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6 00:28:31

예수의 형제 야고보

[[예수|
예수 그리스도
Jesus Christ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E9C967,#E9C967><colcolor=#422700,#422700>
관련 종교
기독교 · 이슬람 · 유대교
생애
생애 · 역사적 예수 · 이슬람 속 예수
가족
아버지 나자렛의 요셉 · 어머니 성모 마리아 · 형제 예루살렘의 야고보
기독교 신학
신약성경 (복음서) · 산상수훈 · 주기도문 · 그리스도론 (메시아 · 성자 · 삼위일체론) · 비칼케돈파 그리스도론 (아리우스파 · 네스토리우스파 · 단성론 · 합성론 · 단의론)
기독교의 관련 절기
성탄절 · 부활절
관련 종교적 인물
세례자 요한 · 12사도 · 바울로
기타
창작물 · 수태고지 · 십자가 (십자가형) · 성흔 · 실존 여부 · 이름과 이명 · 4대 성인 }}}}}}}}}

1. 개요2. 설명3. 행적4. 둘러보기

1. 개요

신약성경에 등장하는 복수의 '야고보' 중 '예수(주님)의 형제'라고 불린 인물.

신약성경 야고보서의 저자로 알려져 있다.[1] 의인 야고보(James the Just)라고도 불리며, 외경 야고보 원복음서 또한 전통적으로 그의 저작으로 이해되었다.

초대 예루살렘 교회의 지도자로, 예루살렘의 야고보라고도 불린다. 사도 베드로가 초대 로마 교황으로 간주되듯, 주님의 형제 야고보는 초대 예루살렘 총대주교로 간주되며, 역대 예루살렘 총대주교들은 전부 그의 후계자임을 자처한다. 사도 바울로의 요청으로 개최된 예루살렘 공의회에서 베드로를 지지하며 '이방인들에게 할례율법을 강요하지 말자'는 주장을 하였다.

신약성경과 초대교회 교부들의 문헌에 '예수(주님)의 형제'라고 지칭되는데, 전통적으로 12사도의 한 명인 소 야고보(알패오의 아들 야고보) 성인과 동일인으로 보았다. 이는 성 예로니모 등 교부들이 오래 전부터 지지한 견해로 가톨릭정교회에서는 사실상의 통설이다. 따라서 '주님의 형제 야고보'에게 '성 야고보(소)'와 별도의 축일이 기념되지도 않는다.

개신교 일각에서는 성 요셉성모 마리아 사이에서 태어난 예수의 동복형제라고 인식하나, 초대교회에서부터 믿어 온 위와 같은 전통, 예수가 죽음 직전에 사도 요한에게 성모 마리아를 부탁하는 등 예수가 마리아의 독생자임이 강력하게 암시되는 성경 속 여러 가지 상황, 신학적 논리의 귀결 등을 근거로 가톨릭정교회에서는 받아들이지 않으며, '형제'란 말은 구약성경에도 언급되는 바와 같이 집성촌을 이루고 사는 이들이 항렬이 비슷한 가까운 친척을 지칭하는 근동 지방의 언어습관에 불과하다고 본다. 근래에 제기된 소수설로 복음서에 언급되는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소 야고보 사도)'와 '클로파스의 아들 야고보'이자 '주님의 형제 야고보'는 서로 다른 인물이라는 주장이 있기는 하나, 가톨릭과 정교회의 어떠한 견해도 '주님의 형제 야고보'가 예수의 '친형제'라는 개신교 일각의 주장은 지지하지 않는다.

이슬람에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쿠란에 예수(이사)의 형제에 관한 언급은 없으며, 하디스 일부는 명확하게 예수는 형제가 없다고 언급한다. 하디스학을 체계화한 이븐 하자르도 하디스에 따르면 예수는 형제가 없었다고 주장했다.

2. 설명

마태오의 복음서에 예수가 제자들과 이야기를 나누는 동안 '예수의 형제들'와 성모 마리아가 집 밖에서 기다리는 장면이 나온다.
46 예수께서 아직 군중에게 말씀하고 계실 때에 예수의 어머니와 형제들이 밖에 와 서서 예수와 말씀을 나눌 기회를 찾고 있었다.
47 그래서 어떤 사람이 예수께 “선생님, 선생님의 어머님과 형제분들이 선생님과 이야기를 하시겠다고 밖에 서서 찾고 계십니다.” 하고 알려드렸다.
48 예수께서는 말을 전해 준 사람에게 “누가 내 어머니이고 내 형제들이냐?” 하고 물으셨다.
49 그리고 제자들을 가리키시며 “바로 이 사람들이 내 어머니이고 내 형제들이다.
50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뜻을 실천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다 내 형제요 자매요 어머니이다.” 하고 말씀하셨다.
마태오의 복음서 12장 (공동번역)

예수의 승천 직후 성모 마리아와 사도들과 함께 성 마르코의 집 다락방에서 기도한다.[2]
13 성안에 들어온 사도들은 자기네가 묵고 있던 이층 방으로 올라갔는데 그 일행은 베드로, 요한, 야고보, 안드레아, 필립보, 토마, 바르톨로메오, 마태오,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 혁명당원 시몬, 야고보의 아들 유다 들이었다.
14 그 자리에는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를 비롯하여 여러 여자들과 예수의 형제들도 함께 있었다. 그들은 모두 마음을 모아 기도에만 힘썼다.
사도행전 1장

