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30 20:30:51

영통사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777777,#555555> 평양시 평양성 (대동문 / 보통문 / 연광정 / 전금문) · 숭령전
고구려 고분군 (호남리 사신총) · 광법사 · 안학궁 · 대성산성 · 청암리 사지 & 청암리 토성
고구려 고분군 (동명왕릉 / 진파리 고분군) · 정릉사
법운암
룡화사 · 평양성 (부벽루 / 을밀대 / 최승대 / 칠성문 / 현무문)
단군릉
개성시 개성역사유적지구 (개성 성균관 / 개성 남대문 & 개성성 / 숭양서원 / 선죽교 / 만월대 / 현릉 / 현정릉) · 해선리 고려왕릉 · 관음사 · 영통사 · 흥국사 · 목청전
남포시 고구려 고분군 (강서삼묘 (강서대묘) / 덕흥리 벽화분 / 룡강대총 / 수산리 벽화분 / 쌍영총 / 약수리 벽화분)
강원도 보덕암 · 총석정 · 표훈사 · 신계사 · 장안사 · 유점사 · 석왕사 · 정양사 · 고성행궁
자강도 인풍루 · 보현사 · 상원암
평안남도 강선루 · 고구려 고분군 (덕화리 고분군) · 백상루 · 법흥사
평안북도 약산동대 · 영변행궁 · 통군정 · 귀주성 · 의주 남문
함경남도 함흥본궁 · 황초령비 · 마운령비 · 귀주사 · 함흥읍성
함경북도 개심사 · 북관대첩비
황해남도 고구려 고분군 (안악 1호분 / 안악 2호분 / 안악 3호분) · 패엽사
황해북도 성불사
공통 천리장성
}}}}}}}}}


1. 개요2. 역사3. 남북이 합작해서 복원하다4. 여담

1. 개요

북한 개성시에 있는 고려 시대 사찰. 개성시 용흥동 오관산에 있다.

승복원은 왕건이 자신의 증조할아버지가 살던 암자이고, 이 작은 암자를 왕건이 확장해서 설립한 사찰이 영통사이다.

영통사는 시작부터 고려왕실과 인연이 아주 깊은 사찰이다. 고려시대에 왕실의 여러 재(齋) 또한 이곳에서 지냈다.

2. 역사

고려 태조 왕건 재위 2년(919), 왕건이 자신의 증조부 원덕대왕이 지었던 암자 자리에 숭복원(崇福院)이라는 시설을 지었다.

현종 18년(1027)에 현종이 숭복원을 중창하며 영통사(靈通寺)로 개칭했는데, 보통은 현종이 영통사를 '창건'했다고 설명한다. 예종 13년(1118)에 중건했다가 16세기에 전소되었다고 한다. 2005년에 중건했지만 문화재로서의 가치는 없다.

3. 남북이 합작해서 복원하다

영통사는 16세기에 화재로 전소되어서 폐사지가 되었는데, 1998년 북한이 3년에 걸쳐서 발굴해서 2002년 11월부터는 대한불교천태종과 함께 복원사업을 시작하여 2005년 완료했다.

총 29개 전각으로 이루어졌으며, 영통사는 대각국사 의천이 출가해 35년간 주석하며 한반도 천태종을 개창한 유서 깊은 고찰이다.

4. 여담

  • 북한이 고려 왕실사찰을 고려시대 양식을 사용하여 복원한 사례는 사실상 영통사가 처음이자 마지막이다.[1] 영통사 이후로는 남북관계가 악화됨에 따라 한국 불교계가 북한에 힘을 끼치기 힘들어졌기 때문이다.

[1] 물론 온전한 고려시대 양식이라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단청도 조선시대 양식에 더 가깝거니와 다포양식을 사용했기 때문이다. 더 고려시대의 양식에 가깝게 만들려면 단청은 적색 위주로 칠하고, 금동장식과 금색 안료로 건물을 장식하며, 공포를 주심포 양식으로 체택하고, 지붕도 청기와 같은 화려한 기와와 도금한 치미와 용마루를 올린 상당히 화려한 외관이어야 했다. 다만 세부적인 양식은 몰라도 장식은 예산이 부족해서 일부러 안 했을 수도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