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53:09

유료방송채널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방송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word-break:keep-all"
지상파 공영방송
파일:KBS 로고.svg파일:KBS 로고 컬러 화이트.svg (파일:KBS 1TV 로고.svg | 파일:KBS 2TV 로고.svg) | 파일:MBC 로고.svg | 파일:EBS 로고.svg (파일:EBS 1TV 로고 2023.svg | 파일:EBS 2TV 로고 2023.svg)
민영방송
파일:SBS 로고.svg | 파일:KNN 로고.svg | 파일:TBC 로고.svg | 파일:kbc 로고.svg | 파일:대전방송 로고.svg | 파일:ubc 로고.svg | 파일:JTV 로고.svg | 파일:CJB 로고.svg | 파일:G1방송 로고.svg파일:G1방송 로고 화이트.svg | 파일:JIBS 로고.svg
파일:경인방송 로고.svg (독립) | 파일:OBS경인TV 로고.png (독립)
종합편성채널
파일:JTBC 로고.svg파일:JTBC 로고_White.svg | 파일:MBN 로고.svg | 파일:TV CHOSUN 로고.svg파일:TV CHOSUN 로고 화이트.svg | 파일:채널A 로고.svg파일:채널A 로고 컬러 화이트.svg
보도전문채널
파일:YTN 로고.svg파일:YTN 로고.svg
| 파일:연합뉴스TV 로고.svg파일:연합뉴스TV 로고 화이트.svg
복수채널사업자
채널 사용 사업자 문서 참고
일반채널사업자
<colbgcolor=#fff,#1c1d1f>유료방송채널/목록 문서 참고
플랫폼
IPTV
파일:KT GENIE TV.png | 파일:U+tv 로고.svg | 파일:B tv 로고.svg
위성방송
파일:KT스카이라이프 BI.svg
케이블 MSO
파일:LG헬로비전 로고.svg (헬로tv) | 파일:SK브로드밴드 로고.svg | 파일:HCN 로고.svg | 파일:딜라이브 로고.svg | 파일:CMB 로고.svg
케이블 개별 SO
파일:아름방송 로고.svg (경기) | 파일:남인천방송 로고.svg (인천) | 파일:푸른방송 로고.svg (대구) | 파일:JCN 울산중앙방송 로고.svg (울산) | 파일:서경방송 로고.svg (경남) | 파일:CCS충북방송 로고.svg (충북) | 파일:금강방송 로고.svg (전북) | 파일:KCTV광주방송 로고.svg (광주) | 파일:KCTV제주방송 로고.svg (제주)
제도
<colbgcolor=#fff,#1c1d1f> 영상물 등급 분류 제도 ·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시청 등급 분류 제도 · 애니메이션 의무 편성 제도 · 국산영화 의무 상영 제도 · 공동체 라디오
기관
방송통신위원회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분류
방송 · 뉴스 · 드라마 · 예능 · 교양 · 영화 · 애니메이션 · 라디오 · 매체별 방송 · 인터넷 방송 · 케이블 방송 · 텔레비전 방송 · 대한민국의 방송 }}}}}}}}}



1. 개요2. 상세3. 경쟁력4. 관련 문서5. 채널6. 각 채널별 비판 및 논란

[clearfix]

1. 개요

지상파방송사업자ㆍ종합유선방송사업자 또는 위성방송사업자와 특정채널의 전부 또는 일부 시간에 대한 전용사용계약을 체결하여 그 채널을 사용하는 사업
방송법 제2조(정의) 2호 라목 '방송채널사용사업'에 대한 정의.
유료방송채널MBC, KBS, SBS지상파 방송이 아닌, 케이블 방송, IPTV 등 유료 플랫폼 등을 통해 방송을 송출하는 채널들을 말한다. 방송법에는 이를 '방송채널사용사업'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영어로는 PP(Program Provider)라고 한다.

2. 상세

유료방송채널을 운영하는 사업자(방송채널사용사업자)는 개국 시 신고한 방송분야[1]에 대한 프로그램을 제작 및 구입해 방송한다. 예를 들면 MBC 스포츠플러스는 스포츠 분야, Mnet는 음악 분야 같은 식으로. 유료방송채널 시장에서는 CJ ENM이 운영하는 채널들이 가장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는데, 지상파를 포함한 시청점유율에서 11.523%를 기록해 KBS(22.555%)에 이은 2위를 기록하였다.[2]

3. 경쟁력

2019년 기준으로 CJ ENM이 소유한 케이블 채널들(tvN, Mnet, OCN, 채널CGV) 정도가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지상파 PD의 유입과 여러 좋은 컨셉으로 지상파와의 경쟁력이 강해진 편이다.[3]

2020년부터 닐슨미디어코리아의 시청률 순위를 보면 연합뉴스TVYTN이 순위권에 안정적으로 진입하였다. CJ ENM 소유 채널 중 Mnet, OCN, 채널CGV는 TV 채널에서의 순위권에서 내려간 상태.

4. 관련 문서

5. 채널

6. 각 채널별 비판 및 논란

CJ ENM tvN | Mnet | 투니버스
애니맥스 | 애니플러스 | 대원방송 | MBC M | OGN


[1] 종합편성채널YTN, 연합뉴스TV 등 보도편성채널은 허가를 받아야 한다.[2] 방송통신위원회가 발표한 2021년도 방송사업자 시청점유율 기준. #[3] 다만, 2019년 기준으로는 tvN 정도만 좋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OCN의 경우에는 2018년 프리스트 이후 지상파의 어설픈 장르물과 수준이 하향 평준화되었다는 악평을 듣고 있으며, Mnet의 경우에는 오디션 프로그램의 조작 의혹으로 인해 평판이 떨어진 상황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3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3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