주님의 형제 야고보는 베드로, 요한과 함께 예루살렘 신자들의 지도자격이었다.
9 그뿐만 아니라 기둥과 같은 존재로 여겨지던 야고보와 게파[3]와 요한도 하느님께서 나에게 주신 이 은총을 인정하고, 나와 바르나바에게 오른손을 내밀어 친교의 악수를 청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우리는 이방인들에게 전도하고 그들은 할례받은 사람들에게 전도하기로 합의하였습니다.
10 한 가지 그들이 우리에게 요구한 것은 가난한 사람들을 기억해 달라는 것이었는데 그것은 바로 내가 전부터 열심히 해오던 일이었습니다.
갈라디아서 2장

그리스도교 역사에서 최초로 열린 공의회인 예루살렘 공의회에서 이방인에게 할례와 율법을 강요하지 말자는 사도 베드로의 결정을 지지하였고, 대신 바리사이 출신인 사도 바울로의 의견도 절충하여 아래와 같은 의견을 낸다.
13 두 사도가 말을 마치자 야고보가 나서서 이렇게 말하였다. “형제 여러분, 내가 한 말씀 드리겠습니다.
14 하느님께서 이방인들을 돌보시어 그들 가운데서 처음에 당신의 백성을 뽑아주시게 된 경위를 시몬이 말해 주었습니다.
15 이 사실은 예언자들의 말과도 일치합니다. 예언서에는 이렇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16 ‘그 뒤에 내가 다시 돌아와 무너진 다윗의 집을 다시 지으리니 허물어진 곳을 다시 고치고 그것을 바로 세우리라.
17 그리하여 살아 남은 백성들이 다 주를 찾고 내 백성이 된 모든 이방인들까지도 모두 주를 찾게 되리라.
18 오래 전부터 이것을 알게 해주시는 주께서 이렇게 말씀하신다.’
19 그러므로 내 의견은 하느님께로 돌아오는 이방인들을 괴롭힐 것이 아니라
20 다만 우상에게 바쳐서 더러워진 것을 먹지 말고 음란한 행동을 하지 말고 목 졸라 죽인 짐승의 고기와 피를 먹지 말라고 편지를 띄웠으면 합니다.
21 예로부터 어느 도시에나 모세의 율법을 풀이하는 사람들이 있어서 그 율법을 안식일마다 회당에서 읽어왔습니다.”
— 사도행전 15장

