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20 21:59:28

역대 로드아일랜드 주지사


파일:로드 아일랜드 휘장.svg
대수
(#)
이름 취임일 퇴직일 정당
초대 니컬러스 쿡 1775년 11월 7일 1778년 5월 4일 없음[A]
2대 윌리엄 그린 1778년 5월 4일 1786년 5월 3일 없음[A]
3대[3] 존 콜린스 1786년 5월 3일 1790년 5월 5일 없음
4대 아서 페너 1790년 5월 5일 1805년 10월 15일 농민당[4]
5대 헨리 스미스 1805년 10월 15일 1806년 5월 7일 농민당
6대 아이작 윌버 1806년 5월 7일 1807년 5월 6일 농민당
7대 제임스 페너 1807년 5월 6일 1811년 5월 1일 [[민주공화당(미국)|
민주공화당
]]
8대 윌리엄 존스 1811년 5월 1일 1817년 5월 7일 연방당
9대 니어마이아 R. 나이트 1817년 5월 7일 1821년 5월 2일 [[민주공화당(미국)|
민주공화당
]]
10대 윌리엄 C. 깁스 1821년 5월 2일 1824년 5월 5일 [[민주공화당(미국)|
민주공화당
]]
11대 제임스 페너 1824년 5월 5일 1831년 5월 4일 [[민주공화당(미국)|
민주공화당
]]
12대 레뮤얼 H. 아널드 1831년 5월 4일 1833년 5월 1일
13대 존 브라운 프랜시스 1833년 5월 1일 1838년 5월 2일

14대 윌리엄 스프레이그 3세 1838년 5월 2일 1839년 5월 2일

15대 새뮤얼 워드 킹 1839년 5월 2일 1843년 5월 2일 로드아일랜드당
(Rhode Island Party)
16대 토머스 윌슨 도어 1842년 5월 1일 1843년 1월 23일 도어의 반란
(extralegal, Dorr Rebellion)[5]
17대 제임스 페너 1843년 5월 2일 1845년 5월 6일 법과 질서당
(Law and Order Party of Rhode Island)
18대 찰스 잭슨 1845년 5월 6일 1846년 5월 6일
자유당[6]
(Liberation Party)
19대 바이런 다이먼 1846년 5월 6일 1847년 5월 4일 법과 질서당
20대 엘리샤 해리스 1847년 5월 4일 1849년 5월 1일
21대 헨리 B. 앤서니 1849년 5월 1일 1851년 5월 6일
22대 필립 앨런 1851년 5월 6일 1853년 7월 20일

