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영어로 진행하는 방송
넓은 의미로, 영어 교육 및 영어로 방송하는 방송국이나 프로그램의 총칭. 상당수의 유럽쪽 단파방송 및 단파방송국에서 운영하는 위성방송이 여기에 속한다.2. 영어전용 FM 방송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word-break:keep-all" | 지상파 | 공영방송 | |
( | ) | | ( | ) | |||
민영방송 | |||
| | | | | | | | | (독립) | (독립) | |||
종합편성채널 | |||
| | | | |||
보도전문채널 | |||
| | |||
복수채널사업자 | |||
채널 사용 사업자 문서 참고 | |||
일반채널사업자 | |||
<colbgcolor=#fff,#1c1d1f>유료방송채널/목록 문서 참고 | |||
플랫폼 | IPTV | | | ||
위성방송 | |||
케이블 MSO (헬로tv) | | | | | |||
케이블 개별 SO (경기) | (인천) | (대구) | (울산) | (경남) | (충북) | (전북) | (광주) | (제주) | |||
제도 | |||
<colbgcolor=#fff,#1c1d1f> 영상물 등급 분류 제도 ·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시청 등급 분류 제도 · 애니메이션 의무 편성 제도 · 국산영화 의무 상영 제도 · 공동체 라디오 | |||
기관 | |||
방송통신위원회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 |||
분류 | |||
방송 · 뉴스 · 드라마 · 예능 · 교양 · 영화 · 애니메이션 · 라디오 · 매체별 방송 · 인터넷 방송 · 케이블 방송 · 텔레비전 방송 · 대한민국의 방송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d1d1d,#e2e2e2 | 한국방송공사 | |||
단파 라디오, 인터넷 라디오 | ||||
한국교육방송공사 | ||||
반디 외국어 전문 인터넷 라디오 | ||||
미디어재단 TBS | ||||
수도권 | ||||
국제방송교류재단 가맹 | ||||
제주 | 부산 | 광주, 전남 | ||
미군 직영 | ||||
AFN Korea |
2008년에 정부[1]가 영어전문 FM방송 설립을 추진하면서 개국된 3개의 방송국(TBS eFM, BeFM 부산, GGN 광주)을 지칭한다. 현재는 마치 지상파 방송국의 지역사처럼 TBS eFM의 프로그램을 BeFM 부산, GGN 광주가 일부 받아서 재전송하고 있다. 물론 지역 지상파 방송국처럼 자체제작 방송도 있으며, BeFM 부산의 경우 자체제작 방송 비율이 80%에 육박한다. 2017년 기준 GGN 광주의 경우 자체제작 비율 60%로 송출중.
사실 대한민국에서 영어로 방송하는 방송국은 이전부터 존재해 왔다. 오래전에 AFKN(AFN Korea의 전신)이 그랬고, Arirang Radio가 2003년 제주도에서 개국했기 때문에 이들 세 방송국은 어떻게보면 상당히 출발이 늦은 셈이다. 그러나 AFKN은 주한미군을 대상으로 하는 방송이었고, Arirang Radio는 가청권역이 제주도로 한정되어 있는 한계가 있었다.
방송진행을 대부분 외국인 및 재외교포 출신 연예인들이 맡다보니, 영어공부용으로 삼으려는 초급자들에게는 다소 어려울 수 있다. 특히 진행자들이 미국 뿐만 아니라 캐나다, 호주, 영국 등 타 영어권 국가 출신들이 다양하게 포진되어 있다 보니 더욱 어려워진다. 애초에 영어공부용이 아닌 한국 거주 외국인 및 영어가 유창한 한국인, 해외 한류팬을 대상으로 방송을 하다보니 사용되는 영어 수준은 영미권 방송과 큰 차이가 없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한국 문화, 역사 등에 대해 신선한 시각을 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024년 현재 영어방송은 방송국을 둘러싼 대내외적인 사정으로 절멸 위기에 놓여있다. TBS eFM은 방송국의 모회사인 TBS가 이강택 체제의 자업자득임을 감안하더라도 정치적인 사유로 폐업할 위기에 놓이면서 같이 흔들리고 있으며[2] GGN은 광주광역시가 예산을 감축하면서 역시 폐국 위기에 놓여있다.