플라비우스 요세푸스의 기록에 의하면 기원후 62년 대제사장 안나스(아나누스)에게 투석형으로 사형당했다고 한다. 순교에 관해 헤게시푸스가 기록한 전승은 다음과 같다.
모든 이로부터 의인이라 불리운 주님의 형제 야고보는 사도들로부터 교회를 전해 받았다. 그는 어머니의 태중에서부터 거룩하였다. 그는 포도주나 발효 음료를 마시지 않았고, 생명이 있는 음식을 먹지 않았다. 얼굴에 면도도 하지 않았고, 기름을 바르지도 않았고, 목욕도 하지 않았다. 오직 야고보만이 성소에 들어갈 자격이 있었다. 그는 홀로 성전에 들어가는 습관이 있었는데 종종 무릎을 꿇고 백성들을 위해 용서를 간구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처럼 쉬지 않고 백성들을 위해 무릎 꿇고 하나님께 기도했기 때문에 그의 무릎은 마치 낙타의 발처럼 딱딱해졌다. 그의 위대한 거룩함에 의해, 그는 예언자들이 말하는 것처럼 의인이요 오블리아라고 불리었다. 오블리아란 그리스어로 “백성의 요새”와 “정의”를 뜻한다.
일곱 분파의 사람들 중 어떤 이들이 와서 그에게 예수께 이르는 길이 무엇이냐고 묻자 그는 그분이 구세주라는 사실이라고 대답했다. 이 대답을 듣고 어떤 사람들은 예수를 그리스도로 믿었지만, 일부 유대인들은 부활, 그리고 장차 그가 모든 사람들의 공로에 따라 상급을 주러 오신다는 것을 믿지 않았다. 그러나 더 많은 사람들과 통치자들이 예수를 믿게 되자 율법학자들, 바리새인들 사이에서 동요가 일어났다. 그들은 많은 백성이 예수를 메시아로 기대하는 것을 위험하다고 생각했다. 그리하여 그들은 함께 야고보에게 가서 말하였다.
“백성들은 예수를 메시아로 기대하여 그를 좇음으로써 잘못된 길로 가고 있습니다. 그들을 제지하여 주십시오. 유월절을 지내기 위해 예루살렘으로 오는 모든 이들에게 예수에 관해 올바르게 권면하여 주시기를 당신에게 간청합니다. 우리는 모두 당신을 신뢰하고 있습니다. 우리와 모든 사람들은 당신이 의로운 사람이라고 확신합니다. 그러니 높은 곳, 당신의 모습이 뚜렷이 보이고 모든 사람들이 당신의 음성을 쉽사리 들을 수 있도록 성전의 꼭대기에 서십시오.”
그렇게 율법학자들과 바리새인들은 야고보를 성전의 꼭대기에 세우고 그에게 외쳤다. “우리가 신뢰하는 의인이여, 백성들은 십자가에 처형된 예수를 좇아 잘못된 길로 가면서 우리에게 십자가에 달려 죽은 예수가 문이라고 선포하고 있습니다. 진정한 예수의 문이 무엇인지 알려주십시오.”
그러자 야고보는 큰 소리로 대답했다. “왜 당신들은 나에게 인자이신 예수에 관해 묻는 것이오. 그 분은 하늘 위, 전능하신 분의 오른편에 앉아 계시고, 장차 하늘에서 구름을 타고 오실 것입니다.”
그러자 많은 이들이 동의하며 야고보의 증언을 찬송하였다. “호산나 다윗의 자손이여!”
그러자 율법학자들과 바리새인들이 서로에게 말하였다. “우리는 예수에 관한 이 증언을 허용하는 잘못을 범했습니다. 그러니 올라가서 그를 아래로 던집시다. 그러면 사람들이 두려워서 그를 믿지 못하게 될 것입니다.”
그들이 외치며 말하였다. “오! 오! 의인이 길을 잃었도다.”
이사야서에 기록된 바 “너희는 의인에게 복이 있으리라 말하라 그들은 그들의 행위의 열매를 먹을 것임이요, 악인에게는 화가 있으리니 이는 그의 손으로 행한 대로 그가 보응을 받을 것임이니라.”라는 말씀이 성취되었다.
그들은 올라가서 그를 아래로 떨어뜨리고 “의인 야고보를 돌로 치자.”라고 말하였다. 그들은 야고보가 아래로 떨어졌으나 아직 죽지 않았음으로 그에게 돌을 던지기 시작하였다.
그러자 야고보는 몸을 돌려 무릎을 꿇고 기도하기 시작했다. “주 하느님 아버지, 그들을 용서하소서. 그들은 자신이 무엇을 하는지 모릅니다.”
이렇게 돌을 던지고 있을 때 예레미야가 말한 레갑의 자손인 제사장이 소리치며 말했다. “그만두시오. 당신들은 지금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 의인이 당신들을 위해 기도하고 있습니다.”
그때 어느 축융업자가 피륙을 두드릴 때 사용하는 곤봉으로 의인의 머리를 쳤다. 그리하여 야고보는 순교하였으며 사람들은 성전에 야고보를 매장하였다. 이곳에는 아직도 그의 비석이 남아있다. 야고보는 헬라인들과 유대인들에게 예수가 그리스도라고 충실히 증거한 증인이 되었다. 이 일이 있은 직후 베스파시아누스가 예루살렘을 공격하여 장악하였다.
― 헤게시푸스 회고록 제5권

이 사건에 대한 또 다른 기록인, 그리고 그 진위 여부로 인해 논란이 있는 유대인 역사가 플라비우스 요세푸스(Flavius Josephus, 37 ~ c. 100)의 저서 『유대인 고대사(The Antiquities of the Jews)』의 기록에서는 이렇게 서술되고 있다.
황제는 베스도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자 알비누스를 유대인 행정관으로 파견하였다. 한편 아그립바 왕은 요셉을 대제사장에서 해임시키고 아나누스의 아들인 같은 이름을 가진 아나누스를 대제사장으로 임명하였다. 사실 그의 부친인 늙은 아나누스는 많은 행운을 누렸다고 사람들은 말하였다. 그에게는 아들이 다섯 있었는데 그들이 모두 대제사장에 올랐고, 그 자신도 오랫동안 대제사장의 명예를 누렸기 때문이다. 이런 일은 다른 대제사장들에게는 없었던 일이다. 그런데 아들 아나누스의 성격은 오만하였으며 몹시 무례하였다. 그는 내가 이미 지적한 것처럼 모든 유대인들 중에서 가장 엄격한 심판을 내리는 사두가이파를 추종하였다. 아나누스는 베스도가 죽고 알비누스 신임 행정관이 아직 도착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권위를 행사할 적절한 기회라고 생각하였다. 그는 산헤드린을 소집하여 그리스도라고 불리는 예수의 형제 야고보와 다른 몇 명을 소환하였다. 그는 율법을 어긴 혐의로 그들을 고발하고 돌로 쳐죽이도록 보냈다. 그러나 예루살렘 시민들 중 가장 공평하고 율법 위반을 불안하게 생각하던 사람들은 아나누스가 행한 일을 싫어했다. 그들은 아나누스가 그런 행동을 못하게 명령하도록 요구하기 위해 왕에게 은밀히 사람을 보내었다. 왜냐하면 아나누스가 부당하게 행동한 것이 처음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들은 알렉산드리아로부터 오는 알비누스를 만나러 갔고, 그에게 아나누스가 허락 없이 산헤드린을 소집할 권리가 없다는 것을 알렸다. 그들의 말을 듣고 알비누스는 몹시 화가 나서 아나누스에게 문책할 것이라는 서신을 보냈다. 그리고 아그립바 왕은 아나누스를 대제사장에서 3개월 만에 해임시키고 댐네우스의 아들 예수를 후임 대제사장로 임명하였다
―『유대인 고대사』, 20, 199-203

바울로가 교회의 기둥으로 베드로, 요한과 함께 언급할 정도로 중요한 인물이다. 예루살렘 교회의 지도자이자 유대계 신자들이 신뢰하던 인물로서, 갈라디아서에서 바울로가 예루살렘 상황을 전할 때 베드로와 요한보다 먼저 언급했을 정도였다.