23대 프랜시스 M. 다이몬드 1853년 7월 20일 1854년 5월 2일

24대 윌리엄 W. 호핀 1854년 5월 2일 1857년 5월 26일
25대 엘리샤 다이어 1857년 5월 26일 1859년 5월 31일

26대 토머스 G. 터너 1859년 5월 31일 1860년 5월 29일

27대 윌리엄 스프레이그 4세 1860년 5월 29일 1863년 5월 3일

28대 윌리엄 C. 커즌스 1863년 5월 3일 1863년 5월 26일

29대 제임스 Y. 스미스 1863년 5월 26일 1866년 5월 29일

30대 앰브로스 에버렛 번사이드 1866년 5월 29일 1869년 5월 29일

31대 세스 패들퍼드 1869년 5월 29일 1873년 5월 23일

32대 헨리 하워드 1873년 5월 23일 1875년 5월 25일

33대 헨리 리핏 1875년 5월 25일 1877년 5월 29일

34대 찰스 C. 밴잰트 1877년 5월 29일 1880년 5월 25일

35대 앨프리드 H. 리틀필드 1880년 5월 25일 1883년 5월 29일

36대 오거스터스 O. 본 1883년 5월 29일 1885년 5월 26일

37대 조지 P. 웨트모어 1885년 5월 26일 1887년 5월 29일

38대 존 W. 데이비스 1887년 5월 29일 1888년 5월 29일

39대 로얼 C. 태프트 1888년 5월 29일 1889년 5월 28일

40대 허버트 W. 래드 1889년 5월 28일 1890년 5월 27일

41대 존 W. 데이비스 1890년 5월 27일 1891년 5월 26일

42대 허버트 W. 래드 1891년 5월 26일 1892년 5월 31일

43대 D. 러셀 브라운 1892년 5월 31일 1895년 5월 29일

44대 찰스 W. 리핏 1895년 5월 29일 1897년 5월 25일

45대 엘리샤 다이어 주니어 1897년 5월 25일 1900년 5월 29일

46대 윌리엄 그레고리 1900년 5월 29일 1901년 12월 16일

47대 찰스 D. 킴볼 1901년 12월 16일 1903년 1월 3일

48대 루시어스 F. C. 가빈 1903년 1월 3일 1905년 1월 3일

49대 조지 H. 어터 1905년 1월 3일 1907년 1월 7일

50대 제임스 H. 히긴스 1907년 1월 7일 1909년 1월 5일

51대 아람 J. 포티에 1909년 1월 5일 1915년 1월 5일

52대 R. 리빙스턴 베크먼 1915년 1월 5일 1921년 1월 4일

53대 에머리 J. 샌수시 1921년 1월 4일 1923년 1월 2일

54대 윌리엄 S. 플린 1923년 1월 2일 1925년 1월 6일

55대 아람 J. 포티에 1925년 1월 6일 1928년 2월 4일

56대 노먼 S. 케이스 1928년 2월 4일 1933년 1월 3일

57대 시어도어 프랜시스 그린 1933년 1월 3일 1937년 1월 5일

58대 로버트 E. 퀸 1937년 1월 5일 1939년 1월 3일

59대 윌리엄 헨리 밴더빌트 3세 1939년 1월 3일 1941년 1월 7일

60대 J. 하워드 맥그래스 1941년 1월 7일 1945년 10월 6일

61대 존 올랜도 파스토레 1945년 10월 6일 1950년 12월 19일

62대 존 S. 매키어넌 1950년 12월 19일 1951년 1월 2일

63대 데니스 J. 로버츠 1951년 1월 2일 1959년 1월 6일

64대 크리스토퍼 델세스토 1959년 1월 6일 1961년 1월 3일

65대 존 A. 놋 주니어 1961년 1월 3일 1963년 1월 1일

66대 존 채피 1963년 1월 1일 1969년 1월 7일

67대 프랭크 릭트 1969년 1월 7일 1973년 1월 2일

68대 필립 W. 노엘 1973년 1월 2일 1977년 1월 4일

69대 J. 조지프 개러히 1977년 1월 4일 1985년 1월 1일

70대 에드워드 D. 디프렛 1985년 1월 1일 1991년 1월 1일[7]

71대 브루스 선들런 1991년 1월 1일 1995년 1월 3일

72대 링컨 C. 앨먼드 1995년 1월 3일 2003년 1월 7일

73대 도널드 카시어리 2003년 1월 7일 2011년 1월 4일

74대 링컨 채피 2011년 1월 4일 2013년 5월 30일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13년 5월 30일 2015년 1월 6일

75대 지나 레이먼도[8] 2015년 1월 6일 2021년 3월 2일

76대 대니얼 맥키 2021년 3월 2일 현직


[A] 로드아일랜드가 아직 정식적으로 미합중국 정부에 가입하기 이전이라 정당은 존재하지 않았다.[A] [3] 로드아일랜드가 미합중국 정부에 가입한 이래로 첫 번째 주지사이다.[4] 혹은 지방당(Country Party)[5] 마저리 켈리 작가의 저서 '주식회사 이데올로기 - 21세기 경제 귀족주의의 탄생' 이라는 책에서는 도어의 반란을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다. 도어는 로드아일랜드에서 백인 남성의 참정권을 놓고 벌어진 투쟁의 영웅이었다. 로드 아일랜드에서는 한 때 재산 요건 때문에 성인 남성의 절반 이상이 투표권을 갖지 못했다. 1842년 투표권이 없는 이들이 봉기해 도어 반란(Dorr Rebellion)을 일으켰다. 그들은 모든 백인 남성에게 참정권을 줄 것을 요구하는 그들만의 '인민 헌법(People's Constitution)을 만들고 도어를 주지사로 선출했다. 이로써 로드아일랜드에는 주지사가 두 명인 이상한 사태가 연출되었고, 결국 존 타일러 미합중국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반란을 진압했다. 그이후로, 도어는 재판에 회부되어 종신형을 선고받았다.(결국 1년만 복역했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그가 내세웠던 대의가 승리를 거두었다. 1843년 로드아일랜드의 참정권 조항이 개정된 것이다. 1850년대에 이르러서는 투표권의 재산 요건이 거의 모든 주에서 폐지되었다. 토머스 윌슨 도어는 엘리자베스 스탠턴만큼 알려졌어야 할 인물이다. 하지만 도어는 그리 유명하지 않다. 집단적 기억상실증이라도 걸린 듯 빈부 차별의 역사가 고스란히 잊혔기 때문이다.[6] 또는 해방당[7] 퇴임 후 부패 혐의로 수감되었다.[8] 바이든 행정부의 상무장관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