.40 2 7위 알렉스 솔리스 덕혼



[1] 대상경주 우승마만 서술.[2] 여담으로 엑톤파크의 또다른 반형제마인 사쿠라 시킹은 일본에서 경주마 활동을 하다가 종마로서 (뉴질랜드를 경유하여) 한국으로 수출되었다.[3] 리딩사이어 등극 당시 올라온 자마 성향 분석 기고문.[4] 성이시돌목장은 제주도의 유명 관광지라 의외일 수도 있으나, 씨수말과 관상마와 같은 유명 은퇴마들의 경우 기자나 브리더가 아닌 이상 외부인의 공개를 철저히 배제하는 것이 목장 측 입장이다. 상당한 엄격한 지라, 같은 경주마생산자 협회 등의 동업자들에 따르면 자신들도 보러 가기 힘들다고 할 정도로 규정 및 방침이 깐깐하다고 혀를 찰 정도.[5] 일각에선 안락사를 했다는 말도 나왔는데, 사실일 경우 아그네스 플라이트, 나이스 네이처 등의 경우들처럼 노쇠로 인한 기립/거동 불가능, 호흡 곤란 등의 사유로 인도적 차원에서 시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6] 서양권의 배당 표기는 동아시아와 달리 원금을 제외하므로 값이 1만큼 작다.[7] 미국의 경주마. 1998년 브리더스컵 주버나일을 우승했다.[8] 원래 4위였으나 1위 밸홀의 실격으로 순위가 상승했다.[9] 미국의 경주마. 1998년 퓨처리티 스테이크스와 1999년 벨몬트 스테이크스를 우승한 말으로, 이후 2000년 휘트니 핸디캡 등을 우승해 G1 5승에 이른다.[10] 미국의 경주마. 1999년 스왑스 스테이크스를 우승했다.[11] 미국의 경주마. 1998년 샴페인 스테이크스를 우승했다.[12] 미국의 경주마. 2000년 핌리코 스페셜 핸디캡을 우승했다.[13] 미국의 경주마. 1998년 시가 마일 핸디캡, 1999년 메트로폴리탄 핸디캡을 우승했고, 이후에도 2001년 걸프스트림 파크 핸디캡에서 우승한다.[14] 미국의 경주마. 이후 2001년 퍼시픽 클래식도 우승해 2연패를 이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