신학적으로 바울로와의 어느 정도 긴장 관계가 발견되는데, 이러한 면모가 갈라디아서의 안티오키아 사건에서 발견된다. 베드로는 여기서 둘 사이의 중간 성향에 위치해 있었다. 이 셋이 관련된 안티오키아 사건이 정확히 어떻게 결론이 났는지는 갈라디아서만으로는 알기 어렵지만[4], 아무튼 야고보가 초기 교회의 핵심 지도자 중 한 명이라는 것은 거의 확실하다.

3. 행적

  • 예수의 형제이다(마태 13,55; 마르 6,3; 갈라 1,19).[5]
  • 예수의 형제들이 처음부터 예수가 메시아라는 진리를 믿었던 것은 아니었다(요한 7,5).
  • 예수는 부활 후 야고보에게 나타났다(1코린 15,7)
  • 부활 후 사도들과 함께 행동하고 있다(사도 1,14).
  • 예루살렘 교회는 베드로요한과 더불어 야고보의 지도를 받고 있었다(사도 15,13-21; 갈라 2,9).[6]
  • 예루살렘 공의회에서 베드로와 함께 매우 설득력있고 타당한 의견을 제시함으로써, 이방인의 할례에 대한 중요한 결정을 내리도록 하였다(사도 15,13)
  • 사도 바울로는 다마스쿠스 도상에서 회심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예루살렘을 방문하였는데, 이때 야고보와 처음 만났다(갈라 1,19; 2,9; 12).
  • 바울로가 제3차 전도 여행을 마치고 예루살렘을 방문했을 때에도 야고보를 만났다(사도 21,18).
  • 바울로에게 정결예식을 행하라고 조언했던 사람 가운데 한 사람이 야고보였다(사도 21,17-26).
  • 바울로가 상주하고 베드로가 잠시 머물던 안티오키아에 야고보는 사절단을 보낸 적이 있다(갈라 2,12).
  • 감옥에서 풀려나온 베드로는 자기의 석방 소식을 먼저 야고보에게 전해달라고 부탁하였다(사도 12,17).
  • 야고보서의 저자로, 구약에 매우 정통했던 인물로 보인다(사도 21,17-26; 갈라 2,12).