#[3] Arirang Radio마저도 정부의 예산 감축으로 지상파 DMB는 물론 미국 위성 라디오 채널을 폐국하면서 위기감을 가속시키고 있다. 그래서인지 영어방송은 최근 들어서는 타 언어(중국어, 베트남어 등) 프로그램을 신설하였으며 심지어는 한국어 프로그램도 신설하고 있다. 그나마 절멸 위기의 무풍지대인 곳은 BeFM으로, 부산광역시가 ‘영어하기 편한 도시’라는 슬로건을 바탕으로 BeFM에 대한 예산 확대에 나서면서 여전히 활발한 제작과 방송이 이루어지고 있다.[4]
2024년 상반기까지는 영어방송 전부가 정부 혹은 지자체와 관련되어 있는 공영방송이었으나 TBS가 서울시 산하 출연기관에서 해제되어 민영방송체제로 전환되면서 3공영 1민영 구도가 되었다.[5][6]
2.1. 주파수
호출부호 | 주파수 | 출력 | 송신소 | 송신소 주소 | |
TBS eFM | HLSW-FM | 101.3㎒ | 1㎾ | 관악산 | 경기 과천시 자하동길 64 (중앙동 산12-1, 넥스콘테크) |
BeFM 부산영어방송 | HLSX-FM | 90.5㎒ | 1㎾ | 황령산 | 부산 연제구 연산동 2039-1 (KNN) |
103.3㎒ | 0.02㎾ | 정 관 | 부산 기장군 정관읍 달산리 산146-14 (KNN) | ||
0.015 ~0.03㎾ | 기 장 | 부산 기장군 일광면 삼성리 산41 (KNN) | |||
0.02 /0.03㎾ | 녹 산 | 부산 강서구 녹산동 산2-5 봉화산 (KNN) | |||
GGN 글로벌광주방송 | HLSY-FM | 98.7㎒ | 1㎾ | 무등산 | 광주 북구 금곡동 산1-1 (광주방송) |
93.7㎒ | 1㎾ | 구봉산 | 전남 여수시 여서동 산160-3 (광주방송) | ||
Arirang Radio | HLQE-FM[7] | 88.7㎒ | 3㎾ | 견월악 | 제주 제주시 봉개동 산78-1 (제주방송) |
88.1㎒ | 1㎾ | 삼매봉 | 제주 서귀포시 서홍동 822-1 (제주방송) | ||
88.1㎒ | 0.1㎾ | 어 음 | 제주 제주시 애월읍 어음리 산72-4 | ||
101.9㎒ | 0.1㎾ | 광해악 | 제주 서귀포시 안덕면 서광리 937 (KBS제주) |
[1] 당시 이명박 정부가 영어교육과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 관심 많았다. 이 시기의 영어FM방송 신설 러시는 이런 맥락과 연관있을 것으로 보인다.[2] 2022년 하반기부터 출연금 감액의 영향으로 정시 뉴스는 전부 폐지되었으며 교양, 예능, 음악 프로그램들은 이전 방송분을 토대로 리메이크, 일요일에는 방송시간의 절반을 논스톱 음악 프로그램으로 채웠다. 2023년 상반기에 일부 프로그램 제작을 재개했으나 하반기 이후 상황이 더 열악해져 분명 키 스테이션임에도 50%를 지역 가맹국 프로그램으로 채우는 상황이 일어났다. 물론 eFM은 TBS가 가진 방송국 중 유일하게 상업광고를 집행할 수 있고 상업광고 방송이 가능하지만 이것만으로 1년치 예산을 분담하기에는 턱없이 모자라다.[3] 다행히 현실적인 이유로 폐국은 간신히 면했고 대신 리뉴얼을 진행해 한국어를 포괄하는 다국어 방송으로 거듭닜다.[4] 이는 10년 먼저 영어방송을 시작한 일본이라고 다를게 없어 InterFM897은 일본어를 포함한 다국어 방송 쪽으로 방향을 전환하는 것도 모자라 JFNC에 인수되었고 이 과정에서 MegaNet 네트워크는 해체되었으며 아이치 국제방송(Radio-i)은 2020년 아예 폐국했다. FM COCOLO도 2011년 FM802에 인수.[5] 다만, TBS가 재원 조달 방안을 찾지 못한 상황에서 강제 민영화되어 당장의 존립조차 불투명할 정도로 자금이 부족한 상황이라 이 구도가 오래가지 못할 것이라는 시각이 많다.[6] 이 상황이 지속되면서 BeFM과 GGN은 TBS 키스테이션 대신 아리랑 라디오로 키스테이션을 전환되었다. 최악의 상황이면 TBS eFM의 주파수는 아리랑 라디오의 서울 주파수로 전환될 상황이다.[7] 그간 호출부호가 HLSE-FM으로 잘못 알려져 있었다. HLSE는 국방FM에서 사용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