4. 둘러보기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30000, #800000 20%, #800000 80%, #530000); word-break: norma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제1-60대 ]
{{{#!wiki style="margin: -5px -1px"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if 주교명="style=\"margin: 0 -10px; font: 1em/1 monospace; font-family: revert\""
#!wiki 
[[예수의 형제 야고보|야코보스 1세]]
#!wiki 
시메온 1세
#!wiki 
유스토스 1세
#!wiki 
자키오스
#!wiki 
토비아스
<rowcolor=#fff,#fff>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wiki 
베냐민 1세
#!wiki 
요안니스 1세
#!wiki 
마티아스 1세
#!wiki 
필리포스
#!wiki 
세네카스
<rowcolor=#fff,#fff>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wiki 
유스토스 2세
#!wiki 
레위스
#!wiki 
에프렘 1세
#!wiki 
요시프 1세
#!wiki 
유다스
<rowcolor=#fff,#fff>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wiki 
마르코스 1세
#!wiki 
카시아노스
#!wiki 
푸블리오스
#!wiki 
막시모스 1세
#!wiki 
율리아노스 1세
<rowcolor=#fff,#fff>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wiki 
가이오스 1세
#!wiki 
심마호스
#!wiki 
가이오스 2세
#!wiki 
율라아노스 2세
#!wiki 
카피온
<rowcolor=#fff,#fff>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wiki 
막시모스 2세
#!wiki 
안토니오스
#!wiki 
왈리스
#!wiki 
돌리히아노스
#!wiki 
나르키소스
<rowcolor=#fff,#fff> 제31대 제32대 제33대 제34대 제35대
#!wiki 
디오스
#!wiki 
예르마니온
#!wiki 
고르디오스
#!wiki 
알렉산드로스
#!wiki 
마자바니스
<rowcolor=#fff,#fff>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wiki 
이메네오스
#!wiki 
자무다스
#!wiki 
에르만
#!wiki 
마카리오스 1세
#!wiki 
막시모스 3세
<rowcolor=#fff,#fff>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제45대
#!wiki 
[[예루살렘의 키릴로스|키릴로스 1세]]
#!wiki 
요안니스 2세
#!wiki 
프라브리오스
#!wiki 
유베날리오스
#!wiki 
아나스타시오스 1세
<rowcolor=#fff,#fff> 제46대 제47대 제48대 제49대 제50대
#!wiki 
마르티리오스
#!wiki 
살루스티오스
#!wiki 
일리아스 1세
#!wiki 
요안니스 3세
#!wiki 
페트로스
<rowcolor=#fff,#fff>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54대 제55대
#!wiki 
마카리오스 2세
#!wiki 
에브스토히오스
#!wiki 
요안니스 4세
#!wiki 
아모스
#!wiki 
이사키오스
<rowcolor=#fff,#fff> 제56대 제57대 제58대 제59대 제60대
#!wiki 
자하리아스
#!wiki 
모데스토스
#!wiki 
소프로니오스 1세
#!wiki 
아나스타시오스 2세
#!wiki 
요안니스 5세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제61-120대 ]
{{{#!wiki style="margin: -5px -1px"
<rowcolor=#fff>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제65대
#!wiki 
테오도로스
#!wiki 
일리아스 2세
#!wiki 
예오르요스
#!wiki 
토마스 1세
#!wiki 
바실리오스
<rowcolor=#fff,#fff> 제66대 제67대 제68대 제69대 제70대
#!wiki 
요안니스 6세
#!wiki 
세르이오스 1세
#!wiki 
솔로몬
#!wiki 
테오도시오스
#!wiki 
일리아스 3세
<rowcolor=#fff,#fff> 제71대 제72대 제73대 제74대 제75대
#!wiki 
세르이오스 2세
#!wiki 
레온디오스 1세
#!wiki 
아타나시오스 1세
#!wiki 
니콜라스
#!wiki 
흐리스토둘로스 1세
<rowcolor=#fff,#fff> 제76대 제77대 제78대 제79대 제80대
#!wiki 
아가톤
#!wiki 
요안니스 7세
#!wiki 
흐리스토둘로스 2세
#!wiki 
토마스 2세
#!wiki 
요시프 2세
<rowcolor=#fff,#fff> 제81대 제82대 제83대 제84대 제85대
#!wiki 
오레스티스
#!wiki 
테오필로스 1세
#!wiki 
니키포로스 1세
#!wiki 
요안니키오스
#!wiki 
소프로니오스 2세
<rowcolor=#fff,#fff> 제86대 제87대 제88대 제89대 제90대
#!wiki 
에브티미오스 1세
#!wiki 
시메온 2세
#!wiki 
사바스
#!wiki 
요안니스 8세
#!wiki 
니콜라오스
<rowcolor=#fff,#fff> 제91대 제92대 제93대 제94대 제95대
#!wiki 
요안니스 9세
#!wiki 
니키포로스 2세
#!wiki 
레온디오스 2세
#!wiki 
도시테오스 1세
#!wiki 
마르코스 2세
<rowcolor=#fff,#fff> 제96대 제97대 제98대 제99대 제100대
#!wiki 
에브티미오스 2세
#!wiki 
아타나시오스 2세
#!wiki 
소프로니오스 3세
#!wiki 
그리고리오스 1세
#!wiki 
타다이오스
<rowcolor=#fff,#fff> 제101대 제102대 제103대 제104대 제105대
#!wiki 
아타나시오스 3세
#!wiki 
그리고리오스 2세
#!wiki 
라자로스
#!wiki 
아르세니오스
#!wiki 
도로테오스 1세
<rowcolor=#fff,#fff> 제106대 제107대 제108대 제109대 제110대
#!wiki 
테오필로스 2세
#!wiki 
테오파니스 1세
#!wiki 
요아킴
#!wiki 
테오파니스 2세
#!wiki 
아타나시오스 4세
<rowcolor=#fff,#fff> 제111대 제112대 제113대 제114대 제115대
#!wiki 
야코보스 2세
#!wiki 
아브라암
#!wiki 
그리고리오스 3세
#!wiki 
마르코스 3세
#!wiki 
도로테오스 2세
<rowcolor=#fff,#fff> 제116대 제117대 제118대 제119대 제120대
#!wiki 
게르마노스
#!wiki 
소프로니오스 4세
#!wiki 
테오파니스 3세
#!wiki 
파이시오스
#!wiki 
넥타리오스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제121대 이후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제121대 제122대 제123대 제124대 제125대
#!wiki 
도시테오스 2세
#!wiki 
흐리산토스
#!wiki 
멜레티오스
#!wiki 
에프렘 2세
#!wiki 
소프로니오스 5세
<rowcolor=#fff,#fff> 제126대 제127대 제128대 제129대 제130대
#!wiki 
아브라미오스
#!wiki 
프로코피오스 1세
#!wiki 
안티모스
#!wiki 
폴리카르포스
#!wiki 
아타나시오스 5세
<rowcolor=#fff,#fff> 제131대 제132대 제133대 제134대 제135대
#!wiki 
키릴로스 2세
#!wiki 
프로코피오스 2세
#!wiki 
예로테오스
#!wiki 
니코디모스
#!wiki 
게라시모스
<rowcolor=#fff,#fff> 제136대 제137대 제138대 제139대 제140대
#!wiki 
다미아노스
#!wiki 
티모테오스
#!wiki 
베네딕토스
#!wiki 
디오도로스
#!wiki 
이리나이오스
<rowcolor=#fff,#fff> 제141대
#!wiki 
[[테오필로스 3세]]
}}}}}}}}}}}}}}}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b80015, #da001a 20%, #da001a 80%, #b80015); word-break: norma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동서대분열 이전 ]
{{{#!wiki style="margin: -5px -1px"
<rowcolor=#b80015,#b80015>
#!if 대수="style=\"margin: 0 -10px; font: .83333em/1 monospace; font-family: revert\"", 주교명="style=\"margin: 0 -10px; font: 1em/1 monospace; font-family: revert\""
#!wiki 
초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제2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제3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제4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제5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예수의 형제 야고보|의인 야고보]]
#!wiki 
시메온
#!wiki 
유스토 1세
#!wiki 
자캐오
#!wiki 
토비아
<rowcolor=#b80015,#b80015>
#!wiki 
제6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제7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제8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제9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제10대 예루살렘 주교
#!wiki 
베냐민
#!wiki 
요한 1세
#!wiki 
마티아
#!wiki 
필립보
#!wiki 
세네카
<rowcolor=#b80015,#b80015>
#!wiki 
제11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제12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제13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제14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제15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유스토 2세
#!wiki 
레위
#!wiki 
에프렘
#!wiki 
요셉
#!wiki 
유다
<rowcolor=#b80015,#b80015>
#!wiki 
초대 아엘리아 카피톨리나 주교
#!wiki 
제15대 아엘리아 카피톨리나 주교
#!wiki 
제19대 아엘리아 카피톨리나 주교
#!wiki 
제22대 아엘리아 카피톨리나 주교
#!wiki 
제16대 예루살렘 주교
#!wiki 
마르코
#!wiki 
나르치소
#!wiki 
알렉산데르
#!wiki 
자무다
#!wiki 
마카리오
<rowcolor=#b80015,#b80015>
#!wiki 
제17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제18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제19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제20대 예루살렘 주교
#!wiki 
초대 예루살렘 총대주교
#!wiki 
막시모
#!wiki 
[[예루살렘의 키릴로스|치릴로]]
#!wiki 
요한 2세
#!wiki 
프라울리오
#!wiki 
유베날리오
<rowcolor=#b80015,#b80015>
#!wiki 
제5대 예루살렘 총대주교
#!wiki 
제14대 예루살렘 총대주교
#!wiki 
제15대 예루살렘 총대주교
#!wiki 
엘리야
#!wiki 
모데스토
#!wiki 
소프로니오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초기 라틴 총대주교 ]
{{{#!wiki style="margin: -5px -1px"
<rowcolor=#b80015,#b80015> 초대 제2대 임시직 제3대 복위
#!wiki 
[[아르눌 드 쇼크]]
#!wiki 
[[다임베르트 다 피사|다고베르토 다 피사]]
#!wiki 
[[모리스 드 포르투|마우리체 다 포르투]]
#!wiki 
[[에브르마르 드 테루안]]
#!wiki 
다고베르토 다 피사
<rowcolor=#b80015,#b80015> 제4대 재임 제5대 제6대 제7대
#!wiki 
[[기벨린 드 사브란]]
#!wiki 
아르눌 드 쇼크
#!wiki 
[[고르몽 드 픽퀴니]]
#!wiki 
[[스테판 드 라 페르테]]
#!wiki 
[[기욤 드 말린]]
<rowcolor=#b80015,#b80015>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wiki 
[[풀크 당굴렘]]
#!wiki 
아모리 드 네슬레
#!wiki 
에라클레스 도베르뉴
#!wiki 
미셸 드 코르베유
#!wiki 
아이마로 모나코 데이 코르비치
<rowcolor=#b80015,#b80015>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wiki 
소프레도 에리코 가에타니
#!wiki 
알베르토 다 베르첼리
#!wiki 
라울 드 메렝쿠르
#!wiki 
제라르 드 로잔
#!wiki 
로베르 드 낭트
<rowcolor=#b80015,#b80015> 제18대 제19대 제20대 제21대 제22대
#!wiki 
[[우르바노 4세|자크 팡탈레옹]]
#!wiki 
기욤 다쟁
#!wiki 
톰마소 아니 다 코센차
#!wiki 
조반니 다 베르첼리
#!wiki 
엘리 드 페리게
<rowcolor=#b80015,#b80015> 제23대 제24대 제25대 제26대 제27대
#!wiki 
니콜라 드 아나프
#!wiki 
란돌포
#!wiki 
앤서니 벡
#!wiki 
피에르 플레느카사뉴
#!wiki 
피에르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로마 주재 명의주교 ]
{{{#!wiki style="margin: -5px -1px"
<rowcolor=#b80015,#b80015> 제28대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wiki 
레몽 베캥
#!wiki 
피에르 드 팔뤼드
#!wiki 
에리 드 나비날
#!wiki 
피에르 드 카사
#!wiki 
에마누엘레 드 나비날
<rowcolor=#b80015,#b80015>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제37대
#!wiki 
기욤 아미치
#!wiki 
필리프 드 카바솔르
#!wiki 
굴리엘모 밀리티스
기예르메 오디베르
드 라 가르드
#!wiki 
필리프 달랑송 드 발루아
<rowcolor=#b80015,#b80015> 제38대 제39대 제40대 제41대 제42대
#!wiki 
굴리엘모 다 우르비노
#!wiki 
슈테판 즈 오스트로바
#!wiki 
페르난두스
#!wiki 
우고 로베르티
프란시스코 클레멘테
페레스 카페라
<rowcolor=#b80015,#b80015> 제43대 제44대 교구장 서리 교구장 서리 제45대
#!wiki 
레오나르도 델피노
#!wiki 
비아조 몰리노
#!wiki 
크리스토포로 가라토니
#!wiki 
조반니 베사리오네
#!wiki 
로렌초 잔니
<rowcolor=#b80015,#b80015> 제46대 제47대 제48대 제49대 제50대
#!wiki 
루이 드 아리퀴리아
#!wiki 
바르톨로메오 델라 로베레
#!wiki 
조반니 안토니오 산조르조
베르나르디노 로페스
데 카르바할 이 산데
#!wiki 
로드리고 데 카르바할
<rowcolor=#b80015,#b80015>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54대 제55대
#!wiki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wiki 
크리스토포로 스피리티
#!wiki 
안토니오 엘리오
#!wiki 
[[인노첸시오 9세|조반니 안토니오 파키네티]]
#!wiki 
시피오네 곤차가
<rowcolor=#b80015,#b80015> 제56대 제57대 제58대 제59대 제60대
#!wiki 
파비오 비온디 다 몬탈토
프란체스코 첸니니
데 살라만드리
#!wiki 
디오페보 파르네세
#!wiki 
알폰소 만사네도 데 키뇨네스
#!wiki 
도메니코 데 마리니
<rowcolor=#b80015,#b80015>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제65대
#!wiki 
조반니 바티스타 콜론나
#!wiki 
테그리무스 테그리미
아이기디우스 우르시누스
데 비베레
#!wiki 
카밀로 마시모
#!wiki 
에지디오 콜론나
<rowcolor=#b80015,#b80015> 제66대 제67대 제68대 제69대 제70대
#!wiki 
반디노 판차티키
#!wiki 
니콜로 피에트로 바르젤리니
#!wiki 
프란체스코 마르텔리
#!wiki 
무치오 가에타
#!wiki 
빈첸초 루도비코 고티
<rowcolor=#b80015,#b80015> 제71대 제72대 제73대 제74대 제75대
#!wiki 
폼페오 알드로반디
#!wiki 
톰마소 체르비니
#!wiki 
톰마소 몬카다 라 록카
#!wiki 
조르조 마리아 라스카리스
#!wiki 
미켈레 디 피에트로
<rowcolor=#b80015,#b80015> 제76대 제77대
#!wiki 
프란체스코 마리아 펜치
#!wiki 
파올로 아우구스토 포스콜로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예루살렘 복귀 이후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b80015,#b80015> 제78대
(복귀 후 초대)
제79대
(복귀 후 제2대)
제80대
(복귀 후 제3대)
제81대
(복귀 후 제4대)
제82대
(복귀 후 제5대)
#!wiki 
조세프 발레르가
#!wiki 
조반니 빈첸초 브라코
#!wiki 
루이지 피아비
#!wiki 
필리포 카마세이
#!wiki 
루이지 바를라시나
<rowcolor=#b80015,#b80015> 제83대
(복귀 후 제6대)
제84대
(복귀 후 제7대)
제85대
(복귀 후 제8대)
제86대
(복귀 후 제9대)
제87대
(복귀 후 제10대)
#!wiki 
알베르토 고리
#!wiki 
자코모 주세페 벨트리티
#!wiki 
미셸 사바흐
#!wiki 
푸아드 트왈
#!wiki 
[[피에르바티스타 피차발라]]
}}}}}}}}}}}}}}}

[[예수|
예수 그리스도
Jesus Christ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E9C967,#E9C967><colcolor=#422700,#422700>
관련 종교
기독교 · 이슬람 · 유대교
생애
생애 · 역사적 예수 · 이슬람 속 예수
가족
아버지 나자렛의 요셉 · 어머니 성모 마리아 · 형제 예루살렘의 야고보
기독교 신학
신약성경 (복음서) · 산상수훈 · 주기도문 · 그리스도론 (메시아 · 성자 · 삼위일체론) · 비칼케돈파 그리스도론 (아리우스파 · 네스토리우스파 · 단성론 · 합성론 · 단의론)
기독교의 관련 절기
성탄절 · 부활절
관련 종교적 인물
세례자 요한 · 12사도 · 바울로
기타
창작물 · 수태고지 · 십자가 (십자가형) · 성흔 · 실존 여부 · 이름과 이명 · 4대 성인 }}}}}}}}}

파일:bible-1297745_960_720.png 전승되는 성경의 각 권별 저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전통적으로 전승되어온 저자들로 실제 저자와 다른 경우, 혹은 차명(借名)인 경우가 많음
히브리 성경
모세 모세오경(총5권)
여호수아* 여호수아기 ספר יהושע
사무엘 판관기(判官記)/사사기(士師記) ספר שופטים
룻기 מגילת רות
사무엘기 ספר שמואל
예레미야* 열왕기(列王記) ספר מלכים
예레미야서 ספר ירמיהו
애가(哀歌) אֵיכָה
에즈라* 역대기(歷代記) דברי הימים
에즈라서 עזרא - 느헤미야서 נחמיה
다윗 시편(詩篇) תְהִלִּים
솔로몬 시편(詩篇) תְהִלִּים
잠언(箴言)
코헬렛/전도서(傳道書) קהלת
아가(雅歌) שיר השירים
이사야* 이사야서 ספר ישעיה
에제키엘* 에제키엘서/에스겔 ספר ישעיה
다니엘* 다니엘서 סֵפֶר דָּנִיֵּאל
호세아* 호세아서 הושע
요엘* 요엘서 יואל
아모스* 아모스서 עמוס
오바디야* 오바디야서 עובדיה
요나* 요나서 יונה
미카* 미카서/미가 מיכה
나훔* 나훔서 נחום
하바쿡* 하바쿡서/하박국 חבקוק
스바니야* 스바니야서 צפניה
하까이* 하까이서/학개 חגי
즈카르야* 즈카르야서 זכריה
말라키* 말라키서/말라기 מלאכי
미상 에스테르기/에스델 מגילת אסתר
욥기 ספר איוב
제2 경전(종파불문)
솔로몬 지혜서 חכמת שלמה
시라의 아들 예수 집회서 בן סירא
에녹 에녹서 ספר חנוך
요셉 벤 고리온* 요시폰 ספר יוסיפון
미상 토빗기 טוביה
유딧기 יהודית
마카베오기 המכבי
바룩서 ספר ברוך
송시 Ὠδαί
므나쎄의 기도 Προσευχής Μανασσή
희년서 Βιβλίο των Ιωβηλαίων
신약
사도 성 마태오 마태오 복음서/마태복음 κατὰ Ματθαῖον εὐαγγέλιον
복음사가 성 마르코 주교 마르코 복음서/마가복음 κατὰ Μᾶρκον εὐαγγέλιον
복음사가 성 루카 루카 복음서/누가복음 Κατὰ Λουκᾶν εὐαγγέλιον
사도행전(使徒行傳) Πράξεις των Αποστόλων
사도 성 요한 요한복음서 κατὰ Ἰωάννην εὐαγγέλιον
요한 서간(총3권)
요한 묵시록/요한계시록 Αποκάλυψη του Ιωάννη
사도 성 바울로 바울로 서간(총14권)
의인 성 야고보 주교 야고보서 Επιστολή Ιακώβου
사도 성 베드로 베드로 서간(총2권)
사도 성 유다 타대오 유다서 Επιστολή Ιούδα
*: 나무위키 내 별도의 저자 문서 없이 저자와 동명의 권의 설명이 한 문서 내 존재하는 경우
}}}}}}}}}
성경 관련 문서 · 성경의 목차 · 성경의 필사본과 번역 · 위경 및 제안된 문서 · 전승되는 성경의 각 권별 저자



[1] 다만, 현대 성서비평학계에서는 차명서신설도 제기된다. 신약성경/형성참조[2] 여기에서 '예수의 형제들'이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와 병렬적으로 별도 언급되기는 하나, 성경은 '예수의 형제'는 여러 명이 있다고 하므로 '주님의 형제 야고보'와 '소 야고보'가 동일인이라는 주장에 장애는 없다.[3] 게파는 베드로이다.[4] “바울로는 "오직 믿음으로만"(sola fide)을 주장하고 있다. …… 게파(베드로)는 두 맷돌, 야고보와 바울로 사이에 끼었다. …… 게파는 유대인 선교를 책임진 사람으로서 이런 상황에선 (게파를 인격적으로 모욕하기까지 한) 바울로와의 충돌을 결연히 감수하고자 했을 것이다. 게파는 바울로와는 달리, 기꺼이 타협할 자세가 되어 있는 사람이었다. 필경 그는 훗날을 위해 그런 타협을 바랐을 것이다. 이 충돌이 어찌 끝났는지 바울로는 말하지 않는다. 자신에게 유리하게 결말이 났다면, 그에 관해 갈라디아 교우들에게 입 다물지 않았으리라는 것은 거의 확실하다.” by 요아힘 그닐카(Joachim Gnilka), 《바울로》, 분도출판사, 2008, 159-161p[5] 상술한 바와 같이 전통적인 해석에 따르면 '예수(주님)의 형제'라는 호칭이 예수의 동복형제라는 의미는 아니다. 일부 개신교에서는 이 견해를 지지하지는 않는다.[6] 참고로 예루살렘 공의회가 열리던 시기에 제베대오의 아들 야고보는 이미 순교를 당한 후였다(사도 12,2).